KR100783063B1 -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063B1
KR100783063B1 KR1020060002762A KR20060002762A KR100783063B1 KR 100783063 B1 KR100783063 B1 KR 100783063B1 KR 1020060002762 A KR1020060002762 A KR 1020060002762A KR 20060002762 A KR20060002762 A KR 20060002762A KR 100783063 B1 KR100783063 B1 KR 10078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ant
cosmetic composition
embryo
giant embry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786A (ko
Inventor
김광수
김영택
진성현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 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 랩 filed Critical (주)에이티 랩
Priority to KR102006000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06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미백효능,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력을 토대로 하여 주름개선효능 및 미백효능과 피부의 보습 및 탄력 개선에 우수한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거대배아미 발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대배아미 발아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대배아미는 거대배아 현미, 거대배아 일반미, 거대배아 발아 일반미, 거대배아 발아 현미 중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대배아미의 추출물은 그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항산화성 비타민류인 레티놀, 루테인(Lutein), 토코페롤, 라이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피토스테롤 및 GABA, 팔믹산, 올레익산을 함유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대배아미, 추출물, 주름개선, 미백, 보습, 탄력,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ryzae Extract}
도 1은 일반미와 거대배아미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섬유아세포 생장도 그래프.
도 3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도 그래프.
본 발명은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미백효능,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력을 토대로 하여 주름개선효능 및 미백효능과 피부의 보습 및 탄력 개선에 우수한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주름은 근육운동에 의해 만성적인 변형을 받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형성, 정착되는 피부의 형태, 구조 변화라고 말할 수 있고, 이러한 생리 변화만이 아니라 보다 미세한 피부 내부 구조의 변화나 물성 변화와 함께 주름 형성 메커니즘을 검토하는 것도 실제적인 주름형성기구의 이해를 위해서는 중요하 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광노화에 따른 피부 내부 구조 변화로서는, 표피, 진피의 비후화나 비정상적인 탄력섬유증물질(elastotic material)의 축적, 또는 탄성섬유의 입체구조 변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피부구조의 주요 구성 성분인 골격이라는 콜라겐에 대해서는 콜라겐 섬유의 미세섬유화, 섬유형태의 약화 등이 밝혀지고 있다(Zheng P. and kligman L.H.,uvA-induced ultrastructur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A comparison to uvB-induced damage., J.Invest.dermatol.,100,194-199(1993)).
그러나 이것들이 묶여 형성된 콜라겐 섬유다발에 대해서는 피부의 상처 치료 과정의 연구 등을 통하여 피부의 강인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광노화에 의한 구조 변화와 피부물성의 변화, 주름형성에의 영향에 대하여 지금까지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스킨케어의 관심은 증가되고 있는 현상으로서 25세 정도에서 간간이 보여지고 있는 기미, 잔주름 등이 35세 정도에서 점점 노화가 확실하게 보여 기미, 주근깨, 잔주름 증가, 피부 거무스름함의 증가가 급증하고 45세를 지나면 큰 주름이 보이기 시작하여 약 55세에 이르면 일반적으로 피부의 운동이 저하된다. 이처럼 노화 원인으로서는 수분 보유 능력, 피지 분비능력의 저하, 건조, 자외선, 산화 등에 의한 유해물의 피부로의 축적, 피부 내부에서 일어나는 피부세포 운동의 저하 등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몇 가지 스킨케어 방법은, 수분 보유력을 향상 시키고, 피부에 유해물질 제거 및 발생을 방지하는 일, 피 부세포 운동을 최고로 높여주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 관심분야로서 자외선의 피부에 대한 영향에 대해 연구가 급격히 진행되어왔다. 일광은 노화,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 등의 악영향이라는 인식이 확신되어 있으며 하얀 피부를 갈망하는 것은 과거부터 하나의 큰 과제로 생각했었다.
한편 근래에는 웰빙 붐이 일면서 기존의 쌀 보다는 발아된 현미 등을 많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발아 현미는 인체의 면역력과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든 질병은 인체의 면역력과 저항력의 균형이 깨질 때 생기는 것이므로 발아 현미가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주름 개선, 미백 및 피부의 보습과 탄력 개선과 관련된 많은 제품이 출시되고 있고, 이의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름 개선, 미백 및 피부의 보습과 탄력 개선에 많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미백효능,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력을 토대로 하여 주름개선효능 및 미백효능과 피부의 보습 및 탄력 개선에 우수한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거대배아미 발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대배아미 발아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대배아미는 거대배아 현미, 거대배아 일반미, 거대배아 발아 일반미, 거대배아 발아 현미 중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대배아미의 추출물은 그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항산화성 비타민류인 레티놀, 루테인(Lutein), 토코페롤, 라이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피토스테롤 및 GABA, 팔믹산, 올레익산을 함유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에 신품종으로 육종 개발되어진 거대배아미를 대상으로 그 배아를 추출하여 얻어진 유효성분을 취한 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으로 주름개선효능 보습, 탄력도 개선과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쌀 배아는 영양성분 중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그리고 필수 지방산을 다른 부분보다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생리활성 물질의 보고로서 의미 있는 부분이다. 개발되어진 배아의 크기가 큰 쌀 품종의 배아 부분을 취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 물을 기능성 화장품의 조성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참고로 도 1에서 "A"는 일반미의 사진이고 "B"는 거대배아미의 사진이다. 거대배아미의 발아에 의한 추출물의 기능은 토코페롤 및 오리자놀 등의 항산화 활성을 높게 가지며, 아미노산의 양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메벼 품종인 화청벼, 남풍벼를 신품종으로 육종 개발한 화청거대배아미를 대상으로 그 배아를 취한 후 추출하여 얻어낸 추출물이 주름개선 및 보습 탄력도 개선과 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식물종자의 발아가 진행되면서 생리적 활성이 증대되고, 그 성분의 변화가 일어난다. 단백질과 아미노산, 지방산,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및 각종 효소의 활성, 피틴산과 감마아미노낙산 등의 성분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필수 구성성분 및 생리활성성분이 증가하면서 페놀릭 복합체의 활성이 늘어나면서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뛰어난 항산화능에 의하여 노화 및 미백의 주된 메커니즘 중의 한부분인 산화작용을 차단함으로써 주름방지 및 미백 효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 기능을 가진 물질을 기능성 화장료에 응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실시예 1]
화청 거대배아미를 서울대학교 농생대 및 (주)신지에서 제공받아(서농 8호, 품종보호출원; 2003년 6월, 102003000086) 벤레이트 수화제로 소독한 후, 15℃ 증류수에 48시간 침지한 다음, 27℃에서 3일간 발아시켜, 왕겨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 후, 5배량의 용매(70% 물 + 30% 부틸렌글리콜)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 음 0.45㎛ 필터로 필터링하여 거대 배아미 발아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1-6, 비교예 1]
동종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조성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유성 및 수성성분과 계면활성제 등에 실시예 1의 유효추출성분을 혼합하여 호모믹서기로 교반한 후 가열 및 냉각하여 균일 혼합된 화장료인 제조예 1-6,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표 1]
원료명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비교예 1
폴리 솔베이트-60 1.5 1.5 1.5 1.5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1.0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세로 스테아릴알콜 2.0 2.0 2.0 2.0 2.0 2.0 2.0
세릴옥타노에이트 5.0 5.0 5.0 5.0 5.0 5.0 5.0
카보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실시예 1의 추출물 0.001
실시예 1의 추출물 0.01
실시예 1의 추출물 0.1
실시예 1의 추출물 1
실시예 1의 추출물 5
실시예 1의 추출물 10
실시예 1의 추출물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합 100
[실험예 1]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추출물 중 함유되어 있는 성분에 대한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배아의 성분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감마 아미노뷰티릭애씨드(이하 "GABA"라 한다)와 페놀성 화합물 등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GABA의 경우 거대발아배아를 막자사발로 분쇄한 후 MeOH 5ml를 첨가하여 효소를 불활성 시킨 후, 이를 CHCl3처리로 지질분획을 제거한 후 남은 수용성 분획을 AAG 50 W-X(H+)resin을 사용하여 GABA를 정제하였으며, 0.1M KHPO4(pH 8.6)의 조건에서 GABAase kit(sigma Co.)를 사용하여 GABA의 양을 결정하였다.
또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측정을 위해서 거대발아배아 추출물 1mg/ml 농도의 시료 0.5ml에 증류수 6.5ml 및 Folin-coocalteu's penol reagent(sigma Co.) 0.5ml를 첨가하고 3분간 실온에서 방치 후, Na2CO3 포화용액 1ml와 탈이온수 1.5ml를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시간 방치 시키고 나서 72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갈릭산을 이용하여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종 류 결과
GABA함량(pm/g seed extract) 발아미 13.7 ± 1.01
거대 배아발아현미 121.2 ± 10.2
페놀성 화합물 함량(㎍/㎖) 일반발아현미 71.05
거대 배아발아현미 229.2
거대 배아발아현미의 가장 큰 특징이 기존 품종에 비하여 배의 크기가 평균 322% 증가해 있으며, 성분 분석 결과 기존의 일반미와 비교하였을 때 비타민, 지질,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또한 티아민(thiamine)의 경우 4배,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의 경우 2배, 리보플라빈(riboflabin)의 경우 2배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의 조성 중 라이신(lysine) 역시 증가하였다. 지질의 경우 더욱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올레익애씨드(oleic acid)가 증가 하였다. 또한 항산화성 비타민류에 속하는 레티놀(retinol) 및 루테인(Lutein)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실험예 2]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은 화학적으로 유도되는 radical로서, 어떠한 반응계에서 전자를 공여 받으면 고유의 청남색이 엷어지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 색차를 비색 정량하여 시료의 전자 공여능을 측정할 수 있다. 에탄올 1ml, 실시예 1의 추출물 10㎕, 100mM 디소디움 아세테이트 버퍼(pH 5.5)990㎕를 분주한 시험관에 0.5mM DPPH용액 0.5ml를 넣고 교반, 30초간 반응을 유도한 후, 잔존 라디칼 농도를 517nm에서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As/Ac) × 100]으로 나타내었고, As와 Ac에 실험 대조군의 흡광도 값을 각각 대입하여 계산한 후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추출물 DPPH소거능
Abs.(517nm) %
1% 아스코르빅 애씨드 0.1111 ± 0.001 88
1% BHT 0.0959 ± 0.001 89.6
일반현미배아추출물 0.6182 ± 0.027 33.2
거대배아발아현미추출물 0.2523 ± 0.016 75.8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거대배아발아현미추출물은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아스코르빅애씨드 및 BHT에 비교해서 약 80%의 효능을 보였으며, 일반 현미에 비해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볼 수 있었다.
[시험예 1]
본 시험은 사람 피부 유래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그 세포 증식능을 실험하였다. 섬유아세포는 -70℃ 또는 액체질소에 보관된 세포를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T-75 플라스크에 배양되어진 섬유아세포를 PBS로 2-3회 세척하고, 트립신을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린 후, 1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Heraeus, Labofuge 400R)하여 세포를 모았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침전세포에 10㎖의 DMEM(10% FBS)을 첨가하여 고르게 섞어준다.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104ea/well 정도의 세포를 96well의 각 well에 200㎕씩 분주한다. 37℃, 5% CO2에서 배양하면서 well 면적의 약 50%정도의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FBS10%)으로 배지를 교환해 주면서, 실시예 1의 처리구에 대하여 각각을 농도별로 각 well에 2 반복으로 첨가하여 37℃, 5% CO2에서 각 시간대 별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를 PBS에 2㎎/㎖가 되도록 녹여 냉장고에 보관해서 사용하였으며, 각 well에 MTT시약(5㎎/㎖ in PBS)을 20㎕씩 처리하고 2시간 더 배양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150㎕의 디엠에스오(DMSO)를 넣고 잘 섞어주거나 또는 0.04N-HCl 100㎕를 넣고 섞어준다. 모든 단계가 끝난 후 ELISA leader(μQuant, Bio-Tek instrument INC.)를 이용해 560nm에서 측정한다(Reference : 650nm).
그 측정결과를 도 2에 표시하였으며 실시예 1의 효과는 처리구 0.1%에서 48시간 후 Control을 0으로 보았을 때 대비 85%정도의 세포 증식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2]
본 시험은 제조예 4와 비교예 1을 사용하여 피부 탄력효과를 시험하였다. 온도 22~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60명(평균연령 29.5세)을 6 그룹으로 나누고, 실험예 1의 내용을 기준으로 실질적인 인체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조예 4,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Cutometer SEM 575의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인 △R5값[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06001718861-pat00001
Figure 112006001718861-pat00002
[표 4]
도포전 도포후 피부탄력증강효과(△R5) 개선도(%)
제조예 4 0.74 1.16 0.42 56.76
비교예 1 0.71 0.81 0.1 14.08
상기 표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한 제조예 4를 사용한 경우, 피부 탄력이 비교예 1에 비해 42.68%증가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NMF(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구성성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본 시험은 제조예 4와 비교예 1을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피부에 대한 수분 보유량 개선도를 보기 위하여 제조예 4를 이용하여 도포 후 피부 내에 함유하는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기능을 비교 확인하였다. 22~24℃, 상대습도 5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70명(평균연령 29.5세)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씩 7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제조예 4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 그룹마다 눈가를 중심으로 얼굴 전체에 하루 2회 6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Skicon-200(IBS Co. Japan)을 이용하여, 도포 전, 후에 볼 부위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보습효과의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각 시험그룹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개선도는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112006001718861-pat00003
[표 5]
시험전 도포 6주 후 개선도 (%)
제조예 4 630 ± 10 890 ± 10 41.27
비교예 1 630 ± 10 635 ± 10 0.78
상기 표 5에 따르면,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1중량% 사용한 제조예 4의 개선도가 비교예 1의 개선도에 비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이는 수많은 실험 의 결과 화장료 조성물 중에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본 시험은 상기 실시예 1의 거대배아발아현미 추출물과 기존에 화장품에 상용하고 있는 미백 원료와의 타이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효소 타이로시나제는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 T7755)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타이로신을 증류수에 0.3mg/ml의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을 1.0ml씩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0.1M, pH 6.8) 1.0ml와 추출물 단계별 희석용액 0.9ml씩을 반응용액에 넣은 뒤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희석용매는 에탄올과 물을 6:4로 사용하며, 대조군으로 추출물 대신 비교 원료인 알부틴 0.9ml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unit/m1의 티로시나제 용액 0.1ml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속에 넣어서 급냉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흡광 광도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각 추출물을 타이로시나제 저해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3]
Figure 112006001718861-pat00004
확인된 거대배아발아현미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율은 표 6과 같이 실험농도 1.000%에서 97.67%이다., 표 6에서 "ND"는 "Not Detect"를 나타낸다.
[표 6]
농도 티로시나제 저해율(%)
거대발아 배아 추출물 Arbutin
0.001% 54.25 46.85
0.010% 57.21 64.21
0.100% 78.56 67.24
1.000% 97.67 24.31
2.000% 92.14 30.54
5.000% 87.21 24.18
10.00% 60.11 ND
20.00% 35.12 ND
[시험예 5]
본 시험은 시험예 4에서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거대배아발아현미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량의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인체 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Human Melanocyte를 primary culture하여 2계대 후 60㎜ culture dish에 2 x 104/dish 농도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cell이 dish에 부착한 것을 확인 후 거대배아발아현미 추출물을 0.001%에서 10.00%까지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거대배아발아현미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3일째 되는날 Trypsin-EDTA 로 세포를 떼어내어 2 x 105세포를 일정하게 분배한 후, 100㎕의 1N NaOH 용액을 넣어 37℃에서 12시간 처리하여 세포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세포가 완전히 녹은 sample 500㎕의 흡광도를 490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 지표로 Sigma사의 합성 멜라닌 (M8601) 10㎎을 1N NaOH 10㎖에 녹여 stock solution(1㎎/㎖)을 제조한 후, 700㎍/㎖, 300㎍/㎖, 100㎍/㎖, 70㎍/㎖, 30㎍/㎖, 10㎍/㎖, 7㎍/㎖, 3㎍/㎖, 1㎍/㎖, 0.1㎍/㎖, 0㎍/㎖으로 제조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거대배아발아현미 추출물 0.1%에서 멜라닌 합성량을 최대 20%까지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를 표 7 및 도3에 나타내었다.
[표 7]
거대 발아 배아현미추출물 멜라닌 감소량(%)
0.001% 13.48
0.010% 37.91
0.100% 49.66
1.000% 42.92
2.000% 28.42
5.000% 17.86
10.00% 7.3
20.00% 3.37
[시험예 6]
본 시험예에서는 제조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효과를 측정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건강한 남녀 30명의 실험대상자의 양팔 하박에 2 x 2㎠의 부위를 설정하고 실험 부위에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알루미늄 호일을 팔에 두르고, 10cm의 거리에서 UVGL-58(Upland, USA)램프를 이용하여 0.5 x 10-7erg/㎤/회로 1일 1회씩 연속 3회 조사하였다. 조사 전에 실험대상 부위를 70% 알콜 수용액으로 잘 세척하였고 조사 후 자외선 조사 부위에 거대발아배아 추출물을 함유한 제조예 1-5를 1일 3회씩 3주 도포하였다. 3주 도포후에 육안으로 색소 침착도를 판정하고, 시험군이 대조군(비교예 1)에 비해 색소침착을 얼마나 억제하였는가를 효과좋음, 보통, 효과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제조예 효과있음 보통 효과없음
제조예 1 25명 5명 0명
제조예 2 26명 4명 0명
제조예 3 28명 2명 0명
제조예 4 28명 2명 0명
제조예 5 24명 6명 0명
비교예 1 2명 4명 24명
상기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거대배아발아 현미 추출물이 0.1% 또는 1%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93.4%정도의 미백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본 시험예는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자극, 기타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예 1과 제조예 3, 4의 크림제형을 대상으로 인체에 대한 첩포실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검사는 건강한 성인 남여 30명으로 등 부위에 핀 쳄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원판 속에 화장제품을 직접 넣거나 종이 디스크에 묻혀서 40㎕를 처리하여 이를 스켄포어 테잎(scanpore tape)으로 피부에 고정시키고, 24시간 후 첩포를 떼어내고, 그 뒤 4시간 후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는 홍반과 부종의 정도에 따라 수치로 나타내며,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기준에 의한다(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
판정기준
0 : 발적없음
1 : 발적(erythema)
2 : 발적 및 구진(papules)
3 : 발적, 구진 및 소수포(vesicles)
4 : 심한 부종 및 소수포
상기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한 점수에 근거하여 다음 수학식 4에 따라 자극도 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Figure 112006001718861-pat00005
[표 9]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예 1
자극도(%) 0.01 0.02 5.0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 및 4의 경우 피부염증 또는 기타 자극은 없었지만 비교예 1의 경우에는 피부염증 및 기타 자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미백효능,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력을 토대로 하여 주름개선효능 및 미백효능과 피부의 보습 및 탄력 개선에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화장료의 주원료로서 사용이 가능한 복합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화장료 조성물로서,
    거대배아미를 벤레이트 수화제로 소독한 후, 15℃ 증류수에 48시간 침지한 다음, 27℃에서 3일간 발아시켜, 왕겨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 후, 5배량의 용매로서 70% 물과 30%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용매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0.45㎛ 필터로 필터링하여 얻은 거대배아미 발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배아미 발아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배아미는 거대배아 현미, 거대배아 일반미, 거대배아 발아 일반미, 거대배아 발아 현미 중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배아미의 추출물은 그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항산화성 비타민류인 레티놀, 루테인(Lutein), 토코페롤, 라이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피토스테롤 및 GABA, 팔믹산, 올레익산을 함유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 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02762A 2006-01-10 2006-01-10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3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62A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6-01-10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62A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6-01-10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86A KR20070074786A (ko) 2007-07-18
KR100783063B1 true KR100783063B1 (ko) 2007-12-07

Family

ID=3850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762A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6-01-10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0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32B1 (ko) 2010-01-14 2010-07-08 등룡알피씨영농조합법인 인지능력 증강용 혼합곡 조성물
KR101166775B1 (ko) 2010-10-12 2012-07-27 대한민국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3981B1 (ko) 2010-10-12 2012-09-27 대한민국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KR101409834B1 (ko) 2012-09-24 2014-06-20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WO2016068439A1 (ko) * 2014-10-28 2016-05-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흑찰거대배아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44B1 (ko) * 2008-09-19 2010-03-15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탄 미세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83581B1 (ko) * 2013-05-23 2015-01-16 대한민국 눈큰흑찰(흑찰거대배아미) 현미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3224B1 (ko) * 2019-07-12 2021-08-25 주식회사 에이치앤에이치그룹 블루베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아현미 제조용 배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아현미 제조방법 및 gaba 함량, 항산화, 미백 또는 보습 활성이 향상된 발아현미
CN112402327A (zh) * 2020-12-24 2021-02-26 北京旋光普利生物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纯露氨基丁酸爽肤水(化妆水)的制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1851A (ja) * 1992-02-14 1993-08-31 Kao Corp 浴用剤組成物
JPH05331043A (ja) * 1992-05-29 1993-12-14 Kao Corp 浴用剤組成物
JPH0680556A (ja) * 1992-09-01 1994-03-22 Kao Corp 浴用剤組成物
JPH06157291A (ja) * 1992-11-24 1994-06-03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米胚芽油含有皮膚洗浄剤
JP2001302490A (ja) * 2000-04-26 2001-10-31 Ishikawa Pref Gov 化粧料
KR20060091730A (ko) * 2005-02-16 2006-08-21 (주)참미래 쌀눈쌀 배아미와 미강을 함유 하는 미용비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1851A (ja) * 1992-02-14 1993-08-31 Kao Corp 浴用剤組成物
JPH05331043A (ja) * 1992-05-29 1993-12-14 Kao Corp 浴用剤組成物
JPH0680556A (ja) * 1992-09-01 1994-03-22 Kao Corp 浴用剤組成物
JPH06157291A (ja) * 1992-11-24 1994-06-03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米胚芽油含有皮膚洗浄剤
JP2001302490A (ja) * 2000-04-26 2001-10-31 Ishikawa Pref Gov 化粧料
KR20060091730A (ko) * 2005-02-16 2006-08-21 (주)참미래 쌀눈쌀 배아미와 미강을 함유 하는 미용비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제27권제3호 제293면 내지 제299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532B1 (ko) 2010-01-14 2010-07-08 등룡알피씨영농조합법인 인지능력 증강용 혼합곡 조성물
KR101166775B1 (ko) 2010-10-12 2012-07-27 대한민국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3981B1 (ko) 2010-10-12 2012-09-27 대한민국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KR101409834B1 (ko) 2012-09-24 2014-06-20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WO2016068439A1 (ko) * 2014-10-28 2016-05-0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흑찰거대배아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86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063B1 (ko)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3041B1 (ko)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US10350156B2 (en) Method for prepar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inseng berry Pleurotus ferulae product and use thereof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7152B1 (ko) 붉나무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5655B1 (ko) 드래곤블러드수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8464B1 (ko)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9220A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74537A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7573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2193B1 (ko) 아위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16960A (ko)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0374161B1 (ko) 파이토스핑고신과 상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화장료 조성물
KR101460672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손상 방지용 조성물
KR20140081982A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757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1918B1 (ko) 발아 황기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046A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82071B1 (ko) 담쟁이넝쿨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0670B1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