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95966A1 -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5966A1
WO2021095966A1 PCT/KR2019/016120 KR2019016120W WO2021095966A1 WO 2021095966 A1 WO2021095966 A1 WO 2021095966A1 KR 2019016120 W KR2019016120 W KR 2019016120W WO 2021095966 A1 WO2021095966 A1 WO 20210959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chlorella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61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인숙
김가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셀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셀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셀팜
Publication of WO20210959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59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hlorell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kin is the most basic defense organ that protects the body against irritation by contac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t is an important organ that expresses external beauty.
  • human skin is constantly undergoing changes, and the most representative changes are reduction of skin function and visual beauty due to aging.
  • the final appearance of the skin as a result of skin aging includes the formation of wrinkles, decreases in skin elasticity, and the formation of senile spots, and the formation of wrinkle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phenomenon.
  • Lipids, proteins, polysaccharides and nucleic acids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the skin, may be oxidized to destroy skin cells and tissues, and eventually the skin may be aged.
  • melanin refers to a black or brown pigment present in skin, hair, and the like. Melanin exists in the skin, protects the skin by blocking ultraviolet rays, and maintains the skin's body temperature.
  • Melanin is converted from tyrosine to dopa and dopaquinone by the action of tyrosinase present in pigment cells, and is produced through dopachrome. Melanin protects the body from harmful factors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regulates the secretion of hormones in the body.
  • melanin is excessively produced, it can promote the formation of spots and freckles and skin aging, and may be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skin cancer, so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uppressing the overproduction of melani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 Natural ingredients not only have fewer side effects on the skin, but recently, as consumers' response to cosmetics using natural ingredients increases, the value of development as a cosmetic ingredient is gradually increasing.
  • the present inventors attempted to develop a cosmetic composition of excellent functionality using natural extracts in a situation whe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osmetic product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having excellent biosafety and skin improvement effect is steadily emerg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hlorella extract.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hlorell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hlorella is Chlorella sp . It may be HS-V (accession number: KCTC 13850BP).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barley sprout extract.
  • the chlorella extract may be stabilized by a water-in-oil (O/W) emulsion.
  • O/W water-in-oil
  • the emulsion may have a diameter of 1.0 ⁇ m or less.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 skin whitening or skin wrinkle improvem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pack , Soap,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and cleansing cream may be formulated with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rich minerals and calcium components, and has excellent skin improvement effects.
  • 1 is a result of evaluating cytotoxicity in melanogenic cells of a chlorella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 of the chlorella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nhibitory effect of Tyr mRNA expression of chlorella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merical range includes the numerical values defined in the above range. All maximum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lower numerical limits as if the lower numerical limits were expressly written. All minimum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higher numerical limits as if the higher numerical limits were expressly written. All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include all better numerical ranges within the wider numerical range, as if the narrower numerical limits were expressly writte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hlorell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hlorella is a kind of freshwater algae belonging to the green algae plant Chlorella family, and is commonly found in green water and wetlands, and has two growth properties: autotrophic growth and proliferation by photosynthesis and heterotrophic proliferation using organic carbon sources It is a single-celled plant having a large amount of chlorophyll (chlorophyll a, b).
  • the protein which accounts for about 55% by weight of the chlorella, not only contains essential amino acids evenly, but also contains a large amount of vitamins A group, B group, and minerals, so it is known as a health food.
  • the chlorella since the chlorella has excellent photosynthetic ability, its growth rate is very fast and it is easy to cultivate compared to other plants, so it has been studied to solve the human food problem.
  • the physiological action of chlorella is the detoxification action of dioxins (Morita K., et al., J. Nutr., 129, pp1731-1736, 1999), cholesterol lowering action (Shibata S. et al., J. Nutr. Sci.Vitaminol.(Tokyo), 47(6), pp373-377, 2001; Sano T. et al., Artery, 14(2), pp76-84, 1987), etc.
  • the extract of is a growth promoting effect on microorganisms (Dongho Kim, Food Journal, 1, pp64-69, 1998) and an antibacterial effect (Takashi H., et al., International J. of Immunopharmacology, 22, pp877-885, 2000). ) Has been reported.
  • the chlorella may be a genus Chlorella (chlorella sp.) Can be a green alga, preferably chlorella minu tea Shima (chlorella minutissima), Chlorella vulgaris (chlorella vulgaris), Chlorella Emma Le Sony (chlorella emersonii).
  • the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may mean containing an effective amount capable of exhibiting skin improvement effects, for example, skin whitening,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effects, and the like.
  • the chlorella is Chlorella sp . It may be HS-V (KCTC 13850BP).
  • Chlorella sp. HS-V was obtained in large quantities through an optimized culture method by the present inventors selecting a strain having the best activity among chlorella strains isolated from domestic rivers.
  • the chlorella is Chlorella sp . It was named HS-V, and it was deposited with the Korea Microorganism Conservation Center on May 21, 2019, and was given the deposit number KCTC 13850BP.
  •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trichloromethan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1,3-butylene glycol It can be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 extract is a natural extract that uses various natural products as the raw material for extraction, and is a substance obtained by separating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from the natural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for extraction by contacting the solvent and the raw material for extraction under specific conditions, the extraction method It can be included regardless of the type of or ingredient.
  • it may include extracting a component soluble in a solvent from a natural product using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extracting a specific component of a natural product, such as extracting only a specific component such as an oil.
  • the extract may be powdered after drying, or may be obtained by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extraction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and ethanol extraction.
  • the natural extract is extract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reflux extraction, pressure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etc. for about 1 to 24 hours with a solvent having a volume of 10 to 20 times the weight of the raw material by washing the extracted raw material with water, drying and pulverizing it. And it can be prepared by filtration.
  • the extract can be obtained in a powder state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or freeze drying.
  • the extract may also include an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 the extract may be subjected to various additional purification methods, such as separation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ertain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one prepa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It may contain a fraction obtained through.
  • the chlorella is completely dried and then pulverized to effectively elute the chlorophyll present in the cell into the solvent.
  • chlorophyll can be extracted by mixing the chlorella and the solvent and heating at a temperature of 60 to 100° C. for 2 to 15 hours.
  • chlorophyll When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60°C, chlorophyll may not be effectively extracted in the solvent, and when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more than 100°C, various useful components included in chlorella may be denatured.
  • the extraction time is less than 2 hours, a sufficient yield to be extracted may not be implemented, and if the extraction time is more than 15 hours, the process efficiency may be deteriorated.
  • the content of the chlorella extract may be 0.1%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chlorella extract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skin improvement effect may not be sufficiently realized, and if it is more than 10.0% by weight, the proportion of other ingredients required for commercialization de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original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or cost efficiency. It can be degraded.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barley sprout extract.
  • barley sprout refers to a young shoot of barley (Hordeumvulgare L. ), and refers to a young plant that has sprouted on barley and has grown about 10 to 20 cm.
  • the barley sprout can be obtained by immersing barley in water for about 1 day, removing moisture, sowing and germinating under conditions preventing loss of moisture, and growing for 7 to 10 days.
  • the barley sprout can be used as it is, or after performing a pretreatment process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speed and process (manufacturing) efficiency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Powdering, drying, etc. may be performed.
  • the barley sprout is known to promote growth hormone secretion to aid growth, strengthen immune function, and have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 the chlorella extract may be stabilized by a water-in-oil (O/W) emulsion.
  • O/W water-in-oil
  • the water-in-oil (O/W) emulsion contains 60% by weight or less of polyol, and may include 1 to 10% by weight of emulsifier, 20% by weight or less of oil, and 5% by weight or less of additives.
  • the polyo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in, 1,3-Butyleneglycol, 1,2-Hexandiol, Methylenepropandiol, Propanediol, Propyleneglycol, and Pentyleneglyc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mulsifiers are Lecithin, Hydrogenated Lecithin,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cetyl stearyl alcohol, Stear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 Ceteareth-6 Olivate, Olive Oil Peg- 7 Select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ters,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olysorbate 80, Polysorbate 60, C14-22 Alcohols/C12-20 Alkyl Glucoside, Cetearyl Alcool/Cetearyl Glucoside, and Bees wax.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i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live oil, Macadamianut oil, Caprylic/capric triglyceride, Dimethicone, Sunflower oil, Grape seed oil, and Sweet almond 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dditiv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hexyleglycerin, Phenoxyethanol, Xanthan gum, Guar gum, Cellulose, Carbomer, Carrageenan, Hyaluronic acid, Topherol E acetate, and Ascorb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ameter of the emulsion may be 1.0 ⁇ m or less so that the penetration power of the contained active ingredient can be maximized.
  • the emulsion is a step of heating the polyol to 60 ⁇ 70 °C, the step of completely dissolving by adding an emulsifier, oils and Chlorella sp. Stirring by adding HS-V, adding water to form an O/W-type emulsion, adding an additive, and adjusting the emulsion size of O/W through a HOMO MIXER; to be prepared through
  • a microemulsion having a diameter of 1.0 ⁇ m or less can be prepared by performing emulsification for 3 minutes under conditions of 1,500 to 2,000 rpm with a HOMO MIXER based on 200 g of emulsion, and performing up to 3 passes under conditions of 1,000 to 1500 bar through a high pressure homogenizer.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mplement a skin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 skin whitening suppresses the production of various biomolecules, such as melanin, oxidation-reduction hemoglobin, carotene, and melanoids, which affect skin color, thereby alleviating skin pigmentation phenomena such as blemishes, freckles, and blemishes. It means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brightness and uniformity by relieving redness.
  • the cosmetic composition effectively inhibits melanin production, it has excellent whitening effect on the skin as well as removing blemishes in the ski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used for wrinkle improvement.
  • the "wrinkle improvemen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elastic fibers composed of elastin exist together with collagen, and skin elasticity is maintained or improved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n and collagen are sufficiently present.
  • the “wrinkle improvemen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wrinkles are prevented or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on the skin, or wrinkles that have already been created are alleviated.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 the “antioxidation” refers to the action of inhibiting oxidation, and the human body has a balance between an oxidation-promoting substance and an oxidation-inhibiting substance. However, due to various factors, if this balance is lost and tilts toward promoting oxidation, , Oxidative stress is induced in a living body, which can lead to cell damage and pathological diseases.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anti-inflammatory refers to an action of suppressing inflammation, and it is known that the regulat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s very complex, which enhances and reduces damage to the repair system in vivo.
  • ROS and RNS are excessively produced in inflammation-related cells, and permanent gene modification may be caused.
  • ROS and RNS are deeply related to the inflammatory response that regulates the actions of various cells in vivo.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exhibit excell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mediator caused by activation of NF-kB.
  •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pack, soap, cleansing foam, It may be formulated with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leansing lotion, and a cleansing cream.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can refer to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formulation of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and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 the formul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 Inc., Washington, 1995).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 general emulsion formulation and solubilization formulation.
  • a lotion such as a flexible lotion or a nutritional lotion
  • Emulsions such as facial lotion and body lotion
  • Creams such as nourishing cream, moisture cream, and eye cream; essence; Cosmetic ointment; spray; Gel; pack; Sunscreen; Makeup base; Foundations such as liquid type, solid type or spray type; powder
  • Makeup removers such as cleansing cream, cleansing lotion, and cleansing oil
  • it may be formulated with a detergent such as a cleansing foam, soap, or body wash,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may be formulated as an ointment, patch, gel, cream, or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with other component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components in each formula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a generally acceptable carrier, and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 moisturizer, lower alcohol, thickener, chelating agent, colorant, preservative, fragrance, etc.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but are limited thereto. no.
  • the acceptable carrier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or these Extracts can be used.
  • lactose 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or extracts thereof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It may further include a propellant such as carbon, propane,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can be used, and in particular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germ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can be used.
  •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can be used, and in particular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germ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 an alkali metal salt of a fatty acid, a fatty acid hemiester salt, a fatty acid protein hydrolyzate, isethionate, a lanolin derivative, an aliphatic alcohol, vegetable oil, glycerol, sugar, etc. can be used.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er, a gelling agent, an emolli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nd a fragrance,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depending on the quality or function of the final product.
  • Surfactant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gent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blocking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s, commonly used in cosmetics It may additionally contain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ology or dermatology, such as any other ingredients.
  • the adjuvant and its mixing ratio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so as not to affect the desirable proper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lution ratio was set to 0.33/day with a 3L working volume.
  • Cultured Chlorella sp. HS-V was harvested at 10,000 rpm using a continuous centrifuge, and the harvested microalgal solids were freeze-dried (-80° C., 72 h) to obtain dry biomass.
  • Chlorella sp. 100 g of HS-V dry biomass was added to 1 kg of 70% (w/w) ethanol and extracted for 2 hours at 60° C. in an ultrasonic extractor. After immersing at a low temperature at 4° C. for 72 hours, it was filtered through a 250 mesh filter cloth.
  • a water-in-oil emulsion was prepared by using the solubility of the extract in the form of Crude from which ethanol was completely removed in MCT.
  • the mixed raw material was extracted for 2 hours at 60° C. using an ultrasonic extractor, and then filtered through 3.0 ⁇ m filter paper to obtain a liquid extract.
  • Barley sprout extract was obtained using the obtained liquid extract using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and a freeze dryer.
  • the chlorella ( Chlorella sp. ) raw powder was provided from the Gunsan plant in the target company.
  • Chlorella powder 100g was put into 1kg of 70% (w/w) ethanol and extracted for 2 hours at 60°C in an ultrasonic extractor. After soaking at 4° C. for 72 hours, it was filtered through a 250 mesh filter cloth.
  • B16F10 melanoma cells were aliquoted into a 96-well plate at 2 ⁇ 103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test substance was treated at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and cultured for 48 hours.
  • WST-1 assay solution (EZ-CYTOX, DOGEN, Korea) was added each 10% of the medium amount and reacted at 37°C for an additional 0.5 to 1 hour, and then Microplate reader system (SpectraMax® i3x Multi-Mode Detection Platform,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was used to measure absorbance at 450 nm.
  •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melanin pigment produced was confirmed by the melanin contents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elanin production in melanocytes.
  • Melanocytes were aliquoted into a 60mm culture dish at 2 ⁇ 10 5 cells/dish and cultured for 24 hours.
  • ⁇ -MSH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 Arbutin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for the melanin production test.
  • the measured intracellular melanin produc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calibration curve of the standard solution prepared above, and the total protein amount was calculated using the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
  • the amount of melanin production was converted to the amount of melanin per certain protein, and as the measured value decreases, it means that there is an effect of inhibiting melanogenesis in melanogenic cells. Results are expressed as mean values ⁇ standard deviation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 Quantitative real-time 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
  • B16F10 melanogenic cells were dispensed into 6 well culture plates at 2 ⁇ 105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 test substance of a certain concentration was treated and cultured for an additional 24 hours. After harvesting the cultured cells, 1 mL TRIzol reagent (Life Technologies) was added to perform cell lysis and total mRNA extraction.
  • the concentration and purity of total mRNA were verified using a MaestroNano *?* microvolume spectrophotometer (Maestrogen, Las Vegas, NV, USA), and only total mRNA with a purity of 2.0 or higher was selected.
  • qRT-PCR was performed using HOT FIREPol EvaGreen PCR Mix Plus (Solis BioDyne, Estonia), and the expression of the corresponding gene was analyzed using Line-Gene K software (Bioer Technology Co. Ltd., Hangzhou, China).
  • PCR reaction conditions were denaturation at 94°C for 5 minutes, followed by denaturation (94°C, 30 seconds), annealing (60°C, 30 seconds), and polymerization (72°C, 30 seconds) for 40 cycles.
  • the change in gene expression was measured by comparing it with the expression level of the ⁇ -ACTIN control gene.
  • Results are expressed as mean values ⁇ standard deviation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 ⁇ 0.5 was verified through Student's t-tes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 was indicated.
  • B16F10 melanogenic cells were dispensed into a 60-mm plate at 3 ⁇ 105 cells/well and then stabilized in an incubator for 24 hours.
  • ⁇ -MSH 100 nM
  • the sample were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 ⁇ g/mL and further cultured in an incubator.
  • the cells were recovered, washed with PBS, and then centrifuged at 4°C and 12,000 rpm. The obtained cell pellet was lysed by heating twice at 95°C for 10 minutes with 1% SDS lysis buffer.
  • Mitf Tyrosinase, ⁇ -Actin (Santa Cruz, CA, USA) and p-CREB, CREB, p-PKA, PKA (Cell Signaling, Beverly, MA, USA) were diluted and used.
  • anti-mouse IgG-HRP anti-rabbit IgG-HRP (Cell Signaling) and bovine anti-goat-HRP (Santa Cruz) were diluted and used.
  • the NF-excellentB promoter luciferase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ability to inhibit NF-excellentB activity of the test substance.
  • NF-excellentB Luciferase Reporter NIH3T3 Stable Cell was dispensed into a 6-well culture plate at 1.5 ⁇ 105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pretreatment of the test substance at a constant concentration for 24 hours, TNF- ⁇ (50 ng/mL), an inflammation inducing substance, was treated and cultured for an additional 8 hours.
  • a passive lysis buffer (Promega, USA) was added to perform cell lysis and centrifugation to extract luciferase in the cells.
  • NF-excellentB Luciferase Reporter NIH3T3 Stable Cell has an inhibitory effect on NF-excellentB activity.
  • Results are expressed as mean values ⁇ standard deviation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 ⁇ .05 was verified through Student's t-tes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 was shown.
  • Chlorella sp. HS-V is remarkably superior in skin improvement activity compared to conventional chlorella, suggesting that whitening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may be further improved when applied simultaneously with barley sprouts.
  • the chlorella extract was formulated as a water-in-oil emuls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remaining samples were formulated in a conventional water type.
  • ANTERA 3D (Miravex, Ireland) was applied, and the instrument measurement was performed before, after 2 weeks of use, and after 4 weeks of use of the test substance.
  • the same test person measured the left tail of all subjects, and for reproducibility of the measurement, the same area was measured by overlapping the image measured before use of the test substance.
  • ANTERA pro software which is an exclusive software for ANTERA 3D, and then the matched measurement sites were used for analysis.
  • the small Wrinkles value representing the wrinkles of the skin was analyzed using the Indentation index, which is a measurement variabl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mulated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4 had remarkably excellen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s, and in particular,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s of Examples 3 and 4 formulated as a water-in-oil emulsion were more excellent. I did.
  • Cosmetics including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and 60 subjects were divided into 10 groups and applied, respectively, and changes in brightness of the skin were checked.
  • the chlorella extract was formulated as a water-in-oil emuls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remaining samples were formulated in a conventional water type.
  • formulated cosmetics were applied and used daily for 3 weeks. Skin brightness was checked with a LAB measuring device (Konica Minolta CR-300 Chroma Meter).
  • control group was formulated excluding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added arbutin instead of the sample.
  • the whitening effect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L* of the sample application site and the control site.
  • the L* value is about 2
  • the whitening effect of the deposited pigment is obvious, and when it is about 1.5 or m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whitening effect.
  • ⁇ L L value at the time of measurement after application-L value at the start of applica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mulated the samples of Examples 1 to 4 effectively improved skin brightness, and the skin improving activity of Examples 3 and 4 formulated as a water-in-oil emulsion was more excellent.
  • Lutein stability of the emulsion composition of Preparation Example 2 was evaluated. Analysis of the component content of lutein was performed using HPLC equipment, and layer separation and discoloration were not perform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자극에 대한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어기관이며, 외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외적인 아름다움이 젊음과 건강을 상징하는 판단의 기준일 뿐 아니라 자신감을 표출하여 업무능력에 영향을 주는 경쟁력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피부를 관리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고, 피부의 노화 방지, 미백 등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사람의 피부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변화가 노화에 의한 피부 기능 저하 및 시각적 아름다움의 감소이다. 피부 노화의 결과 나타나는 최종적인 피부 외관에서의 현상은 주름의 형성, 피부 탄력 저하, 노인성 반점 형성 등이 있으며, 주름의 형성이 가장 대표적인 현상으로 손꼽힌다.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은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될 수 있으며, 결국 피부가 노화될 수 있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에 의해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라이칸,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고 과다 염증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더욱 심화되는 경우 DNA 변이에 의한 돌연변이, 면역기능의 저하, 암의 유발이 촉진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 되는 활성산소종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활발한 신진대사를 통해 손상 받은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 건강을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멜라닌(Melanin)은 피부, 모발 등에 존재하는 흑색 또는 갈색 색소를 말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며, 자외선을 차단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체온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멜라닌은 색소 세포 내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에 의해 타이로신으로부터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되어 도파크롬(dopachrome) 등을 거쳐 생성된다. 멜라닌은 자외선 등 피부 유해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체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은 과잉 생산되어 기미, 주근깨의 형성 및 피부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피부암의 유발에 관여할 수 있으므로, 멜라닌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생체 안전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품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우수한 기능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는 Chlorella sp. HS-V(기탁번호: KCTC 13850BP)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새싹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유중수형(O/W)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의 직경은 1.0μ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염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 로션,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풍부한 미네랄 및 칼슘 성분을 포함하며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멜라닌생성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멜라닌생성 저해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MITF mRNA 발현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Tyr mRNA 발현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Tyrp-1 mRNA 발현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Tyrp-2 mRNA 발현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렐라 추출물의 CREB 인산화 억제 효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클로렐라(Chlorella)는 녹조식물 클로렐라과에 속하는 담수조류의 일종으로서, 녹민물·습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광합성에 의해 성장, 증식하는 독립영양성과 유기탄소원을 이용하여 증식하는 종속영양성의 두 가지 생육 성질을 갖는 단세포 식물로서 엽록소(chlorophyll a, b)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클로렐라의 약 55 중량%를 차지하는 단백질에는 필수아미노산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A군, B군,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클로렐라는 광합성 능력이 뛰어나 다른 식물에 비해 증식속도가 매우 빠르고 배양하기 쉽기 때문에 일찍이 인간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되어 왔다.
상기 클로렐라의 생리적 작용으로는 다이옥신류의 해독작용(Morita K., et al., J. Nutr., 129, pp1731-1736, 1999),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Shibata S. et al., J. Nutr. Sci. Vitaminol.(Tokyo), 47(6), pp373-377, 2001; Sano T. et al., Artery, 14(2), pp76-84, 1987)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클로렐라의 추출물은 미생물에 대한 생육촉진효과(김 동호, 식품저널, 1, pp64-69, 1998)와 항균력 증강 효과(Takashi H., et al., International J. of Immunopharmacology, 22, pp877-885, 2000)가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클로렐라는 클로렐라 속(chlorella sp.) 녹조류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클로렐라 미누티시마(chlorella minutissima),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클로렐라 에머르소니(chlorella emersonii)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피부 미백, 항염, 항산화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는 Chlorella sp. HS-V(KCTC 13850BP)일 수 있다.
상기 Chlorella sp. HS-V는 본 발명자들이 국내 하천에서 분리된 클로렐라 균주 중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고 최적화된 배양 방법을 통해 대량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클로렐라는 Chlorella sp. HS-V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9년 5월 21일자로 기탁하고, 기탁번호 KCTC 13850BP를 부여 받았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각종 천연물을 추출 원료로 사용하는 천연 추출물로,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10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로렐라를 완전히 건조한 후 분쇄 함으로써 세포 내 존재하는 크로로필이 용매에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와 용매를 혼합하여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15시간 가열함으로써 엽록소를 포함한 각종 유용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온도가 60℃ 미만이면 엽록소가 용매에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초과인 경우 클로렐라에 포함된 각종 유용성분이 변성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시간이 2시간 미만이면 추출되는 충분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5시간 초과인 경우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0 중량% 초과이면 제품화에 요구되는 기타 성분의 비중이 감소하여 제품 본연의 상품성이 저하되거나, 비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새싹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리새싹”은 보리(Hordeumvulgare L.)의 어린 싹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리에 싹을 틔워 10~20 cm 정도 자란 어린 식물체를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보리새싹은 보리를 약1일 간 물에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 조건에서 파종하여 발아시킨 후, 7 내지 10일 동안 성장시켜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보리새싹은 원형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당업자가 의도하는 공정 속도 및 공정(제조) 효율을 고려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처리 과정으로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선별, 수세, 절단, 분말화, 건조 등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보리새싹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성장을 돕고, 면역 기능을 강화하며,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유중수형(O/W)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O/W) 에멀은 60 중량% 이하의 폴리올(Polyol)을 함유하고, 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20 중량% 이하의 오일류, 5 중량% 이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Glycerin, 1,3-Butyleneglycol, 1,2-Hexandiol, Methylenepropandiol, Propanediol, Propyleneglycol, 및 Pentylene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Lecithin, Hydrogenated Lecithin,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cetyl stearyl alcohol, Stear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Cetearyl Olivate/sorbitan olivate, Ceteareth-6 Olivate, Olive Oil Peg-7 Esters,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olysorbate 80, Polysorbate 60, C14-22 Alcohols/C12-20 Alkyl Glucoside, Cetearyl Alcool/Cetearyl Glucoside, 및 Bees wax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류는 Olive oil, Macadamianut oil, Caprylic/capric triglyceride, Dimethicone, Sunflower oil, Grape seed oil, 및 Sweet almond oil 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Ethylhexyleglycerin, Phenoxyethanol, Xanthan gum, Guar gum, Cellulose, Carbomer, Carrageenan, Hyaluronic acid, Topherol E acetate, 및 Ascorb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멀젼의 직경은 함유된 유효성분의 침투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1.0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에멀젼은 폴리올을 60~70℃로 가온하는 단계, 유화제를 첨가하여 완전용해하는 단계, 오일류 및 Chlorella sp. HS-V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워터류를 첨가하여 O/W형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 첨가제를 투입하는 단계, HOMO MIXER를 통해 O/W의 에멀젼 사이즈를 조절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고, 에멀젼 200g 기준 HOMO MIXER로 1,500 ~ 2,000 rpm 조건에서 3분간 유화를 진행하고, High pressure homogenizer를 통해 1,000~1,500bar 조건에서 최대 3pass 수행함으로써 직경이 1.0μm 이하인 마이크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은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생체 분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완화시키고,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피부 밝기 및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피부 내 잡티 제거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 용도일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은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과 함께 존재하며, 상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 또는 향상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주름 개선"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이 완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염용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 진물질과 산화억제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균형 상태를 잃고 산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생체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DNA,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과 같은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생체 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암 등을 초래하게 되고,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얻어 노화를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항염”은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염증반응의 조절은 매우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생체 내 복구체계의 증강 및 손상을 감소시킨다.
반복되는 조직의 손상이나 재생에 의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염증관련 세포에서 ROS와 RNS가 과다 생성되고 영구적인 유전자의 변형이 야기될 수 있다. 즉, ROS와 RNS는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 반응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F-kB의 활성화로 인해서 발생되는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 로션,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 클로렐라 추출물 제조
Chlorella sp. HS-V 균주(KCTC 13850BP)는 국내 하천에서 활성이 현저한 분리된 균주로 분리되었다.
5L의 배양기에서 3L의 working volume으로 희석 비율을 0.33/day로 하였다.
복합비료(High N S-feed, 팜한농) 1 g/L,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BD BactoTM Yeast extract, Cat. No. 212750) 1 g/L, 포도당(Sigma-Aldrich, Cat. No. G7021) 20 g/L의 농도로 증류수에 첨가하여 온도 30 ℃, 광량 120 μmol photons/m2/s, 분당 120 rpm으로 교반하여 본 발명의 Chlorella sp. HS-V 균주를 배양하였다.
배양된 Chlorella sp. HS-V는 연속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 rpm에서 수확하였고, 수확된 미세조류 고형분은 동결건조(-80℃, 72h)하여 건조 바이오매스를 확보하였다.
Chlorella sp. HS-V 건조 바이오매스 100g을 70%(w/w) 에탄올 1kg에 넣고 초음파 추출기에서 60℃,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72시간 동안 4℃에서 저온 침지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킨 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 클로렐라 추출물 인캡슐레이션
에탄올을 완전 제거한 Crude 형태의 추출물의 MCT에 대한 용해성을 이용하여 유중수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Polyol인 Glycerin 50% 중량부, 1,3-Butyleneglycol 10 중량부, Propylene glycol 10 중량부를 60℃로 가온한 후, 유화제로 Lipoid S 75 1.5 중량부, Tego care 450 3 중량부, Palmitic acid 0.3 중량부, Stearic acid 0.2 중량부, Chlorella sp. HS-V 추출물 1.0 중량부, MCT 9.0 중량부, 정제수 14.9 중량부, 산화방지제(Tocopherol E Acetae) 0.1%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O/W형 에멀젼의 분산력 및 사이즈 조절을 위해 HOMO MIXER로 1,500~2,000 rpm에서 유화시킨 후 고압호모게나이저(High pressure homogenizer)를 통해 1,000bar 조건에서 3pass를 수행하여, O/W 에멀젼의 사이즈를 1μm 이하로 조절하였다.
제조예 3 : 보리새싹 추출물 제조
건조 및 파쇄한 보리새싹 100g을 70% 에탄올 1L에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혼합된 원료를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60℃ 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3.0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액상 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보리새싹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제조예 : 클로렐라 추출물 제조
클로렐라(Chlorella sp.) 원말 분말을 대상 주식회사 군산 공장으로부터 제공받았다.
클로렐라 분말 100g을 70%(w/w) 에탄올 1kg에 넣고 초음파 추출기에서 60℃,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72시간 동안 4℃에서 침지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회전증발기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시킨 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수득한 시료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와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클로렐라 추출물(제조예 1) 100 50 - - - -
클로렐라 추출물(제조예 2) - - 100 50 - -
클로렐라 추출물(비교제조예) - - - - 100 -
새싹보리 추출물(제조예 3) - 50 - 50 - 100
실험예 1 : 피부 안전성 시험
B16F10 melanoma 세포를 96-well plate에 2×10³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시험 물질을 적정농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WST-1 assay solution(EZ-CYTOX, DOGEN, Korea)을 배지양의 10%씩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0.5 내지 1시간 37°C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 system(SpectraMax® i3x Multi-Mode Detection Platform,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eference 흡광도는 650 nm에서 측정하여 결과값을 보정하였다. 결과값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으로부터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P<0.05는 Student's t-test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결과값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결과값으로부터 시험물질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이 음성대조군 대비 감소되지 않는 농도구간을 이후 실험의 농도로 설정하였다.
도 1를 참조하면, Chlorella sp. HS-V 추출물 75 μg/mL 이상에서 B16F10 멜라닌형성 세포에 독성을 보여 50μg/mL를 최적 농도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2 :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 측정
멜라닌 색소의 생성량 측정은 멜라닌형성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정도를 melanin contents 분석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멜라닌형성세포를 60mm culture dish에 2×105 cells/dish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멜라닌 생성 유도물질인 α-MSH(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Sigma-Aldrich)으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일정 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48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수확한 후, 멜라닌형성세포의 펠렛(pellet) 색 변화를 관찰하고 150 μL 1N NaOH 용액을 첨가하여 세포 용해 및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상층액만 취하여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Microplate reader system(SpectraMax® i3x Multi-Mode Detection Platform,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을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량 확인 시험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은 위에서 작성한 표준용액의 검량선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BCA Protein assay Kit(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를 이용하여 총 단백질량을 산출하였다.
멜라닌 생성량은 일정 단백질 당 멜라닌 양으로 환산하였고,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멜라닌형성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값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으로부터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P<0.5는 Student's t-test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결과값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도 2을 참조하면, Chlorella sp. HS-V 추출물 5, 10, 25, 50 μg/mL 처리하였을 때 B16F10 멜라닌형성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이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3 : 멜라닌 생합성 관련 효소의 유전자 발현 억제 활성 측정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대표적 효소인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Tyrp-1), Tyrosinase-related protein 2(Tyrp-2) 유전자와 이를 조절하는 전사인자 MITF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quantitative real-time PCR(qRT-PCR) 분석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진행하였다.
B16F10 멜라닌형성세포를 6 well culture plate에 2×105 cells/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일정농도의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24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수확한 후, 1 mL TRIzol reagent(Life Technologies)을 첨가하여 세포 용해 및 total mRNA 추출을 수행하였다.
Total mRNA의 농도 및 순도(A260/A280 and A260/A230 ratio)는 MaestroNano*?* microvolume spectrophotometer(Maestrogen, Las Vegas, NV, USA)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2.0 이상의 순도가 높은 total mRNA만을 선별하였다.
Total mRNA는 M-MLV reverse transcriptase(Life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cDNA로 치환하여 qRT-PCR에 사용하였다.
qRT-PCR은 HOT FIREPol EvaGreen PCR Mix Plus(Solis BioDyne, Estoni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Line-Gene K software(Bioer Technology Co. Ltd., Hangzhou, China)를 이용하여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PCR반응 조건은 94℃에서 5분간 denaturation 시킨 후 denaturation(94℃, 30초), annealing(60℃, 30초), polymerization(72℃, 30초) 과정을 40 cycle 동안 진행하였다. 유전자발현변화는 β-ACTIN 대조군 유전자 발현량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Tyrosinase, Tyrp-1, Tyrp-2의 Cт 값을 β-ACTIN의 Cт 값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하였으며, 2-ΔΔCt법을 통해 COL1A1 및 MMP1 의 상대적인 발현 정도를 계산하였다.
결과값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으로부터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P<0.5는 Student's t- test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결과값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도 2을 참조하면, Chlorella sp. HS-V 추출물 5, 10, 25, 50 μg/mL 처리하였을 때 B16F10 멜라닌형성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이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Chlorella sp. HS-V 추출물 25, 50 μg/mL 처리하였을 때 B16F10 멜라닌형성 세포 내 MITF, tyrosinase, TyRP-1, Tyrp-2 mRNA 발현이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4 : PKA, CREB 인산화 억제 활성 측정
B16F10 멜라닌형성 세포를 60-mm plate에 3 × 105 cells/well로 분주한 후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α-MSH(100 nM) 및 시료를 5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배양기에서 추가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여 PBS로 세척하고 4℃, 12,000 rpm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얻은 세포 pellet을 1% SDS lysis buffer로 95℃에서 10분씩 2번 가열하여 lysis하였다.
1 M Tris-HCl(pH 6.8), 50% glycerol, 25% β-mercaptoethanol, 10% SDS, 1% bromophenol blue가 함유된 5X SDS sample buffer를 첨가하여 95℃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12% SDS polyacrylamide gel에 전기 영동하여 polyvinylidene difluoride(PVDF) membranes(Millipore, Billerica, MA, USA)으로 transfer 하였다.
1차 antibody는 Mitf, Tyrosinase, β-Actin(Santa Cruz, CA, USA)과 p-CREB, CREB, p-PKA, PKA(Cell Signaling, Beverly, MA, USA)를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2차 antibody는 anti-mouse IgG-HRP, anti-rabbit IgG-HRP(Cell Signaling)와 bovine anti-goat-HRP(Santa Cruz)를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Clarity Western ECL Substrate(BioRad, Hercules, CA, USA) 용액을 membranes에 처리한 후 ChemiDoc Touch Imaging System(Bio-Rad, Hercules, CA, USA)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Chlorella sp. HS-V 추출물 25, 50 μg/mL 처리하였을 때 B16F10 멜라닌형성 세포 내 CREB, PKA의 인산화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5 : NF-кB 활성 저해능 측정
본 시험에서는 시험물질에 대한 NF-кB 활성 저해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NF-кB promoter luciferase assay 를 통해 확인하였다.
NF-кB Luciferase Reporter NIH3T3 Stable Cell 을 6-well culture plate에 1.5×105 cells/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일정농도의 시험물질을 24시간동안 전처리한 후, 염증 유도물질인 TNF-α(50 ng/mL)를 처리하여 8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수확한 후, passive lysis buffer(Promega, USA)를 첨가하여 세포 용해 및 원심분리를 수행함으로써, 세포 내의 luciferase 를 추출하였다.
상층액만 취하여 Black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luciferin(Promega , USA)을 첨가한 후, Microplate reader system(SpectraMax® i3x Multi-Mode Detection Platform;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luciferin의 발광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luciferin의 발광 정도는 BCA Protein assay Kit(Thermo)를 이용하여 총 단백질양을 산출하였다. NF-кB luciferase 활성은 일정 단백질 당 luciferin 발광 정도로 환산하였고,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NF-кB Luciferase Reporter NIH3T3 Stable Cell 내 NF-кB 활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값은 세 번의 독립적 실험으로부터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P<.05 는 Student's t- test 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결과값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Chlorella sp. HS-V 추출물 50 μg/mL 처리하였을 때 NF-кB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6 : 피부 개선 활성 비교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피부 개선 활성을 동일한 농도(50 μg/mL)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예 2 내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개선 활성을 평가하였다(표 2).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활성(실험예 2) 162.2 155.7 220.2 230.5
MITF mRNA 발현 억제 효능(실험예 3) 208 185 335 376
Tyr mRNA 발현 억제 효능(실험예 3) 110 98 170 177
Tyrp-1 mRNA 발현 억제 효능(실험예 3) 72 58 135 152
Tyrp-2 mRNA 발현 억제 효능(실험예 3) 70 61 124 155
NF-kb 활성 억제 효능(실험예 5) 435 357 590 683
상기 결과는 Chlorella sp. HS-V가 통상의 클로렐라 대비 피부 개선 활성이 현저히 우수하며, 보리새싹과 동시 적용할 때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7 : 피부 주름 개선 활성 측정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하였다.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6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피시험자는 4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제형화한 화장료를 안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켰다.
이 때, 실시예 3 및 4는 제조예 2에 따라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중수형 에멀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나머지 시료는 통상의 워터 타입으로 제형화하였다.
주름개선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Miravex, Ireland)를 적용하였으며,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 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측정변수인 Indentation index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값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의 Wrinkles small값의 변화량을 나타내었다(표 3).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수록 Wrinkles small 값의 변화량은 크다.
구분 Wrinkles small 평균값
실시예 1 1.35
실시예 2 1.38
실시예 3 1.43
실시예 4 1.47
비교예 1 1.19
비교예 2 1.07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으며, 특히 유중수형 에멀젼으로 제형화된 실시예 3 및 4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는 더욱 우수하였다.
실험예 8 : 피부 밝기 개선 활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고, 피험자 60명을 10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적용한 후 피부의 밝기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때, 실시예 3 및 4는 제조예 2에 따라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중수형 에멀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나머지 시료는 통상의 워터 타입으로 제형화하였다.
취짐 전 세안 후, 제형화된 화장료를 적용하였으며, 3주간 매일 사용하였다. 피부밝기는 LAB 측정 장비(Konica Minolta CR-300 Chroma Meter)로 확인하였다.
상기 각 시험물질의 도포 후 측정시점과 도포 개시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외하고 제형화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은 시료 대신 알부틴을 첨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 값이 2 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약 1.5 이상이면 미백 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ΔL = 도포 후, 측정 시점에서의 L 값 - 도포 개시시점에서의 L 값
구분 3주 후 밝기변화(ΔL)
대조군 -
양성대조군 2.8
실시예 1 2.3
실시예 2 2.6
실시예 3 2.8
실시예 4 2.9
비교예 1 1.8
비교예 2 1.6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밝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였으며, 유중수형 에멀젼으로 제형화된 실시예 3 및 4의 피부 개선 활성은 더욱 우수하였다.
실험예 9 : 제형 안정성 평가
제조예 2에 따라 인캡슐레이션한 에멀젼 조성물의 유화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4주간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제조예 2의 에멀젼 조성물의 변색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4주간 변색이 발생하지 않았다.
제조예 2의 에멀젼 조성물의 루테인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루테인의 성분함량 분석은 HPLC장비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층분리 및 변색이 발생할 경우 실시하지 않았다.
제조예 2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인캡슐레이션이 이루어짐에 따라 콜로이드(Colloid)가 형성되고, 인캡슐레이션의 안정화를 위해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한 나노사이즈의 미셀(Micelle)화를 통해 안정화시켰다.
인캡슐레이션된 에멀젼 조성물을 0.1%(w/w) 정제수에 희석하여 DLS(Dynamic Light Scattering) 장비로 입자 크기를 측정한 결과, 약 120nm 내지 1μm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입자 크기의 분포도가 좁을수록 에멀젼의 안정화도와 비례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igure PCTKR2019016120-appb-I000001

Claims (8)

  1.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는 Chlorella sp. HS-V(기탁번호: KCTC 13850BP)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보리새싹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유중수형(O/W)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의 직경은 1.0μm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에 있어서,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에 있어서,
    항산화 또는 항염용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 로션, 및 클렌징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PCT/KR2019/016120 2019-11-13 2019-11-22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959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96 2019-11-13
KR1020190145196A KR102390656B1 (ko) 2019-11-13 2019-11-13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5966A1 true WO2021095966A1 (ko) 2021-05-20

Family

ID=7591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6120 WO2021095966A1 (ko) 2019-11-13 2019-11-22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0656B1 (ko)
WO (1) WO2021095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639B1 (ko) * 2023-01-31 2023-08-11 주식회사 창의씨앤알 흰목이버섯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77A (ko) * 2003-03-28 2004-10-06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염증 활성을 갖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90111088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클로랜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CN102675436A (zh) * 2012-06-04 2012-09-19 集美大学 具有美白功能的小球藻类金属硫蛋白的提取方法
KR20130010250A (ko) * 2011-07-18 2013-01-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5668A (ko) * 2012-06-29 2014-02-07 애경산업(주)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1124A (ko) * 2017-03-02 2018-09-12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667A (ko) * 2017-11-03 2019-05-13 (주) 노바렉스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56116B1 (ko) * 2017-12-22 2019-12-16 주식회사 메가코스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77A (ko) * 2003-03-28 2004-10-06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염증 활성을 갖는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90111088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클로랜드 클로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KR20130010250A (ko) * 2011-07-18 2013-01-2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02675436A (zh) * 2012-06-04 2012-09-19 集美大学 具有美白功能的小球藻类金属硫蛋白的提取方法
KR20140015668A (ko) * 2012-06-29 2014-02-07 애경산업(주)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1124A (ko) * 2017-03-02 2018-09-12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639B1 (ko) * 2023-01-31 2023-08-11 주식회사 창의씨앤알 흰목이버섯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656B1 (ko) 2022-04-27
KR20210059082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9274A1 (ko)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30108567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on skin containing extracts from paper mulberry flowers and fruits
WO2017146414A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4049120A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077B1 (ko)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85858A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9013396A1 (ko)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에멀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21768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95966A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142265A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WO2020096379A1 (ko)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14597A1 (ko)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WO2012173383A2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017894A1 (ko)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138692A1 (ko) 어리연꽃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1986A (ko)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32217A1 (ko) 회화나무열매 발효액 또는 이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527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527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