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250A -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250A
KR20130010250A KR20110070920A KR20110070920A KR20130010250A KR 20130010250 A KR20130010250 A KR 20130010250A KR 20110070920 A KR20110070920 A KR 20110070920A KR 20110070920 A KR20110070920 A KR 20110070920A KR 20130010250 A KR20130010250 A KR 2013001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oneybush
fermentation broth
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368B1 (ko
Inventor
채성욱
최화정
송재형
최고야
이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68B1/ko
Priority to ES12815040.6T priority patent/ES2604709T3/es
Priority to EP12815040.6A priority patent/EP2735304B1/en
Priority to US14/233,567 priority patent/US9439849B2/en
Priority to PCT/KR2012/005503 priority patent/WO2013012197A2/ko
Publication of KR2013001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의 길이, 깊이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extracts of honeybush extract or its fermentation solu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증상이 주름(wrinkle)이다. 주름은 나이를 나타내는 하나의 현상으로서, 피부 주름 생성과 관련된 주요 기작은 피부가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ic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현상(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이러한 기작들은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의 구조에 따라 주름 발생 원인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부는 크게 표피와 진피로 나뉜다. 표피는 주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멜라닌세포(melanocytes) 및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s)로 구성되는 얇은 보호층이고, 진피는 콜라겐과 탄력섬유로 구성되는 섬유조직 및 결합조직의 두껍고 복잡한 층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요 구조 단백질로 피부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인성(toughness)을 결정하며, 탄력섬유는 피부탄성(skin resilience) 및 피부탄력(skin elasticity)에 중요하다.
표피에서는 각질 형성 세포의 턴-오버(turn-over)의 감소로 각질층의 누적과 이로 인해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각질층의 수분 함유 능력이 감소되며, 각질이 경화되어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위는 표피세포 지지, 부착, 영양물질의 이동, 표피 분화의 조절 등에 관여하는데, 각종 노화 요인으로 특히, UV 에 인하여 콜라겐 IV, VII가 감소되어 표피, 진피 지지기능이 감소되고, 선별 투과 기능이 약화되어 해로운 성분이 쉽게 진피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주름이 생성된다(Keene, J., Cell Biol., 104, pp.611-621, 1987).
진피는 표피의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조직으로 표피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처럼 치밀하게 채워져 있지 않고 세포외 공간이 많으며 세포외 간질(extracellular matrix)이라 불리는 거대 분자의 망상 구조에 의해 채워져 있다. 이 세포외 간질은 진피 내의 섬유아세포에서 만들어지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상 단백질과 히알루론산 등의 산성 뮤코다당체라 불리는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다.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 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 피부 진피층에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세포와의 부착 및 세포 분화 등에 관여한다(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01, 17(4):610-613).
피부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우리 몸으로부터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며 외부로부터 유해성분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항상 외부 자극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피부는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표정으로써 피부가 건강하고 깨끗함은 곧 사람의 아름다움과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여성 뿐 아니라 남성들도 피부 노화 등 여러 가지 피부 트러블들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이와 관련된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해서 기존에는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 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기능 또는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물질로 화장료 또는 의약품에 배합되어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안전하면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높은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에 사용되는 레티노이드에는 레티놀(retinol), 레티날(retinal), 레틴산(retinoic acid),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이 있다. 이들 중 레티놀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내인성 화합물로서 상피 조직의 분화와 성장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레틴산 등의 레티노이드에 비해 매우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의 원료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레티노이드는 피부 주름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피부 임상을 통하여 검증되었지만 제품에 처방될 경우 변색, 변취 현상이 발생하고, 소량 사용시에도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부작용이 있으며, 경시적인 변화에 의한 역가 감소와 이에 따른 효과 감소 등이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레티노이드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천연물 유래 생리 활성 물질들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레티노이드에 비하여 피부 부작용이 적고, 경시적인 화학적 변화가 적어 화장료의 안전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로 약용 식물 자원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는 멜리안투스과(-科 Melianth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남아프리카의 케이프지역(Cape region)의 서동쪽 해안의 산등성의 좁은 지역에서만 자라는 식물로, 루이보스와 매우 비슷한 점이 많은 허브이다. '허니부쉬'라는 이름은 그 꽃에서 꿀 향기가 난다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먹는 방법이나 효능은 루이보스와 비슷하지만 맛은 그보다 훨씬 더 달콤한 맛이 나는 식물이다. 허니부쉬는 주로 차로 이용되고, 탄닌이 적고 카페인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무기질(예: 철분,포타시움, 칼슘, 동, 아연, 마그네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오래전부터 감기, 불면증, 배탈을 치료할 때 이용되어 왔고,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PCT/EP2008/052863호에 허니부쉬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에 대해 나와있고, Sissing, L. et al., Nutrition and cancer, v.63, no.4, pp.600 - 610, 2011에 허니부쉬 추출물이 식도 유두종의 분화를 조절할 수 있음이 기재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그 피부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허니부쉬에서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액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의 길이, 깊이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의 길이, 깊이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모사판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 대조군;
UV: 자외선 조사군;
HB: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STC 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
도 2는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주름의 평균 길이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 대조군;
UV: 자외선 조사군;
HB: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STC 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
도 3은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주름의 평균 깊이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 대조군;
UV: 자외선 조사군;
HB: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STC 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
도 4는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Hematoxylin & Eosin(H&E) 조직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 대조군;
UV: 자외선 조사군;
HB: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STC 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
도 5는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Masson's trichome 조직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 대조군;
UV: 자외선 조사군;
HB: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STC 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
도 6은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표피 두께 변화 측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Control: 대조군;
UV: 자외선 조사군;
HB: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STC 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허니부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농축된 추출물을 건조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허니부쉬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허니부쉬는 잎, 종자, 열매, 뿌리 또는 지상부(aerial par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류 냉각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를 허니부쉬 분량에 2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배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상온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3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3회인 것이 바람직하고, 2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계 4)의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허니부쉬 발효액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동물성 밀크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2) 단계 1)의 접종액에 탄소원 및 허니부쉬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 1)의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효를 위해 이용되는 유산균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단계 1)의 유산균은 MRS(de Man, Rogosa, & Sharpe)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효를 위한 유산균의 배양에 이용되는 배지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단계 1)의 유산균은 3 × 104 내지 3 × 106 CFU/ml 접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 105 CFU/ml 접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의 탄소원은 글루코오스(glucose), 또는 설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의 허니부쉬 추출물은 전체 접종액 기준으로 3 내지 10%(v/v)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6%(v/v)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v/v)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의 발효는 35 내지 38 ℃의 배양기에서 1 내지 3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37 내지 38 ℃의 배양기에서 1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의 길이, 깊이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6 참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에센스,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추출물이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외에 공지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원료를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며,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원료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주름 개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된 기능성 원료이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마이드, 콜라겐, TGF 및 동물태반 유래의 단백질 등이며, 상기 고시 원료는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고시 원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추가의 주름 개선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중량%는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 피부 안전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의 길이, 깊이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제,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우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롤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경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당 본 발명의 추출물을 0.01 ~ 500 ㎎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1 ~ 100 ㎎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0.5 ml 내지 5.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은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의 길이, 깊이 및 표피층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조직의 파괴 반응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카라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은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외에 공지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원료를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건강식품의 주름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며,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원료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주름 개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건강기능식품으로 고시된 기능성 원료이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알로에겔 등이며, 상기 고시 원료는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고시 원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추가의 주름 개선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중량%는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 피부 안전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허니부쉬 추출물의 제조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는 리뉴얼라이프(http://www.renewallife.com)로부터 구입하였고, 구입한 시료는 온도 5.5±0.3℃ 습도 50±5%로 유지되는 약재보관용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허니부쉬 추출물은 허니부쉬 총중량 25 g에 물 220 ml을 사용하여, 1 시간씩 2회 환류 냉각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추출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4.3 g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허니부쉬 발효액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해 동물성 밀크(흰우유) 100 mL에 MRS(de Man, Rogosa, & Sharpe) 배지에서 배양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 1 mL(3×105 CFU/ml)을 접종하였고, 이후 접종액에 설탕 3 g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허니부시 추출물 5 %(w/v)를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혼합물을 37 ℃ 배양기에서 1일 동안 발효시켜 허니부쉬 발효액 100 g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의 모사판 분석을 통한 주름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사판 분석을 수행하였다.
<1-1> 실험동물 및 시료투여
실험동물로는 7주령의 수컷 무모쥐(male HR-1, hairless mice, Japan SLC, Inc.)를 이용하였고,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적응기간 중 일반 상태를 관찰하여 건강한 상태의 동물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사육환경은 온도 23±3℃, 습도 50±5%, 명암주기 12시간(07:00-19:00/조명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실험기간 중 실험동물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케이지(200×320×450 mm, Three-shine Co., Daejeon, Korea)에 군당 5마리로 사육하였고, 사료는 마우스 전용사료 5L79(Charles river, USA)를 자유 급이하였으며, 음수는 자외선으로 소독한 상수도수를 자유 급이하였다.
시료의 투여는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 자외선 조사군(UV), 허니부쉬 투여군(HB),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STC HB)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시료의 투여는 마우스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하였으며, 투여기간은 총 8주로 주 5일 동안 투여하였다.
실험군별 자외선 조사 및 용량
실험군 자외선 용량
대조군 × -
자외선 조사군 자외선멸균수: 5ml/kg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HB) 100 mg/kg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STC HB) 5 ml/kg
<1-2> 자외선 조사
자외선조사는 대조군을 제외한 실험군에 8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자외선은 UVB 램프(Mineralight UV Display lamp, UVP, USA)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1-2주간은 60 mJ/cm2, 3-5주는 90 mJ/cm2, 6-8주는 120 mJ/cm2로 8주 동안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은 광측정기(Delta OHM, Italy)를 이용하여 광량을 측정한 후 조사시간으로 조절하였다.
<1-3> 모사판 분석을 통한 주름 개선 효능 평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의 각 무모 생쥐군의 등피부 부위에 실리콘고무로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사판 제작은 Repliflo Cartridge Kit(CuDerm Corporation, USA)를 사용하였고, 등 부분에 얇게 펴 바르고 완전히 말린 다음 디스크를 조심스럽게 떼어서 모사판을 제작하였다. 모사판 제작은 온도 20-22 ℃, 습도 40-50%의 항온항습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굵고 깊게 패인 주름과 잔주름이 유발되었고,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굵은 주름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아울러,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해 굵은 주름이 완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보다 굵은 주름이 더욱 완화되어 정상 대조군에 가까운 양상을 띄었다.
이를 통해,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자외선 조사로 인해 생성된 피부 주름에 대해 현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4> 주름의 길이 및 깊이 분석을 통한 주름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주름의 길이 및 깊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3>에서 제작된 모사판을 Visioline VL650 장비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 길이를 측정하였다. 특별한 광원이 통과되도록 제작된 표준 카트리지에 모사판을 끼우고 광원을 입사각 35도로 통과시켜 모사판의 두께에 따라 생성되는 그림자 명암 영상을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파일화한 후 컴퓨터 영상분석 시스템인 Skin Visiometer VL65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와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후, 얻어진 결과치는 one-way ANOVA와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p<0.05).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은 대조군에 비해 주름의 길이가 증가하였고, 이에 반해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0.89%의 주름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주름 길이가 28% 감소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p<0.05)(도 2).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은 대조군에 비해 피부 주름의 깊이가 증가하였고, 이에 반해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주름 깊이가 17% 감소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p<0.05)(도 3).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투여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피부 주름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으며, 허니부쉬 발효액의 투여가 허니부쉬 추출물의 투여에 비해 우수한 주름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조직 염색에 의한 주름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피부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무모생쥐의 피부조직을 떼어낸 후, 조직 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1>의 각 무모생쥐군의 피부조직을 적출하고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세, 탈수, 투명, 침투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고 4 um 두께로 절편을 만든 다음 Hematoxylin & Eosin (H&E) 염색, Masson's trichome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H&E 염색 결과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각질층이 일어났고, 표피두께 또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에 반해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은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각질층이 완화되었고, 표피두께 또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또한, Masson's trichome 염색 결과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은 각질층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표피층의 두께도 두껍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의 대부분은 진피층으로 콜라겐부위가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자외선 조사군은 각질층이 굵게 형성되었고, 콜라겐 섬유가 관찰되지 않았고, 반면에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 및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은 콜라겐 섬유가 자외선조사군에 비해서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도 5).
아울러, 2가지 조직 염색 결과 모두에서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이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에 비해 각질층 완화, 표피두께 감소 효과 및 콜라겐 섬유의 증가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염색의 결과에서도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및 허니부쉬 발효액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허니부쉬 추출물에 비해 허니부쉬 발효액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표피 두께 변화 변화에 의한 주름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의 주름 개선 효과를 표피두께 변화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표피 두께는 상기 <실험예 2>의 H&E 염색을 실시한 조직의 케라틴 층(keratin layer)에서 표피 기저 막까지의 두께를 현미경에 장착된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얻어진 결과는 one-way ANOVA와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p<0.05).
그 결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군은 대조군에 비해 표피두께가 증가되었고, 이에 반해, 허니부쉬 추출물 및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의 표피 두께는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각각 40% 및 56%로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하였다(도 6).
또한, 허니부쉬 발효액 투여군은 허니부쉬 추출물 투여군에 비해서는 유의성있는 주름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p < 0.05).
따라서,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및 이의 발효액은 표피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키므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허니부쉬 추출물에 비해 허니부쉬 발효액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제조예 1>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는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2> 영양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크림은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1-3> 에센스의 제조
구분 원료 함량(중량부)
수상



1 정제수 70.58
2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8.00
3 메틸파라벤 0.15
4 하이알루론산 추출물 2.50
5 글리세린 8.00
유상

6 프로필파라벤 0.10
7 레시틴 0.60
8 마카데미아 넛 오일 10.0
첨가제 9 향료 0.07
상기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정제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메틸파라벤, 하이알루론산 추출물, 글리세린을 계량하여 80±2℃에서 혼합하여, 수상(water phase)을 완성하였다. 또한, 프로필파라벤, 레시틴, 마카데이마 넛 오일을 계량하여 80±2℃에서 혼합하여 유상(oil phase)을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면서 두 개의 상(phase)이 서로 섞이도록 하여 에멀젼 형태의 혼합물을 만들었고, 상기 혼합물에 향료를 첨가하고 35 ℃ 까지 냉각시켜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의 제조
<2-1>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럽제는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2
사카린 0.8
25.4
글리세린 8
향미료 0.04
에탄올 4
소르브산 0.4
증류수 60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는 하기 [표 6]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250
락토오스 175.9
감자전분 180
콜롱드성 규산 32
10% 젤라틴 용액 5
감자전분 160
활석 5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250 중량부, 락토오스 175.9 중량부, 감자전분 180 중량부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매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하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중량부, 활석 50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3-6> 초콜릿( chocolate )의 제조
카카오버터 30.0 중량부
전지분유 30.0 중량부
분당 41.85 중량부
레시틴 0.45 중량부
향료 0.1 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0.6 중량부
상기와 같은 제조비로 혼합하여,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초콜릿을 제조하였다.
<3-7> 카라멜의 제조
물엿 37.43 중량부
정백당 5.33 중량부
식물성 유지 9.35 중량부
유화제 0.018 중량부
소금 0.056 중량부
탈지분유 28.07 중량부
가당연유 3.74 중량부
생크림 5.61 중량부
항료 0.07 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10.326 중량부
상기와 같은 제조비로 혼합하여,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카라멜을 제조하였다.
<3-8> 캔디의 제조
설탕 50.0 중량부
물엿 33.0 중량부
구연산 1.0 중량부
향료 0.2 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0.4 중량부
물 15.4 중량부
상기와 같은 제조비로 혼합하여,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캔디를 제조하였다.
<3-9> 빵의 제조
계란 2 개
설탕 50 중량부
박력분 33.5 중량부
옥수수녹말 6.6 중량부
베이킹파우더 3.3 중량부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6.6 중량부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반죽하여 오븐에서 적당히 익힘으로써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빵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
<4-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자외선 조사에 따른 피부 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품, 피부 외용제, 약제 또는 건강식품의 개발 및 제품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은
    1) 동물성 밀크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단계;
    2) 단계 1)의 접종액에 탄소원 및 허니부쉬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유산균은 3 ×104 내지 3 ×106 CFU/ml 접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허니부쉬 추출물은 전체 접종액 기준으로 3 내지 10 %(v/v)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발효는 35 내지 38 ℃의 배양기에서 1 내지 3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다른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주름 개선 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마이드, 콜라겐, TGF 및 동물태반 유래의 단백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2. 허니부쉬(Cyclopia intermedia, honeybush)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은 다른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주름 개선 성분은 클로렐라, 스피루리나, N-아세틸글루코사민 및 알로에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10070920A 2011-07-18 2011-07-18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20A KR101295368B1 (ko) 2011-07-18 2011-07-18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ES12815040.6T ES2604709T3 (es) 2011-07-18 2012-07-11 Composición para prevenir o atenuar las arrugas de la piel que contiene extracto de honeybush fermentado como principio activo
EP12815040.6A EP2735304B1 (en) 2011-07-18 2012-07-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skin wrinkles containing fermented honeybush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US14/233,567 US9439849B2 (en) 2011-07-18 2012-07-1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skin wrinkles containing honeybush extract or fermented honeybush as an active ingredient
PCT/KR2012/005503 WO2013012197A2 (ko) 2011-07-18 2012-07-11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20A KR101295368B1 (ko) 2011-07-18 2011-07-18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50A true KR20130010250A (ko) 2013-01-28
KR101295368B1 KR101295368B1 (ko) 2013-08-09

Family

ID=4755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920A KR101295368B1 (ko) 2011-07-18 2011-07-18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39849B2 (ko)
EP (1) EP2735304B1 (ko)
KR (1) KR101295368B1 (ko)
ES (1) ES2604709T3 (ko)
WO (1) WO201301219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22A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휴온스 허니부쉬 추출물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7213346A1 (ko) * 2016-06-09 2017-1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10438797B2 (en) 2016-09-06 2019-10-08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of quasi atomic layer etching
WO2021095966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진셀팜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402203TA (en) * 2011-11-11 2014-06-27 Red Dawn Ip Holdings Pty Ltd Improv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lcoholic beverages and products produced by such process
KR101761125B1 (ko) * 2014-04-29 2017-07-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허니부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691344T3 (da) 1992-12-28 2003-07-14 Hayashibara Biochem Lab Oprensning af trehalose
JPH0770165A (ja) 1993-06-28 1995-03-14 Hayashibara Biochem Lab Inc 非還元性オリゴ糖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WO2003092413A1 (en) 2002-05-02 2003-11-13 Gardian Cipla (Pty) Ltd Food supplement
FR2879446B1 (fr) * 2004-12-20 2007-07-06 Biolog Vegetale Yves Rocher Sa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cyclopia sp
AU2006250961B2 (en) * 2005-05-23 2012-02-23 The Red Espresso Company (Proprietary) Limited A bush tea product
KR20090043491A (ko) * 2006-08-30 2009-05-06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주름 형성 억제제
WO2010000577A2 (en) * 2008-06-09 2010-01-07 Nestec S.A. Use of honeybush or honeybush extracts for skin and ha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522A1 (ko) * 2014-12-30 2016-07-07 주식회사 휴온스 허니부쉬 추출물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7213346A1 (ko) * 2016-06-09 2017-1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10438797B2 (en) 2016-09-06 2019-10-08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of quasi atomic layer etching
WO2021095966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진셀팜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5304A2 (en) 2014-05-28
WO2013012197A3 (ko) 2013-04-11
US20140127189A1 (en) 2014-05-08
WO2013012197A2 (ko) 2013-01-24
EP2735304B1 (en) 2016-09-14
ES2604709T3 (es) 2017-03-08
KR101295368B1 (ko) 2013-08-09
US9439849B2 (en) 2016-09-13
EP2735304A4 (en)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4589A (ja) ティンダル化乳酸菌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保湿又はシワ改善用組成物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3788A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20210330575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adventitious root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as effective ingredient
KR101712608B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15294B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30043438A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0653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조성물
US2022019316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polygama extract for alleviating skin damage or moisturizing skin
KR20230166330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KR101702493B1 (ko) 보르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37935B1 (ko)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168850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40076126A (ko) 진득찰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4628A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20008930A (ko) 바닐라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09590B1 (ko) 진세노사이드 C-Mx1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220144652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