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888A -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888A
KR20110033888A KR1020090091387A KR20090091387A KR20110033888A KR 20110033888 A KR20110033888 A KR 20110033888A KR 1020090091387 A KR1020090091387 A KR 1020090091387A KR 20090091387 A KR20090091387 A KR 20090091387A KR 20110033888 A KR20110033888 A KR 20110033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rice
water
extract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한
Original Assignee
김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한 filed Critical 김지한
Priority to KR102009009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888A/ko
Priority to PCT/KR2010/006524 priority patent/WO2011037423A2/ko
Publication of KR2011003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은 (a)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은 (a) 왕겨 추출수를 곡류와 혼합한 후 쪄서 고두밥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고두밥을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왕겨가 살균될 수 있고, 왕겨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활용성이 떨어졌던 왕겨를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손쉽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술에 비해 술의 맛과 향, 색상의 변화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알코올 도수를 가지는 술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icehull extraction 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quor using ricehull extraction liquid}
본 발명은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왕겨는 벼의 겉에서 맨 처음 벗긴 굵은 겨를 말한다. 쌀에서 현미 및 백미가 주로 이용되는 관례상, 이러한 왕겨는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퇴비의 재료로 이용되는 등 제한적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왕겨에 활성 상태의 비타민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등 왕겨의 유용성이 알려지면서, 그러한 왕겨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나, 왕겨에 대한 활용 방안이 제대로 연구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어서, 이러한 왕겨의 손쉬운 활용을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왕겨를 손쉽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은 (a)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은 (a) 왕겨 추출수를 곡류와 혼합한 후 쪄서 고두밥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고두밥을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왕겨 추출수가 제조됨에 따라, 왕겨가 살균될 수 있고, 왕겨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활용성이 떨어졌던 왕겨를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손쉽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왕겨 추출수를 곡류와 혼합한 후 쪄서 고두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두밥을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발효시키는 단계에 의해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이 제조됨에 따라,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술에 비해 술의 맛과 향, 색상의 변화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알코올 도수를 가지는 술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거름망, 체 등의 거름 부재를 이용하여,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S100),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된 왕겨를 수세(水洗)한다(S101).
상기 수세(S101) 이후에, 그러한 수세된 왕겨를 탈수시키는 과정이 더 추가 될 수 있다. 상기 탈수 과정이 추가되면, 이물질 제거를 위해 수세된 왕겨에 잔존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그러한 수분 잔존에 따라 왕겨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역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고, 이하에서 수세된 왕겨를 찌는 과정에서 증기가 왕겨에 더욱 원활하게 흡수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수세된 왕겨를 찜기에 투입하여 쪄서 익힌 후, 그러한 증기로 찐 왕겨를 건조시킨다(S102). 이와 같이, 왕겨가 찜 및 건조됨에 따라, 왕겨가 살균될 수 있고, 왕겨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그 후, 거름망, 체 등의 거름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찜 및 건조된 왕겨에서 상기 공정들(S100 내지 S102)을 거치면서 발생된 부스러기를 제거시킨다(S103).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부스러기가 제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상기 왕겨와 정제수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 낸다(S104). 이 단계(S104)에서의 가열 방식으로는, 상기 왕겨와 정제수의 혼합물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이는 방식, 상기 왕겨와 정제수의 혼합물을 예를 들어 50 내지 70℃ 정도로 가열하여 우려내는 방식 등이 제시될 수 있다.
그 후, 필터링(filtering)을 통해 상기와 같이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 등을 제거한다(S105).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거쳐 왕겨 추출수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왕겨 추출수가 제조됨에 따라, 왕겨가 살균될 수 있고, 왕겨 특유의 역한 냄새가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활용성이 떨어졌던 왕겨를 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가공식품에 손쉽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왕겨 추출수는 음용수로 이용되거나, 미용 목적의 세안수, 입욕수, 족욕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술의 원료인 쌀을 청결하게 수세하고, 왕겨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해서 제조된 왕겨 추출수를 수세된 쌀과 혼합한 후(S150), 찜기에 상기 왕겨 추출수와 쌀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1 내지 2 시간 정도 쪄서 고두밥을 형성한다(S151). 이러한 고두밥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왕겨 추출수와 쌀을 혼합한 상태에서 24시간 정도 방치하여 쌀에 왕겨 추출수가 충분히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술의 원료로 쌀이 이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쌀 이외의 다양한 곡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된 왕겨 추출수와 쌀의 혼합 과정(S150)에서 이용되는 왕겨 추출수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왕겨 추출수, 즉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왕겨 추출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두밥을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와 혼합한다(S152).
여기서, 상기 발효제로는 밀, 찐 콩 등을 굵게 갈아 반죽하여 덩어리를 만들어 띄워서 누룩 곰팡이를 번식시켜 만들어지는 누룩이 이용될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효모, 효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효제로, 쌀겨와 밀가루를 소정 비율로 혼합한 후 반죽하여 덩어리를 만들어 띄워서 누룩 곰팡이를 번식시켜 만들어지는 누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쌀겨와 밀가루의 혼합 시에 일반적인 물 또는 상기된 왕겨 추출수를 이용하여 반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쌀겨와 밀가루를 이용하여 누룩을 만들 경우, 쌀겨가 주재료(예를 들어 50% 이상의 비율)로 이용되고, 밀가루가 부재료(예를 들어, 50% 미만의 비율)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쌀의 혼합 과정(S152)에서 이용되는 왕겨 추출수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왕겨 추출수, 즉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 계, 상기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왕겨 추출수가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와 같이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발효시킨다(S153). 이러한 발효는 소정 온도로 더운 분위기의 실내 공간 등에 상기와 같이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넣고 마개를 덮은 발효 용기를 배치하고, 소정 시간 방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왕겨 추출수를 쌀과 혼합한 후 쪄서 고두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두밥을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발효시키는 단계에 의해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이 제조됨에 따라,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술에 비해 술의 맛과 향, 색상의 변화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알코올 도수를 가지는 술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고두밥 제조를 위해 왕겨 추출수에 쌀을 혼합하는 단계(S150)에서, 왕겨 추출수에 쌀과 함께 피와 쌀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혼합하고, 그러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고두밥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피(barnyard millet)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는 단백질, 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석회분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피가 추가되는 경우, 왕겨 추출수에 쌀을 혼합하는 단계(S150)에서 수세된 쌀과 피를 함께 왕겨 추출수와 혼합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쌀과 피를 각각 수세할 수도 있고, 함께 수세할 수도 있다.
또한, 쌀겨(rice bran)는 현미를 도정하여 정백미를 만들 때 생기는 과피(果皮), 종피(種皮), 호분층(糊粉層) 등의 분쇄 혼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미강(米糠)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쌀겨는 수분 13.5%, 단백질 13.2%, 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회분(灰分) 8.9%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쌀겨에는 비타민 B1이 100g 중 2.5mg정도로 많이 들어 있고, 비타민 E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왕겨 추출수에 쌀과 함께 피와 쌀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혼합하고, 그러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고두밥을 제조함에 따라, 보다 높은 알코올 도수를 가진 술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왕겨를 손쉽고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순서도.

Claims (5)

  1. (a)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2. (a) 왕겨 추출수를 곡류와 혼합한 후 쪄서 고두밥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형성된 고두밥을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와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혼합된 고두밥, 왕겨 추출수 및 발효제를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적용되는 왕겨 추출수와 상기 (b) 단계에 적용되는 왕겨 추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왕겨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왕겨를 찐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찜 및 건조된 왕겨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왕겨의 유효 성분을 우려내는 단계 및 상기 유효 성분이 우려내진 왕겨를 제거 하여 왕겨 추출수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고두밥 제조시, 왕겨 추출수에 곡류와 함께, 피와 쌀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제는 쌀겨와 밀가루를 혼합하여 반죽 후 덩어리를 만들어 띄워서 누룩 곰팡이를 번식시켜 만들어지는 누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의 제조 방법.
KR1020090091387A 2009-09-26 2009-09-26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KR20110033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87A KR20110033888A (ko) 2009-09-26 2009-09-26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PCT/KR2010/006524 WO2011037423A2 (ko) 2009-09-26 2010-09-26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87A KR20110033888A (ko) 2009-09-26 2009-09-26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888A true KR20110033888A (ko) 2011-04-01

Family

ID=4379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87A KR20110033888A (ko) 2009-09-26 2009-09-26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33888A (ko)
WO (1) WO201103742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34B1 (ko) * 2012-09-24 2014-06-20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KR101430311B1 (ko) * 2012-11-23 2014-08-14 김상훈 쌀의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325B1 (ko) * 1996-04-16 1999-06-15 김강권 유색현미 쌀겨추출액을 이용한 유색술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261407A (ja) * 2004-03-16 2005-09-29 Teruko Konno 米糠発酵飲料、及び米糠発酵食材の製造方法
KR100701883B1 (ko) * 2005-06-24 2007-04-02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7153813A (ja) * 2005-12-06 2007-06-21 Gekkeikan Sake Co Ltd 健康機能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KR100651266B1 (ko) * 2006-04-11 2006-12-01 대한민국 생벼 또는 백미를 이용한 순쌀맥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34B1 (ko) * 2012-09-24 2014-06-20 사단법인 임금님표 이천브랜드관리본부 왕겨로부터 비타민 b군의 추출방법
KR101430311B1 (ko) * 2012-11-23 2014-08-14 김상훈 쌀의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7423A2 (ko) 2011-03-31
WO2011037423A3 (ko)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948B1 (ko) 모링가 발효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CN103932077A (zh) 一种基于工艺控制的浏阳豆豉纯菌种快速发酵的加工方法
CN103933101B (zh) 一种芫根提取物的加工方法
CN105325634A (zh) 一种可用常温饮用水冲饮的荷花茶的制备方法
CN102940193B (zh) 一种用糯米同时制备糯米粉和糯米乳饮料方法
CN104798939A (zh) 一种具有消除色斑功效的六堡茶及其制备方法
KR20110033888A (ko)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KR101169189B1 (ko) 청국장 함유 막걸리의 제조 방법
CN103719678B (zh) 一种猪油果味大米粉及其制备方法
CN106011047A (zh) 用于文冠果茯茶的冠突散囊菌孢子悬浮液的制备方法
KR20090002427A (ko) 상어 연골을 주성분으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및 상어 연골술
CN103798607A (zh) 一种养生糯米粉及其制备方法
KR20180024155A (ko) 소형 전통식 메주의 속성 제조방법
KR101226756B1 (ko) 발효 비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비지
CN104388270B (zh) 三七蜂蜜酒的制作方法
KR20150024496A (ko) 청국장 메주의 제조방법
KR20130085800A (ko) 천마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60070338A (ko) 와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9567022B (zh) 一种天然五色薏米即食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475435A (zh) 一种红茶生津清热保健饼干及其制备方法
KR102320028B1 (ko) 반건조 발효흑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계탕 재료의 제조방법
KR101907578B1 (ko) 발효효율이 향상된 낟알 메주 제조방법
CN105918878A (zh) 一种发酵型清凉开胃海鲜菇酱及其制备方法
CN106342984A (zh) 一种补肾蛋糕及其制备方法
CN105028679A (zh) 祛风散寒瓜蒌籽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