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883B1 -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883B1
KR100701883B1 KR1020050055016A KR20050055016A KR100701883B1 KR 100701883 B1 KR100701883 B1 KR 100701883B1 KR 1020050055016 A KR1020050055016 A KR 1020050055016A KR 20050055016 A KR20050055016 A KR 20050055016A KR 100701883 B1 KR100701883 B1 KR 10070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ff
salt
grams
rice bran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5974A (ko
KR20070000004A (ko
Inventor
김무겸
Original Assignee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88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974A/ko
Publication of KR2007000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8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extraction ste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주재료로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소재로 제조가 이루어지는 가공된 왕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왕겨는 축사에 넣어 퇴비로 활용하거나 연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단순하게 탄화시켜 성형 숯 형태로 제조하는 정도의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활용방식은 왕겨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성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왕겨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왕겨에 함유된 유용한 물질을 추출하여 소금의 형태로 제조하는 조강염과 위와 같이 유용한 물질을 추출하고 남게 되는 왕겨부산물을 활용하여 쌀겨와 혼합한 상태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거나 탄화 열처리가 이루어진 왕겨와 별도로 열처리된 쌀겨를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분쇄하고 분말화 하여 얻어지는 가공된 왕겨조성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왕겨, 소금, 쌀겨, 열처리, 분쇄, 분말

Description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Treated Chaff Composition's Treating Method}
본 발명은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주재료로 활용하여 소금 형태로 제조하거나 탄화열처리를 포함하는 열처리과정과 미세하게 분말화가 이루어지는 분쇄화 과정을 거쳐 새로운 형태의 소재로 제조가 이루어지는 가공된 왕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겨에는 조섬유가 35 내지 46%, 가용성 당질이 22 내지 35%, 회분이 13 내지 21%, 조단백질이 2 내지 3% 함유되어 있으며, 왕겨에서 나오는 회분의 90% 이상이 실리카이고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이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왕겨가 효율적으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 왕겨는 그대로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마다 축사에 넣어 깔아주는 재료로 활용하다가 가축 분뇨와 섞이게 되면 이를 별도로 모아놓았다가 퇴비로 활용하는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천연왕겨는 본질적으로 수분의 흡수율이 크게 떨어져 축사에 넣어 깔아주는 재료로서는 적합하지 아니하여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이와 같이 활용도 낮고 처리하는데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게 되어 특정폐기물로 분류가 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 이외에도 연료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직접 이를 아궁이에 넣고 연소시켜 땔감으로 활용하거나 아니면 이를 성형 숯 형태로 제조하는데 원료로서 탄화시킨 왕겨를 활용하고 있는 정도의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탄화된 왕겨를 분쇄하는 경우 많은 량이 분진 형태로 변화되면서 비산되게 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기도 하고 생산성을 낮추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퇴비 또는 연료로 활용하는 방식은 왕겨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성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아까운 자원의 낭비일 뿐만 아니라 활용도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쌀겨의 경우에는 가용성 당질이 22 내지 35%, 조지방이 15 내지 20%, 조단백질이 11 내지 15%, 녹말이 14% 내외, 조섬유가 7 내지 11%, 회분이 7 내지 10%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몸에 유익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구성성분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분말화가 잘 되지 않아 가공이 어려운 관계로 백미를 제외하고는 식용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사료나 거름을 위한 퇴비로 활용되거나 아니면 별도로 활용되지 않고 폐기물로서 별도의 많은 비용을 들여 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우기, 위의 쌀겨의 경우에는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에 쌀겨의 내부에 함유된 지방과 리파아제가 서로 접촉되어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지 방산과 글리세롤로 변질되면서 역한 냄새를 발생시키고 공기중에서는 장기간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물론,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쌀겨로부터 기름을 짜서 이를 이용하거나, 쌀겨 중에 함유되어 있는 쌀눈만을 분리하여 음료나 차로 제조하거나 쌀겨와 쌀눈을 이용하여 식품첨가물 형태로 제조하는 기술 등이 일부 알려져 있으나 크게 실용화되고 있지는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면서 그 활용도를 크게 높이고자 본 발명이 개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왕겨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차원에서 왕겨에 함유된 유용한 유기질과 무기질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용한 성분을 활용하고 이를 소금형태로 가공하여 섭취가 용이하고 조해성(潮解性)이 개선되어 소금으로서는 공기 중에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고 남게 되는 왕겨를 활용하여 적정량의 쌀겨와 혼합하고 이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축사의 바닥에 깔아주는 톱밥을 대체하여 활용하여 축분의 처리와 함께 유기질비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쌀겨의 혼합량을 증가시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섬유질이나 당질의 함량이 높아져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의 쌀겨가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분말화가 어려웠던 단점을 왕겨를 혼합한 상태에서는 분말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고 남게 되는 왕겨를 활용하여 탄화처리를 행하고 이와 같이 탄화처리가 이루어져 탄화된 왕겨를 미세화된 분말 형태로 제조하거나 열처리가 이루어진 쌀겨를 위의 탄화된 왕겨와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을 사용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와 같은 제조과정 중에서 탄화된 왕겨입자와 쌀겨입자가 서로 흡착되어 공기중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방이 함유되어 있던 쌀겨 그대로는 분말화하기가 어려웠던 것을 탄화된 왕겨와 혼합한 상태에서는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원하는 입자크기를 가질수 있도록 하고, 그 활용도를 보다 넓게 확장시킬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폐기물에 해당되었던 왕겨의 재활용도를 높히면서 별도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혼합 또는 분쇄과정을 포함하여 자연스럽게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제적인 장점을 갖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이를 열처리하여 열처리가 이루어진 왕겨를 수득하게 되는 열처리왕겨수득공정; 상기 열처리수득공정에서 얻어진 열처리왕겨와 소금물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가열하여 열처리왕겨로부터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유효한 성분이 함유된 소금물과 유효한 성분이 추출된 왕겨가 서로 혼합된 혼합물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유효성분추출공정; 상기 유효성분추출공정에서 얻어지는 혼합물을 여과하여 유효성분이 함유된 소금물과 왕겨를 포함한 왕겨고형분을 서로 분리하는 분리공정; 그리고 상기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것으로서 유효성분이 함유된 소금물은 증발시켜 소금고형분을 얻고 상기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것으로서 상기 왕겨고형분은 건조시키고 쌀겨와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는 후처리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공된 왕겨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1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끓는 물에 삶아 연질화시키면서 불순물을 추가로 제거하고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 300그램과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갈색 소금(이하, "조강염(粗糠鹽)"이라 칭함)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왕겨 23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300 그램의 갈색 분말(이하, "조강분말(粗糠粉末"이라 칭함)을 얻었다.
실시예2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가열로에 넣고 볶아낸 왕겨 300그램과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갈색 소금형태인 조강염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왕겨 23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300그램의 갈색 분말형태인 조강분말을 얻었다.
실시예3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를 탄화로에 넣고 탄화시켜 탄화된 왕겨 300그램과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회색 소금형태인 조강염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탄화왕겨 20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270그램의 짙은 회색 분말형태인 조강분말을 얻었다.
실시예4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끓는 물에 삶아 연질화시키면서 불순물을 추가로 제거하고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 300그램과 첨가물로서 건조된 치자 20그램과 함께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갈색 소금 형태의 조강염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것으로서 치자가 일부 함유된 왕겨 24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310그램의 갈색 분말형태인 조강분말을 얻었다.
실시예5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가열로에 넣고 볶아낸 왕겨 300그램과 첨가제로서 건조된 허브 20그램과 함께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갈색 소금형태인 조강염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것으로서 허브가 함유된 왕겨 24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300그램의 갈색 분말형태인 조강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6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를 탄화로에 넣고 탄화시켜 탄화된 왕겨 300그램과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첨가물로서 액상의 치자추출물 20그램과 함께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회색 소금형태인 조강염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탄화왕겨 20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270그램의 짙은 회색 분말형태인 조강분말을 얻었다.
실시예7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끓는 물에 삶아 연질화시키면서 불순물을 추가로 제거하고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 300그램과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갈색 소금을 얻었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고형물 60그램과 별도로 열처리된 쌀겨 30그램을 첨가물로서 서로 혼합하여 롤밀로 분쇄시켜 쌀겨가 혼합된 약 85그램의 조강염을 얻었으며, 이 경우엔 평상시에 쌀겨 만을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대로 잘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던 상황에서 위 소금고형물과 혼합된 상태에서는 아주 원활하게 분쇄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나머지 고체성분은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왕겨 23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300그램의 조강분말을 얻었다.
실시예8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를 탄화로에 넣고 탄화시켜 탄화된 왕겨 300그램과 염도가 35퍼밀인 정제염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고형분 형태인 약 60그램의 회색 소금형태인 조강염을 얻었으며 첨가물로서 건조한 치자 10그램과 서로 분쇄 혼합하여 치자분말이 혼합된 조강염 약 70그램을 얻었다. 또한, 고체는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탄화왕겨 200그램과 별도로 준비한 건조된 쌀겨 80그램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롤밀에 넣고 분쇄하여 270그램의 짙은 회색 분말형태인 조강분말을 얻었다.
비교예1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끓는 물에 삶아 연질화시키면서 불순물을 추가로 제거하고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 300그램과 정제수 1700그램을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보았으나 고형분은 거의 없이 미량의 찌꺼기가 남게 되는 정도로서 유용한 성분을 별도로 얻기가 어려웠다. 다음, 나머지 고체로서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왕겨 240그램을 롤밀에 넣고 분쇄하였으나 제대로 분쇄가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거친 입자가 포함된 형태의 분말을 얻었으나 고른 미분 형태로는 얻기가 어려워 실용성이 떨어졌다.
비교예2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이를 건져내어 탈수 및 건조시킨 왕겨를 탄화로에 넣고 탄화시켜 탄화된 왕겨 300그램과 정제수 1700그램을 함께 가열로에 넣고 혼합하면서 약 30분간 가열하고 여과하여 액체와 고체를 서로 분리하였다. 액체는 다시 가열로에 넣고 가열하고 수분을 증발시켜 보았으나 고형분은 거의 없이 미량의 찌꺼기가 남게 되는 정도로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유용한 성분을 별도로 얻기가 어려웠다. 다음, 나머지 고체로서 충분히 건조한 다음에 얻어진 탄화된 왕겨 240그램을 롤밀에 넣고 분쇄하였으나 분쇄는 이루어지나 분쇄하는 과정에서 비산되어 제대로 분쇄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웠으며, 더우기 고른 미분 형태로는 얻기가 어려워 실용성이 떨어졌다.
즉, 비교예1 및 비교예2에 있어서 왕겨 자체로는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유용한 성분을 고형분 형태로 추출하기가 대단히 어려워 실용화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추출하고 남게 되는 왕겨의 경우에도 고른입자 형태로 분쇄하거나 아니면 분쇄작업 중에 외부로 비산되는 등 분말화 작업이 어려워, 실용화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8의 경우에는 열처리된 왕겨로부터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이나 조강염을 생산하는 과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특히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고 남게 되는 왕겨 고형물의 경우에도 첨가물로서 쌀겨, 치자 등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분쇄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왕겨에 함유되어 있던 분쇄작업상 어려움을 초래하였던 상황을 첨가물로서 쌀겨나 치자 등에 함유되어 있던 유효성분이 이를 흡수 보완하여 원활한 분쇄과정이 이루어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서 얻어지는 그대로 상태이거나 열처리가 이루어진 쌀겨의 경우에는 분쇄기에 의하여도 분쇄가 이루어지기가 대단히 어려우나 열처리가 이루어진 왕겨와 혼합된 상태에서는 분쇄가 아주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체가름에 의하여 아주 정선된 형태의 고르고도 미세한 입자 형태의 왕겨분말이 얻어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본 발명인 가공된 왕겨조성물로서 조강염이나 조강분말은 식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세정력이나 보습력이 우수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왕겨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차원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진 왕겨를 활용하여 소금 형태인 조강염과 왕겨와 쌀겨를 혼합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조강분말을 포함하여 가공된 왕겨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왕겨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차원에서 왕겨에 함유된 유용한 유기질과 무기질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용한 성분을 활용하고 이를 소금형태로 가공하여 섭취가 용이하고 조해성이 개선되어 소금으로서는 공기 중에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와 같이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고 남게 되는 왕겨를 활용하여 적정량의 쌀겨와 혼합하고 이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축사의 바닥에 깔아주는 톱밥을 대체하여 활용하여 축분의 처리와 함께 유기질비료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쌀겨의 혼합량을 증가시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은 섬유질이나 당질의 함량이 높아져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기존의 쌀겨가 지방을 함유하고 있어 분말화가 어려웠던 단점을 왕겨를 혼합한 상태에서는 분말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하면, 위와 같이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고 남게 되는 왕겨를 활용하여 열처리를 행하고 이와 같이 열처리가 이루어진 왕겨를 미세화된 분말 형태로 제조하거나 열처리된 쌀겨를 위의 탄화된 왕겨와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을 비누나 입욕제 등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위와 같은 제조과정 중에서 열처리된 왕겨입자와 쌀겨입자가 서로 흡착되어 공기중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방이 함유되어 있던 쌀겨 그대로는 분말화하기가 어려웠던 것을 탄화된 왕겨와 혼합한 상태에서는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원하는 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그 활용도를 넓게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폐기물에 해당되었던 왕겨의 재활용도를 높히면서 별도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혼합 또는 분쇄과정을 포함하여 자연스럽게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제적인 장점도 갖게 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왕겨를 물로 세척하여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다음에 이를 열처리하여 열처리가 이루어진 왕겨를 수득하게 되는 열처리왕겨수득공정;
    상기 열처리수득공정에서 얻어진 열처리왕겨와 소금, 그리고 물을 서로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가열하여 열처리왕겨로부터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유효한 성분이 함유된 소금물과 유효한 성분이 추출된 왕겨가 서로 혼합된 혼합물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유효성분추출공정;
    상기 유효성분추출공정에서 얻어지는 혼합물을 여과하여 유효성분이 함유된 소금물과 왕겨를 포함한 왕겨고형분을 서로 분리하는 분리공정; 그리고
    상기 분리공정에서 얻어진 것으로서 유효성분이 함유된 소금물은 증발시켜 소금고형분을 얻는 후처리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왕겨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50055016A 2005-06-24 2005-06-24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0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016A KR100701883B1 (ko) 2005-06-24 2005-06-24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016A KR100701883B1 (ko) 2005-06-24 2005-06-24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974A KR20060135974A (ko) 2007-01-02
KR20070000004A KR20070000004A (ko) 2007-01-02
KR100701883B1 true KR100701883B1 (ko) 2007-04-02

Family

ID=3786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016A KR100701883B1 (ko) 2005-06-24 2005-06-24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888A (ko) * 2009-09-26 2011-04-01 김지한 왕겨 추출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왕겨 추출수를 이용한 술의 제조 방법
KR101363111B1 (ko) * 2012-01-12 2014-02-1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벼 겉껍질 및 보리 겉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710A (ja) * 1996-08-12 1998-03-03 Masakazu Miyagi 製塩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62500A (ko) * 1999-12-21 2001-07-07 김응섭 왕겨를 이용한 죽염의 제조방법
KR20050091974A (ko) * 2004-03-13 2005-09-16 김무겸 미강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710A (ja) * 1996-08-12 1998-03-03 Masakazu Miyagi 製塩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62500A (ko) * 1999-12-21 2001-07-07 김응섭 왕겨를 이용한 죽염의 제조방법
KR20050091974A (ko) * 2004-03-13 2005-09-16 김무겸 미강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004A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1897B (zh) 一种农作物秸秆制取木炭活性炭可燃气生物油的制作方法
CN101919527B (zh) 一种细滑罗非鱼骨肉酱及其制备方法
CN102657332B (zh) 一次性连续生产牦牛骨髓油和超微多肽骨钙粉的制备方法
DE102007062811A1 (de) Aus Biomasse hergestellter Werk- und/oder Brennstoff
JPH0431666B2 (ko)
JP3493364B2 (ja) 植物性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01357B1 (ko) 제지슬러지, 맥주박 및 제강슬래그분말을 포함하는 탄소원, 아미노산 및 무기원소 보충용 친환경 유무기복합 퇴비
CN103265027A (zh) 一种干馏炭化-瞬间活化连续式生产物理法活性炭的方法
KR101829012B1 (ko) 냉압착 방식을 이용한 들기름 제조방법
KR20150019243A (ko) 커피박을 포함한 폐기물을 이용한 고밀도 펠릿 또는 블럭 제조방법
KR100701883B1 (ko)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070393A (zh) 一种纳米骨粉的制备方法
WO2008000085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additive from an agricultural residue
JP2004504863A (ja) 脂肪種子の加工
CN105054110A (zh) 一种动物骨头的加工方法
KR20060135974A (ko)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2450384A (zh) 一种从大豆油渣提取大豆蛋白的方法
JPS63123803A (ja) 大豆粕を原料とする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6646B1 (ko) 가공된 왕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45604A (ko) 한약탕제찌꺼기와 동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난방연료 제조방법
CN1737157A (zh) 利用内源蛋白酶同时生产豆类淀粉与植物分离蛋白的方法
KR20070068042A (ko) 건조비지 분말의 제조방법
CN116601272A (zh) 生产固体生物质燃料的方法
KR20040091418A (ko) 다슬기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다슬기 농축액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20110077283A (ko) 천일염의 정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