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515B1 -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515B1
KR101540515B1 KR1020130115117A KR20130115117A KR101540515B1 KR 101540515 B1 KR101540515 B1 KR 101540515B1 KR 1020130115117 A KR1020130115117 A KR 1020130115117A KR 20130115117 A KR20130115117 A KR 20130115117A KR 101540515 B1 KR101540515 B1 KR 10154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
blackberry
extract
jujube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030A (ko
Inventor
윤경영
장혜림
김자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5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5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를 위하여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이 첨가된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개발하였으며, 이들 재료의 최적 혼합 비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유용 폴레페놀 및 다량의 식이 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는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는 당도가 높고 관능적인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이 높아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Composition for functional beverage having antioxidative effect comprising black Doraji, apple and jujube extract}
본 발명은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를 위하여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이 첨가된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개발하였으며, 이들 재료의 최적 혼합 비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천연물 유래의 건강기능식품과 과일과 채소 등 자연웰빙식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처럼 국내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식품선택 패턴이 변하고 있으며 특히 거의 매일 섭취하는 음료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과일 및 야채를 가공하여 제조한 천연주스는 소비자들이 쉽게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유용 폴리페놀 및 다량의 식이 섬유에 의한 장관계 질환 예방, 세포노화억제 및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과일과 채소를 혼합한 가공식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며, 특히 도라지를 활용한 흑도라지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207605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배합하여 제조한 흑도라지 사과주스에서 관능특성 및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각각 2 : 4 : 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다가 알콜,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및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음료는 유용 폴레페놀 및 다량의 식이 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는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음료는 당도가 높고 관능적인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이 높아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이다(A: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3:3:1, B: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4:2:1, C: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4:1, D: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2:1, E: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6:1).
도 2는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이다(A: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3:3:1, B: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4:2:1, C: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4:1, D: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2:1, E: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6:1).
도 3은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이다(A: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3:3:1, B: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4:2:1, C: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4:1, D: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2:1, E: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 추출물: 대추 추출물= 2:6:1).
본 발명은 각종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기능성 음료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관능미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가미되어 품질이 개선된 기능성 음료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섬유질이 풍부하고 칼슘과 철이 많이 함유된 알칼리성 식품으로 거담작용, 진해작용, 해열, 진통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보고된 주요 약리효과로는 항염증작용, 중추억제작용, 혈압강하작용, 용혈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도라지에 관한 연구는 일반성분, 약리성분, 기관지 효능과 장생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등이 있으며, 도라지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항비만 효과와 HPLC를 이용하여 도라지의 사포닌 분석 등이 있다. 도라지는 분말, 청, 즙, 환 등의 형태로 주로 유통되며 최근에는 도라지의 활용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일환으로 흑도라지가 고안되었는데 흑도라지는 증숙의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증숙이란 한방에서 흔히 쪄서 익히는 것을 말하며, 일정한 온도에서 습열한 공기를 제공하여 숙성하는 방법으로 홍삼을 제조하는데 많이 사용되어 온 방법이다. 도라지와 유사한 인삼 증숙의 경우 증숙과정 중에 형성된 갈색물질이 풍미, 색상개선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분으로서의 효과도 입증되고 있다.
또한, 사과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의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로서, 유기산과 당류와 같은 기호성 성분 이외에도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성분 및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여 심혈관계 질환 및 암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사과는 주로 주스, 잼 등과 같은 형태로 가공하여 소비되고 있으며 주스 및 음료 형태가 사과 가공품의 90%이상을 차지하며 소비량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추(Zizyphus jujube Miller)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페놀성 물질이 풍부한 식품으로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뇌출혈과 고혈압의 예방 등 순환기 계통의 건강유지에 그 약리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추는 고유의 단맛으로 기호도가 높아 우리 식생활에 깊은 연관이 있으며, 가공식품 제조 시 관능적 특성을 상승시켜주므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지고 있는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이용하여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는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다가 알콜,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및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관능평가를 위하여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색과 맛, 향, 산미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해 Likert 5점 척도(매우 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 3점,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1점)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색도의 경우 C가 4.0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 A와 E가 각각 3.85점과 3.75점으로 나타났으나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향미의 경우 D>C>A,E>B 순으로 D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혼합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맛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3.9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B가 2.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산미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4.2점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E(3.95점)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은 기호도는 당산비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시료 C가 4.2점으로 가장 우수한 점수를 보였고, 시표 E가 3.95점으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유의적으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흑도라지 사과주스 C의 산미도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4.2점으로 다른 흑도라지 사과주스보다 매우 우수한 경향을 보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높은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4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비율을 달리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소거능 및 환원력을 분석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모든 항산화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폴리페놀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주스에 함유된 항산화 관련 비타민 또는 무기질의 함량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혼합 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색도,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본 발명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개발을 위한 재료의 최적 혼합 비율을 규명하였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재료 준비
본 발명에 사용한 도라지는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재배된 3년근을 사용하였으며 사과주스는 ㈜허니플(Cheongsong, Korea)에서 제조된 사과주스를 사용하였고, 대추는 경산축산농협(Gyeonsan, Gyeongbuk, Korea)에서 구매한 것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추출물의 제조 및 흑도라지 사과 주스 혼합 비율 설정
흑도라지는 세척된 도라지를 항온기(BJP-1033FW, Lihom-Cuchen, Seoul, Korea)에서 60℃에서 15일간 증숙하였고, 건조 오븐(Vision scientific co., Seoul, Korea)을 이용하여 30℃에서 3시간 건조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흑도라지 50 g에 물 1 L를 첨가하여 압력솥(BJP-1033FW, Lihom crystal, Cheonan, Chungnam, Korea) 탕기능에서 60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흑도라지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사과주스는 엄선된 사과를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한 후, 파쇄기를 통해서 파쇄 및 착즙의 과정을 거친 후 포장하여 제조된 것이며, 대추 추출액은 대추 300g에 물 3L를 넣어 100℃에서 30분간 끓인 후 대추를 으깬 다음 85℃∼95℃에서 약 1시간 끓인 후 여과하여 여액을 대추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이용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혼합비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혼합비율은 예비실험과 도라지 배즙의 도라지즙 함유량(13)을 참고하여 5가지 혼합비율을 설정하였다.
Figure 112013087750511-pat00001

< 실시예 3>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본 발명자들은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 산도, 환원당 함량, 당도, 당산비를 측정하였다.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는 pH meter(Orion 3 star Benchtop, Thermo Orion, Beverly, MA, USA)로 측정하였고, 산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4 mL에 멸균된 증류수 20 mL를 가하고 vortex한 후 0.1 N NaOH로 pH가 8.2가 될 때까지 적정하여 측정하였으며, 말릭 에시드(malic acid)로 환산하였다.
또한, 당도는 당도계(N-1E, Atago, Tokyo, Japan)로 측정하였고, 환원당 함량은 각각의 시험관에 시료 1 mL와 DNS (3,5-Dinotrosalicylic acid) 1 mL를 넣고, 끓는 물에서 10분 동안 중탕시켜 상온에서 충분히 냉각시킨 다음, 증류수 3 mL를 넣어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U-2900, Hitachi, Tokyo, Japan)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glucose (Sigma, St Louis, Mo, USA)를 표준물질로 하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환산하였다.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 산도, 환원당 함량, 당도, 당산비를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pH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A, B, C, D, E 각각 4.05, 3.9, 4.07, 4.04, 4.15로 흑도라지 사과주스 B의 pH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증숙에 의해 유기산의 함량이 높은 흑도라지 추출물의 비율이 높기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흑도라지 사과주스는 홍삼주스(pH 4.89) 및 흑마늘 주스(pH 4.68)에 비해 낮은 pH를 보였으나, 당근주스의 pH 4.16 과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산도를 측정한 결과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A, B, C, D, E는 각각 1.31, 1.26, 1.50, 1.51, 1.34%로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D가 가장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당도와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은 당도(9.33 °Brix)와 환원당 함량(85.05 mg/mL)을 나타내었고, B가 가장 낮은 당도(5.20 °Brix)와 환원당 함량(41.23 mg/mL)을 나타내어 사과주스의 비율이 높을수록 당도와 환원당 함량 또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Kim 등(20)이 보고한 탈지홍화씨박을 활용하여 제조한 음료의 당도는 10.6 ∼13.8 Brix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Chung(22)은 사과주스 혼탁형, 청징형의 환원당 함량은 57.14 mg/mL, 76.27 mg/mL로 보고하였으며, 이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76.72 mg/mL)와 D(57.11 mg/mL)의 환원당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이란 설탕을 제외한 포도당, 과당 그리고 맥아당 등이 포함되며, 신맛과 함께 맛의 주체로 인식된다. 따라서 당산비는 소비자들이 과일이나 과일주스 등을 구매할 때 중요한 인자로 주스의 품질평가를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따라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당산비 수치를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당산비를 보였는데, 이는 흑도라지 사과주스에 포함된 높은 환원당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귤류 주스의 경우 당산비 수치는 15 ∼ 18정도라 알려져 있는데, 흑도라지 사과주스는 이보다 낮은 수치로 이는 흑도라지 추출물의 높은 산도로 인하여 당산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12013087750511-pat00002

< 실시예 4>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색도 측정
또한, 본 발명자들은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색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색차계(Model 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hunter값(L값=명도, a=적색도, b=황색도)으로 표시하였으며, 백색판을 기준으로 혼합비율별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각각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명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밝은 빛을 내는 사과주스의 높은 비율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Lee 등(12)이 연구한 국내 시판 과일 및 야채주스의 명도보다 흑도라지 사과주스가 높은 값을 보였다. 적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황색도의 경우 명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표 3 참조).
Figure 112013087750511-pat00003

< 실시예 5>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관능평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비율을 달리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관능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먼저,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 20 명을 대상으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색과 맛, 향, 산미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해 Likert 5점 척도(매우 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 3점,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1점)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그 결과, 색도의 경우 C가 4.0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 A와 E가 각각 3.85점과 3.75점으로 나타났으나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향미의 경우 D>C>A,E>B 순으로 D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혼합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맛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3.9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B가 2.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산미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4.2점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E(3.95점)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은 기호도는 당산비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시료 C가 4.2점으로 가장 우수한 점수를 보였고, 시표 E가 3.95점으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유의적으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흑도라지 사과주스 C의 산미도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4.2점으로 다른 흑도라지 사과주스보다 매우 우수한 경향을 보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높은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4 참조).
Figure 112013087750511-pat00004

< 실시예 6>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비율을 달리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6-1>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본 발명자들은 총 폴레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Folin-Denis법(14)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주스를 0.2 mL씩 시험관에 취하여 여기에 0.2 mL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3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3분 후 10% Na2CO3 0.4 mL를 가하여 혼합하고 증류수 4 mL를 첨가하여 실온의 암실에 1시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U-2900, Hitachi, Tokyo, Japan)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탄닌산(tannic acid; Sigma, Missouri, USA)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시료 D가 70.60 mg/100 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E가 54.60 mg/100 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표 5 참조).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폴리페놀 함량은 혼합 비율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전체 주스에 대한 대추추출물의 비율이 높을수록 그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추의 높은 폴리페놀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폴리페놀 함량은 Cho 등(25)이 보고한 발효 한방감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인 119 mg/100mL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Son 등(26)이 보고한 비트즙을 첨가한 당근 젖산 발효 음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을 보여 본 발명의 흑도라지 사과주스는 항산화능이 높은 훌륭한 음료임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3087750511-pat00005

<6-2>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본 발명자들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is(15)의 방법에 준하여 안정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인 DPPH 라디칼에 대한 시료 용액과의 전자공여 효과로 이 반응에 의해 DPPH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 U-2000, Hitachi, Tokyo, Japan)로 측정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30배 희석)를 0.5 mL를 취하고 0.1 mM DPPH 용액 1 mL를 가하여, 10초간 vortex mixing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혼합 비율에서 소거능이 약 58% 이상임을 알 수 있었고, 흑도라지 사과주스 C, D, E 의 경우 약 60%가 넘는 소거능을 보였으며, 각각의 혼합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또한, 이러한 결과는 Lee 등(12)이 보고한 1%의 흑마늘 음료(48.42%), 1% 홍삼음료(9.87%)보다 본 발명의 흑도라지 사과주스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6-3> ABTS 소거활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소거활성 측정하기 위하여 Re 등(16) 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Tuba Ak, 2008).
먼저, ABTS 7mM과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2.45mM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2∼16시간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cation radical(ABTS·+)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0.750± 0.002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1 mL에 도라지 추출물 3 mL를 가하여 6분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흑도라지 사과주스에서 약 68% 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D>B>C>E>A의 순의 소거능을 보였으나 시료 A와 D만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또한, Lee 등(14)의 연구결과 사과주스의 ABTS 라디칼 소거능보다 본 연구의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흑도라지 추출물과 대추 추출물 첨가로 인해 주스의 항산화 물질이 상승된 것으로 보인다.
<6-4> 환원력 분석
환원력은 700 nm에서의 흡광도로 나타내고 그 값이 클수록 환원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험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자들은 환원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Mau 등(17)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먼저, 20배 희석된 흑도라지 사과주스 250 에 0.2 M 인산나트륨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pH 6.6) 250 , 1% 적혈염(K3Fe(CN)6) 250 를 각각 혼합하여 50℃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0% 트리클로로아세트산(CCl3COOH, w/v) 250 를 가하였다. 위 반응액을 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500 에 증류수 500 를 혼합하고, 0.1% 염화제이철(FeCl3·6H2O) 100 를 가하여 반응액의 흡광도를 700 nm(Biochrom Asys UVM 340, microplate reader, Cambridge, England)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A와 C가 0.38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A, C, D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시료 B가 0.35로 가장 낮은 환원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상기의 실시예 6의 결과로 보아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모든 항산화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폴리페놀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주스에 함유된 항산화 관련 비타민 또는 무기질의 함량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상기 혼합비율에 따른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이화학적 특성, 색도,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본 발명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개발을 위한 재료의 최적 혼합 비율을 규명하였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 실시예 7>
통계분석
본 실험결과는 3반복으로 수행된 평균값이며, 항산화 관련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Ver. 18, Chicago, Illinois,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시료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각각 2 : 4 : 1의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감미제, 유기산 또는 그 금속염, 다가 알콜, 점도조절제, 향료, 보존제 및 과일주스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0130115117A 2013-09-27 2013-09-27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154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17A KR101540515B1 (ko) 2013-09-27 2013-09-27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117A KR101540515B1 (ko) 2013-09-27 2013-09-27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30A KR20150035030A (ko) 2015-04-06
KR101540515B1 true KR101540515B1 (ko) 2015-07-31

Family

ID=5303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117A KR101540515B1 (ko) 2013-09-27 2013-09-27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51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607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6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8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00040605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썸머킹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6524A (ko) 2018-10-24 2020-05-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옥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84823B1 (ko) 2020-07-15 2020-12-01 주식회사 오르나 블랙커런트, 링곤베리 및 씨벅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210003362A (ko) * 2019-07-01 2021-01-12 김한규 기능성이 향상된 사과와 생강 혼합 즙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2370A (ko) 2021-03-17 2021-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옥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369A (ko) 2021-03-17 2021-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10032368A (ko) 2021-03-17 2021-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썸머킹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20103835A (ko) 2021-01-14 2022-07-25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178B1 (ko) * 2018-10-30 2020-04-24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아린 맛이 제거된 흑도라지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도라지청
KR102596199B1 (ko) 2020-11-27 2023-10-31 농업회사법인 관주식품(주) 사포닌 함량이 증진된 흑도라지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도라지
KR102346505B1 (ko) * 2021-02-25 2022-01-0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생대추 혼합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896B1 (ko) * 2007-10-24 2008-06-24 양재열 홍/흑 도라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홍/흑 도라지를 이용한건강식품
KR100856330B1 (ko) * 2007-05-07 2008-09-03 허만복 녹용 엑기스를 첨가하여 제조한 과일 열매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015A (ko) * 2009-02-18 2010-08-26 경북전문대학 산학협력단 흑도라지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330B1 (ko) * 2007-05-07 2008-09-03 허만복 녹용 엑기스를 첨가하여 제조한 과일 열매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40896B1 (ko) * 2007-10-24 2008-06-24 양재열 홍/흑 도라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홍/흑 도라지를 이용한건강식품
KR20100094015A (ko) * 2009-02-18 2010-08-26 경북전문대학 산학협력단 흑도라지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607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6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8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00040605A (ko) 2018-10-10 2020-04-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썸머킹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6524A (ko) 2018-10-24 2020-05-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옥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03362A (ko) * 2019-07-01 2021-01-12 김한규 기능성이 향상된 사과와 생강 혼합 즙 및 그 제조방법
KR102407252B1 (ko) * 2019-07-01 2022-06-08 김한규 기능성이 향상된 사과와 생강 혼합 즙 및 그 제조방법
KR102184823B1 (ko) 2020-07-15 2020-12-01 주식회사 오르나 블랙커런트, 링곤베리 및 씨벅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220103835A (ko) 2021-01-14 2022-07-25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2370A (ko) 2021-03-17 2021-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옥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369A (ko) 2021-03-17 2021-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10032368A (ko) 2021-03-17 2021-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썸머킹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030A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515B1 (ko)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Hernández et al.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volatile composition and sensory profile of Spanish jujube (Ziziphus jujuba Mill.) fruits
Lee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nutritional constituents of persimmon juice (Diospyros kaki L. cv. Gapjubaekmok)
Reche et al. Effects of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on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jujube fruit
Reche et al.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composition, volatile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differences in Spanish jujube fruits
KR101817282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Tiwari et al. Preparation and storage of blended ready-to-serve beverage from bael and aloe vera
Luvonga et al. Chemical characterisation of Hibiscus sabdariffa (Roselle) calyces and evaluation of its functional potential in the food industry
Aksay et al.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whole fruit mandarin jam
KR101183981B1 (ko) 흑찰거대배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음료 조성물
Badejo et al. Inclusion of baobab (adansonia digitata l.) fruit powder enhances the miner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potential of processed tigernut (cyperus esculentus) beverages
KR100896984B1 (ko) 토마토를 이용한 기능성 잼 제조방법
Komes et al. Formulating blackberry leaf mixtures for preparation of infusions with plant derived sources of sweeteners
Aderinola Effects of pumpkin leav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moothies
Abdallah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puree and its utilization in cupcake
Gautam et al. Formulation and storage studies of herbal based RTS beverages from persimmon (Diospyros kaki L.) fruit
KR10208968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젤리
KR102232730B1 (ko) 기호도와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아로니아 우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아로니아 우유
Mbouche et al. Characterization of tea produced from the leaves of two varieties of Ipomoea batatas
Acham et al.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of juice mix produced from watermelon fruit pulp and baobab fruit pulp powder
Luvonga Nutritional characterisation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calyces, evaluation of its functional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of its novel products
Thakur et al. Stability of mango drink enriched with micro-encapsulated pomegranate peel extract
Krishna et al. Health beverages from bayberry and yellow Himalayan raspberry
Ramadhan et al. Synergistic Formulation and Shelf Stability Evaluation of Brown Seaweed (Sargassum sp.) Infused Tisane Enhanced with Butterfly Pea Flower and Sappan Wood
KR101674403B1 (ko) 패션프루츠 과육과 잎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