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34B1 -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34B1
KR101409834B1 KR1020120106014A KR20120106014A KR101409834B1 KR 101409834 B1 KR101409834 B1 KR 101409834B1 KR 1020120106014 A KR1020120106014 A KR 1020120106014A KR 20120106014 A KR20120106014 A KR 20120106014A KR 101409834 B1 KR101409834 B1 KR 10140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extraction
rice
minutes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634A (ko
Inventor
권혁재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Priority to KR102012010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한 후, 상기 침지액으로부터 비타민 B군을 상온추출, 열수추출 및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 중 선택되는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왕겨 추출물의 식품 산업계에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해, 왕겨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B1과 B2 함량 분석하고, 왕겨로부터 최대함량의 비타민 B1과 B2획득을 위한 추출 최적조건의 추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Method of Extracting Vitamin B group from Rice hulls}
본 발명은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의 도정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왕겨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인 비타민 B1, B2를 추출하는 최적의 조건을 탐색하여 쌀의 도정 부산물로부터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벼를 탈곡하여 겉껍질인 왕겨를 벗겨낸 것을 현미라고 하고, 현미를 도정하여 현미의 표층을 벗겨낸 것을 백미라고 한다. 미강은 현미에서 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 나오는 쌀눈과 쌀겨를 칭하며 약 현미의 7-8%를 차지하며, 왕겨는 벼 생산지와 품종, 작황 및 도정비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4-16%를 차지한다.
왕겨에는 셀룰로오스(섬유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개의 유기물층 사이에 실리카 즉 산화규소 층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리카는 화학원료, 시멘트 첨가물로 사용되며 쌀 무게의 1%, 혹은 왕겨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왕겨는 폐기물로 간주되어 왔으며, 연료, 퇴비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축사의 바닥깔개, 월동작물의 보온재, 축분과 혼합된 발효퇴비, 소각로에서 제어 연소물질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추수시기에 대량 발생하는 왕겨는 단위 무게당 큰 부피 때문에 저장의 문제가 발생되어 왔으며 농약이 있는 경우에는 식용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왕겨에 대한 연구로는 주로 재생에너지의 재료, 폐수정화용 재료로 활용, 중금속 흡착물질 제조 등 비식용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식품 및 의약품용으로는 왕겨초액을 제조하는데 원료로 사용되었고, 유기용매 추출물에서는 고부가가치 물질인 스핑고리피드가 검출되었다.
왕겨에서 phytic acid가 2 ~ 2.4중량%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금속 킬레이트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isovitexin, anisole, vanillin, syringaldehyde 등의 항산화 물질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왕겨에 관한 종래의 연구들은 고찰해 보면, 대다수가 연료나 퇴비용으로 사용 또는 왕겨 내에 상당하게 존재하는 실리카를 활용하기 위하여 왕겨를 연소한 후 회분에서 실리카를 분리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실리카 휘스커 등의 합성에 관한 연구 등이 수행되었으며, 왕겨 자체를 섬유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볏짚 등과 혼합하여 성형포장재로 사용하는 연구와 같이, 왕겨의 물리화학적인 특징을 이용한 산업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로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왕겨 추출물의 식품 산업계에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해, 왕겨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B1과 B2 함량 분석하고, 왕겨로부터 최대함량의 비타민 B1과 B2획득을 위한 최적조건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왕겨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한 후, 상기 침지액으로부터 비타민 B군을 상온추출, 열수추출 및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 중 선택되는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 B군은 비타민 B1, 비타민 B2 및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 B1의 상온추출은 4시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 B1의 열수추출은 9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 B1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은 121℃에서 5 내지 3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 B2의 열수추출은 90℃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타민 B2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은 121℃에서 15 내지 3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시 왕겨:증류수의 비율을 1:10(w/v)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왕겨 추출물의 식품 산업계에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해, 왕겨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B1과 B2 함량 분석하고, 왕겨로부터 최대함량의 비타민 B1과 B2획득을 위한 최적조건의 추출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HPLC 분석법을 통한 비타민 B1과 B2 표준물질의 농도별 최적화 그래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온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1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온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2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열수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1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
도 2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열수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2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
도 27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오토클레이브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1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오토클레이브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2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
본 발명은,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한 후, 상기 침지액으로부터 비타민 B군을 상온추출, 열수추출 및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 중 선택되는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왕겨를 기능성 식품 첨가물의 원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왕겨추출물로부터 비타민 B1 및 B2를 포함하는 비타민 B군을 추출하는 조건 및 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상기 비타민 B군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은 상온추출, 열수추출 및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 방법을 포함하여, 이에 대한 최적의 추출조건을 선별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방법을 도 1의 공정으로 진행하였다.
1. 침지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하는 단계이다. 침지시 왕겨 및 증류수의 비율은 왕겨 100g에 증류수를 1000ml 침지하여 1:10(w/v)의 비율로 사용하였다.
2. 추출
상기 침지액으로부터 비타민 B군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온추출, 열수추출 및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온추출은 약 25℃에서 1, 2, 4, 8, 24시간 동안 추출을 행하였고, 열수추출은 약 90℃에서 10, 20, 30, 40, 50, 60분 동안 추출하였으며, 오토클레이브추출은 121℃에서 5, 10, 15,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비교예]
1. 산분해
왕겨 시료 30g에 2.5mM Sodium acetate(CH3COONa)로 pH를 4.5로 조절한 0.1N H2SO4 90ml를 넣고 30℃에서 30분간 정치하였다.
이후 9000rpm으로 5℃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다.
2. α-amylase 처리
상기 용액에 Taka α-amylase용액 0.5g을 넣어 37℃에서 24시간 incubating하고 whatman No. 2 여과지로 필터 처리하여 양성 대조군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비타민 표준용액
비타민 B1 표준용액(Thiamine)
- 일반적으로 “비타민B1염산염(0.78)”과 “비타민B1질산염(0.81)”이 원료로 많이 사용됨
- B1 표준물질 0.125, 0.25, 0.5mM 사용.
- 천연물 중 비타민B1은 다카디아스타제 용액으로 효소분해를 진행하여 추출함. 티아민은 UV/Vis(max 244nm) 검출기에서 측정이 가능함.
비타민 B2(Riboflavin)
- 일반적으로 “비타민B2 인산에스테르나트륨”이 원료로 많이 사용됨.
- B2 표준물질 0.05, 0.1, 0.2, 0.4mM 사용.
- 비타민 B2는 수용액 상태에서 자외선과 적외선에 약하므로 빛과 열에 의하여 쉽게 파괴되기에 수용액은 약산성 상태(아세트산 첨가)로 갈색병에 넣어 냉장 보관해야 함.
- 리보플라빈은 구조상 별도의 유도체화 과정 없이도 UV/Vis (max 223, 266nm) 검출기로 측정 가능함.
2. 왕겨 추출물의 비타민 B1와 B2 함량 측정
- 여러 농도의 비타민 B1과 B2 표준용액과 여러 추출 조건을 얻은 추출액에 동량의 methanol:distilled water(8:2)를 첨가하여 0.45 syringe filter(Toyo Roshi Kaisha, Ltd, Japan)로 여과하였다.
- 왕겨 추출액의 비타민 B1은 HPLC-UV 검출기와 5Purospher_-STAR RP-18e column(250 x 4 mm)로 분리하였다.
- 비타민 B2는 4Waters Novapak 18e reversed-phase HPLC column(150 x 3.9mm I.D.)로 분리하였다.
- 이동상으로 A용매는 1%(v/v) 초산과 B용매는 100% acetonitrile을 사용하였다.
- 유량은 0.6mL/min, B용매는 0-5분 동안 15%, 5-30분 동안 23.4%로 증가시키고, 30-32분엔 15% 감소시켰으며, 안정화를 위해 B용매를 32-37분 동안 15%로 유지하였다.
- 시료 주입량은 20, 검출 파장은 B1이 254nm, B2가 260nm 파장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 왕겨 추출액 속 비타민의 정량적 결과는 HPLC 분석 peak area와 표준정량곡선을 활용하여 함량 결정하였다.
3. 통계처리
3번 반복하여 측정된 결과는 SPSS program(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산분석한 후 유의적 차이가 있을 경우 다중비교 분석법인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p<0.05 유의수준에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1. HPLC 분석법을 통한 비타민 B1과 B2 표준물질의 농도별 최적화
도 1 및 도 2는 HPLC 분석법을 통한 비타민 B1과 B2 표준물질의 농도별 최적화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왕겨 추출물의 B1 함량의 분석을 위해 HPLC분석을 통한 표준물질의 농도별 즉 0.125mM, 0.25mM, 0.5mM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PLC peak area도 13.73X106, 28.64X106, 55.41X106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왕겨 추출물의 B1 함량의 분석을 위해 HPLC가 최적화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왕겨 추출물의 B2 함량의 분석을 위해 HPLC분석을 통한 표준물질의 농도별 즉 0.05mM, 0.1mM, 0.2mM, 0.4mM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PLC peak area도 7.35X106,13.78X106,21.82X106,35.29X106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왕겨 추출물의 B2 함량의 분석을 위해 HPLC가 최적화되었음을 관찰 할 수 있다.
2. HPLC 분석법을 통한 왕겨 상온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1, B2의 농도
표 1은 HPLC 분석법을 통한 왕겨 상온에서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shaking하여 넣은 시료에 함유된 비타민 B1과 B2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B1 B2
양성대조군(n=3) 1.37±0.01d 0.54±0.03a
상온 추출 1시간 1.48±0.01c 0.16±0.03d
2시간 1.70±0.01b 0.23±0.04c
4시간 1.86±0.01a 0.19±0.03c
8시간 0.08±0.01e 0.30±0.04b,c
24시간 0.00±0.00f 0.36±0.15b
단위 : mg/100mL
(1) 비타민 B1 함량 비교 결과
양성대조군의 경우 비타민 B1의 농도는 1.37±0.01mg/100mL로 나타났고, 상온 추출액의 경우는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shaking함에 따라 각각 1.48±0.01, 1.70±0.01, 1.86±0.01, 0.08±0.01, 0.00±0.00mg/100mL로 나타나, 상온 추출조건내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그 중에서도 상온 추출조건이 4시간 shaking한 후에 분석한 경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또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상온추출물 1시간, 2시간, 4시간 처리한 경우가 각각 1.1, 1.2, 1,4배 증가되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도 3 내지 도 8에 비타민 B1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는 양성대조군(비교예, 이하 동일), 도 4 내지 도 8은 각각 상온 1, 2, 4, 8, 24시간 추출액의 비타민 B1 함량 분석결과이다.
(2) 비타민 B2 함량 비교 결과
양성대조군의 경우 비타민 B2의 농도는 0.54±0.03mg/100mL로 나타났고, 상온 추출액의 경우는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shaking함에 따라 각각 0.16±0.03, 0.23±0.04, 0.19±0.03, 0.30±0.04, 0.36±0.15mg/100mL로 나타나, 상온 추출 조건 내에서는 이 24시간 shaking한 후에 분석한 경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양성대조군에 비해 상온 추출액의 경우 모든 시간대에서 감소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9 내지 도 14에 비타민 B2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9는 양성대조군(비교예, 이하 동일), 도 10 내지 도 14는 각각 상온 1, 2, 4, 8, 24시간 추출액의 비타민 B2 함량 분석결과이다.
3. HPLC 분석법을 통한 왕겨 열수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1,B2의 농도
표 2에 HPLC 분석법을 통한 왕겨를 90℃ 열수에서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처리하여 시료에 함유된 비타민 B1과 B2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B1 B2
양성대조군(n=3) 1.37±0.01d 0.54±0.03a
열수 추출 10분 1.85±0.01b 0.43±0.03b
20분 1.90±0.00a 0.52±0.03a
30분 1.88±0.02a,b 0.55±0.05a
40분 1.87±0.04a,b 0.56±0.04a
50분 1.78±0.01c 0.56±0.01a
60분 1.87±0.02a,b 0.59±0.08a
단위 : mg/100mL
(1) 비타민 B1 함량 비교 결과
양성대조군의 경우 비타민 B1의 농도는 1.37±0.01mg/100mL로 나타났고, 열수 추출액의 경우는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처리함에 따라 각각 1.85±0.01, 1.90±0.00, 1.88±0.02, 1.87±0.04, 1.78±0.01,1.87±0.02mg/100mL 로 나타나, 열수 추출조건 내에서는 20분, 30분 처리후에 분석한 경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비타민 B1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또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상온추출물 모든 처리군에서 각각 1.4, 1.4, 1,4, 1.4, 1.3, 1.4배로 증가되며, 열수추출의 경우 양성대조군에 비해 약 1.4배정도 증가되므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도 15 내지 도 20에 비타민 B1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5 내지 도 20은 각각 열수 추출 10, 20, 30, 40, 50, 60분 추출액의 비타민 B1 함량 분석결과이다.
(2) 비타민 B2 함량 비교 결과
양성대조군의 경우 비타민 B2의 농도는 0.54±0.03mg/100mL로 나타났고, 열수 추출액의 경우는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처리함에 따라 각각 0.43±0.03, 0.52±0.03, 0.55±0.05, 0.56±0.04, 0.56±0.01,0.59±0.08mg/100mL로 나타나, 열수 추출조건 내에서는 60분 처리 후 분석한 경우가 최대함량을 나타내었다.5). 또한 열수 추출 30분, 40분, 50분, 60분 처리군이 약 1배 정도 증가되어 양성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따라서 열수 추출조건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처리군에서 추출되는 비타민2 함량이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21 내지 도 26은 비타민 B2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1 내지 도 26은 각각 열수 추출 10, 20, 30, 40, 50, 60분 추출액의 비타민 B2 함량 분석결과이다.
4. HPLC 분석법을 통한 왕겨 autoclave 추출액에 함유된 비타민 B1,B2의 농도
표 3에 HPLC 분석법을 통한 왕겨를 autoclave 즉 가압멸균법에 의해 121℃에서 5분, 10분, 15분, 30분 처리하여 시료에 함유된 비타민 B1과 B2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B1 B2
양성대조군(n=3) 1.37±0.01c 0.54±0.03a
Autoclave 추출
(121℃)
5분 1.82±0.00a 0.39±0.00b
10분 1.62±0.13b 0.49±0.16a,b
15분 1.85±0.00a 0.61±0.16a
30분 1.79±0.01a 0.65±0.16a
단위 : mg/100mL
(1) 비타민 B1 함량 비교 결과
양성대조군의 경우 비타민 B1의 농도는 1.37±0.01mg/100mL로 나타났고, autoclave 가압멸균법에 의해 11℃에서 5분, 10분, 15분, 30분 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의 경우 각각 1.82±0.00, 1.62±0.13, 1.85±0.00, 1.79±0.01mg/100mL로 나타나, autoclave 추출 조건내에서는 15분 후에 분석한 경우가 유의적으로 가장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autoclave 추출액 5분, 10분, 15분, 30분 처리한 경우가 각각 1.3, 1.2, 1,4, 1.3배 증가되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p<0.05), 따라서 비타민 B1의 최대함량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autoclave 5qns, 10분, 15분, 30분 모든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도 27 내지 도 30에 비타민 B1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7 내지 도 30은 각각 오토클레이브 추출 5, 10, 15, 30분 추출액의 비타민 B1 함량 분석결과이다.
(2) 비타민 B2 함량 비교 결과
양성대조군의 경우 비타민 B2의 농도는 0.54±0.03mg/100mL로 나타났고, autoclave 가압멸균법에 의해 121℃에서 5분, 10분, 15분, 30분 처리하여 얻은 추출액의 경우 각각 0.39±0.00, 0.49±0.16, 0.61±0.16, 0.65±0.16mg/100mL로 나타나, 15분, 30분에서 비타민 B2의 함량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autoclave의 경우 표준편차가 커서 유의적 차이가 없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양성대조군과의 비타민B2 함량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이는 autoclave 15분, 30분 조건하에서 추출된 비타민 B2 함량이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 31 내지 도 34에 비타민 B2 함량을 HPLC 분석법을 통해 나온 크로마토그램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1 내지 도 34는 각각 오토클레이브 추출 5, 10, 15, 30분 추출액의 비타민 B2 함량 분석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왕겨추출물의 최대 비타민B1 추출 조건은 상온추출조건에서는 4시간이, 열수추출에서는 20분, 30분이, autoclave 추출조건에서는 5분, 15분, 30분 처리 후에 추출액이 최대함량이 추출됨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B2추출 조건은 열수추출조건은 20,30,40,50,60분에, autoclave 추출조건에서는 15분, 30분 처리 후에 추출액이 최대함량이 추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한 후, 상기 침지액으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를 상온추출, 열수추출 및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 중 선택되는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1의 상온추출은 4시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1의 열수추출은 90℃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1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은 121℃에서 5 내지 3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2의 열수추출은 90℃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B2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은 121℃에서 15 내지 30분 동안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겨를 증류수에 침지시 왕겨:증류수의 비율을 1:10(w/v)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로부터 비타민 B1 및/또는 비타민 B2의 추출방법.
KR1020120106014A 2012-09-24 2012-09-24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KR10140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14A KR101409834B1 (ko) 2012-09-24 2012-09-24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14A KR101409834B1 (ko) 2012-09-24 2012-09-24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34A KR20140039634A (ko) 2014-04-02
KR101409834B1 true KR101409834B1 (ko) 2014-06-20

Family

ID=5065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014A KR101409834B1 (ko) 2012-09-24 2012-09-24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551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천연스토리 비타민 b 함량이 증대된 미강 및 표고버섯 혼합 추출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혼합 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191A (ja) 2002-05-03 2005-12-02 フィス−フィタリス リツェンツェ− ウント ハンデル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トコトリエノール富化調整物を製造する方法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7-12-07 (주)에이티 랩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10358A (ko) * 2006-07-26 2008-01-30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알리티아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3888A (ko) * 2009-09-26 2011-04-01 김지한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191A (ja) 2002-05-03 2005-12-02 フィス−フィタリス リツェンツェ− ウント ハンデル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トコトリエノール富化調整物を製造する方法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7-12-07 (주)에이티 랩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10358A (ko) * 2006-07-26 2008-01-30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알리티아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3888A (ko) * 2009-09-26 2011-04-01 김지한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551A (ko)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천연스토리 비타민 b 함량이 증대된 미강 및 표고버섯 혼합 추출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혼합 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34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n et al. A review on moringa tree and vetiver grass–Potential biorefinery feedstocks
dos Santos Mathias et al. Solid wastes in brewing process: A review
Lee et al.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and feed type on the growth, feed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N1753681A (zh) 用于预防及治疗由糖诱导的疾病和病症的组合物
Astudillo et al. Proximate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Chilean Prosopis species
EP3533340A1 (en) Aquatic organism growth promoter
US20150128932A1 (en) System for treatment of biomass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ethanol
EP1074262A1 (fr) Extrait d&#39;algues Laminaria,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compositions cosmétiques ou pharmaceutiques le contenant
CN105647978A (zh) 一种玉米原料中黄曲霉毒素的降解方法
Gómez et al. Lipid composition of lees from sherry wine
KR101409834B1 (ko)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Ezedom et al. Biochemical evaluation of autoclaved and solid state fermented tropical pasture grasses
WO20170077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microorganisms during propagation, conditioning, fermentation, and preservation using lae and selected additives
Rasmussen et al. Reducing bacterial contamination in fuel ethanol fermentations by ozone treatment of uncooked corn mash
Silva et al.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pollen and brewer's yeast in the fermentation and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ney spirits.
KR102622557B1 (ko)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Lim et al. Optimization of Eucommia ulmoides Oliver bark extracts by Box-Behnken design and their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plasma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and antioxidant enzyme-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expression in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EP2348882B1 (en) Use of natural substances as feed additives for animals of the genus equidae
JP7432218B2 (ja) サクラソウ科植物の抽出物の用途
KR20110026456A (ko) 병원성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생용 조성물
CN1933846A (zh) 含有黄褥花果叶萃取物的血糖水平升高抑制剂和age生成抑制剂以及含有它们的食品
US20120294981A1 (en) Process for forming treated backset and producing ethanol
BE1013340A6 (fr)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tanins oenologiques.
Gazuwa et al. Organic Metabolites, Alcohol Content, and Microbial Contaminants in Sorghum-based Native Beers Consumed in Barkin Ladi Local Government Area, Nigeria
Bashir et al.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for hyper-production of lovastatin from wild type Aspergillus terreus and its efficacy studies Optimización de variables de proceso para la hiperproducción de lovastatina a partir de Aspergillus terreus silvestre y estudios de su eficac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