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981B1 -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981B1
KR101183981B1 KR1020100099133A KR20100099133A KR101183981B1 KR 101183981 B1 KR101183981 B1 KR 101183981B1 KR 1020100099133 A KR1020100099133 A KR 1020100099133A KR 20100099133 A KR20100099133 A KR 20100099133A KR 101183981 B1 KR101183981 B1 KR 10118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giant
beverage composition
heukchal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587A (ko
Inventor
한상익
장기창
서우덕
강항원
박동수
이기환
박수권
김상민
송유천
이학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9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9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상기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식음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Food and beverage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black waxy rice with giant embryo}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상기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식음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에 관한 것이다.
천연식물은 항산화제, 항염증, 항암 등을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원천으로서 많은 관심을 끌어 왔으며, 천연식물 내 항산화 물질은 생체내에서 발생한 활성산소의 해독을 위해서 중요한 작용을 하며, 이는 활성산소의 발생을 막는 시스템, 활성산소를 빠르게 안정화하는 시스템 및 활성산소에 의한 손상을 재생하는 시스템 등의 작용이 밝혀져 있다. 종래에는 BHA 및 BHT와 같은 합성 항산화 물질을 이용하였으나 그 독성 때문에 점차 사용이 제한되어 자연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검정쌀로 알려진 흑미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상기 언급한 강한 항산화효과와 더불어, 암 예방, 면역력 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흑미는 미네랄이 풍부해 알칼리 성질을 띠는데, 알칼리성 식품은 여러 공해 물질들과 음식 산화물로 산화된 몸을 중화시켜 각종 염증 질환을 막는 효과가 있다. 특히, 흑미에는 미네랄 중 셀레늄의 함량이 가장 높은데, 흑미에 든 셀레늄은 간세포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간세포 파괴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찹쌀은 멥쌀과 대응되는 말로, 나미(米) 또는 점미(米)라고도 한다. 보통 밥을 짓는 멥쌀은 배젖이 반투명한데, 찹쌀은 유백색으로 불투명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또 찹쌀의 녹말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요오드 반응이 적갈색을 띠기 때문에 명백히 구별된다. 그리고 찹쌀의 경우 찰진 기운이 높고,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찹쌀을 이용하여 찰떡, 인절미, 경단, 단자 등의 여러 가지 떡을 만들 때 사용되며, 찰밥, 약식, 식혜, 술, 고추장 등을 만드는 데도 쓰이고 있다. 최근 찹쌀 추출물 중 프롤라민 성분이 위궤양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거대배아미는 그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항산화성 비타민류인 레티놀, 루테인(Lutein), 토코페롤, 라이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피토스테롤 및 GABA, 팔믹산, 올레익산 등을 함유하고 있어, 섬유아세포의 성장 및 미백 효능,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력을 토대로 하여 주름개선효능 및 미백 효능과 피부의 보습 및 탄력 개선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흑미의 안토시아닌 기능과 찹쌀의 기능, 그리고 거대배아미의 효과를 모두 가지고 있는 흑찰거대배아미가 개발되었지만, 이를 응용하는 기술이 부족하여 흑찰거대배아미의 산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특허등록 제0761884호에는 거대배아현미분말 및 순두부로 구성된 간편한 아침식사대용식, 그 제조방법 및 아침식사 대용식의 식품포장용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미에 비해 쌀의 주요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은 흑찰거대배아미의 활용과 산업화를 위해, 흑미의 안토시아닌 색소와 찰성벼의 전분, 그리고 거대배아미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현저히 증진되면서, 취식이 용이하며 맛을 향상시키는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구연산, 올리고당, 매실농축액, 타우린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음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음료 조성물은 높은 GABA 함량과 뛰어난 항산화능에 의해 신체의 산화작용을 차단함으로써 노화방지와 각종 질병의 억제 등의 효과를 지니는 거대배아미를 함유함으로써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고, 거대배아미의 가공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이 간편하고 항산화 활성 및 기호성이 향상된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음료 조성물은, 구연산, 올리고당, 매실농축액, 타우린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음료 조성물에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는 흑미이면서 찰성인 거대배아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기존의 흑미이면서 찰성인 조생흑찰벼와 거대배 찰벼(YR23517Acp79)를 인공교배하여 육종 개발된 흑찰거대배아미(밀양263호)를 대상으로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여기서 찰성이란 아밀로스가 2~10%, 아밀로펙틴이 90~98%로 구성된 쌀을 말한다. 또한, 상기 거대배아미란 돌연변이 육종교배를 통해 지금까지의 벼 품종에 비해 쌀눈이 3~5배 이상 커진 품종으로, 쌀 영양소의 80% 이상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쌀눈이 일반 현미에 비해 3~5배 이상 크기 때문에 쌀의 영양소가 매우 풍부한 품종을 말한다. 또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는 흑찰거대배아일반미, 흑찰거대배아현미 및 흑찰거대배아발아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음료 조성물에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흑찰거대배아미의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이며, 바람직하게는 90~100% 물, 60~80% 에탄올 또는 60~80% 메탄올 추출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물, 70% 에탄올 또는 70%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음료 조성물에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안토시아닌, 아밀로펙틴, 가바(GABA), 감마오리자놀, 단백질, 지방과 지방산, 무기성분, 아미노산, 당류 및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무기성분은 칼슘(Ca), 마그네슘(Mg) 및 철(Fe) 등일 수 있으며, 비타민류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및 토코페롤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거대배아미 추출물에 비해 안토시아닌, 아밀로펙틴 또는 가바(GABA)를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하며, 아밀로스는 적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음료 조성물에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구연산, 올리고당, 매실농축액, 타우린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0.08~0.12 중량부, 구연산 0.8~1.2 중량부, 올리고당 80~120 중량부, 매실농축액 1~3 중량부, 타우린 0.5~1.5 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80~90℃에서 50~70분 동안 교반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0.1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부, 올리고당 100 중량부, 매실농축액 2 중량부, 타우린 1 중량부 및 정제수를 혼합한 후, 85℃에서 60분 동안 교반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식음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식음료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식음료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추출방법
본 실험에 사용될 흑찰거대배아미, 거대배아미(큰눈) 및 일반미(일미)의 전처리는 왕겨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하였으며, 발아시료의 경우 30℃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한 다음 27℃에서 2일간 발아시켜 껍질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분쇄하였다. 분쇄한 시료로부터 물질 추출은 100% 물, 70% 에탄올 또는 70%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추출방법은 교반이나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였다.
제조예 1: 흑찰거대배아미를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음료 조성물 900 중량부에 대하여, 흑찰거대배아미 70% 에탄올 추출물 0.1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부, 올리고당 100 중량부, 매실농축액 2 중량부, 타우린 1 중량부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한 후, 85℃에서 60분 동안 교반 가열하고 여과한 후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보관하였다.
실시예 1: 추출물의 성분 함량 분석
본 실험에서는 상기 1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흑찰거대배아미, 거대배아미(큰눈) 및 일반미(일미)의 추출물 중 함유되어 있는 성분을 측정하였다. 흑미의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 거대배의 주요성분인 감마 아미노부틸릭에시드(이하 가바(GABA)라 한다), 그리고 찹쌀의 특성을 결정하는 성분인 아밀로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본적인 종자의 구성성분인 단백질, 지방, 무기성분, 구성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였다.
가바 함량 분석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찰거대배아미 현미 추출물의 가바함량은 0.34 mg/g으로써 거대배아미(큰눈)의 0.22 mg/g과 일반미(일미)의 0.04 mg/g에 비해 높게 함유하고 있었으며, 발아현미의 경우는 흑찰거대배아미와 거대배아미가 비슷하게 일반미에 비해 2배 정도 함유하고 있었고, 배만 분리하여 가바 함량을 분석한 결과, 흑찰거대배아미가 1.90 mg/g으로서 거대배아미의 1.46 mg/g에 비해 30%이상 함량이 많았으며 일반미에 비해서는 약 3배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바 함량(mg/g)
종류 현미 배유 발아현미(48hrs)
흑찰거대배아미 0.34 1.90 0.08 0.88
거대배아미(큰눈) 0.22 1.46 0.04 0.87
일반미(일미) 0.04 0.65 0.04 0.44
항산화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안토시아닌은 흑찰거대배아미가 129.4 mg/100g 함유하고 있었으나, 거대배아미나 일반미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찰벼의 기준인 아밀로펙틴의 함량도 흑찰거대배아미가 94.5% 함유하고 있었으며, 감마오리자놀은 흑찰거대배아미와 거대배아미가 0.32 mg/g씩 함유하고 있었다. 흑찰거대배아미는 단백질 8.98%, 지방 2.57%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무기성분은 칼슘(Ca) 338.1 mg/kg, 마그네슘(Mg) 1366 mg/kg, 철(Fe) 45.7 mg/kg로서 다른 종류에 비해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2).
기능성 및 영양성분 함량
종류 안토시아닌
(mg/100g)
아밀로펙틴
(%)
감마오리자놀
(mg/g)
단백질(%) 지방(%) 무기성분(mg/kg)
Ca Mg Fe
흑찰
거대배아미
129.4 94.5 0.32 8.98 2.57 338.1 1366.0 45.7
거대배아미
(큰눈)
- 85.3 0.32 8.09 3.31 167.1 1294.0 29.6
일반미
(일미)
- 83.5 0.23 7.45 2.25 164.0 875.0 30.3
구성 아미노산 함량분석에서 흑찰거대배아미는 총아미노산 함량이 340.61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라이신(lysine), 티로신(tyrosine), 알기닌(arginine), 히스티딘(histidine) 등에서도 거대배아미와 일반미에 비해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표 3).
구성아미노산 함량(mg/g)
구성아미노산 흑찰거대배아미 거대배아미(큰눈) 일반미(일미)
Aspartic acid 20.24 18.21 16.52
Threonine 17.78 16.56 14.16
Serine 14.28 13.40 11.92
Glutamic acid 20.03 18.89 17.41
Proline 16.66 16.34 17.27
Glycine 11.30 10.45 9.03
Alanine 12.84 12.17 10.83
Cysteine 18.16 15.70 33.72
Valine 16.53 15.32 13.79
Methionine 23.79 14.69 28.91
Isoleucine 18.22 16.54 15.53
Leucine 18.20 16.88 15.66
Tyrosine 32.26 29.19 19.15
Phenylanine 23.75 21.55 19.16
Histidine 26.00 22.69 19.14
Lysine 23.78 21.60 17.62
Arginine 26.79 24.97 19.80
Total (mg/g) 340.61 305.15 299.62
기타 주요 구성성분 분석에서 흑찰거대배아미는 비타민 B1은 0.67 mg/kg, 알파 토코페롤 0.61 mg/100g, 베타 토코페롤 0.04 mg/100g, 그리고 감마 토코페롤 0.06 mg/100g을 함유하고 있었고, 지방산 조성에서는 팔미트산 17.2%, 올렌산 3.0%, 리놀렌산 47.7%, 그리고 리놀레닉산을 30.8% 함유하였으며, 유리당은 3.2%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본 시험에서 상기 1의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흑찰거대배아미, 거대배아미(큰눈) 및 일반미(일미)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시험재료로부터 추출한 용액 100 ppm과 최종농도 100uM DPPH (2,2-di-(4-tert-oxyphenyl-1-picrylhydrazyl))를 혼합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비교하여 활성을 평가하였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흑찰거대배아미(23.7%)>일반미(14.8%)>거대배아미(12.9%) 순이었고, 70%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흑찰거대배아미(37.2%)>거대배아미(10.4)>일반미(5.2%) 순이었다(표 4).
추출물 100 ppm농도에서 DPPH 항산화 활성 비교
DPPH 항산화 활성(100 ppm) 추출용매별 억제율(%)
70% EtOH 70% MeOH
흑찰거대배아미 23.7 37.2
거대배아미(큰눈) 12.9 10.4
일반미(일미) 14.8 5.2
ABTs(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를 이용한 ABTs와 항산화제와의 반응을 734 nm에서 관찰하여 ABTs의 라디칼(radical) 소거능력을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을 검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흑찰거대배아미(73.8%)>거대배아미(38.2%)>일반미(32.2%) 순이었고, 70% 메탄올 추출물은 흑찰거대배아미(71.4%)>일반미(38.5%)>거대배아미(31.2%) 순임을 나타내어 2종류의 표준 항산화 활성 검정을 통해 흑찰거대배아미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현미 추출물의 100 ppm농도에서 ABTs 항산화 활성 비교
ABTS 항산화 활성(100 ppm) 추출용매별 억제율(%)
70% EtOH 70% MeOH
흑찰거대배아미 73.8 71.4
거대배아미(큰눈) 38.2 31.2
일반미(일미) 32.2 38.5
실시예 3: 관능검사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조성물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쌀음료(비교예 1)를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3회의 반복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색,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5점 평점법에 의해 미감 및 기호도를 테스트하였다: 1:나쁘다, 2:조금 나쁘다, 3: 보통이다, 4: 조금 좋다, 5: 좋다.
관능검사 결과
시료 전체적인 기호도
음료 조성물 3.94 4.32 4.24 4.22
쌀음료 3.90 3.72 3.60 3.72
그 결과, 색의 항목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향과 맛의 기호도에서는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이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조성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음료 조성물이 풍미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6).

Claims (11)

  1.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함유된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구연산, 올리고당, 매실농축액, 타우린 및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는 흑찰거대배아일반미, 흑찰거대배아현미 및 흑찰거대배아발아현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흑찰거대배아미의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안토시아닌, 아밀로펙틴, 가바(GABA), 감마오리자놀, 단백질, 지방과 지방산, 무기성분, 아미노산, 당류 및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은 거대배아미 추출물에 비해 안토시아닌, 아밀로펙틴 또는 가바(GABA)를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7. 삭제
  8.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구연산, 올리고당, 매실농축액, 타우린 및 정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 900 중량부에 대해,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 0.08~0.12 중량부, 구연산 0.8~1.2 중량부, 올리고당 80~120 중량부, 매실농축액 1~3 중량부, 타우린 0.5~1.5 중량부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한 후, 80~90℃에서 50~70분 동안 교반 가열하고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활성 증진용 식음료 조성물.
  11. 제10항의 식음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
KR1020100099133A 2010-10-12 2010-10-12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KR10118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133A KR101183981B1 (ko) 2010-10-12 2010-10-12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133A KR101183981B1 (ko) 2010-10-12 2010-10-12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587A KR20120037587A (ko) 2012-04-20
KR101183981B1 true KR101183981B1 (ko) 2012-09-27

Family

ID=4613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133A KR101183981B1 (ko) 2010-10-12 2010-10-12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916A (ko) * 2014-10-28 2016-05-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활성 카보닐기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20190048505A (ko) * 2017-10-3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김포농식품(주) 항산화 활성 증진용 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70079A (ko) 2021-11-11 2023-05-22 영농조합법인 농부의꿈 탄수화물 흡수 억제가 우수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9963B (zh) * 2012-10-11 2015-09-16 河北科技师范学院 一种欧李带肉果汁及其制备方法
KR20160058206A (ko) * 2014-10-28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흑찰거대배아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4004476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지원바이오 흑찰거대배아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884B1 (ko) 2005-06-09 2007-10-04 박창도 거대배아현미분말 및 순두부로 구성된 간편한 아침식사대용식, 그 제조방법 및 아침식사 대용식의 식품포장용기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7-12-07 (주)에이티 랩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8532B1 (ko) 2010-01-14 2010-07-08 등룡알피씨영농조합법인 인지능력 증강용 혼합곡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884B1 (ko) 2005-06-09 2007-10-04 박창도 거대배아현미분말 및 순두부로 구성된 간편한 아침식사대용식, 그 제조방법 및 아침식사 대용식의 식품포장용기
KR100783063B1 (ko) 2006-01-10 2007-12-07 (주)에이티 랩 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8532B1 (ko) 2010-01-14 2010-07-08 등룡알피씨영농조합법인 인지능력 증강용 혼합곡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촌진흥청 농진청뉴스에 게재된 '영양 듬뿍, 거대 배아 검은 찹쌀 개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916A (ko) * 2014-10-28 2016-05-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활성 카보닐기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101696684B1 (ko) * 2014-10-28 2017-01-16 대한민국 활성 카보닐기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20190048505A (ko) * 2017-10-3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김포농식품(주) 항산화 활성 증진용 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08188B1 (ko) * 2017-10-31 2019-08-07 농업회사법인 김포농식품(주) 항산화 활성 증진용 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70079A (ko) 2021-11-11 2023-05-22 영농조합법인 농부의꿈 탄수화물 흡수 억제가 우수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587A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515B1 (ko)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Ma et al. Cooking, textural, senso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noodles
KR101183981B1 (ko)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KR101817282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12963A (ko) 쌍별귀뚜라미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활용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798441B1 (ko) 기능성 맥아와 유색 현미를 이용한 유색 식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식혜
KR20160092631A (ko) 아로니아 분말이 포함된 아로니아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5358A (ko) 무설탕 베리잼 조성물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232730B1 (ko) 기호도와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아로니아 우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아로니아 우유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2087291B1 (ko) 아로니아 두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5616A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32262B1 (ko) 홍미를 이용한 곡물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곡물차
KR20190128937A (ko) 건강기능성 혼합음료 조성물
KR102400713B1 (ko) 유색밀 배유 염색방법
KR102358168B1 (ko) 진세노사이드 Rh1 및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인삼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5513B1 (ko) 산채 분말을 첨가한 선식의 제조방법
US20220312818A1 (en) Preparation method for two-spotted cricket powder or extract thereof, foo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uses of same
KR102559538B1 (ko) 기능성이 증진된 귀리 페이스트 제조방법
KR102149547B1 (ko) 진홍 풋사과 식초 및 이의 용도
KR100848706B1 (ko) 허브를 함유한 니어워터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