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50348A1 -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 Google Patents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50348A1
WO2022250348A1 PCT/KR2022/006926 KR2022006926W WO2022250348A1 WO 2022250348 A1 WO2022250348 A1 WO 2022250348A1 KR 2022006926 W KR2022006926 W KR 2022006926W WO 2022250348 A1 WO2022250348 A1 WO 20222503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ysteine
spots
pigmentation
derivative
cysteine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9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부용출
이현경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5934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59866A/ko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2503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503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및/또는 유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없어서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 우수한 잠재력을 지닌다.

Description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본 출원은 2021년 5월 26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067932호 및 2021년 11월 18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15934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서 검은색 유멜라닌(eumelanin) 생성 억제 활성, 밝은색 페오멜라닌 (pheomelanin) 생성 증진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시스테인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의 생성 및 이로 인한 색소 침착과정에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고, 뒤따르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통해 멜라닌(melanin)이라는 중합체가 과량으로 만들어져 피부에 축적된다. 멜라닌(melanin) 생성 과정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작용은 절대적이다. 따라서, 이 효소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melanin) 생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미백 기능성 소재들의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Te-Sheng Chang, Natural Melanogenesis Inhibitors Acting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ctivity, Materials 2012, 5, 1661-1685.).
피부의 멜라닌 색소는 밝은 페오멜라닌(pheomelanin)과 어두운 유멜라닌(eumelanin)으로 나뉘는데, 이들의 큰 차이는 유황 함유 여부이다. 멜라닌 합성은 티로신 또는 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dihydroxyphenylalanine, DOPA)이 티로시나제(tyrosinase, TYR)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퀴논(dopaquinone, DQ)을 생성하는 일반적인 반응에서 시작된다. DQ는 자발적으로 류도파크롬(leukodopachrome)으로 전환된 다음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산화되어 유멜라닌 합성 경로로 들어간다. DQ가 시스테인과 반응하면, 시스테닐 도파가 생성되고, 이는 시스테닐 DQ로 산화되어 페오멜라닌 합성 경로로 들어간다. 따라서, 티올 화합물은 유멜라닌과 페오멜라닌의 상대적 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티올 화합물은 TYR의 활성 부위에서 구리 이온과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활성 산소종 및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제 또는 산화환원 균형 조절제로 작용하여 전반적인 멜라닌 합성을 억제할 수 있다(Antioxidants 2022, 11, 503).
하지만, 기존에 알려져 있는 많은 소재들의 경우 피부미백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등이 제기되어 왔다. 예를 들면, 알부틴(arbutin)은 약한 활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알부틴 역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화합물 계열이 갖는 세포독성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안전하고 유의성 있는 효능을 보유하는 미백 기능성 소재의 탐색이 계속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미백 기능성 소재를 찾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시스테인 유도체가 우수한 미백 기능성(특히, 우수한 유멜라닌 생성 억제 및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을 나타낼 뿐 아니라 매우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소 침착 질환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소 침착 질환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 또는 '특징으로 하는'과 동일하게 사용되며,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성분 요소 또는 방법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이란 '~로 이루어지는'과 동일하게 사용되며,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essentially consisting of)' 또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성분 요소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성분 요소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스테인(cysteine)은 많은 단백질들에 소량으로나마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황(S) 함유 아미노산이다. 시스테인은 20개의 기본 아미노산 중에서 유일하게 티올기(-SH)를 포함하고 있다. 티올기는 시스테인이 산화되어 시스틴을 형성할때 산화 환원 반응을 겪는다. 시스틴은 두개의 시스테인이 황결합을 통해 결합한 것을 말한다. 이 반응은 가역적이다. 따라서 이 시스틴의 환원은 두개의 시스테인을 형성한다. 시스틴의 황결합은 많은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시스테인은 종종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한다. 그리고 효소의 촉매작용을 돕는다. 시스테인은 또한 항산화제인 글루타티온에도 들어가 있다. 기본 아미노산 중에 유일하게 티올기를 포함하고 있는 만큼 그 성질을 분류할 때에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점이 있다. 티올기를 함유하고 있는 잔기는 엄밀히 말하면 극성을 띄고 있지만, 그 극성의 강도는 하이드록시기 등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약하다. 따라서 실제 반응에서 무극성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무극성 아미노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스테인은 바람직하게는 L-시스테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시스테인 유도체는 L-시스테인아미드(L-cysteinamide), N-아세틸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L-시스테인 에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L-시스테인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이성질체란 바람직하게는 입체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호변 이성질체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의 L형 또는 D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입체 이성질체"는, 동일한 화학 구조를 갖지만 공간 내 원자 또는 기의 배열와 관련하여 상이한 화합물을 지칭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2개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갖고 분자들이 서로의 거울상 이미지가 아닌 입체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다양한 물성, 예를 들어 융점, 비점, 스펙트럼 특성 및 반응성을 갖는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고해상도 분석 절차, 예컨대 전기영동 및 크로마토그래피 하에 분리할 수 있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서로의 거울상 이미지에 중첩가능하지 않은 화합물의 2개의 입체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입체화학적 정의 및 관례는 일반적으로 문헌[S. P. Parker, Ed., McGraw-Hill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984)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및 문헌[Eliel, E. and Wilen, S.,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4]을 따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대칭 또는 키랄 중심을 함유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및 회전장애 이성질체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형태가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많은 유기 화합물은 광학 활성 형태로 존재한다(즉, 평면 편광된 광의 평면을 회전시키는 능력을 가진다). 광학적 활성 화합물의 설명에서, 접두사 D 및 L, 또는 R 및 S는 이의 키랄 중심에 관한 분자의 절대 배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광학 활성 화합물의 기술에서, 접두사 D 및 L, 또는 R 및 S는 이의 키랄 중심에 관한 분자의 절대 배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접두사 d 및 l 또는 (+) 및 (-)는 화합물에 의해 평면 편광의 회전의 징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 또는 1은 화합물이 좌선성인 것을 의미한다. (+) 또는 d를 접두어로 사용하는 화합물은 우선성이다. 소정의 화학 구조를 위해, 이들 입체 이성질체는 그들이 서로의 거울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또한, 특정 입체 이성질체는 거울상 이성질체로서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종종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로 지칭된다. 50:50 혼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로서 지칭되고, 이는 화학 반응 또는 공정 중 입체선택 또는 입체특이성이 없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용어 "라세미 혼합물" 및 "라세미체"는, 광학 활성이 없는 2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화학종의 등몰 혼합물을 지칭한다. 거울상 이성질체는 키랄 분리법, 예컨대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 그래피(SFC)에 의해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호변 이성질체" 또는 "호변 이성질체 형태"는, 낮은 에너지 장벽을 통해 상호전환가능한, 상이한 에너지의 구조적인 이성질체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양성자 호변 이성질체(양성자성 호변 이성질체로도 지칭됨)는 양성자의 이동을 통한 상호전환, 예컨대 케토-에놀 및 이민-엔아민 이성질체화를 포함한다. 원자가 호변 이성질체는 일부의 결합 전자의 재편성에 의한 상호전환을 포함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지 않지 않은 염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산 및 염기 부가 염 모두를 포함한다. 어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물질 또는 조성물이, 제형을 차지하는 다른 성분 및/또는 치료할 포유동물과 화학적으로 및/또는 독성학적으로 상용성이어야 함을 나타낸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 염"이라는 용어는, 무기산(예컨대,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질산, 탄산, 인산) 및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아릴지방족, 헤테로환형, 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산, 및 유기산의 설폰산 부류(예컨대, 폼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퓨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파트산, 아스코르브산, 글루탐산, 안트라닐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엠본산, 페닐아세트산, 메탄설폰산 "메실레이트", 에탄설폰산, p-톨루엔 설폰산, 및 살리실산으로 형성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 염"이란 용어는, 유기 또는 무기 염기로 형성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의미한다. 허용가능한 무기 염기의 예는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및 알루미늄 염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무독성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1급, 2급 및 3급 아민, 치환된 아민(자연발생적 치환된 아민 포함), 환형 아민 및 염기성 교환 수지, 예컨대 이소프로필 아민, 트라이메틸아민, 다이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프로필 아민, 에탄올아민,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 트라이메탄민,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카인, 하이드라민, 콜린, 베타인, 에틸렌다이아민, 글루코사민, 메틸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및 폴리아민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서,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 외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킨로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트리트먼트, 미용액,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으며, 이는 목적하는 미백의 효과, 도포 정도, 제형의 종류, 화장료 조성물 내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의 안정성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독성이 매우 낮아 화장료 조성물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L-시스테인(cysteine)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의 병리 상태, 예를 들어 노화/광노화, 임신 등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 상처, 염증, 화상 등으로 인한 피부 손상과 재생 등을 원인으로 한 색소 침착, 기미, 주근깨, 잡티, 점, 반점, 모반, 검버섯, 노인성 흑자, 멜라닌피부증 등을 개선하고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색소 침착 질환은, 멜라닌 과잉 생산 또는/및 이의 (과잉)축적에 기인한 색소성 질환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색소 침착질환은 피부 이외에도 멜라닌 기작과 관련하여 병태가 진행되고 있는 모든 환부 및 증상을 모두 포함한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상기 색소 침착 질환은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색소 침착질환으로는, 멜라닌 과잉 축적에 기인한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유전성대측성색소이상증, 망상지단색소침착증, 간반, 기미, 주근깨, 점(예를 들어 흑색점, 갈색점), 모반, 약물(예를들어 미노사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부술판 또는 지도부딘으로부터 선택되는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 노인성 색소반(노인성 반점), 일광 색소반,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검버섯, 피부 잡티, 멜라닌피부증, 표피 멜라닌세포성 병변(Epidermal melanocytic lesion), 밀크커피 반점(Cafe's au lait macules), 진피 멜라닌세포성 병변(Dermal melanocytic lesions), 몽고반(Mongolian spot), 흑자(Lentigines), 흑색종(Melanoma), 악성 흑자 흑색종(Lentigo maligna melanoma), 표재 확장성 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선단 흑자성 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결절성 흑생종(Nodular melanoma), 색소성 기저 세포암(pigment basal cell carcinoma), 색소성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s), 색소성 피부낭종(dermoidcyst), 색소성 켈로이드(keloid) 및 색소성 각질극세포종(keratoacanthomas) 등을 포함한다.
상기 모반은 구체적으로 편평모반, 색소성모반, 베커 모반(Becker's Nevus), 반문상 모반(Nevus Spilus), 오타 모반(Nevus of Ota), 후천성 양측성 오타 모반양 반(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이토 모반(Nevus of Ito), 청색 모반(Blue nevus), 멜라닌 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 경계 모반(Junctional nevus), 복합 모반(Compound nevus),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 운륜모반(Halo nevus), 선천성 멜라닌 세포성 모반(Congenital nevocytic nevus), 스피츠 모반(Spitz nevus) 및 이형성 모반(Dysplastic nevus)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멜라닌 과잉 축적에 기인한 피부 색소성 질환은 유전성대측성색소이상증, 망상지단색소침착증, 간반, 기미, 노인성 색소반, 일광 색소반,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멜라닌피부증, 주근깨, 피부 잡티, 점, 반점, 검버섯, 모반, 약물(예를들어 미노사이클린, 블레오마이신, 부술판 또는 지도부딘으로부터 선택되는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 또는/및 미백의 효과를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01㎍ 내지 1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 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투여 경로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멜라닌 생성이 주로 일어나는 부분은 피부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피로 투여되는 것이 주된 투여 경로가 될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 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에 기재되어 있다.
일례로,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또는 경피투여제(피부 외용제 포함)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 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거나,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에 기술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주사제로 제형화되어 제공된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피 투여제의 형태로 제형화 된다. 경피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외용액제)로서 제형화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포함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추가 적으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 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제제 형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액상도포제, 분무제, 로션제, 겔제, 파스타제, 연고제, 에어로졸, 분말제, 경피흡수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그의 제형에 따라 다르나, 바셀린, 유동 파라핀, 겔화 탄화수소(플라스티베이스) 등의 탄화수소류; 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 돈지, 하드 팻, 카카오지 등의 동식물성 오일;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린산, 팔미틴산이소프로필 등의 고급지방산 알코올 및 지방산 및 그의 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젤라틴, 백당, 당알코올 등의 수용성 기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폴리옥실,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등의 유화제; 아크릴산에스테르, 알긴산나트륨 등의 점착제; 액화석유가스, 이산화탄소 등의 분사제;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등의 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외에도 안정제, 향료, 착색제, pH 조정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의 사용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멜라닌 과침착 환부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는 통상적인 반창고의 창상 박리 커버 등과 같은 고체 지지체 상에 점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형은, 예를 들어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형태의 비부착성 상처 박리 커버를 갖는 반창고(Smith & Nephew Ltd); Johnson& Johnson의 얇은 스트립(strip), 패취(patch), 스팟(spot), 가소성 스트립 형태의 밴드-에이드(BAND-AID); Colgate-Palmolive Co.(Kendall)의 큐리티 큐러드 오우취리스(Curity CURAD Ouchless) 반창고; 및 American White Cross Laboratories Inc.의 스틱-타이트(STIK-TITE) 탄성 스트립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이러한 형태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멜라닌 생성 억제, 티로시나아제 억제 또는 미백 효과가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 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는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L-시스테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L-시스테인의 유도체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L-시스테인의 유도체와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소 침착 질환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효량'이란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색소 침착 질환의 개선, 치료, 검출, 진단 또는 색소 침착 질환의 억제 또는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상기 '개체'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효과가 필요한 환자(patient)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치료'는 색소 침착 질환 또는 색소 침착 질환으로 인한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이는 상기 질환을 치유하거나, 실질적으로 예방하거나, 또는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질환으로부터 비롯된 한 가지 증상 또는 대부분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치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및/또는 유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없어서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 우수한 잠재력을 지닌다.
도 1a 및 도 1b는 시험관 내에서 TYR (Tyrosinase) 활성에 대한 20개의 다른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1a) TYR 활성은 각 물질의 부재 또는 존재(0.2mM)에서 측정되었다.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파크롬 형성을 모니터링했다. 데이터는 대조군의 %로 표시했다(평균 ± SD, n = 4). **p<0.01 대 대조군. (1b) 단일 문자 코드.
도 2a 및 도 2b는 20가지 다른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이 MNT-1 세포의 생존력과 멜라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세포에 0.5mM의 각 물질을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세포 생존율(2a)과 멜라닌 함량(2b)을 평가했다(means ± SD, n = 4). **p<0.01 대조군).
도 3a 및 도 3b은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및 β-알부틴이 시험관 내에서 TYR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MNT-1 세포의 생존율과 멜라닌 함량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및 β-알부틴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5는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및 β-알부틴이 MNT-1 세포의 형태 및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세포를 1.0mM에서 72시간 동안 각 물질로 처리하고 Fontana-Masson 염색을 하였다.
도 6a 내지 도 6c는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β-알부틴이 TYR의 활성도, TYR, TYRP1, DCT의 mRNA 및 단백질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7a 및 도 7b는 MNT-1 세포의 생존력과 멜라닌 함량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에틸 에스테르,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시스테아민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8a 및 도 8b는 L-시스테인아미드에 의한 버섯 TYR 매개 도파크롬 형성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TYR 촉매 반응 동안 자외선-가시광 흡수 스펙트럼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2 mM L-DOPA 및 다양한 농도의 L-시스테인아미드(100, 300 또는 500 μM)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25oC에서 표시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5분 반응 후 스펙트럼은 (9a)에 나와 있다. A475 및 A350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각각 (9b)와 (9c)에 나와 있다.
도 10은 도 11. L-시스테인아미드, 코직산 및 β-알부틴의 구리 킬레이트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MNT-1 세포의 페오멜라닌 및 유멜라닌 함량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정상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HEM)에서 세포생존율, 멜라닌 함량, 세포 TYR 활성 수준 및 mRNA 발현 수준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방법
1. 재료
20개의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염산염 형태)은 Watanabe Chemical Ind., Ltd.(Hiroshima, Japan)에서 구입했다. L-티로신, L-DOPA, 코직산, β-알부틴,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N-아세틸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에틸에스테르 염산염 및 시스테아민은 Sigma-Aldrich에서 구입했다.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2. 세포 생존율 분석
MNT-1 인간 흑색종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Manassas, VA, USA)에서 얻었고 5% CO2 및 95% 공기의 조건에서, 37℃의 75 cm2 면적(SPL Life Science, 경기도, 대한민국)의 T-플라스크에서 유지되었다.
적당히 착색된 신생아 표피에서 유래한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HEM)는 Cascade Biologics(Portland, OR, USA)에서 입수했다. 세포는 5% CO2 및 95% 공기의 가습 대기에서 37℃에서 25 cm2 면적의 T-플라스크(SPL Life Science)에서 유지되었다. 세포는 인간 멜라닌 세포 성장 보충제(Cascade Biologics) 및 항생제(100 UmL-1 페니실린, 0.1 mgmL-1 스트렙토마이신, 0.25 μgmL-1 암포테리신 B)(Thermo Fisher)가 보충된 배지 254에서 성장했다.
3. 세포 생존력 분석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MTT assay를 수행했다.
4. TYR 활성 분석
TYR 활성은 L-Tyrosine과 L-DOPA를 기질로 사용하여 분광 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다양한 물질이 TYR 촉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에서 인간 TYR(HEK293-TYR)을 구성적으로 발현하는 인간 배아 신장 293 세포의 단일 TYR 제제가 사용되었다. 세포에서 활성 TYR 효소 발현 수준에 대한 다양한 물질의 효과를 조사하는 다른 실험에서, 다른 물질(24시간 동안 1.0mM)로 처리된 MNT-1 세포의 다른 TYR 제제를 사용했다. 4℃에서 세포를 용해하고 15분 동안 13,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세포 용해물로서 상청액을 얻었다. 단백질 함량은 Bio-Rad DC 검정(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반응 혼합물(200μL)은 100mM 인산나트륨(pH 6.8), TYR 제제(40μg 단백질), 시험 물질(200μM), 1.0mM L-티로신 및 42μM L-DOPA로 구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37℃에서 인큐베이션하고, 도파크롬 형성을 475 nm에서의 흡광도로 모니터링하였다. TYR 활성은 대조군 값의 %로 표현하였다.
5. 멜라닌 함량 분석
MNT-1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웰당 1.5X104개 세포)에 플레이팅하고 24시간 동안 성장 배지에서 유지시켰다. 세포를 표시된 농도의 L-시스테인아미드 또는 기타 시험 물질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차가운 PBS로 두 번 세척하고 총 멜라닌을 120㎕의 1.0 NaOH/10% DMSO 용액으로 60℃에서 30분 동안 추출했다.
HEM을 6웰 플레이트(웰당 105개 세포)에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성장 배지에서 배양했다. 세포를 지시된 농도에서 72시간 동안 L-시스테인아미드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는 30분 동안 60℃에서 200 μL의 1.0 NaOH/10% DMSO 용액을 사용하여 위와 같이 총 멜라닌 함량 분석을 실시했다. 그런 다음 멜라닌 추출물을 4℃에서 15분 동안 13,000 rpm으로 원심분리했다. Spectrostar 나노이크로플레이트 리더(BMG LABTECH GmbH, Ortenberg, Germany)를 사용하여 상층액의 400 nm(A400)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단백질 함량으로 정규화했다.
페오멜라닌 및 유멜라닌 함량을 추정하기 위한 실험에서, MNT-1 세포를 T-75 플라스크에서 배양하고 72시간 동안 1 mM L-시스테인아미드로 처리하였다. 페멜라닌 추출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2개의 T-75 플라스크(약 1.6 x 107 세포)의 세포를 25℃에서 10분 동안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10.5) 200 μL로 추출했다. 위와 같이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200 μL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여 지방 불순물을 제거하고 생성된 수층을 페오멜라닌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페오멜라닌이 고갈된 펠릿을 1.0 M NaOH/10% DMSO 용액 200 L로 60℃에서 30분간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유멜라닌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페오멜라닌 추출물 또는 10배 희석된 유멜라닌 추출물의 A400을 측정하여 단백질 함량, 희석 인자 및 어금니 흡광 계수를 보정하였다.
6. 웨스턴, qRT-PCR 분석
웨스턴 분석과 qRT-PCR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7. 폰타나-마손 염색(Fontana-Masson staining)
세포는 실온에서 10분 동안 4% p-포름알데히드에 고정되었고 세포의 멜라닌은 Fontana-Masson 염색 키트를 사용하여 강조 표시되었다. 간략하게, 세포를 60℃에서 10분 동안 암모니아 은 용액과 함께 배양한 다음, 0.1% 염화금 용액에서 배양한 다음, 5%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형태와 색소 침착은 위상차 현미경(Eclipse TS100, Nikon Instruments Inc., Melville, NY, USA)으로 조사하였다.
8. 버섯 TYR 활성 분석(TYR 매개 도파크롬 형성)
분석 혼합물은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 다양한 농도(0, 100, 200 또는 300 μM)의 억제제, 다양한 농도(0.33, 0.5, 1.0 또는 2.0 mM)의 L-DOPA, 및 25 unit mL-1 버섯 TYR(Sigma-Aldrich). 반응 혼합물을 37℃에서 인큐베이션하고, A475를 5분 동안 측정하였다. 생성된 도파크롬의 농도는 ε = 3700 M-1 cm-1의 도파크롬에 대한 몰 흡광 계수를 사용하여 계산했다. 효소 촉매 반응 속도는 비효소 반응의 효과에 대해 보정했다. 억제 정도는 억제 정도(%) = (A - B)/A X 100으로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A와 B는 각각 억제제의 부재 및 존재 시 보정된 반응 속도이다. 추가 실험에서, 10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6.8), 2 mM L-DOPA, 25 unit mL-1 버섯 TYR 및 L-시스테인아미드를 0, 100, 200 또는 300 μM에서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Shimadzu UV-1650PC 분광광도계(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를 사용하여 37℃ 및 UV-가시광선 반응 스펙트럼을 1분 간격으로 15분 동안 측정했다.
9. 구리 킬레이트화 활성 분석
구리 킬레이트 활성은 PCV를 이용한 분광법으로 평가하였다. 200 μM PCV 수용액을 200 μM CuSO4 및 시험물질의 부재 및 존재하에서 25℃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Shimadzu UV-1650PC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구리 킬레이트 활성은 [Cu2+-PCV] 착물의 632 nm(A632)에서의 흡광도로 평가하였다.
10. 통계 분석
실험 결과는 최소 3개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 ± 표준 편차(SD)로 표시했다. 데이터는 SigmaStat v.3.11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Systat Software Inc,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유의하게 다른 그룹 평균의 존재는 일원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하여 p<0.05 수준에서 결정했다. 각 실험군은 Dunnett's 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0.05 또는 **p<0.01로 표현하였다. 모든 그룹은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를 사용하여 서로 비교되었으며 통계적으로 다른 평균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알파벳 문자를 사용했다.
실험결과
1. 시험관 내 TYR 활성에 대한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의 효과
번역을 통한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20가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 20개의 다른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이 시험관 내에서 인간 TYR 활성에 대한 효과에 대해 비교되었다.
도 1a에서 볼 수 있듯이, 0.2mM의 L-시스테인아미드는 475nm에서의 흡광도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TYR 촉매 도파크롬 형성을 현저하게 억제한 반면, 다른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은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은 상응하는 아미노산에 대한 단일 문자 코드를 사용하여 표시하였다.
2. MNT-1 세포에서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20개의 서로 다른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이 항멜라닌 생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세포에서 테스트되었다.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은 0.5mM에서 MNT-1 세포의 생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L-시스테인아미드는 MNT-1 세포의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켜 항멜라닌 생성 효과를 나타냈지만 다른 C-말단 아미드화 아미노산은 그러한 효과가 없었다.
3. In vitro TYR 촉매 활성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 및 기타 화합물의 효과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및 β-알부틴이 in vitro TYR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L-시스테인아미드의 TYR 억제 활성은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및 β-알부틴보다 더 강력하였다.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0.2mM의 L-시스테인아미드는 475nm에서의 흡광도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TYR 촉매 도파크롬 형성을 억제했다.
4. MNT-1 세포의 멜라닌 함량에 대한 L-시스테인 유도체의 효과
다음 실험에서는 L-시스테인아미드의 항멜라닌 생성 효과를 다른 화합물과 비교했다. MNT-1 세포를 지시된 농도에서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또는 β-arbutin으로 처리하였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β-알부틴은 0.2 내지 1.0mM에서 중간 정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지만, 다른 시험 물질은 세포 생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L-시스테인아미드는 MNT-1 세포의 멜라닌 함량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나,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은 이러한 항멜라닌 생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Kojic acid와 β-arbutin도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켰다.
도 5의 Fontana-Masson 염색된 세포 이미지는 L-시스테인아미드와 β-arbutin이 모두 세포에서 멜라닌 축적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음을 나타낸다. L-시스테인아미드는 세포 모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β-arbutin은 노화 세포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확대된 세포 형태를 유도했다.
5. MNT-1 세포에서 TYR 발현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 및 기타 화합물의 효과
MNT-1 세포에서 TYR, TYRP1 및 DCT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수준뿐만 아니라 TYR 활성 수준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 및 기타 시험 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TYR 활성 수준은 β-arbutin에 의해 감소되었지만 L-시스테인아미드,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 글루타티온, 코직산 및 β-알부틴을 포함한 다른 화합물에 의해 감소되지 않았다. 또한, TYR, TYRP1 및 DCT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수준은 도 6b 및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화합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6. MNT-1 세포의 멜라닌 함량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 및 기타 티올 화합물의 효과
L-시스테인 에틸 에스테르,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시스테아민과 같은 다른 티올 화합물의 잠재적인 항멜라닌 효과도 L-시스테인아미드와 비교하여 MNT-1 세포에서 조사되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시스테인아미드의 항멜라닌 생성 효과는 0.2-1.0mM에서 세포 생존율의 손실을 일으키지 않고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이 실험에서 재현되었다. L-시스테인 에틸 에스테르는 0.2-1.0mM에서 독성이 있었고,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는 0.5-1.0mM에서 독성이 있었고, 이들 화합물이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특정 농도는 없었다. 시스테아민 (Cysteamine)은 0.5mM에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켰으나 1.0mM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8. 버섯 TYR을 이용한 메커니즘 연구
L-시스테인아미드가 TYR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버섯 TYR을 사용하여 시험관 내 실험을 수행했다. L-DOPA 농도가 1 mM 또는 2 mM일 때 L-시스테인아미드의 50% 억제 농도(IC50)는 각각 115 μM 및 150 μM이었다(도 8a). L-시스테인아미드(100 μM)의 부재 및 존재 하에서 얻은 Lineweaver-Burk 플롯의 선은 경쟁적 억제를 나타내는 1/속도 축에서 동일한 절편으로 사실상 수렴되었다(도 8b).
다양한 농도의 L-시스테인아미드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5분 동안 배양된 반응 혼합물의 자외선 가시 흡수 스펙트럼을 도 9a에서 비교했다. 축적된 도파크롬으로 인한 A475는 대조군 반응 혼합물에서 가장 높았고 L-시스테인아미드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적으로, 350 nm (A350)에서의 흡광도는 100 μM L-시스테인아미드만큼 증가하여 DOPA-시스테인아미드 접합체의 형성을 의미한다.
도 9b 및 9c는 각각 반응 혼합물의 A475 및 A350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L-시스테인아미드가 없을 때 A475와 A350 모두 비슷한 패턴으로 증가했고 6분 후에 안정기에 도달했다. 100 μM L-시스테인아미드의 존재하에서 A475의 증가는 부분적으로 억제되었으나 A350은 초기 시점에서 급격히 증가하다가 점차 안정기까지 증가하여 합성된 도파퀴논이 L-시스테인아미드에 빠르게 포획되어 DOPA-시스테인아미드 접합체를 형성함을 나타낸다. 300 μM L-시스테인아미드의 존재하에서 A475의 변화는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고, 초기 시점의 A350은 100 μM L-시스테인아미드에서 관찰된 값보다 낮아서 TYR 활성의 더 큰 억제를 나타낸다. 이 조건에서 A350은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증가하여 도파퀴논이 낮은 속도로 합성되고 L-시스테인아미드에 지속적으로 포획되어 DOPA-시스테인아미드 접합체를 생성하여 도파크롬 형성을 방지함을 나타낸다. 500 μM L-시스테인아미드의 존재하에서 A475와 A350 모두에서 증가가 없었으며, 이는 TYR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고 DOPA-시스테인아미드 접합체 또는 도파크롬이 형성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9. L-시스테인아미드의 구리 킬레이트 활성
L-시스테인아미드의 구리 킬레이트 활성은 632 nm에서 최대 흡수를 갖는 발색체를 형성하기 위해 Cu2+ 이온과 착화된 PCV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PCV의 A632는 CuSO4에 의해 증가되었고 변화는 L-시스테인아미드와 코직산에 의해 감소되었지만 a-arbutin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L-시스테인아미드와 코직산 모두 강력한 구리 킬레이트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실험의 결과는 카테콜 구조 화합물과 L-시스테인아미드가 TYR 활성 부위의 Cu2+ 이온을 놓고 경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0. MNT-1 세포의 페오멜라닌 및 유멜라닌 함량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의 효과
버섯 TYR을 이용한 역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특정 농도의 L-시스테인아미드는 페오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키고 유멜라닌 합성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MNT-1 세포에 1 mM L-시스테인아미드를 처리하고 페오멜라닌과 유멜라닌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도 11a 내지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시스테인아미드는 페오멜라닌 함량을 증가시키는 반면 유멜라닌 함량 및 총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페오멜라닌 대 총 멜라닌 비율을 대조군 세포의 0.43%에서 L-시스테인아미드 처리 세포의 1.38%로 증가시켰다.
11. 정상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 (HEM)에서 멜라닌 함량, 세포 TYR 활성 및 멜라닌 생성 효소의 발현 수준에 대한 L-시스테인아미드의 효과.
본 연구의 많은 실험은 다량의 멜라닌을 구성적으로 생성하는 능력에 대해 짙은 색소의 인간 흑색종 MNT-1 세포주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그렇다면 L-시스테인아마이드는 이 특정 세포주에서만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일까 이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정상 HEM에서 L-시스테인아미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추가로 조사했다. 도 12a 및 1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시스테인아미드는 용량 의존적으로 정상 HEM에서 저색소침착 효과 및 감소된 멜라닌 함량을 나타냈다. L-시스테인아미드는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오히려 대조군과 비교하여 1 mM에서 약간 증가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도 12c). 세포 TYR 활성 수준(도 12d)과 TYR, TYRP1 및 DCT의 mRNA 발현 수준(도 12e)은 최대 1 mM의 L-시스테인아미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L-시스테인아미드는 HEM에서 TYR 효소의 비가역적 비활성화 또는 멜라닌 생성 효소 발현의 하향 조절 없이 세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른 L-시스테인 유도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및/또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없어서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서 우수한 잠재력을 지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14)

  1.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L-시스테인아미드(L-cysteinamide), N-아세틸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L-시스테인 에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유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 침착 질환은 유전성대측성색소이상증, 망상지단색소침착증, 간반, 기미, 노인성 색소반, 일광 색소반, 임신성 갈색반, 멜라닌피부증, 주근깨, 피부 잡티, 점, 반점, 검버섯,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L-시스테인아미드(L-cysteinamide), N-아세틸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L-시스테인 에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색소 침착 질환 치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L-시스테인아미드(L-cysteinamide), N-아세틸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L-시스테인 에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 침착 질환은 유전성대측성색소이상증, 망상지단색소침착증, 간반, 기미, 노인성 색소반, 일광 색소반, 임신성 갈색반, 멜라닌피부증, 주근깨, 피부 잡티, 점, 반점, 검버섯,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L-시스테인(cysteine)의 유도체,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L-시스테인아미드(L-cysteinamide), N-아세틸 L-시스테인, N-아세틸 L-시스테인아미드 및 L-시스테인 에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 침착 질환은 유전성대측성색소이상증, 망상지단색소침착증, 간반, 기미, 노인성 색소반, 일광 색소반, 임신성 갈색반, 멜라닌피부증, 주근깨, 피부 잡티, 점, 반점, 검버섯,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22/006926 2021-05-26 2022-05-13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WO20222503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7932 2021-05-26
KR10-2021-0067932 2021-05-26
KR10-2021-0159342 2021-11-18
KR1020210159342A KR20220159866A (ko) 2021-05-26 2021-11-18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348A1 true WO2022250348A1 (ko) 2022-12-01

Family

ID=8422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926 WO2022250348A1 (ko) 2021-05-26 2022-05-13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503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742A (ko) * 2002-05-14 2003-11-20 주식회사 비봉파인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 또는 에르도스테인을 함유하는미백용 조성물
JP2009227660A (ja) * 2008-02-28 2009-10-08 Ajinomoto Co Inc システイン誘導体
KR20120113262A (ko) * 2010-01-12 2012-10-12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색소 침착 예방 또는 개선제
JP5462504B2 (ja) * 2008-03-21 2014-04-02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美白用組成物
KR20160121693A (ko) * 2015-04-10 2016-10-20 주식회사 제닉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742A (ko) * 2002-05-14 2003-11-20 주식회사 비봉파인 시스테인 및 그 유도체 또는 에르도스테인을 함유하는미백용 조성물
JP2009227660A (ja) * 2008-02-28 2009-10-08 Ajinomoto Co Inc システイン誘導体
JP5462504B2 (ja) * 2008-03-21 2014-04-02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美白用組成物
KR20120113262A (ko) * 2010-01-12 2012-10-12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색소 침착 예방 또는 개선제
KR20160121693A (ko) * 2015-04-10 2016-10-20 주식회사 제닉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3709A1 (ko) 석류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7222317A1 (ko) 이오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20122360A1 (ko) 트리신 함량이 증가된 고장초 효소 처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미백, 주름 개선, 항염증, 항알러지, 보습용 조성물
WO2024049120A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146414A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640A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20218720A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8004141A1 (ko)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312972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hordenine
WO2017213346A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8186641A1 (ko) 피페로날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22085858A1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4003232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8186643A1 (ko) 신코닌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644A1 (ko) 자스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9059634A1 (ko) D-타이로신 또는 이를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8062820A1 (ko) 피토에스트로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22250348A1 (ko) 시스테인 유도체의 피부 미백 용도
WO2017142265A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WO2017188690A1 (ko) 페닐아세트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유방암 줄기세포 성장 억제용 조성물
WO2010027221A2 (ko)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8097388A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WO2018186639A1 (ko) 요놀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6093515A1 (ko) 장수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WO2019083286A2 (ko) 아이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11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