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5858A1 -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5858A1
WO2022085858A1 PCT/KR2020/017236 KR2020017236W WO2022085858A1 WO 2022085858 A1 WO2022085858 A1 WO 2022085858A1 KR 2020017236 W KR2020017236 W KR 2020017236W WO 2022085858 A1 WO2022085858 A1 WO 20220858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wangchil
extract
sap
extractio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2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연주헌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웰에이징엑소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에이징엑소바이오 filed Critical ㈜웰에이징엑소바이오
Publication of WO20220858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58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4Supercrit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and food composition of hwangchil extra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a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 DPPH is being used as a biomarker to identify this antioxidant effect.
  •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say is relatively simple and can measure antioxidant activity within a short time, and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 the whitening action suppresses th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melanin.
  • Melanin is produced through enzymatic and non-enzymatic oxidation reactions of tyrosine in cells called melanocytes that exist in the basal layer of the epidermis, and is transferred to keratinocytes constituting the epidermis.
  • Important enzyme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include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and dopachrome tautomerase. In addition to tyrosinase, these two enzymes are attracting attention for their whitening effect, but the enzyme that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synthesis of melanin is tyrosinase.
  • the first step in melanin biosynthesis is induced by tyrosinase. Tyrosine is converted to dopa by tyrosinase and this dopa is converted to dopa-quinone.
  • the next steps of these two reactions are known to be possible by a non-enzymatic reaction, and it is known that melanin production is possible even with tyrosinase alone.
  • Natural aging is a process that occurs after collagen synthesis and collagen transcription. Natural aging occurs when the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 factor of the skin decreases, and the skin becomes thin, dry, and wrinkled with aging.
  • Photoaging is aging caused by ultraviolet rays, and inflammatory factors (tumor necrosis factor- ⁇ , tumor necrosis factor- ⁇ , nitric oxide) are generated by ultraviolet rays. Accordingly, collagen synthesis is inhibited and collagen-decomposing enzymes are expressed and photoaging is induced, resulting in skin erythema, roughness, wrinkles, and blackening.
  • Some compounds such as ascorbic acid, hydroquinone, kojic acid, and arbutin hav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are used as raw materials for whitening cosmetics.
  • its use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stability in the prescription system, decomposition and coloring, the occurrence of off-flavor, efficacy at the biological level, unclear effects, and safety issues.
  • the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has been proven, the effect is sometimes low in experiments similar to the actual biological level.
  • Hydroquinone is regulated as a carcinogen and its use is prohibited. For the above reason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use a natural extract having excellent whitening effect without causing irritation such as inflammation, and a method for effectively enhancing the whitening effect is being develop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conducting research to develop a new natural material that has no toxicity and few side effects, and h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s were excell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kin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ymptoms caused by inflammation or oxidation of the ski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wangchil may be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 Dendropanax morbiferus ).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the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kin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the step of topically applying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to an individual in an effective amou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the extract of hwangchil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the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ymptoms caused by inflammation or oxidation of the skin, comprising the step of topically applying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to an individual in an effective amount.
  •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effects in inhibiting reactive oxygen species, inhibiting NO production, inhibiting tyrosinase, and inhibiting MMP-1. Therefore, the extract can be usefully used as a cosmetic or food composition for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without toxicity and side effects.
  • 1 is a graph showing the yield (%)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extracted from hwangchil tree sap, leaves and branch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Hwangchil tree sap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C/MS: delta-cardinine (delta-Cadinene), gamma-murolene (gamma-Muurolene), alpha-murolene ( Spectra for alpha-Muurolene), beta-Selinene and alpha-copaene.
  • delta-cardinine delta-Cadinene
  • gamma-murolene gamma-Muurolene
  • alpha-murolene Spectra for alpha-Muurolene
  • beta-Selinene beta-Selinene
  •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wangchil sap oil
  •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NO production (NO prduction)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wangchil sap oil) and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tyrosinase activity (tyrosinase activity, %)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wangchil sap oil) and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MMP-1 inhibitory activity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wangchil sap oil) and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a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extract refers to a preparation obtained as a leachate by using an appropriate solvent as it is or by pulverizing the raw material to be extracted, and concentrated by evaporating the leachate.
  • the extrac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treatment, a diluted or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prepared product or a purified product thereof.
  • the hwangchil tree extract is a concept including all extracts, fractions and purified substances obtained in each step of extraction, fractionation or purification, their dilutions, concentrates, or dried substances.
  • Hwangchil tree ( Dendropanax morbiferus ) is a genus of Araliaceae, and about 75 species are distributed in East Asia, the Malay Peninsula,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1 species is distributed in Korea. Looking at the distribution map of Korean Hwangchil tree, it is known that it grows wild in Jeju Island, Jeollanam-do Wando, Bogil-do, Daeheuksan-do, Geomun-do, Jeollabuk-do Eocheong-do, and Gyeongsangnam-do coastal areas. It is an evergreen broad-leaved tree that does not lose its leaves even in winter.
  • Hwangchil When the bark is injured, a yellow resin solution (sap) comes out, which is called “hwangchil”.
  • Hwangchil tree has been studied so far, it has been found that Hwangchil and Hwangchil tree leaf extract fractions are effective in anticancer, hepatocyte regeneration, diabetes treatment effect, and hard tissue cell regeneration.
  • the hwangch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p, bark, flowers, leaves, stems, fruits, branches, seeds and roots of Hwangchil tree ( Dendropanax morbiferus ). Not limited. Preferably, it may mean a site containing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 the hwangchil tree sa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solid form.
  • the sap of the solid (solid) flowed from the tree by making a wound on the stem of the hwangchil tree was collected and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refers to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 SF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Supercritical fluid is a term indicating a state of matter having a temperature and pressure above the critical point.
  • the density of the supercritical fluid is similar to that of a liquid, but the viscosity is as low as that of a gas, so that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the supercritical fluid is hundreds or thousands of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liquid. Therefore, since the supercritical fluid has a small viscosity like gas, the sample penetration is good, so the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and since the diffusion coefficient is larg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quickly accessing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material.
  • carbon dioxide which is a non-polar solvent having a very strong extractive power
  • the carbon dioxide may be used alone or mixed with ethanol, isoprop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s an auxiliary solvent.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supercritical extraction using only carbon dioxide without adding an auxiliary solvent.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100 to 500 bar,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250 to 500 bar,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300 to 500 bar. there is.
  •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effect may be excellen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pressur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 extraction at a pressure of 350 to 450 bar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pressure of 390 to 410 bar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for 100 to 300 minutes, preferably extraction for 100 to 250 minutes,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for 150 to 230 minutes. If the extraction time is less than or more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whitening or wrinkle-improving effect may be excellen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tim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For the improvement of the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traction for 160 to 200 minutes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for 170 to 190 minutes is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 to 100°C,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to 80°C,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0 to 60°C. it could be In the case of extraction at a temperature lower or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whitening or wrinkle-improving effect may be excellen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For the improvement of the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5 to 55° C.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8 to 52° C. is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prepared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as superio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MP-1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prepared using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has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s was confirmed to be excellent (see Experimental Examples 6 to 7).
  • the extract is delta-cardinine (delta-Cadinene), gamma-murolene (gamma-Muurolene), alpha-murolene (alpha-Muurolene), beta-seline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Selinene) and alpha-copaene, and may include all of the above components.
  •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delta-cardinine, gamma-murolene, alpha-murolene, beta-selinene and alpha-copain.
  • ethanol was used as an auxiliary solv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bove component was not contained (see Experimental Example 2).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oisture cream, massage cream, essence, paste, mask pack, patch,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cleanser, oil, foundation, makeup base, wax And it may be one or mor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rays. Components other than the above component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formul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ifficulty according to other formulations or purposes of use.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example, a solution, a gel, a solid or kneaded anhydrous product, an emulsion obtained by dispersing an oil phase in an aqueous phase, a suspension, a microemulsion, a microcapsule, a microgranule or an ionic (liposome), a non-ionic vesicle dispersant
  •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ream, toner, lotion, oil, powder, ointment, spray or concealer stick.
  •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oam or an aerosol composition further containing a compressed propellant.
  •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ing agent and a gelling agent, an emolli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Commonly used in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ing agent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s, lipid vesicles or cosmetics It may contain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such as any other ingredients that are used. These adjuvants are introduced in amounts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ology.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1 to 50%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in a cosmetic composition usually contained therein.
  • a fatty substance an organic solvent, a solubilizer, a thickening agent and a gelling agent, an emollient, an antioxidant, a suspending agent, a stabilizer, a foaming agent, a fragrance, a surfactant ,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sequestering and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vitamins, blocker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lipid vesicles or for external use on the skin It may contain adjuva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such as any other ingredients used as a skin care product. In addition, the above ingredients may be introduced in an amount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dermatology.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kin condition or taste of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a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wangch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p, bark, flowers, leaves, stems, fruits, branches, seeds and roots of Hwangchil tree ( Dendropanax morbiferus ). Not limited. Preferably, it may mean a site containing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 the hwangchil tree sa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solid form.
  • the sap of the solid (solid) flowed from the tree by making a wound on the stem of the hwangchil tree was collected and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supercritical extraction using only carbon dioxide without adding an auxiliary solvent.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100 to 500 bar,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250 to 500 bar,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300 to 500 bar. there is.
  •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effect may be excellen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pressur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 extraction at a pressure condition of 350 to 450 bar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pressure condition of 390 to 410 bar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for 100 to 300 minutes, preferably extraction for 100 to 250 minutes,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for 150 to 230 minutes. If the extraction time is less than or more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whitening or wrinkle-improving effect may be excellen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tim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For the improvement of the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traction for 160 to 200 minutes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for 170 to 190 minutes is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 to 100°C,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to 80°C,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0 to 60°C. it could be In the case of extraction at a temperature lower or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whitening or wrinkle-improving effect may be excellen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For the improvement of the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5 to 55° C.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8 to 52° C. is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prepared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as superio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MP-1 inhibitory activity than the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prepared using a solvent extraction method, and has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s was confirmed to be excellent (see Experimental Examples 6 to 7).
  • the extract is delta-cardinine (delta-Cadinene), gamma-murolene (gamma-Muurolene), alpha-murolene (alpha-Muurolene), beta-seline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Selinene) and alpha-copaene, and may include all of the above components.
  •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delta-cardinine, gamma-murolene, alpha-murolene, beta-selinene and alpha-copain.
  • ethanol was used as an auxiliary solv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bove component was not contained (see Experimental Example 2).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food composition, the extract can be added to various foods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is form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smetic composition to form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r health food composition. It can be used in the form, and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foods examples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etc.
  • food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in component to juice, tea, jelly and juice.
  •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pills, etc.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useful in the human body.
  • 'functionality' refers to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or physiological effect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ordinary technical field, and at the time of the preparation,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conventional technical field.
  • the dosage form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also be manufactu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dosage form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are no side effects that may occur when taking the drug for a long period of time, unlike general drugs, because it uses food as a raw material, and it is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can be consumed as a supplement to enhance the effect of antioxidants. It is possibl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ood additiv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term "food supplement additive” refers to a component that can be supplementally added to food, and is added to manufacture health functional food or health food of each formul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select and use it.
  • food supplement additives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synthetic flavoring agents and flavoring agents such as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filler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 pH adjuster, stabilizer,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carbonation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but the above examples are not limited to the type of food supplement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prepared by mixing known additives with other suitable auxiliary ingredients that may be contain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a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wangch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p, bark, flowers, leaves, stems, fruits, branches, seeds and roots of the hwangchil tree ( Dendropanax morbiferus ). Not limited. Preferably, it may mean a site containing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 the hwangchil tree sa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solid form.
  • the sap of the solid (solid) flowed from the tree by making a wound on the stem of the hwangchil tree was collected and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only carbon dioxide without adding an auxiliary solvent.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100 to 500 bar,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250 to 500 bar,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300 to 500 bar. there is.
  •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excellent.
  • extraction at a pressure of 350 to 450 bar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pressure of 390 to 410 bar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for 100 to 300 minutes, preferably extraction for 100 to 250 minutes,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for 150 to 230 minutes. If the extraction time is less than or more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tim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excell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extraction for 160 to 200 minutes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for 170 to 190 minutes is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 to 100°C,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to 80°C,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0 to 60°C. it could be In the case of extraction at a temperature lower or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excellent.
  •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5 to 55° C.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8 to 52° C.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prepared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as less cytotoxicity than the ethanol extract of hwangchil tree sap prepared using a solvent extraction method, so cell viability is high, DPPH radical generation, that is, reactive oxygen spe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y and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ere excellent, an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xcellent (see Experimental Examples 3 to 5).
  •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ffect of alleviating skin irritation and inflammation induced by nitric oxide (NO)-mediated inflammation.
  • NO nitric oxide
  • the extract is delta-cardinine (delta-Cadinene), gamma-murolene (gamma-Muurolene), alpha-murolene (alpha-Muurolene), beta-seline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Selinene) and alpha-copaene, and may include all of the above components.
  •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delta-cardinine, gamma-murolene, alpha-murolene, beta-selinene and alpha-copain.
  • ethanol was used as an auxiliary solv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bove component was not contained (see Experimental Example 2).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food composition
  • a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wangch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ap, bark, flowers, leaves, stems, fruits, branches, seeds and roots of the hwangchil tree ( Dendropanax morbiferus ), but Not limited.
  • it may mean a site containing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the sap of the hwangchil tree.
  • the hwangchil tree sap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 solid form.
  • the sap of the solid (solid) flowed from the tree by making a wound on the stem of the hwangchil tree was collected and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a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only carbon dioxide without adding an auxiliary solvent.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100 to 500 bar,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250 to 500 bar,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under a pressure condition of 300 to 500 bar. there is.
  •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excellent.
  • extraction at a pressure of 350 to 450 bar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pressure of 390 to 410 bar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for 100 to 300 minutes, preferably extraction for 100 to 250 minutes,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for 150 to 230 minutes. If the extraction time is less than or more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In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under the time conditions in the above range,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excell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extraction for 160 to 200 minutes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for 170 to 190 minutes is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10 to 100°C,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to 80°C, and more preferably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0 to 60°C. it could be In the case of extraction at a temperature lower or higher than the above range, the desired active ingredient may not be easily extracted or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excellent.
  •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5 to 55° C. may be the most preferable, and extraction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48 to 52° C. is particularly preferred.
  • the prepared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as less cytotoxicity than the ethanol extract of hwangchil tree sap prepared using a solvent extraction method, so cell viability is high, DPPH radical generation, that is, reactive oxygen spe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activity and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ere excellent, an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xcellent (see Experimental Examples 3 to 5).
  • the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ffect of alleviating skin irritation and inflammation induced by nitric oxide (NO)-mediated inflammation.
  • NO nitric oxide
  • the extract is delta-cardinine (delta-Cadinene), gamma-murolene (gamma-Muurolene), alpha-murolene (alpha-Muurolene), beta-selinene 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Selinene) and alpha-copaene, and may include all of the above components.
  •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delta-cardinine, gamma-murolene, alpha-murolene, beta-selinene and alpha-copain.
  • ethanol was used as an auxiliary solv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above component was not contained (see Experimental Example 2).
  •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from a natural plant as a raw material, even when used as a pharmaceutical, food or cosmetic composition, side effects may be less than that of a general synthetic compound, so it is safely used in health functional food, health food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ed and may be usefu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kin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the step of topically applying to an individual an effective amount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the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symptoms caused by inflammation or oxidation of the skin, comprising the step of topically applying to an individual an effective amount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comprising the hwangchi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t's about how
  • the symptoms caused by inflammation or oxidation of the skin may mean skin irritation and inflammation induced by nitric oxide (NO)-mediated inflammation.
  • NO nitric oxide
  • the term "effective amount” means skin whitening,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irritation, skin damage, symptoms caused by skin inflammation, and skin oxidation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cosmetics. I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improve the induced symptoms,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depends on the individual type and degree of damage, irritation, wrinkles, whitening, aging, elasticity, age, sex, active ingredient activity, and active ingredient. Sensitivity, application time, application period, factors including other active ingredients used at the same time,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cosmetic field may be determined.
  • Hwangchil tree sap was collected at Buyonghwangchil Farm in Bogildo, Wando, Jeollanam-do, by carefully separating the solid sap from the tree by making a straight cut on the stem.
  • the collected hwangchil tree sap solid was extracted using a supercritical extraction device (500 ml of equipment for supercritical fluid basic research, Ilshin Autoclave).
  • Hwangchil tree sap solids were injected in an amount of 96 g into a supercritical extraction device,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performed at 50° C. by adjusting the pressure to 400 bar.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as 60 ml/min,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180 minutes. The extracted extract was recovered and concentrated using a concentrator to obtain a supercritical extract of Hwangchil tree sap (Example 1).
  • Hwangchil tree sap extract (95% EtOH extracts) extracted using a 95% (v/v) ethanol (EtOH) aqueous solution by the above method was denoted as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 the first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and then the second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ethanol as a co-solvent.
  • a supercritical extraction (primary extraction) was performed by injecting a solid of Hwangchil tree sap into a supercritical extraction device in an amount of 96 g, and adjusting the pressure to 400 bar at 50°C.
  • the flow rate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as 60 ml/min,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180 minutes. Recovering the extracted primary extract, and then supplying 95% (v/v) aqueous ethanol solution (95% alcohol) as a co-solvent as well as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to the secondary of the Hwangchil tree sap raw material subjected to the primary extraction Extraction was carried out.
  • the flow rat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ere maintained the same as in the first extraction, and the flow rate of ethanol as an auxiliary solvent was injected for 100 minutes at 2 ml/min.
  • the extraction time was maintained for 60 minutes, and the extracted secondary extract was recovered.
  • the total extraction time including the primary extraction time, the auxiliary solvent injection time, and the extraction holding time after the auxiliary solvent injection, was 340 minutes.
  • the primary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secondary supercritical extraction extracts were recovered and concentrated using a concentrator to obtain a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Comparative Example 2) using ethanol as a co-solvent.
  • Hwangchil tree leaves and branches were purchased from Buyong Hwangchil Farm.
  • Hwangchil tree leaf supercritical extract and hwangchil tree branch supercritical extract were prepared from hwangchil tree leaves and branches using the sam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as in Example 1. The yield and form were compared with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Hwangchil tree sap of Example 1.
  • Yield (yield, %) (number of g extracted)/(number of g before extraction) ⁇ 100
  • Equation 1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yield using Equation 1 are as shown in FIG. 1 , and the sap of Hwangchil tree sap is 27.3%, the leaves are 4.23%, and the branches are 3.37%.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ion was performed in a yield of 8.1 times.
  •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C/MSD, and the column was DB-1HT (30 m ⁇ 0.25 mm ⁇ 0.1 ⁇ m) capillary,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t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60°C and an oven temperature of 70-300°C. carried out.
  • Example 1 400 bar, 50° C., 180 min
  • Comparative Example 2 400 bar, 50 °C, + 2ml alcohol, 100 min
  • Library searching R.T (min) % of total Quality (%)
  • One Delta-Cadinene 10.836 11.988 99 - - - 2
  • Gamma-Murolene 10.170 13.937 99 - - - 3
  • Alpha-Muurolene 10.500 2.514 99 - - - 4 alpha-copaene 8.697 1.013 99 - - - -
  • Example 1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wangchil sap oil) of Example 1 and the hwangchil tree sap ethanol extract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1,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 radical inhibitory activity was confirmed. At this time, the extract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treated at concentrations of 25, 12.5, 6.25, 2.5, and 1.25 mg/mL, and ascorbic acid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 a 0.2 mM DPPH solution was prepared.
  • the DPPH solution and each sampl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ascorbic acid) were mixed in a volume ratio of 3:1, stirred, and left for 30 minutes,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5 nm wavelength using an ELISA reader device.
  • the antioxidant activity (%) was calculated and shown in FIG. 3 as compared to the control (control) not treated with the sample.
  • RAW 264.7 cel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urchased from Korea Cell Line Bank (Korea) and used.
  • raw 264.7 cells were seeded into each well at a concentration of 2 ⁇ 10 5 cell/mL by 500 ⁇ l, and cultured in a cell incubator (37° C., 5% CO 2 ) for 24 hours.
  • the cultured cells were treated with Hwangchil sap oil and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at concentrations of 10, 100, 200 and 500 ⁇ g/mL, respectively,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n treated with 10 ⁇ l of EZ-Cytox and reacted in the incubator for 1 hour. made it Thereafter, absorbance was measured with an ELISA reader at a wavelength of 450 nm. Cell viability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 compared to the value of normal cells (control; C).
  • the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had higher cytotoxicity to RAW 264.7 cells than the hwangchil sap oil under the same concentration conditions.
  • the cell viability was more than 90% up to 100ug/ml, showing almost no toxicity to RAW 264.7 cells.
  • the hwangchil sap oi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at a specific concentration of 100 to 200 ⁇ g/ml, showing a critical significance.
  • NO nitric oxide
  • the concentration of NO was measured using the griess reagent system for the concentration of NO in the culture medium.
  • RAW 264.7 cells were seeded into each well at a concentration of 2 ⁇ 10 5 cell/mL by 500 ⁇ l, and cultured in a cell incubator (37° C., 5% CO 2 ) for 24 hours.
  • Hwangchil sap oil and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were prepared to have concentrations of 0, 1, 10, 50, and 100 ⁇ g/mL, respectively, and each sample was treated with 50 ⁇ L of the cultured raw 264.7 cells.
  • raw 264.7 cells treated with each sample were treated with LPS (lipopolysaccharide) 10 ⁇ g/mL, and cultured for 24 hours.
  • LPS lipopolysaccharide
  • Each well was treated with 50 ⁇ l of N1 buffer in 100 ⁇ l of the cell supernatant, and allowed to reac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 50 ⁇ l of N2 buffer was treated in each well and allowed to react for 10 minutes.
  • Absorbance was measured at 562 nm after the reaction.
  • the NO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was determined using a standard curve for each concentration of the nitrite standard, and is shown in FIG. 5 .
  • B16BL6 cells were aliquoted in a 24-well plate by 1 ⁇ 10 5 cells/well, and after 1 hour, 100 nM of ⁇ -MSH and 50 ⁇ L of each sample were treated in the cultured B16BL6 cells, and then cultured for 24 hours. did. Then, each sample of Hwangchil sap oil or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was treated with 1, 10, 50, 100 ⁇ g/ml by concentration,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washing twice with PBS and treatment with 1% Tris-x 100 (pH 6.8), it was frozen at -80°C for 30 minutes and then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 the tyrosinase activity was measured with the protein-containing supernatant and L-DOPA (2 mg/ml) by centrifugation at 12000 rpm at 4° C. for 15 minutes. At this time, the tyrosinase activity (%) in the cell was measured with an ELISA microplate reader absorbance at 490 nm and shown in FIG. 6 .
  • Hwangchil sap oil (supercritical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95% EtOH extract) and decreas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dicating excellent whitening activity was confirmed.
  • the sample was added to each well of the Hwangchil sap oil or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at each concentration, 37°C, 5% CO 2 Incubated in the environment for 24 hours.
  • TNF- ⁇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0 ng/mL.
  • the culture medium was harvested and centrifuged for 5 minutes at 4° C., 5000 rpm, and MMP-1 (Human Total MMP-1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using ELISA method. ) of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MMP-1 level) was confirmed.
  • the analyzed results are shown in FIG. 7 .
  • the inhibitory activity of MMP-1 could not be confirmed due to cell death in 100 ⁇ g/mL of Hwangchil sap alcohol extract.
  • the hwangchil sap oil showed a significant effect without being killed, and exhibited higher activ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Vit.C.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wrinkle improvement activity of the hwangchil tree sap supercritical extract (hwangchil sap oil) was very g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은 활성산소종 억제,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및 MMP-1 저해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므로,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화장품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웰빙 트랜드를 중심으로 건강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특히 건강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개발을 위한 신소재 발굴은 항염증, 항산화, 미백 활성 및 주름 개선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내 활성산소의 과도한 생성이나 방어체계의 기능 저하에 기인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신체적 노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항산화 효능을 파악하기 위해 DPPH를 바이오마커로서 사용하고 있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분석은 비교적 간단하고 짧은 시간 내에 항산화 활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식물체의 항산화 활성과도 높은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미백 작용은, 멜라닌의 생성 및 축적을 억제하는 것이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라는 세포에서 티로신(Tyrosine)이 효소 및 비효소적 산화반응을 거쳐 생성되며, 표피를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로 전이된다.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티로시나아제 관련 프로테인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도파크롬 토토머라제(dopachrome tautomerase)가 있다. 티로시나아제 외에 이 두 효소는 미백효과에 관해서 주목 받고 있는 효소이나, 멜라닌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는 티로시나아제이다. 멜라닌 생합성 첫단계는 티로시나아제에 의하여 유발된다.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티로신이 도파(Dopa)로 되고 이 도파를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만든다. 이 두 반응의 다음단계 과정들은 비효소적인 반응에 의해서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티로시나아제 단독으로도 멜라닌 생성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여러 가지 대사활성이 저하되며 세포활성이 떨어진다. 노화는 자연노화와 광노화로 나눌 수 있다. 자연노화(내인성노화)는 콜라겐 합성과 콜라겐의 전사 이후에 일어나는 과정이다. 자연노화는 피부의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인자가 줄어들며 발생하며, 노화에 따라 피부가 얇고, 건조해지며 주름이 생기게 된다. 광노화는 자외선이 원인인 노화로 자외선에 의해 염증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umor necrosis factor-γ, nitric oxide)등이 생성되며 발생한다. 이에 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억제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들이 발현 되면서 광노화를 유도하여 피부 홍반, 거칠기, 주름, 흑화 등을 만들게 된다.
최근에는 피부 세포내의 신호 전달물질의 발현에 따른 멜라닌 형성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염증을 유발시키는 인터루킨-알파가 케라티노사이트 엔도셀린(Endothelin) 발현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멜라노사이트의 형성을 증가시키고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멜라노사이트내 멜라노좀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된다.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로퀴논, 코직산, 알부틴 등 일부의 화합물들이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료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처방계 중에서 안정성이 떨어져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티로시나아제의 억제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나기도 한다.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염증과 같은 자극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미백효과가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미백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성이 없으면서도 부작용이 적고,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새로운 천연물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황칠나무의 수액을 초임계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의 염증 또는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염증 또는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은 활성산소종 억제,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및 MMP-1 저해에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미백, 주름 개선,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잎 및 가지로부터 추출된 초임계 추출물의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주요 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이다: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에 대한 스펙트럼.
도 3은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주정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 %)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주정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RAW 264.7 세포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NO 생성(NO prduction)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tyrosinase activity, %)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MMP-1 저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액으로 수득하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칠나무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는 두릅나무과 황칠나무속으로 동아시아, 말레이반도, 중앙 및 남아메리카 등에 약 75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분포도를 보면 제주도, 전남 완도, 보길도, 대흑산도, 거문도, 전북 어청도, 경남일대 바닷가 등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록 활엽 교목으로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는 수종이다.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액(수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황칠나무에 대하여 연구된 바로는 황칠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분획이 항암, 간세포 재생, 당뇨치료 효과,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 수피, 꽃, 잎, 줄기, 열매, 가지, 종자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sap)을 함유하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황칠나무 수액은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간에 상처를 내어 나무에서 흘러나온 고체(고형물)로 된 수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황칠(황칠나무 수액)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 추출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을 의미하는 것이다. “초임계 유체”란 임계점 이상의 온도 및 압력을 가지는 물질의 상태를 나타낸 용어이다. 초임계 유체의 밀도는 액체의 밀도와 비슷하지만 점도는 기체의 점도처럼 낮기 때문에 상기 초임계 유체의 확산계수가 액체의 확산계수에 비하여 수백 또는 수천 배 정도 크다. 그러므로 초임계 유체는 점도가 기체처럼 작으므로 시료 침투력이 좋아 추출 효율이 향상되고, 확산계수가 크므로 물질의 평형상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를 추출에 이용하게 될 경우에는 기존의 용매추출과 비교하여 볼 때 압력 및 온도조작에 의해 고밀도 상태로부터 저밀도 상태까지 어떠한 조건에서도 추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비교적 저온에서 추출함으로써 열로 인한 추출물의 손상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초임계 유체로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물질로는 폭발성이나 인화성이 낮고, 임계온도나 임계압력이 비교적 낮은 물리적 특성을 지닌 물질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본 발명에서는 추출력이 매우 강한 비극성 용매인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산화탄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보조용매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산화탄소를 고압의 초임계 상태로 추출물질을 추출할 경우, 추출이 종료된 후 감압시키게 되면 추출물에 잔류하지 않고 완전히 기상으로 제거될 수 있고, 특히 인체에 무해하며 폭발성 및 인화성이 없어 매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임계온도(31.04℃) 및 임계압력(72기압)이 낮기 때문에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켜 추출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정제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은 보조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압력으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압력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위해, 350 내지 45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고, 390 내지 41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30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적거나 많은 시간동안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시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위해, 160 내지 200 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170 내지 19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위해, 45 내지 55℃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48 내지 52℃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액을 400 bar, 50℃의 조건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60 ㎖/min으로 하여 총 180분 동안 초임계 추출하여,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을 추출한 결과,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대비 6.45배 및 8.1배의 높은 수율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이 뛰어나,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내지 7 참조).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델타-카디닌, 감마-무롤렌, 알파-무롤렌, 베타-셀리넨 및 알파-코파인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보조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오일,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이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 수피, 꽃, 잎, 줄기, 열매, 가지, 종자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sap)을 함유하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황칠나무 수액은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간에 상처를 내어 나무에서 흘러나온 고체(고형물)로 된 수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황칠(황칠나무 수액)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은 보조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압력으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압력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위해, 350 내지 45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390 내지 41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30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적거나 많은 시간동안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시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위해, 160 내지 200 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170 내지 19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의 향상을 위해, 45 내지 55℃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48 내지 52℃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액을 400 bar, 50℃의 조건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60 ㎖/min으로 하여 총 180분 동안 초임계 추출하여,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을 추출한 결과,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대비 6.45배 및 8.1배의 높은 수율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이 뛰어나,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내지 7 참조).
본 발명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델타-카디닌, 감마-무롤렌, 알파-무롤렌, 베타-셀리넨 및 알파-코파인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보조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각종 식품에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항산화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 수피, 꽃, 잎, 줄기, 열매, 가지, 종자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sap)을 함유하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황칠나무 수액은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간에 상처를 내어 나무에서 흘러나온 고체(고형물)로 된 수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황칠(황칠나무 수액)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은 보조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압력으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압력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의 향상을 위해, 350 내지 45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390 내지 41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30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적거나 많은 시간동안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시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의 향상을 위해, 160 내지 200 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170 내지 19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의 향상을 위해, 45 내지 55℃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48 내지 52℃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액을 400 bar, 50℃의 조건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60 ㎖/min으로 하여 총 180분 동안 초임계 추출하여,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을 추출한 결과,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대비 6.45배 및 8.1배의 높은 수율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보다 세포독성이 적어 세포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면서도, DPPH 라디칼 생성, 즉 활성산소종을 저해하는 활성 및 NO 생성 저해 활성이 뛰어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내지 5 참조).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질소(NO) 매개 염증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델타-카디닌, 감마-무롤렌, 알파-무롤렌, 베타-셀리넨 및 알파-코파인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보조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 수피, 꽃, 잎, 줄기, 열매, 가지, 종자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sap)을 함유하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황칠나무의 수액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황칠나무 수액은 고체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간에 상처를 내어 나무에서 흘러나온 고체(고형물)로 된 수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황칠(황칠나무 수액)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은 보조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초임계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압력으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압력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의 향상을 위해, 350 내지 45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390 내지 410 ba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30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적거나 많은 시간동안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시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의 향상을 위해, 160 내지 200 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170 내지 19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는 경우, 목적하는 활성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거나, 비용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 조건으로 추출하여 수득된 추출물에서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의 향상을 위해, 45 내지 55℃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48 내지 52℃의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황칠나무 수액을 400 bar, 50℃의 조건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60 ㎖/min으로 하여 총 180분 동안 초임계 추출하여,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을 추출한 결과, 황칠나무의 잎 및 가지 대비 6.45배 및 8.1배의 높은 수율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보다 세포독성이 적어 세포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면서도, DPPH 라디칼 생성, 즉 활성산소종을 저해하는 활성 및 NO 생성 저해 활성이 뛰어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내지 5 참조).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은, 산화질소(NO) 매개 염증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이 델타-카디닌, 감마-무롤렌, 알파-무롤렌, 베타-셀리넨 및 알파-코파인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보조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원료로 하므로 약학적,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부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염증 또는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상기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염증 또는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부의 염증 또는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은 산화질소(NO) 매개 염증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및 염증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효한 양"은 화장품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피부의 미백, 피부의 주름 개선, 피부의 자극, 피부의 손상, 피부의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 및 피부의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손상정도, 자극정도, 주름정도, 미백정도, 노화정도, 탄력정도, 연령, 성별, 유효성분의 활성, 유효성분에 대한 민감도, 도포 시간, 도포 기간, 동시 사용되는 다른 유효성분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화장품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황칠나무 수액은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 부용황칠농원에서 수간에 일자형으로 상처를 내어 나무에서 흘러나온 고체로 된 수액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여 채취하였다. 채취한 황칠나무 수액 고형물을 초임계 추출 장치(초임계 유체 기초 연구용 장비 500 ml, 일신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황칠나무 수액 고형물을 초임계 추출장치에 96g의 양으로 주입하고, 50℃에서, 압력을 400bar로 조절하여 초임계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60 ㎖/min으로 하여 총 180분 동안 초임계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을 회수하여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실시예 1)을 수득하였다.
하기 실험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추출물(supercritical extracts)을 "황칠수액 오일"이라 표기하였다.
<비교예 1> 황칠나무 수액 주정 추출물의 제조
95%(v/v) 에탄올(EtOH)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황칠 나무 수액을 용매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수액 10g을 기준으로 상기 95% 에탄올 수용액 용매를 10 mL 혼합하였다. 쉐이커(shaker)를 이용하여 분당 회전수(rpm) 160으로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주정) 추출물(비교예 1)을 얻었다.
하기 실험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95%(v/v) 에탄올(EtOH)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된 황칠나무 수액 추출물(95% EtOH extracts)을 "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이라 표기하였다.
<비교예 2> 에탄올을 이용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1차 초임계 추출을 진행한 다음,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이용하여 2차 초임계 추출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황칠나무 수액 고형물을 초임계 추출장치에 96g의 양으로 주입하고, 50℃에서, 압력을 400bar로 조절하여 초임계 추출(1차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60 ㎖/min으로 하여 총 180분 동안 초임계 추출하였다. 추출된 1차 추출물을 회수하고, 이어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보조용매로 95%(v/v) 에탄올 수용액(95%주정)을 추가로 공급하여 상기 1차 추출을 거친 황칠나무 수액 원료의 2차 추출을 실시하였다. 이때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유량, 압력 및 온도는 1차 추출과 동일하게 유지시킨 상태로, 보조용매인 에탄올의 유량은 2 ㎖/min으로 100분동안 주입하였다. 보조용매 주입 후 60분간 추출시간을 유지하여 추출하였으며, 여기서 추출된 2차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1차 추출 시간, 보조용매 투입 시간 및 보조용매 주입 후 추출유지시간을 포함한 총 추출시간은 340분이었다. 1차 초임계 추출 및 2차 초임계 추출된 추출물을 회수하여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이용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비교예 2)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부위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잎 및 가지 초임계 추출물의 비교
황칠나무 잎과 가지를 부용황칠농원으로부터 구매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초임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황칠나무 잎 및 가지로부터 황칠나무 잎 초임계 추출물 및 황칠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과 수율 및 형태를 비교하였다.
[수학식 1]
수율(yield, %)=(추출된 g수)/(추출되기 전 g수)×100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고, 황칠나무 수액은 27.3 %, 잎은 4.23 %, 가지는 3.37 %의 수율로 얻어진 것으로 나타나, 수액에서 잎 및 가지 대비 6.45배 및 8.1배의 수율로 추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칠나무 수액, 잎 및 가지의 초임계 추출 결과, 오일 형태로 수득된 수액과 달리, 잎과 가지 경우는 일부 추출물(고형)과 수분이 얻어졌으나, 오일 형태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임계 추출 조건으로는 황칠나무 잎과 가지가 아닌, 수액에 대해서만 화장품 또는 식품으로 사용하기 용이한 오일 형태의 추출물을 높은 수율로 수득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추출 조건에 따른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비교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GC/MS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GC/MS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 때, 컬럼은 DB-1HT (30m × 0.25mm × 0.1μm) capillary를 사용하였고, 주입 온도 260℃ 및 오븐 온도 70~300℃의 조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실시예 1)의 성분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총 47개의 성분 중 주로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 물질을 포함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과 비교예 2의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이용한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성분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 실시예 1(400 bar, 50℃, 180 min) 비교예 2(400 bar, 50 ℃, + 주정 2ml, 100 min)
Library searching R.T (min) % of total Quality (%) R.T (min) % of total Quality (%)
1 델타-카디닌 (delta-Cadinene) 10.836 11.988 99 - - -
2 감마-무롤렌 (gamma-Muurolene) 10.170 13.937 99 - - -
3 알파-무롤렌 (alpha-Muurolene) 10.500 2.514 99 - - -
4 알파-코파인 (alpha-copaene) 8.697 1.013 99 - - -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확인된 델타-카디닌, 감마-무롤렌, 알파-무롤렌 및 알파-코파인 성분이 비교예 2의 추출물에서는 분석되지 않았다.
<실험예 3>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과 비교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은 25, 12.5, 6.25, 2.5, 1.25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이용하였다.
에탄올(EtOH)을 용매로 이용하여, 0.2 mM의 DPPH 솔루션(solution) 제조하였다. 상기 DPPH 솔루션과 각 시료(실시예 1, 비교예 1 및 ascorbic acid)를 3: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30분간 방치한 후, ELISA reader 기기를 이용하여 51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orl)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itivity, %)을 계산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항산화 활성(%)= (대조군 흡광도-시료의 흡광도)/(대조군 흡광도)×100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PH 실험 결과, 초임계 방법으로 추출한 황칠수액 오일에서 95% 에탄올(주정)으로 추출한 방법보다 항산화 효과가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농도 6.25 ~ 25 mg/mL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6.25 mg/mL에서는 43.2 %, 12.5 mg/mL에서는 45.4 %, 25 mg/mL에서는 31.7 % 정도의 활성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세포독성 분석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과 비교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통해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24-웰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를 2×105 cell/mL의 농도로 500 μl 씩 각 웰에 분주(seeding)하여, 세포배양기(37℃, 5%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을 각각 10, 100, 200 및 5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추가배양한 후, EZ-Cytox 10 ㎕를 처리하여 배양기에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450nm 파장에서 ELISA 리더기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 정도(cell viability)는 정상적인 세포(control; C)의 값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농도 조건에서 황칠수액주정 추출물이 황칠수액 오일보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수액 오일의 경우 100ug/ml까지 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RAW 264.7 세포에 대해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칠수액 오일은 100 내지 200 μg/ml의 특정 농도에서 황칠수액주정 추출물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임계적 의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분석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과 비교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NO assay를 통해 NO(산화질소)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NO(nitric oxide, 산화질소)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O 농도를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먼저, 24-웰 플레이트에 RAW 264.7 세포를 2×105 cell/mL의 농도로 500 μl 씩 각 웰에 분주(seeding)하여, 세포배양기(37℃, 5%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황칠수액 오일 및 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을 각각 0, 1, 10, 50, 100 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시료를 제조하여 각 시료를 상기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50 μL씩 처리하였다. 1시간 후 각 시료가 처리된 raw 264.7 세포에 LPS(lipopolysaccharide) 10 μg/mL를 처리하고,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상층액(Cell supernatant) 100 μl에 N1 buffer 50 μl를 각 웰에 처리하여, 상온에서 10분동안 방치하여 반응시켰다. 그 다음, N2 buffer 50 μl를 각 웰에 처리하고 10분간 방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후 56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Nitrite standard의 농도별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의 NO 농도를 결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도 50, 100 μg/mL에서는 황칠수액주정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세포의 사멸로 NO 생성량을 확인할 수 없었다. 반면, 황칠수액 오일은 세포가 사멸되지 않고 유의미한 NO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항염증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미백 활성 분석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과 비교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B16BL6 cell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작용 저해효과로 알려진 대표적인 물질인 알부틴(albutin, 250 μM)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B16BL6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1×105 cell/well씩 분주하여, 1시간 후 상기 배양된 B16BL6 세포에 α-MSH 100 nM 및 상기 각 시료를 50 μL씩 처리한 후,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황칠수액 오일 또는 황칠수액 주정추출물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1, 10, 50, 100 μg/ml 처리하였고, 24시간 동안 배양을 하였다. PBS로 2회 세척을 하고 1% Tris-x 100(pH 6.8)을 처리를 한 후에 -80℃에서 30분 동안 얼린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4 ℃에서 12000 rpm으로 15분동안 원심분리를 통해 단백질이 든 상층액과 L-DOPA(2mg/ml)를 가지고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ELISA microplate reader 490nm 흡광도로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tyrosinase activity, %)를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칠수액 오일(supercritical extract)이 황칠수액 주정추출물(95% EtOH extract)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미백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활성 분석
실시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과 비교예 1의 황칠나무 수액 에탄올 추출물(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의 주름 개선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인간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cell, HNF)를 이용하여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상기 각 추출물은 1, 10, 50,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Vit.C)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HNF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각 2Х105 cell/well씩 분주한 후, 각 well에 시료를 상기 황칠수액 오일 또는 황칠수액 주정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37℃, 5 % CO2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MMP-1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TNF-α를 10 ng/m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회수(harvest)하여 4 ℃, 5000 rpm 환경에서 5분간 원심분리(centrifuge)하여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MMP-1(Human Total MMP-1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의 단백질 발현량(MMP-1 level)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칠수액 주정추출물 100 μg/mL에서 세포의 사멸로 MMP-1의 저해 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황칠수액 오일은 사멸되지 않고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양성대조군인 Vit.C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황칠나무 수액 초임계 추출물(황칠수액 오일)의 주름 개선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인 것인,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인,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은 100 내지 500bar의 압력 조건 및 1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100 내지 30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인,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델타-카디닌(delta-Cadinene), 감마-무롤렌(gamma-Muurolene), 알파-무롤렌(alpha-Muurolene), 베타-셀리넨(beta-Selinene) 및 알파-코파인(alpha-copa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인 것인,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인,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1항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방법.
  10.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인 것인,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인,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3. 황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액인 것인,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인,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16. 제10항의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한 양으로 개체에게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염증 또는 산화에 의해 유발되는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PCT/KR2020/017236 2020-10-23 2020-11-30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20858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376A KR102431885B1 (ko) 2020-10-23 2020-10-23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20-0138376 2020-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858A1 true WO2022085858A1 (ko) 2022-04-28

Family

ID=81290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236 WO2022085858A1 (ko) 2020-10-23 2020-11-30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885B1 (ko)
WO (1) WO2022085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463B1 (ko) 2022-07-19 2023-01-19 주식회사 자연속요정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626364B1 (ko) * 2023-08-23 2024-01-17 주식회사 시프트포 황칠나무 추출물이 담지된 다공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852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130114493A (ko) * 2012-04-09 2013-10-17 주식회사 엔에스텍 황칠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4176B1 (ko) * 2015-03-12 2015-08-12 (주)에이씨티 제주 황칠나무 추출물의 피부 미백, 주름개선, 항염 및 항산화활성 안정화방법 및 안정화된 제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60099819A (ko) * 2015-02-13 2016-08-23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20170056830A (ko) * 2015-11-16 2017-05-2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419B1 (ko)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852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황칠 추출물과 황칠 분획물
KR20130114493A (ko) * 2012-04-09 2013-10-17 주식회사 엔에스텍 황칠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9819A (ko) * 2015-02-13 2016-08-23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1544176B1 (ko) * 2015-03-12 2015-08-12 (주)에이씨티 제주 황칠나무 추출물의 피부 미백, 주름개선, 항염 및 항산화활성 안정화방법 및 안정화된 제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70056830A (ko) * 2015-11-16 2017-05-24 박숙우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77A (ko) 2022-05-02
KR102431885B1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85858A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7146414A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7222317A1 (ko) 이오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5099274A1 (ko)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665A2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4049120A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12972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hordenine
WO2020071630A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7142265A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WO2018097388A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WO2017119535A1 (ko) 카노신, 대두 펩타이드 및 천심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615417B1 (ko) 항산화, 미백 및 항염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8B1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95966A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2872B1 (ko) 선복화 추출물 유래 검버섯 또는 노인반점 개선용 미백 조성물 및 그의 추출방법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7003190A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178682A1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7213310A1 (ko)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91296B1 (ko) 배과피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3128630A1 (ko)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63587A1 (ko) 오토파지 활성을 유도하는 비파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250348A1 (ko)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KR102489463B1 (ko)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8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8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8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