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4141A1 -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4141A1
WO2018004141A1 PCT/KR2017/005933 KR2017005933W WO2018004141A1 WO 2018004141 A1 WO2018004141 A1 WO 2018004141A1 KR 2017005933 W KR2017005933 W KR 2017005933W WO 2018004141 A1 WO2018004141 A1 WO 20180041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thymol
methoxynaphthalene
cym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59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태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041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41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salt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skin moisture content and evaporation of skin moisture.
  •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salts thereof, which exhibit reduced, increased procollagen secretion, promoted collagen biosynthesis, inhibited collagen fiber damage, inhibited collagen fibrosis, inhibited erythema, and thickened inhibitory activity of the skin epidermal layer.
  • It can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pharmaceutical and quasi-drug composition having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enhancement, erythema suppress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 or skin photoaging.
  • the skin is composed of three layers: epidermis, dermis, and hypodermis.
  • the epidermis especially the stratum corneum, the outermost layer of the epidermis, acts as a barrier to the skin to lose water and electrolytes.
  • the dermal layer plays a role in maintaining the elasticity of the skin and supporting the structure through collagen and elastin synthesis.
  • collagen and elastin are major proteins produced in fibroblasts and are involved in skin mechanical firmness, tissue binding strength and elasticity.
  • Collagen forms various isoforms according to its shape and structural features, and there are a total of 28 collagen isotypes in human tissues, of which collagen is present in Type 1, 3. 4. 6. 13, 14, 17 and the like are known.
  • Collagen types 1 and 3 constitute the interstitial components of the dermal layer
  • collagen type 7 connects the epidermis and the dermis.
  • Type I collagen is the largest amount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in the skin connective tissue, and there are other proteins such as elastin, fibronectin, integrin, fibrillin, and proteoglycan.
  • the newly synthesized procollagen is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space of skin cells through an enzymatic reaction to form a microfibril of triple helix configuration, and the microfibrils are leucine-rich small proteoglycans (leucine). It combines with rich small proteoglycans to form fibrils. As a result, the fibrils thus formed form collagen fibers that provide skin binding and elasticity.
  • Skin aging is known to decrease collagen content, a protein that accounts for most of the collagen of skin dermis. Collagen decreases the skin's tension and strength. have.
  • Skin aging is largely divided into endogenous aging due to physiological aging and photoaging caused by continuous ultraviolet radiation (UV) exposure. Repeated ultraviolet exposure results in increased collagen degrading enzymes and causing denaturation and destruction of collagen fibers, reducing the elasticity of the skin and promoting the production of wrinkles. That is,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s increased in skin tissues exposed to ultraviolet rays continuously, and the latter has a signaling system mediated by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umor necrosis factor (TNF) -receptor, etc. It promote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 EGF-R growth factor receptor
  • TNF tumor necrosis factor
  • Activation of these receptors consists of continuous phosphorylation that activates downstream signaling mediators, including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resulting in activator protein-1 (AP-1). And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nuclear factor ⁇ B (NF- ⁇ B) to induce an inflammatory response and to promote the activity of collagenase such a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to reduce skin elasticity and promote wrinkle formation do.
  • AP-1 regulates the expression of numerous genes involved in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and strongly regulates the expression of some MMPs.
  • MMP-1 is known as collagenase 1, and is based on type 1 and 3 collagen.
  • cymene has three isomers of o-cymen, m-cymen, and p-cymen.
  • p-cymen in the in vitro experiments is derived from olive oil.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ipolytic efficacy measured to produce oleic acid is very excellent. Pain relief and anti-inflammatory results from oral administration of p-cymen complex at 20-40 mg / kg dose in mice It was reported that efficacy was observed.
  • Behenic acid is mainly found in plants such as Moringa oleifera (Drumstick tree) and Arachis hypogaea (Peanut). It is unknown about the biological activity of behenic acid.
  • 2-methoxynaphthalene (2-methoxynaphthalene) has been mainly used as a fragrance of the soap, there is no biological activity of the previously reported 2-methoxynaphthalene.
  • Thymol is a kind of strong antioxidant monoterpene phenol extracted from thyme or oregano essential oil, and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t is a major component of thyme. Timol is registered as a flavoring agent in the Korean KFDA and US FDA food additive databases and is a food additive that allows direct addition for human consumption as a chemical seasoning and adjuvant.
  • thymol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ymol reported in the past has been reported to reduce the resistance of bacteria resistant to empicillin, penicillin and the like, and also to block the propagation of drug-resistant pathogens due to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of thymol. Has been reported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In addition, because of its strong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effects, thymol has been used locally for various medical purposes in the past,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to make mummies in ancient Egypt.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plant essential oil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thymol and cadaverine have a potent effect on ameliorating mutations.
  • thymol is a product metabolized in the lungs, urine, feces, It is reported to be released through the ski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research to develop food or cosmetic materials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wrinkles by inhibiting the action of collagen degrading enzymes in natural products with few side effects and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 cymen, behenic acid, 2-methox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naphthalene or thymol has an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removing skin dead skin, enhancing skin elasticity, suppress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enhancement, erythema suppress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 or skin photoag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removing skin dead skin, enhancing skin elasticity, suppress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or quasi-drug composition having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removing skin dead skin, enhancing skin elasticity, suppress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skin moisturization,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rythema suppress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 or skin photoaging improvement containing the above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ymene, behenic acid, 2, for the preparation of therapeutic agents fo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removing skin dead skin, enhancing skin elasticity, suppress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a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is a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removing dead skin cells, enhancing skin elasticity,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mproves skin moisturization,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food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the cymen,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food acceptable salts thereof may be included in 0.0001 to 2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smetic composition weight.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essenc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ck, mask pack, mask sheet, exfoliant, soap, shampoo,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body cleanser, latex, press powder, loose powder and eye shadow It can be prepared a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granules, powders, capsules, liquid solutions and rings.
  • the cosmetic composition or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skin wrinkle improvement component.
  • the additional skin wrinkle improvement compon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tamin C, retinoic aci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protein from animal placenta, betulinic acid and chlorella extract It may be any one or more.
  • T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mproves skin moisturizing,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erythema suppress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 or quasi-drug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salt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enhances skin moisture content, decreases skin moisture evaporation amount, increases procollagen secretion, Improves collagen biosynthesis, inhibits collagen fiber damage, inhibits collagen fiber degradation, suppresses erythema and thickening of skin epidermal layer, improving skin moisturizing,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erythema, skin wrinkles This can be useful for.
  • simen,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product, it is safe for the human body and has less side effects, and thus can be us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cosmetics, health foods, medicines or quasi-drugs.
  •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procollagen secretion by ELISA assay after irradiating UVB at 20 mJ / cm 2 to human dermal fibroblasts for 24 hours with 100 ⁇ M of vitamin C or p-cymene (- UVB: Normal group without UVB, + UVB: UVB-treated control group, CM: UV-irradiated p-cymen-treated group, VitC: UVB-treated vitamin C-treated group, CM + VitC: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cymen and vitamin C after UVB irradiation).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procollagen secretion by ELISA assay after irradiating UVB at 20 mJ / cm 2 to human dermal fibroblasts for 24 hours with 100 ⁇ M of vitamin C or thymol (-UVB: Normal group without UVB treatment, + UVB: UVB treated control group, TM: UVB irradiated thymol treated experimental group, VitC: UVB irradiated vitamin C treated control group, TM + VitC: UVB irradiated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ymol and vitamin C).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gain and dietary intake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cymene (C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A: weight, B: weight gain, C and D: Dietary intake).
  • CM p-cymen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gain and dietary intake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behenic acid (BA)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A: weight, B: weight gain, C and D: diet Intake).
  • BA behenic acid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gain and dietary intake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2-methoxynaphthalene (2MN)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A: weight, B: weight gain, C and D: dietary intake).
  • 2MN 2-methoxynaphthalene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weight gain and dietary intake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thymol (T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A: weight, B: weight gain, C and D: dietary intake ).
  • TM thymol
  • FIG. 7 shows the water content (A), water evaporation (B), elasticity (C) and erythema index of skin tissue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cymene (C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It is a graph showing D).
  • FIG. 8 shows the water content (A), water evaporation (B), elasticity (C) and erythema index (D) of skin tissue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behenic acid (BA)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 ) Is a graph.
  • Figure 9 shows the water content (A), water evaporation (B), elasticity (C) and erythema of the skin tissue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2-methoxynaphthalene (2MN) as the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It is a graph showing the exponent (D).
  • Figure 10 shows the water content (A), water evaporation (B), elasticity (C) and erythema index (D) of the skin tissue of the mouse fed the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thymol (TM) as the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Is a graph.
  •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ack skin tissue of each mous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cymene (C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CM p-cymene
  • Fig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ack skin tissue of each mouse ingested the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behenic acid (BA) as the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BA behenic acid
  • Figure 1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ack skin tissue of each mous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2-methoxynaphthalene (2MN) as the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ure 1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ack skin tissue of each mouse receiving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thymol (TM) as the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TM thymol
  • FIG. 15 is a photograph (A) and a graph (B) showing the degree of wrinkle formation of the back skin tissue of a mouse fed an experimental diet including P-cymen (C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CM P-cymen
  • Figure 16 is a photograph (A) and a graph (B) showing the degree of wrinkle formation of the back skin tissue of a mous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behenic acid (BA)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BA behenic acid
  • FIG. 17 is a photograph (A) and a graph (B) showing the degree of wrinkle formation of the back skin tissue of a mous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2-methoxynaphthalene (2MN)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2MN 2-methoxynaphthalene
  • FIG. 18 is a photograph (A) and a graph (B) showing the degree of wrinkle formation of the back skin tissue of a mous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thymol (T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 19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cymene (CM) as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 19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cymene (CM) as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 20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behenic acid (BA)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 20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behenic acid (BA)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BA behenic acid
  • FIG. 21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including 2-methoxynaphthalene (2MN) as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2MN 2-methoxynaphthalene
  • FIG. 22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including thymol (T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 22 is a graph (A) and skin epidermal layer (B) measuring skin thickness of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including thymol (T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Figure 23 is a photograph observing the change in the amount and morphology of collagen fibers in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P-cymen (C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CM P-cymen
  • CM 2-methoxynaphthalene
  • Figure 26 is a photograph observing the change in the amount and morphology of collagen fibers in mice fed an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thymol (TM) as a test substance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 TM thymol
  • FIG. 27 shows the results of RT-PCR measurement of the expression changes of collagen and MMP genes in hairless mice treated with P-cymen (CM).
  • FIG. 28 shows the results of RT-PCR measurement of the expression changes of collagen and MMP genes in hairless mice treated with behenic acid (BA).
  • FIG. 29 shows the results of RT-PCR measurement of expression changes of collagen and MMP genes in hairless mouse back tissues treated with 2-methoxynaphthalene (2MN).
  • Figure 30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of collagen and MMP genes in thymol (TM) treated hairless mouse back tissue by RT-PCR.
  • the composi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kin hydration content, reduced skin moisture evaporation amount, increased procollagen secretion, increased collagen biosynthesis, inhibited collagen fiber damage, inhibited collagen fiber degradation, erythema suppression and thickening inhibitory effect of skin epidermal layer. It can be usefully used for improvement, skin moisturization improvement,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rythema suppress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 or skin photoaging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kin moisturization,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Cymene is an alkylbenzene-based compound having a structural formula of C10H14 and a molecular weight of 134.21 g / mol. Cymen has three isomers and is called o-cymene, m-cymene and p-cyme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2 and 3,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molecular structure: . Among these isomers, p-cymene is also called tinnitus, such as 1-methyl-4- (1-methylethyl) benzene, 4-isopropyltoluene, 4-methylcumene, paracymene, and the like. p-cymene is a colorless liquid with a melting point of -68 ° C and a boiling point of 177 ° C.
  • p-cymen is a component of essential oils: Nigella Sativa (Black Seed), Thymus zygis (Thyme white, thyme white), Origanum vulgare (Oregano, oregano), Thymus vulgaris (Thyme, thyme), Cinnamomum camphora (Camphor, camphor) ), Trachyspermum ammi (Ajowan, Ayowan), Croton eluteria (Cascarilla, Cascarilla), Cuminum cyminum (Cumin, Cumin), Satureja (Savory, Seibori), Capsicum annuum (Pepper, Pepper), Monarda (Bee balm), etc. Mainly contained in plants.
  • p-cymene is an aromatic organic compound registered as a flavoring agent in the Korean KFDA and US FDA food additive databases.
  • Behenic acid is a carboxylic acid compound, and has a structure of Formula 4 below. Cas No. is 112-85-6 and the structural formula is CH3 (CH2) 30COOH. C32H4O3, and molecular weight 340.59 g / mol.
  • the name of IUPAC of behenic acid is docosanoic acid, and it is named as 1-docosanoic acid, n-docosanoic acid, n-docosanoate, glycon B-70, hydrofol acid 560, hydrofol 2022-55, hystrene 5522, hystrene 9022, prifrac 2989, etc. Also called.
  • Behenic acid is a white waxy solid, with a melting point of 81-82 ° C and a boiling point of 306 ° C.
  • Behenic acid is found primarily in plants such as Moringa oleifera (Drumstick tree) and Arachis hypogaea (Peanut).
  • 2-methoxynaphthalene is a hydroxyl-based compound having a structure of Formula 5 below. Cas No. is 93-04-9, structural formula is C11H10O, and molecular weight is 158.2 g / mol.
  • 2-methoxynaphthalene is methyl 2-naphthyl, 2-Naphthol methyl ether, 2-Naphthyl methyl ether, 6-Methoxy-2-naphthalene, Methyl 2-naphthyl ether, Methyl b-naphthyl ether, Nerolin, b-Methoxynaphthalene, b Also known as tinnitus, naphthol methyl ether and b-Naphthyl methyl ether.
  • 2-methoxynaphthalene is a white crystalline component, with a melting point of 70-73 ° C and a boiling point of 274 ° C.
  • Thymol is a compound having a structure of Formula 6, and the IUPAC name is 2-isopropyl-5-methylphenol. Cas No. is 89-83-8, structural formula is C10H14O, and molecular weight is 150.22. g / mol. Timol is also known as tinnitus, such as 2-Isopropyl-5-methylphenol, 5-Methyl-2- (1-methylethyl) phenol, 5-Methyl-2-isopropylphenol, and IPMP. Timol is a colorless crystalline ingredient, a medicine odor pronounced of herb spice smell and thyme. Melting point is 51 °C and boiling point is 232.8 °C.
  • Timol is Euphrasia rostkoviana (Eyebright), Monarda didyma (Bergamot), Monarda fistulosa (Bee balm), Trachyspermum ammi (Ajowan), Origanum dictamnus (Origanum), Origanum onites (Pot Marjoram), Origanum vulgare (Oregano) , Thymus glandulosus, Thymus hyemalis (Thymus), Thymus vulgaris (German thyme), and Thymus zygis.
  • the method for obtaining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and thym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solated from a plant containing the compound, chemically synthesized using a known method or commercially available. Can be.
  • the LD50 value of p-cymen was 4.75 g / kg when administered orally in rats (Jenner et al, "Food flavourings and compounds of related structure I. Acute oral toxicity.” 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2: 327-343, 1964) And 5 g / kg or more (Opdyke et al, "Monographs on fragrance raw materials: p-Cymene" 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12: 401-402, 1974).
  • p-cymene is orally administered at 0.1 mg / kg to 4,700 mg / kg, preferably 1 mg / kg to 3,000 mg / kg, or 0.1 mg / kg to 5,000 mg / kg, preferably 1 mg / kg Since the application to the skin at about 4,000 mg / kg is very insignificant or not toxic, p-cymen may be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dietary supplements, pharmaceuticals or quasi-drug compositions, etc. Can be used.
  • NOAE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 behenic acid at 0.1 mg / kg to 4,360 mg / kg, preferably 1 mg / kg to 3,000 mg / kg is very insignificant or not toxic, so behenic acid can be administered within the above concentration range.
  • appropriate concentration can be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pharmaceutical or quasi-drug composition.
  • LD50 values of 2-methoxynaphthalene were reported to be 5,000 mg / kg when applied to rabbits and 5,000 mg / kg when administered orally to rats (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13: 885, 1975).
  • 2-methoxynaphthalene at 0.1 mg / kg to 5,000 mg / kg, preferably 1 mg / kg to 4,000 mg / kg or on the skin is very minimal or non-toxic, so 2-methoxy Naphthalene can be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nutraceutical compositions, medicines or quasi-drug compositions and the like at appropriate concentrations depending on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and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within the concentration range.
  • the LD50 value of thymol was reported as 100 mg / kg intravenously in mice, 955 mg / kg orally in mice, and 880 mg / kg orally in guinea pigs (Tox-Info). ,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Institute).
  • oral administration of thymol at 0.01 mg / kg to 950 mg / kg, preferably 0.1 mg / kg to 700 mg / kg, is not very toxic or thymol, so thymol should be administered within the above concentration range and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 thymol should be administered within the above concentration range and the purpose of administration.
  • concentration can be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s, pharmaceutical or quasi-drug composition.
  • Ci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and thymol contain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hydrates, derivatives, and the like of these compounds within the range having the same efficacy, solvates or stereoisomers thereof It may also include.
  • the cymen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three isomers of o-cymene, m-cymene and p-cymene.
  • the term "improve skin wrinkles” means maintaining or enhancing the ability to be associated with wrinkles and elasticity of the skin.
  • Collagen (collagen) and elastic fiber elastin (collagen) in the dermal layer of the skin is the main protein that plays a role in the skin elasticity, collagen biosynthesis is affected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skin.
  • the skin cells are reduced in cell activity due to natural aging, the collagen fibers are reduced, or the active oxygen produced by excessive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or stress as an external factor, the thiol group of the protein (thiol: -SH)
  • the enzyme activity or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degradation enzymes, such as collagen, elastin, increase the wrinkles of the skin and decrease the elasticity, the skin aging progresses.
  • the term “cosmetic acceptable salt”, “food acceptable salt”,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salt thereof” may be an acid addition salt formed by free acid.
  • Acid addition salts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by dissolving a compound in an excess of aqueous acid solution and precipitating the salt using a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 a water 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 equimolar amounts of the compound and acid or alcohol (eg, glycol monomethyl ether) in water can be heated and the mixture can then be evaporated to dryness or the precipitated salts can be suction filtered.
  • an inorganic acid or an organic acid may be used as the free acid.
  • the inorganic acid may be hydrochlo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tartaric acid, and the like,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organic acid are metha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benzo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nderic acid, propionic acid (propionic acid).
  •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glycolic acid, gluconic acid, galacturonic acid, glutamic acid, glutaric acid, glucuronic acid (glucuronic acid), aspartic acid, ascorbic acid, carbonic acid, vanic acid, hydroiodic acid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the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and thymol can use bases to make cosmetically or foods acceptable metal salts.
  •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insoluble compounds salt, and then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 the metal sal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prepare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rresponding silver salts can also be obtained by reacting an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with a suitable silver salt (eg silver nitrate).
  • the salts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and thymol are all salts of acidic or basic groups which may be present in the compounds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and thymol unless otherwise indicated. It may include.
  • the salts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and thymol may include sodium, calcium and potassium salts of the hydroxy group, and othe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 amino group include hardbromide.
  • the effective amoun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cluded in 0.00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have.
  • the amount of cymen,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salts thereof in the cosmetic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the amount may be small and may not have an anti-wrinkle effect, and when 20% by weight or more may show known toxicity.
  • the experimental diet of Table 1 containing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as a test substance with ultraviolet irradiation is supplied to the hairless mice for 10 weeks, and the skin of the experimental animal Water content, water evaporation, elasticity, erythema index, wrinkle of back skin tissue, skin thickness change, collagen fiber quantity and morphology, collagen type 1 ⁇ 1, 1 ⁇ 2, 3 ⁇ 1 expression and MMP-1a, MMP-1b, MMP -3, MMP-9 gene expression was measured.
  •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significantly increased skin moisture content and elasticity, and significantly reduced water evaporation and erythema index (FIGS. 7 to 10).
  •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improves wrinkles of the back skin tissues of experimental animals (FIGS. 11 to 14) and significantly reduces skin wrinkle area, depth and length, resulting in marked wrinkles. 15 to 18, the thickness of the epidermal layer thicken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is also significantly reduced (Figs. 19 to 22), and the density of collagen fibers is maintained and the arrangement is maintained regularly. (FIGS.
  • composition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sal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kin wrinkles, improve skin moisturizing, remove skin dead skin, enhance skin elasticity, It may be usefully used as a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s, health functional foods, medicines or quasi-drugs, etc., which provides skin wrinkle improvement, erythema suppression, and / or skin photoaging improvement.
  • the term "cosmetic composition” is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the formulation may be in any form.
  • the cosmetic preparation prepared using the composition may be a nourishing cream, eye cream, massage cream, cream such as cleansing cream, pack, lotion such as nutrient lotion, essence, softening lotion, and lotion such as nourishing lotion.
  • Powders, foundations, makeup bases, and the like and may be prepared and commercialized in any of these formulations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ulated by a conventional cosmetic preparation method.
  • the cosme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izing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essence, pack, mask pack, mask sheet It may have one of th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xfoliants, soaps, shampoos, cleansing foams, cleansing lotions, cleansing creams, body lotions, body cleansers, emulsions, press powders, loose powders and eye shadow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carriers, in addition to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salts thereof, and may be applied as necessary to the usual ingredients formulated in general skin cosmetics. It is possible to do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 transdermal penetration enhancer is a composition that allows a desired component to penetrate into the blood vessel cells of the skin at a high absorption rate.
  • phospholipid components, liposome components and the like used in lecithin cosmetics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 oil which can be mainly used as an oil phase component
  • one or more selected from vegetable oil, mineral oil, silicone oil and synthetic oil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mineral oil, cyclomethicone, squalane, octyldodecyl myristate, olive oil, Vitis binifera seed oil, macadamia nut oil, glyceryl octanoate, castor oil, ethylhexyl isononanoate, dimethicone Chicon, cyclopentasiloxane, sunflower seed oil and the like can be used.
  • a surfactant may be used conventional surfactants such a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mphoteric surfactants, phospholipids, and the like, specifically, sorbitan sesquinolate, polysorbate 60 , Glyceryl stearate, lipophilic glyceryl stearate, sorbitan oleate, sorbitan stearate, die-cetyl phosphate, sorbitan stearate / sucrosecoate, glyceryl stearate / polyethylene glycol-100 Stearate, ceteareth-6 oleate, arachidyl alcohol / behenyl alcohol / arachidyl glucoside, polypropylene glycol-26-butes-26 / polyethylene glycol-40 hydrogenated castor oil, etc.
  • surfactants may be used conventional surfactants such as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mphoteric
  • alcohols having 12 to 20 carbon atoms such as cetyl alcohol, stearyl alcohol, octyldodecanol, isostearyl alcohol,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 the aqueous phase component may further add 0.001 to 5% by weight of one or more thickeners such as carbomer, xanthan gum, bentoni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cellulose gum, dextrin palmitate and the like to adjust the viscosity or hardness of the aqueous phase.
  • thickeners such as carbomer, xanthan gum, bentonite, magnesium aluminum silicate, cellulose gum, dextrin palmitate and the like to adjust the viscosity or hardness of the aqueous phas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active ingredients such as higher fatty acids, vitamins, sunscreens, antioxidants (butylhydroxyanisole, propyl gallic acid, elixolic acid, tocopheryl acetate, butylated hydroxy) Toluene), preservatives (methylparaben, butylparaben, propylparaben, phenoxyethanol, imidazolidinylurea, chlorphenesin, etc.), colorants, pH adjusters (triethanolamine, citric acid, citric acid, sodium citrate, malic acid, Sodium malic acid, fmaric acid, sodium pramate, succinic acid, sodium succinate, sodium hydroxide, sodium monohydrogen phosphate, etc., moisturizers (glycerine, sorbit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hexylene glycol, diglycerin , Betaine, glycerin-26, methylgluse-20 and the like), lubric acid,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ubstance capable of auxiliaryly providing essential nutrients to the skin, and may preferably contain auxiliary ag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natural flavors, cosmetic flavors, or herbal medicines. hav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kin wrinkle improvement component or skin elasticity enhancing component.
  • the specific skin wrinkle improving component or skin elasticity enhancing componen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tamin C, retinoic acid, TGF, protein from animal placenta, betulinic acid and chlorella extract, most preferably Vitamin C.
  • the amount of collagen when treated with UV rays 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with vitamin C, the amount of collagen is measured to a higher value than when treated with cymen, thymol and vitamin C alone,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to exhibit a synergistic effect (FIGS. 1 and 2).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mproves skin moisturization,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their food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inhibit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prepared and process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s for the human body.
  • 'functional' means to obtain a useful effect for health purposes such as nutrient control or physiological action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 preparation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an also be prepar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ormulation is recogn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can occur when taking long-term use of the drug, unlike foods as a raw material, and excellent portability, improve skin moisturizing,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Ingestion may be taken as an adjuvant to promote erythema suppress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 or skin photoaging improvement.
  • the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granules, powders, capsules, liquid solutions and ring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wders, liquids, tablets, soft capsules, granules, and tea bags by including cimen,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food acceptable salt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s. I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instant tea or drink.
  • the conten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as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amoun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included in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ded at 0.1 to 90%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may preferably give a synergistic effect to the main effect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mai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ingredients that may be present such as vitamin C or wrinkles, or natural products such as green tea extract, mulberry extract, licorice extract, lettuce extract, betel nut extract, golden extract, wild ginseng extract.
  • the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 formulated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may be added to the foo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foods include drinks, meats, sausages, breads, biscuits, rice cakes,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dairy products including other noodles, gums, ice creams, various soup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 Dairy products and dairy products, and all functiona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nk, it contains cimen,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as essential ingredients in the indicated ratio, and other ingredients used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other drink agents have special limitations. It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n additional ingredient, as in normal beverages. Examples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 a natural flavoring agent such as a natural flavoring agent, a synthetic flavoring agent, etc.
  • the proportion of such natural carbohydrates is generally about 1 to 20 g, preferably about 5 to 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ulp for producing natural fruit juice and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from the range of 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improves skin moisturizing, skin exfoliation, skin elasticity, erythema suppress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quasi-drug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 it may include known skin wrinkle improving ingredients or elasticity enhancing ingredients.
  • additional skin wrinkle improving component and elasticity enhancing component the wrinkle improvement and elasticity enhancing effec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enhanced.
  • the ingredient is added, skin safety, ease of formulation, and stability of the active ingredients may be consider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a wrinkle improving component known in the art,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tamin C, retinoic acid, TGF, protein from animal placenta, betulinic acid and chlorella extract It may further comprise a skin wrinkle improving ingredient.
  • the additional skin wrinkle improv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0.00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content range is based on requirements such as collagen synthesis promoting activity, skin safety, ease of formulation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Can be adjusted accordingly.
  •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and elastic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contain various components such as buffers, sterile water for injection, general saline or phosphate buffered saline, sucrose, histidine, salts, polysorbates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may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example, in various formulations, orally and parenterally, in the case of clinical administration.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and the like.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It may be prepared by mixing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mproves skin hydration, exfoliates skin, enhances skin elasticity, suppresses erythema, and skin when it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t can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wrinkles or skin photoaging.
  • the term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of a compound capable of inhibiting or inhibiting generation of wrinkles on the skin or alleviating wrinkles already produced.
  • the effective amoun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in the form in which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the method by which the compound is applied to the skin, and the time of stay in the skin. Will depend. For example, when the composition is commercialized as a medicament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due to wrinkle formation, elasticity reduction, and blemishes of the skin, it is u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at of a cosmetic product that is routinely applied to the skin. -Methoxynaphthalene, thymol or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 the term "quasi dru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rticles that have a lesser action than drugs among those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ameliorat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of humans or animals.
  • the drug is used for the purpose of medicine, and it includes a product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f humans and animals, and a product having a slight or no direct action on the human body.
  •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kin moisturizing, removing skin dead skin, enhancing skin elasticity, suppressing erythema, improving skin wrinkles and / or improving skin photoaging,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formulation thereof.
  • It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formulation of a flexible cosmetics, nourishing cosmetics, massage creams, nutrition creams, packs, mask packs, mask sheets, gels or skin adhesive cosmetics, and also lotions, ointments, gels, creams, patches or sprays.
  • It may be a transdermal dosage form such as
  • the quasi-drug composition may be optionally selected and blended with other ingredients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other quasi-drugs.
  • the mixe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inhibition or relaxation).
  • it may include conventional adjuvants such as thickener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s, carriers and the like.
  • the content of 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or salt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0001 to 20% by weigh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quasi-drug composition. If the content exceeds 20% by weight, the color and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are inferio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01%, the effect is minimal.
  • Primary dermal fibroblasts (normal, human, neonatal, ATCC No. PCS-201-010) were purchased from ATCC (Manassas, VA, USA) and used. The purchased cells were cultured in a 37, 5% CO 2 incubator using a fibroblast growth medium (Promo Cell, Heidelberg) was used for the experiment.
  • human fibroblasts were dispensed in 12 well-plates at 1.0 ⁇ 10 6 cells / well, and p-cymene, thymol and vitamin C were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00 ⁇ M for 24 hours.
  • PBS washed once with PBS, and again put 1 ml of PBS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B (UVB) at 20 mJ / cm 2 conditions.
  • PBS of each well was replaced with medium again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amount of procollagen secreted into the medium was measured using a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 (Takara Bio, Japan).
  • the standard solution included in the collagen measurement kit was diluted by concentra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to prepare a standard concentration curv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collagen produced.
  • Collagen the main protein constituting the skin, is synthesized in the form of procollagen from fibroblasts present in the dermis and then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Procollagen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is decomposed by the procollagen peptidase on the cell surface and formed into active collagen. Therefore, the activated collagen conten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peptide content.
  • FIGS. 1 and 2 represents the means ⁇ SEM of three measurements from three independent wells. Mean values in other alphabets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Human skin fibroblasts were treated with UV radiation and treated with drugs to measure the amount of procollagen and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 PIP procollagen type I C-peptide
  • CM + VitC cells treated with p-cymen with vitamin C
  • CM + VitC had a 46%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collagen compared to UV-controlled cells (+ UVB), which was vitamin C (+ 37%) or p-cymene. (+ 11%) is higher than the amount of collagen observed in cells treated alone (FIG. 1).
  • Primary dermal fibroblasts (normal, human, neonatal, ATCC No. PCS-201-010) were purchased from ATCC (Manassas, VA, USA) and used. The purchased cells were cultured in a 37, 5% CO 2 incubator using a fibroblast growth medium (Promo Cell, Heidelberg) was used for the experiment.
  • human fibroblasts were dispensed in 12 well-plates at 1.0 ⁇ 10 6 cells / well, and p-cymene, thymol and vitamin C were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00 ⁇ M for 24 hours.
  • PBS washed once with PBS, and again put 1 ml of PBS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B (UVB) at 20 mJ / cm 2 conditions.
  • PBS of each well was replaced with medium again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amount of procollagen secreted into the medium was measured using a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 (Takara Bio, Japan).
  • the standard solution included in the collagen measurement kit was diluted by concentra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to prepare a standard concentration curve and calculate the amount of collagen produced.
  • Collagen the main protein constituting the skin, is synthesized in the form of procollagen from fibroblasts present in the dermis and then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Procollagen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is decomposed by the procollagen peptidase on the cell surface and formed into active collagen. Therefore, the activated collagen conten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peptide content.
  • FIGS. 1 and 2 represents the means ⁇ SEM of three measurements from three independent wells. Mean values in other alphabets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Human skin fibroblasts were treated with UV radiation and treated with drugs to measure the amount of procollagen and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secreted into the extracellular matrix.
  • PIP procollagen type I C-peptide
  • CM + VitC cells treated with p-cymen with vitamin C
  • CM + VitC had a 46%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collagen compared to UV-controlled cells (+ UVB), which was vitamin C (+ 37%) or p-cymene. (+ 11%) is higher than the amount of collagen observed in cells treated alone (FIG. 1).
  • Experimental composition table ingredient ingredient AIN-93G Dietary (g / kg diet) Experimental substance Supplementary diet (CM, BA , 2MN or TM ) (g / kg diet) Vitamin c Supplementary diet ( Vitc ) (g / kg diet) Casein 200 200 200 Maltodextrin 132 132 132 Corn starch 397.486 395.486 395.486 Sucrose 100 100 100 cellulose 50 50 50 50 Soybean oil 70 70 70 70 Vitamin complex 10 10 10 Mineral complex 35 35 35 Choline Bitartrate 2.5 2.5 2.5 2.5 L-cystine 3 3 3 3 Tert-Butyhydroquinone 0.014 0.014 0.014 Test substance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 2 - Vitamin c - - 2 Total (g)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UVB ultraviolet B
  • the UV irradiation dose was 73 mJ / cm 2 for the first week, 146 mJ / cm2 for the second week, and 219 for three to ten weeks. Irradiated at mJ / cm 2.
  • body weight and skin thickness were measured every week, and photographs of the back skin were taken. Skin thickness was measured in the hip region of hairless mice using a digital micro caliper (Marathon Watch Company Ltd, Ontario, Canada). The caliper used in the measurement was able to measure up to 0.01 mm and the adjustment function to apply a constant force to the thickness allowed the skin thickness to be measured under the same force.
  • the skin of hairless mice subjected to UV irradiation for 10 weeks was made of silicone rubber to measure the extent of wrinkle formation. Attach a disk with a circular hole with a diameter of 1 cm to the back of the hairless mouse, mix the reagent for making a replica, thinly spread it on the back of the hairless mouse, dry it completely, and carefully remove the disk. was produced. Fabrication temperature of the replica plate was carried out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of 20 ⁇ 23, humidity of 45 ⁇ 50%, and a silicon rubber impression material (Epigem, Seoul, Korea) for producing a replica plate. Analysis of the simulated platen was performed using a computer image analyzer (Visioline VL650, CK electronic GmbH, Germany) for total wrinkle area, maximum wrinkle depth, mean depth and mean wrinkles. Four wrinkle indicator items such as mean length were analyzed.
  • mice The back skin tissue of hairless mice was extracted and fixed in 10% formalin. Then, Hema toxylin and eosin (H & E) and Masson's trichrome (M & T) staining were performed by Korean CFC (Gyeonggi-do, Korea), followed by optical microscope (IX71, Olympus, After observing using JPN, pictures were taken using a digital camera (DP71, Olympus, JPN).
  • Tissue was ground by adding 1 ml of Trizol solution per 0.1 g of back skin tissue, and centrifuged at 4, 12,000 xg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200 ⁇ l of chloroform was added and vortexed. After repeating this process twice, the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new tube and isoprophanol and supernatant were added at a 1: 1 ratio. After shaking vigorously 10 times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5 minutes,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at 12,000 xg and 4 minutes for 1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1 ml of 70% ethanol was added to the remaining precipitate, followed by 5 minutes at 7,500 xg and 4 minutes. Centrifugation was performed.
  • RNA pellet was dissolved using nuclease free water.
  • UV / VIS spectrophotometer Beckman coulter, DU730 was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RNA samples extracted at 260 nm and 280 nm wavelength, and the integrity of the RNA samples were confirm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 CDNA was synthesized by reverse transcription using oligo dT primer and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 on RNA samples extracted from the back skin tissue. PCR was performed using 5D and 3 'flanking sequences of the gene cDNA to be amplified as a template and cDNA obtained through reverse transcription, and the primer sequences used are shown in Table 2. 1 ⁇ l of the amplified PCR product was electrophoresed on 1% agarose gel to confirm DNA band.
  • FIGS. 3-6 are mean ⁇ SEM of 5 mice.
  • FIGS. 7 to 10 are mean ⁇ SEM of five mice, and the alphabet above the bar repres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ne-way ANOVA follow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 the + UVB control group was thicker and deeper than the normal UV-irradiated group (-UVB). Fine wrinkles were formed along with the wrinkles, and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intake group had almost no deep wrinkles compared to the + UVB control group despite UV irradiation of the same inten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and depth of the wrink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igs. 15A, 16A, 17A and 18A).
  • CM group showed 60% total wrinkle area, maximum wrinkle depth 66%, average wrinkle depth 33%, and average wrinkle compared with + UVB group.
  • the length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63%, and the antiwrinkle efficacy of this p-cymen was similar to the antiwrinkle efficacy observed in vitamin C (FIG. 15B).
  • the BA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total wrinkle area by 56%, the maximum wrinkle depth by 68%, the average wrinkle depth by 44%, and the average wrinkle length by 71%. was similar to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observed in vitamin C (FIG. 16B).
  • the total wrinkle area was 76%
  • the maximum wrinkle depth was 69%
  • the average wrinkle depth was 47%
  • the average wrinkle length was 74% lower than that of the + UVB group.
  • the antiwrinkle effect was similar to the antiwrinkle effect observed in vitamin C (FIG. 17B).
  • the TM group significantly reduced the total wrinkle area by 73%, the maximum wrinkle depth by 59%, the average wrinkle depth by 43%, and the average wrinkle length by 69%. It was similar to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observed in vitamin C (FIG. 18B).
  • FIGS. 15B, 16B, 17B and 18B are mean ⁇ SEM of 5 mice, and the alphabet above the bars repres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ne-way ANOVA follow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ngestion of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has an effect of significantly suppressing wrinkle formation by ultraviolet irradiation.
  • the + UVB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kin thicknes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UVB) without UV irradiation.
  • the group ingeste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reduced skin thickness by 22%, 19%, 16%, and 1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 UVB control group (FIGS. 19A, 20A, 21A, and 22A).
  • the values of FIGS. 19A, 20A, 21A and 22A are mean ⁇ SEM of 5 mice, and the alphabet above the bar repres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one-way ANOVA follow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
  • the skin epidermal layer thickness of hairless mice by H & E staining of skin tissue was also observed that the + UVB control group thickened the skin epidermal layer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UVB) without UV irradiation.
  • the thickness of the epidermal layer thicken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Figs. 19B, 20B, 21B and 22B).
  • Collagen types 1 and 3 are proteins that constitute the cytoplasmic components of the dermal layer, and in particular, type 1 collagen is present in the largest amount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present in skin connective tissue.
  • MMPs that catalyze collagen degradation
  • MMP types known to increase by UV rays are known as Nos. 1, 3, and 9.
  • MMP-1 is known to cut the middle of collagen fibers
  • MMP-3 and MMP-9 are known to play a role in subdividing and cutting the cut collagen fibers (Quan T. et al. Elevated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collagen fragmentation).
  • collagen type 1 ⁇ 1 and ⁇ 2 and collagen type 3 ⁇ 1 of + UVB control group were compared with normal group (-UVB) without UV irradiation.
  • the expression of MMP-1a and -1b, MMP-3, and MMP-9 ge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intake group the expression of collagen type 1 ⁇ 1 and ⁇ 2 and collagen type 3 ⁇ 1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 UVB control group, and MMP-1a and -1b, MMP-3, and MMP-9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FIGS. 27-30). Therefore,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is believed to inhibit wrinkle formation by UV irradiation by increasing collagen protein synthesis of skin tissue and inhibiting collagen fiber degradation.
  • components 1 to 8 are first dissolved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70, and then components 9 to 13 are dissolved and dispersed in component 14 and emulsified to 70. Thereafter, the emulsified product was cooled to a temperature of 56, and then, component 15 dissolved in the fractionated component 9 was added thereto, stirred, and cooled at room temperature to prepare nutrient cream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 Comparative Example 1 was prepared by proceed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component composition or manufacturing method except for the component 15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as the test substance.
  • the anti-wrinkle effect of the nutrition cream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was relatively evaluated based on the nutrition cream of Comparative Example 1. Symptoms such as stinging, tingling and erythema were evaluated. Evaluat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five-point standard of very good (5 points), excellent (4 points), moderate (3 points), bad (2 points), very bad (1 poin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and 5 is shown. Skin stimulation in Table 4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score is less skin stimulation, Comparative Example 1 in Tables 4 and 5 shows the average value of four people.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thymol and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has no skin side effects, and Excellent wrinkle improvement, collagen protein synthesis and collagen fiber degradation inhibition effect is excellent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 Skin moisture content was measured using a Koniometer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at room temperature 25 and a relative humidity of 45% before application, and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mulations of Table 3 above the left side of the face and The skin was rested for 10 minutes after application on the right side, and the skin moisture content was measured 12 hours after application and 24 hours after application.
  • the measuring device measur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using a moisture content meter (co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that measures the moisturizing power by measuring the electric capacity of the skin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 the conniometer measures the moisture level by measuring the amount of moisture by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ions using a sensor and measuring the amount of moisture present in the skin epidermis, and the measuring method is as follows.
  • the sensor was wiped with a tissue such as Kimwipe and then measured again.
  • the measured value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are the average values of 10 people for each group, and the measured values of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6 below as the average values of the four groups.
  • the measurement of the skin angular mass was measured by using Charm view (Moritex, Japan)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at room temperature 25 and a relative humidity of 45% before applica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able 3 above.
  • One formulation wa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respectively, and then the skin angular mass after 24 hours was measured and the amount of skin keratoplasty was calculated.
  • the measured value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are the average values of 10 people for each group, and the measured values of Comparative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7 below as the average values of the four groups.
  • composition shown in Table 8 below a flexible lotion containing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 Example 1-1 ( weight% )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0.1 ethanol 10.0 Polylauric acid polyoxyethylene sorbitan 1.0 Paraoxybenzoic Acid Methyl 0.2 glycerin 5.0 1,3-butylene glycol 6.0 incense Quantity Pigment Quantity
  • composition of Table 9 a nourishing lotion containing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was prepared.
  • Example 1-3 ( weight% )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0.2 Stearic acid 15.0 Cetanol 1.0 Potassium hydroxide 0.7 glycerin 5.0 Propylene glycol 3.0 antiseptic Quantity incense Quantity Purified water to 100
  • Example 1-5 ( weight% )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0.2 Propylene glycol 10.0 glycerin 10.0 Sodium hyaluronate aqueous solution (1%) 5.0 ethanol 5.0 Polyoxyethylene Cured Castor Oil 1.0 Paraoxybenzoic Acid Methyl 0.1 incense Quantity Purified water to 100
  • composition ratio of the vitamin and mineral mixture is a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mixed in a preferred embodiment
  •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ing method.
  • the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used for preparing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solution prepared by stirring and heating at 85 for about 1 hour, filtered into 21 sterilized containers, sealed and sterilized and then refrigerated and stored Used to prepare beverage compositions.
  • the composition ratio is a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suitable for the preferred bever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hierarchy, demand country, and usage.
  • Tablets containing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ablet preparation method.
  • the gelatine capsules were fill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apsule preparation method to prepare capsules containing p-cymene, behenic acid, 2-methoxynaphthalene or thymol, respectively.
  • the ring was prepared so as to be 4 g per r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ring production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제거, 피부탄력 증진, 피부주름 개선, 홍반 억제 및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 성물, 의약품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의 염은 피부수분 함유량 증진, 피부수분 증발량 감소, 프로콜라겐 분비량 증가,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섬유 손상 억제, 콜라겐 섬유 분해 억제, 홍반 억제 및 피부 표피층의 비후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피부주름 개선,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본 출원은 2016년 06월 28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8084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수분 함유량 증진, 피부수분 증발량 감소, 프로콜라겐 분비량 증가,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섬유 손상 억제, 콜라겐 섬유 분해 억제, 홍반 억제 및 피부 표피층의 비후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염을 이용하여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품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미용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미용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특히 피부 주름형성 예방, 완화와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화장품의 성분이 피부진피에 도달하여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고, 식품으로 섭취하여 피부에 영양분 또는 기능성분을 공급하여 피부미용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이너뷰티 식품소재들을 발굴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 특히 표피의 가장 외층인 각질층은 피부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수분과 전해질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조직의 결합력 및 탄력성 등에 관여한다. 콜라겐은 형태와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이소폼(isoform)을 구성하며, 사람의 조직에는 총 28가지 콜라겐 이소타입(isotype)이 존재하는데, 이중 피부조직에 존재하는 콜라겐은 타입 1, 3. 4. 6. 7. 13, 14, 17 등이 알려져 있다. 콜라겐 타입 1과 3은 진피층의 세포간질 구성성분을 이루고, 콜라겐 타입 7은 표피와 진피를 연결부위.
피부결합조직에는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 타입 I 콜라겐이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며, 그 밖에 엘라스틴, 피브로넥틴(fibronectin), 인테그린(integrin), 피브릴린(fibrillin), 프로테오글리칸 등의 단백질들이 존재한다. 새로이 합성된 프로콜라겐은 효소반응을 거쳐 피부세포의 세포외 공간으로 분비된 후 삼중나선구조(triple helix configuration)의 마이크로피브릴(microfibril)을 형성하고, 마이크로피브릴들은 류신-리치 스몰 프로테오글리칸(leucine-rich small proteoglycans)과 결합하여 피브릴(fibril)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피브릴들이 모여 피부의 결합력과 탄력성을 제공하는 콜라겐 섬유를 형성하게 된다.
피부노화는 피부 진피조직의 교원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인 콜라겐 함량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고, 콜라겐은 피부의 장력과 강도를 부여하기 때문에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노화 및 주름생성과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피부노화는 크게 생리학적 노화에 의한 내인성 노화, 그리고 지속적인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노출에 의해 일어나는 광노화로 구분된다. 반복적인 자외선 노출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증가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변성 및 파괴를 유발하여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의 생성을 촉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지속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조직에는 활성산소종(ROS)의 발생이 증가하고, 후자는 growth factor receptor (EGF-R), tumor necrosis factor (TNF)-receptor 등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촉진시키게 된다. 이들 수용체의 활성화는 결과적으로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를 포함하는 다운스트림(downstream)의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단백질들을 활성화시키는 연속적인 인산화로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activator protein-1(AP-1)과 nuclear factor κB(NF-κB)와 같은 전사인자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을 유발하고 matrix metalloproteinase(MMPs)와 같은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생성을 촉진시키게 된다. AP-1은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관련되는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일부 MMPs의 발현을 강력히 조절한다. AP-1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MMP 중 MMP-1은 collagenase 1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입 1과 3 콜라겐을 기질로 한다.
한편, 시멘(cymene)은 o-시멘, m-시멘, p-시멘의 3종의 이성질체가 있는데, 종래에 보고된 p-시멘에 대한 생리활성으로는, 시험관 실험에서 p-시멘은 올리브 오일로부터 올레산을 생성하는 정도로 측정된 지방분해(lipolytic) 효능이 매우 탁월하다는 것이 보고되었고,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p-시멘 복합물을 20-40 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결과 통증경감 및 항염증 효능이 관찰되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베헨산(behenic acid)은 Moringa oleifera(Drumstick tree, 드럼스틱), Arachis hypogaea(Peanut, 땅콩) 등의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으며, 베헨산의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은 주로 비누의 향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종래에 보고된 2-메톡시나프탈렌의 생리활성 기능은 없다.
티몰(thymol)은 타임(thyme) 또는 오레가노의 정유에서 추출되는 강한 항산화작용을 하는 모노테르펜(monoterpene) 페놀의 일종이고,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방향성 정유의 하나로 백리향의 주 구성 성분이다. 티몰은 한국 KFDA 및 미국 FDA 식품첨가물 데이터베이스에 착향료로 등록되어 있으며, 화학 조미료와 보조제로서 인체 섭취를 위한 직접적 첨가가 허용되는 식품첨가제이다.
종래에 보고된 티몰의 생리활성으로는, 엠피실린, 페니실린 등에 저항성을 가지는 박테리아의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보고된 바 있고, 또한 티몰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인해 약물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병원체의 번식을 차단하고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 외에도 강한 항균성 및 항진균 효과 때문에 티몰은 과거에 국소적으로 각종 의약용으로 사용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이라를 만드는데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우레탄에 의해 돌연변이가 유도된 노랑초파리에서 티몰과 카다베린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식물 정유가 돌연변이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티몰의 흡수에 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장점막을 통해 잘 흡수되며, 대부분의 경우 경피로 용이하게 흡수된다고 보고되고 있고, 티몰은 체내에서 대사되지 않은 채 또는 간에서 대사된 산물로 폐, 소변, 대변, 그리고 피부를 통해 배출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 모두 피부건강과 관련된 생리활성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에서 콜라겐 분해효소의 작용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한 결과,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이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멘(cymene), 베헨산(behenic acid),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 티몰(thymol) 및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시멘(cymene), 베헨산(behenic acid),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 티몰(thymol) 및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각질제거제,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가로 포함되는 피부주름 개선 성분은 비타민 C, 레티노산,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수분 함유량 증진, 피부수분 증발량 감소, 프로콜라겐 분비량 증가,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섬유 손상 억제, 콜라겐 섬유 분해 억제, 홍반 억제 및 피부 표피층의 비후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은 천연물이므로,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어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의 소재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람 피부섬유아세포에 20 mJ/㎠로 UVB를 조사한 후, 100 μM의 비타민 C 또는 p-시멘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ELISA 분석으로 프로콜라겐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UVB: UVB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 +UVB : UVB를 처리한 대조군, CM : UVB를 조사한 후 p-시멘을 처리한 실험군, VitC : UVB를 조사한 후 비타민 C를 처리한 대조군, CM+VitC : UVB를 조사한 후 p-시멘과 비타민 C를 함께 처리한 실험군).
도 2는 사람 피부섬유아세포에 20 mJ/㎠로 UVB를 조사한 후, 100 μM의 비타민 C 또는 티몰을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ELISA 분석으로 프로콜라겐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UVB: UVB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 +UVB : UVB를 처리한 대조군, TM : UVB를 조사한 후 티몰을 처리한 실험군, VitC : UVB를 조사한 후 비타민 C를 처리한 대조군, TM+VitC : UVB를 조사한 후 티몰과 비타민 C를 함께 처리한 실험군).
도 3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p-시멘(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A: 체중, B: 체중증가량, C 및 D: 식이섭취량).
도 4는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베헨산(BA)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A: 체중, B: 체중증가량, C 및 D: 식이섭취량).
도 5는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2-메톡시나프탈렌(2MN)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A: 체중, B: 체중증가량, C 및 D: 식이섭취량).
도 6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티몰(T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A: 체중, B: 체중증가량, C 및 D: 식이섭취량).
도 7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p-시멘(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A), 수분증발량(B), 탄력성(C) 및 홍반지수(D)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베헨산(BA)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A), 수분증발량(B), 탄력성(C) 및 홍반지수(D)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2-메톡시나프탈렌(2MN)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A), 수분증발량(B), 탄력성(C) 및 홍반지수(D)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티몰(T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A), 수분증발량(B), 탄력성(C) 및 홍반지수(D)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p-시멘(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각각의 등피부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베헨산(BA)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각각의 등피부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2-메톡시나프탈렌(2MN)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각각의 등피부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는 표 1의 조성에서 실험물질로 티몰(T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 각각의 등피부조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P-시멘(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의 주름 형성 정도를 나타낸 사진(A) 및 그래프(B)이다.
도 16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베헨산(BA)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의 주름 형성 정도를 나타낸 사진(A) 및 그래프(B)이다.
도 17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2-메톡시나프탈렌(2MN)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의 주름 형성 정도를 나타낸 사진(A) 및 그래프(B)이다.
도 18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티몰(T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의 주름 형성 정도를 나타낸 사진(A) 및 그래프(B)이다.
도 19는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P-시멘(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A) 및 피부 표피층 사진(B)이다.
도 20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베헨산(BA)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A) 및 피부 표피층 사진(B)이다.
도 21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2-메톡시나프탈렌(2MN)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A) 및 피부 표피층 사진(B)이다.
도 22는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티몰(T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A) 및 피부 표피층 사진(B)이다.
도 23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P-시멘(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콜라겐 섬유의 양과 형태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4는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베헨산(BA)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콜라겐 섬유의 양과 형태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5는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2-메톡시나프탈렌(C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콜라겐 섬유의 양과 형태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6은 표 1의 조성에서 시험물질로 티몰(TM)을 포함하는 실험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콜라겐 섬유의 양과 형태 변화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7은 P-시멘(CM)을 처리한 무모 마우스 등조직에서 콜라겐 및 MMP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베헨산(BA)을 처리한 무모 마우스 등조직에서 콜라겐 및 MMP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2-메톡시나프탈렌(2MN)을 처리한 무모 마우스 등조직에서 콜라겐 및 MMP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티몰(TM)을 처리한 무모 마우스 등조직에서 콜라겐 및 MMP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RT-PC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의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 증진과 같은 피부건강과 관련된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보고된 바가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건강과 관련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의 신규 활성을 확인하고,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품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물은 피부수분 함유량 증진, 피부수분 증발량 감소, 프로콜라겐 분비량 증가, 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섬유 손상 억제, 콜라겐 섬유 분해 억제, 홍반 억제 및 피부 표피층의 비후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시멘(cymene)은 알킬벤젠(alkylbenzene)계 화합물로서 구조식은 C10H14, 분자량은 134.21 g/mol이다. 시멘은 3개의 이성질체를 가지며 분자구조에 따라 각각 하기 화학식 1, 2 및 3으로 표시되는 o-시멘 (o-cymene), m-시멘 (m-cymene) 및 p-시멘 (p-cymene)으로 불린다. 이들 이성질체 중 p-시멘은 1-methyl-4-(1-methylethyl)benzene, 4-isopropyltoluene, 4-methylcumene, paracymene 등의 이명으로도 불리운다. p-시멘은 무색의 액체성분이고 녹는점은 -68℃, 끓는점은 177℃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05933-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7005933-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17005933-appb-I000003
p-시멘은 에센셜 오일의 구성성분으로서, Nigella Sativa(Black Seed), Thymus zygis(Thyme white, 타임 화이트), Origanum vulgare(Oregano, 오레가노), Thymus vulgaris(Thyme, 타임), Cinnamomum camphora(Camphor, 장뇌), Trachyspermum ammi(Ajowan, 아요완), Croton eluteria(Cascarilla, 카스카릴라), Cuminum cyminum (Cumin, 커민), Satureja(Savory, 세이보리), Capsicum annuum(Pepper, 후추), Monarda(Bee balm) 등의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다. p-시멘은 한국 KFDA 및 미국 FDA 식품첨가물 데이터베이스에 착향료로 등록되어 있는 방향족 유기 화합물(aromatic organic compound)이다.
베헨산(behenic acid)은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계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다. Cas No.는 112-85-6이고 구조식은 CH3(CH2)30COOH. C32H4O3, 그리고 분자량은 340.59 g/mol이다. 베헨산의 IUPAC 명은 docosanoic acid 이며, 1-docosanoic acid, n-docosanoic acid, n-docosanoate, glycon B-70, hydrofol acid 560, hydrofol 2022-55, hystrene 5522, hystrene 9022, prifrac 2989, 등의 이명으로도 불리운다. 베헨산은 백색 왁스 상태의 고체성분이고, 녹는점은 81-82℃, 끓는점은 306℃이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7005933-appb-I000004
베헨산은 Moringa oleifera(Drumstick tree, 드럼스틱), Arachis hypogaea(Peanut, 땅콩) 등의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다.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은 하이드록실(hydroxyl)계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다. Cas No.는 93-04-9이고 구조식은 C11H10O, 그리고 분자량은 158.2 g/mol이다. 2-메톡시나프탈렌은 methyl 2-naphthyl, 2-Naphthol methyl ether, 2-Naphthyl methyl ether, 6-Methoxy-2-naphthalene, Methyl 2-naphthyl ether, Methyl b-naphthyl ether, Nerolin, b-Methoxynaphthalene, b-Naphthol methyl ether, b-Naphthyl methyl ether 등의 이명으로도 불리 운다. 2-메톡시나프탈렌은 백색의 결정성분이고 녹는점은 70-73℃, 끓는점은 274℃이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17005933-appb-I000005
티몰(thymol)은 하기 화학식 6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IUPAC 명은 2-isopropyl-5-methylphenol이다. Cas No.는 89-83-8이고 구조식은 C10H14O, 그리고 분자량은 150.22. g/mol이다. 티몰은 2-Isopropyl-5-methylphenol, 5-Methyl-2-(1-methylethyl)phenol, 5-Methyl-2-isopropylphenol, IPMP 등의 이명으로도 불리운다. 티몰은 무색 결정성분이고 허브 양념 냄새, 타임을 연상시키는 약냄새로서 녹는점은 51℃, 끓는점은 232.8℃이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17005933-appb-I000006
티몰은 Euphrasia rostkoviana(Eyebright), Monarda didyma(Bergamot), Monarda fistulosa(Bee balm), Trachyspermum ammi(Ajowan), Origanum dictamnus(Origanum), Origanum onites(Pot Marjoram, 마죠람), Origanum vulgare(Oregano, 오레가노), Thymus glandulosus, Thymus hyemalis(Thymus), Thymus vulgaris(German thyme), Thymus zygis 등의 식물에 주로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의 수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부터 분리하거나, 공지된 제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p-시멘의 LD50 값은 랫트를 대상으로 경구투여시 4.75 g/kg (Jenner et al, "Food flavourings and compounds of related structure I. Acute oral toxicity." 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2: 327-343, 1964), 그리고 토끼를 대상으로 피부에 도포한 한 경우 5 g/kg 이상(Opdyke et al, "Monographs on fragrance raw materials: p-Cymene” 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12: 401-402, 1974) 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p-시멘을 0.1 mg/kg 내지 4,700 mg/kg,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3,000 mg/kg으로 경구투여 하거나, 0.1 mg/kg 내지 5,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4,000 mg/kg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것은 독성이 아주 미미하거나 없으므로, p-시멘은 상기 농도 범위 내에서 투여 방법 및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베헨산의 무독성량인 NOAE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값은 햄스터에서 4.36 g/kg body weight/day, 그리고 랫트에서 4.04 g/kg body weight/day 로 보고되었다(Webb et al. Caprenin 2. Short-term safety and metabolism in rats and hams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10: 341-356. 1991).
따라서, 베헨산을 0.1 mg/kg 내지 4,360 mg/kg,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3,0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은 독성이 아주 미미하거나 없으므로, 베헨산은 상기 농도 범위 내에서 투여 방법 및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2-메톡시나프탈렌의 LD50 값은 토끼를 대상으로 피부 도포 시 5,000 mg/kg, 그리고 랫트를 대상으로 경구투여 시 5,000 mg/kg으로 보고되었다(Food and Cosmetics Toxicology. 13: 885, 1975).
따라서, 2-메톡시나프탈렌을 0.1 mg/kg 내지 5,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4,000 mg/kg으로 경구투여하거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은 독성이 아주 미미하거나 없으므로, 2-메톡시나프탈렌은 상기 농도 범위 내에서 투여 방법 및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티몰의 LD50 값은 마우스를 대상으로 정맥주사 시 100 mg/kg, 경구투여 시 955 mg/kg, 그리고 기니피그를 대상으로 경구투여 시 880 mg/kg으로 보고되었다(독성정보제공시스템(Tox-Info),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따라서, 티몰을 0.01 mg/kg 내지 950 mg/kg,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700 mg/kg으로 경구투여 하는 것은 독성이 아주 미미하거나 없으므로, 티몰은 상기 농도 범위 내에서 투여 방법 및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은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이들 화합물의 수화물,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용매화합물이나 입체 이성질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멘은 o-시멘, m-시멘, p-시멘의 3가지 이성질체를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주름 개선”은 피부의 주름 및 탄력과 관련된 능력을 유지 또는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진피층의 교원섬유인 콜라겐(collagen)과 탄력섬유인 엘라스틴(elastin)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탄력을 주관하는데, 콜라겐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 외적 영향을 받게 된다. 구체적으로, 피부세포는 자연 노화로 인하여 세포 활성이 감소되면 콜라겐 섬유의 감소가 일어나거나, 또는 외적요인으로서 자외선의 과량 조사되거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가 단백질의 티올기(thiol: -SH)와 반응하여 효소 활성을 저해하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분해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을 증가시키고 탄력을 감소시켜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를 들어,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 (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galacturonic acid),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은 염기를 사용하여 화장품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 (예를 들어,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의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의 염으로는 하이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 (토실레이트)염 등을 들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화장료 내에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 염의 용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소량이어서 주름 개선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20 중량% 이상인 경우 기존에 알려진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한 사람 피부섬유아세포에 p-시멘 또는 티몰을 처리한 경우 자외선만을 조사한 대조세포와 비교하여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분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1 및 2).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자외선 조사와 함께 시험물질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함유하는 표 1의 실험식이를 무모생쥐에게 10주간 공급하여, 실험동물의 피부 수분함유량, 수분증발량, 탄력성, 홍반지수, 등피부조직의 주름, 피부두께 변화, 교원섬유의 양과 형태 변화 및 피부조직의 콜라겐 타입 1α1, 1α2, 3α1의 발현과 MMP-1a, MMP-1b, MMP-3, MMP-9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은 피부 수분함유량과 탄력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수분증발량과 홍반지수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7 내지 10). 또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은 실험동물의 등 피부조직 주름을 개선시키고(도 11 내지 14), 피부주름 면적, 깊이 및 길이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주름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도 15 내지 18), 자외선 조사에 의해 비후해진 표피층의 두께 또한 현저하게 감소시키고(도 19 내지 22), 교원섬유의 밀도를 조밀하게 하고 배열을 규칙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가지며(도 23 내지 26), 콜라겐 타입 1α1, 1α2 및 3α1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MMP-1a, MMP-1b, MMP-3, 및 MMP-9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분해를 저해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한 주름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27 내지 30).
따라서,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피부주름 개선, 홍반 억제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기능성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등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그 제형은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형의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는 영양크림, 아이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 크림과 같은 크림류, 팩류, 영양로션과 같은 로션류, 에센스류,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와 같은 화장수류, 파우더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류 등이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제형 중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되어 상용화될 수 있으며, 상기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통상의 화장료 제조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각질제거제,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염에 더하여 부형제, 담체 등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침투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경피 침투 강화제란 피부의 혈관세포 내로 원하는 성분이 높은 흡수율로 침투할 수 있게 해주는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화장품에 사용되는 다른 인지질 성분, 리포좀 성분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유상 성분으로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는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유 및 합성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네랄오일, 사이크로메치콘, 스쿠알란,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올리브오일, 비티스 비니페라 씨드 오일, 마카다미아너트오일, 글리세릴옥타노에이트, 캐스터오일, 에칠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디메치콘, 사이크로펜타실록산 및 선플라워씨드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화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고급 알콜 등을 0.1 내지 5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인지질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 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올리에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스코코에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에틸렌글라이콜-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6 올리베이트, 아라키딜알코올/ 베헤닐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26-부테스-26/ 폴리에틸렌글라이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콜로는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코올, 예컨대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상 성분은 수상의 점도 또는 경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카보머, 잔탄검, 벤토나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검,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등과 같은 1종 이상의 점증제를 0.001 내지 5 중량%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고급 지방산, 비타민 등의 약효 성분과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토코페릴아세테이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등), 방부제(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르페네신 등), 착색제, pH 조절제(트리에탄올아민, 씨트릭애씨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 보습제(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헥실렌 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베타인, 글리세레스-26, 메칠글루세스-20 등), 윤활제 등의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천연향, 화장품향, 또는 한약재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개선 성분 또는 피부탄력 증진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피부 주름 개선 성분 또는 피부탄력 증진 성분으로는 비타민 C,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한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 시멘 또는 티몰을 비타민 C와 함께 처리한 경우, 시멘, 티몰 및 비타민 C를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콜라겐 양이 더 높은 수치로 측정되어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및 2).
본 발명은 또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분말제, 액제, 정제, 연질캅셀제, 과립제, 티백차, 인스턴트 차 또는 드링크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의 함량은 그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비타민 C와 같은 주름 개선용 화합물 또는 녹차 추출물, 닥나무 추출물, 감초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빈랑자 추출물, 황금 추출물, 산삼 추출물 등의 천연물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형화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은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인 경우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성분으로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함유하며, 그 밖의 드링크제 제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및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의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의약외품 또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주름 개선 성분 또는 탄력 증진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피부 주름 개선 성분 및 탄력 증진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의약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 비타민 C,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피부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피부주름 개선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피부 안전성,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품 조성물은 유효량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의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피부의 주름 생성, 탄력 감소, 기미 등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에 있어서 의약외품 조성물은 다른 성분들을 기타 의약외품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억제 또는 완화)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들의 염의 함량은 의약외품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01 내지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제조시 색상 및 안정성이 떨어지며, 0.0001% 미만의 경우에는 그 작용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각 제형의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사람피부섬유아세포를 이용한 p- 시멘 또는 티몰의 주름개선 효능
1-1. 실험방법
1) 세포배양
사람피부섬유아세포(primary dermal fibroblast, nor mal, human, neonatal, ATCC No. PCS-201-010)를 ATCC사(Manassas, VA, US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세포를 fibroblast growth medium(Promo Cell, Heidelberg)을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농도 측정
콜라겐 생합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섬유아세포를 12 웰-플레이트(well-plate)에 1.0×106 cells/well 씩 분주하여 p-시멘, 티몰 및 비타민 C를 각각 100 μM의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1회 세척하고 다시 1 ml의 PBS를 넣은 후 20 mJ/cm2 조건으로 ultraviolet B(UVB)를 조사하였다. 각 웰의 PBS를 다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Takara Bio, Japan)를 이용하여 배지로 분비된 프로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측정 키트에 포함된 표준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농도 곡선을 작성하고 콜라겐 생성량을 산정하였다.
1-2. 실험결과
1) 프로콜라겐 분비량 변화
피부를 구성하는 주 단백질인 콜라겐은 피부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형태로 합성된 후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다.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procollagen peptidase에 의해 C-말단이 분해되고 활성형 콜라겐으로 형성되므로 C-peptide 함량을 측정하면 활성화된 콜라겐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 및 2의 각각의 값은 3개의 독립적인 웰로부터 3회 측정의 means ± SEM을 나타낸다.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p < 0.05).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 자외선 조사와 함께 약물을 처리하여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 프로콜라겐,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양을 측정한 결과, 자외선을 조사한 대조세포(+UVB)에서는 정상세포(-UVB)에 비해 프로콜라겐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와 함께 p-시멘을 처리한 세포(CM)에서는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11%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p-시멘을 비타민 C와 함께 처리한 세포(CM+VitC)에서는 자외선 조사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46%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비타민C(+37%) 또는 p-시멘(+11%)을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서 관찰된 콜라겐 양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도 1). 이러한 결과를 콜비공식에 대입하여 보면, p-시멘과 비타민 C를 함께 처리할 때 상승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p-시멘은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활성화된 콜라겐 양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콜라겐 증가효과는 비타민 C와 함께 사용 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티몰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22%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티몰을 비타민 C와 함께 처리한 세포에서는 자외선 조사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52%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비타민 C(+37%) 또는 티몰(+22%)을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서 관찰된 콜라겐 양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도 2). 이러한 결과를 콜비공식에 대입하여 보면, 티몰과 비타민 C를 함께 처리할 때 상승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티몰은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활성화된 콜라겐 양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콜라겐 증가효과는 비타민 C와 함께 사용 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사람피부섬유아세포를 이용한 p- 시멘 또는 티몰의 주름개선 효능
1-1. 실험방법
1) 세포배양
사람피부섬유아세포(primary dermal fibroblast, nor mal, human, neonatal, ATCC No. PCS-201-010)를 ATCC사(Manassas, VA, US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세포를 fibroblast growth medium(Promo Cell, Heidelberg)을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농도 측정
콜라겐 생합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섬유아세포를 12 웰-플레이트(well-plate)에 1.0×106 cells/well 씩 분주하여 p-시멘, 티몰 및 비타민 C를 각각 100 μM의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1회 세척하고 다시 1 ml의 PBS를 넣은 후 20 mJ/cm2 조건으로 ultraviolet B(UVB)를 조사하였다. 각 웰의 PBS를 다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Takara Bio, Japan)를 이용하여 배지로 분비된 프로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측정 키트에 포함된 표준용액을 농도별로 희석하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농도 곡선을 작성하고 콜라겐 생성량을 산정하였다.
1-2. 실험결과
1) 프로콜라겐 분비량 변화
피부를 구성하는 주 단백질인 콜라겐은 피부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에서 프로콜라겐의 형태로 합성된 후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다.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 프로콜라겐은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procollagen peptidase에 의해 C-말단이 분해되고 활성형 콜라겐으로 형성되므로 C-peptide 함량을 측정하면 활성화된 콜라겐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 및 2의 각각의 값은 3개의 독립적인 웰로부터 3회 측정의 means ± SEM을 나타낸다.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낸다(p < 0.05).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 자외선 조사와 함께 약물을 처리하여 세포외 기질로 분비된 프로콜라겐, procollagen type I C-peptide(PIP) 양을 측정한 결과, 자외선을 조사한 대조세포(+UVB)에서는 정상세포(-UVB)에 비해 프로콜라겐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와 함께 p-시멘을 처리한 세포(CM)에서는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11%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p-시멘을 비타민 C와 함께 처리한 세포(CM+VitC)에서는 자외선 조사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46%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비타민C(+37%) 또는 p-시멘(+11%)을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서 관찰된 콜라겐 양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도 1). 이러한 결과를 콜비공식에 대입하여 보면, p-시멘과 비타민 C를 함께 처리할 때 상승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p-시멘은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활성화된 콜라겐 양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콜라겐 증가효과는 비타민 C와 함께 사용 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티몰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22%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티몰을 비타민 C와 함께 처리한 세포에서는 자외선 조사 대조세포(+UVB)에 비해 콜라겐 양이 52%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비타민 C(+37%) 또는 티몰(+22%)을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서 관찰된 콜라겐 양보다 더 높은 수치이다(도 2). 이러한 결과를 콜비공식에 대입하여 보면, 티몰과 비타민 C를 함께 처리할 때 상승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티몰은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 활성화된 콜라겐 양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콜라겐 증가효과는 비타민 C와 함께 사용 시 더 효과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식이 조성표
성분 AIN-93G 식이 (g/kg diet) 실험물질 보충식이 (CM, BA , 2MN 또는 TM ) (g/kg diet) 비타민 C 보충식이 ( VitC ) (g/kg diet)
카제인 200 200 200
말토덱스트린 132 132 132
옥수수 전분 397.486 395.486 395.486
수크로오스 100 100 100
셀룰로오스 50 50 50
콩기름 70 70 70
비타민 복합물 10 10 10
미네랄 복합물 35 35 35
콜린 비타르트레이트 2.5 2.5 2.5
L-시스틴 3 3 3
Tert-부티하이드로퀴논 0.014 0.014 0.014
실험물질(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 2 -
비타민 C - - 2
총합(g) 1,000 1,000 1,000
실험사육기간 동안 무모 생쥐의 등 부분에 ultraviolet B (UVB)를 주 3회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조사량은 처음 1주 동안은 73 mJ/cm 2, 2주째는 146 mJ/cm2, 3주부터 10주까지는 219 mJ/cm2로 조사하였다. 사육하는 동안 매주 체중 및 피부두께를 측정하였고, 등 피부 부위의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피부두께는 디지털 마이크로 캘리퍼(Marathon Watch Company Ltd, Ontario, Canada)를 이용하여 무모생쥐의 엉덩이 부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할 때 사용된 캘리퍼는 0.01 mm 까지 측정 가능하며 두께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조절기능을 갖추고 있어 같은 힘을 준 상태에서 피부의 두께 측정이 가능하였다.
실험사육 마지막 날 실험동물을 6시간 공복시키고 마취한 상태에서 혈액과 등 피부조직을 채취하였다. 혈액시료는 주사기로 복부 하대정맥에서 채취하여 EDTA가 코팅된 튜브에 담고 2,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 시까지 -7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등 피부조직의 일부는 즉시 -70 냉동고에 보관한 후 분자생물학적 검사에 사용하였고, 일부는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사용하였다.
2) 피부 보습, 탄력성 및 홍반지수 측정
실험동물의 피부 수분함유량, 수분증발량, 탄력성 및 홍반지수 측정은 각각 Corneometer®, Tewameter®, Cutometer®, Mexameter® (CK Electronics GmbH)을 이용하여 실험 종료일에 1회 측정하였다. 측정 시 실험동물 등의 일정한 부분을 가볍게 눌러서 나타나는 수치를 기록하였다.
3) 등피부조직의 주름 측정
10주 동안 자외선 조사를 실시한 무모 생쥐의 피부를 실리콘 고무로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무모 생쥐의 등 부분에 지름이 1 cm가 되는 원모양의 구멍이 있는 디스크를 부착하고 모사판 제작용 시약을 혼합하여 무모 생쥐의 등 부분에 얇게 펴 바르고 완전히 말린 다음 디스크를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모사판을 제작하였다. 모사판의 제작 온도는 20 ~ 23, 습도 45 ~ 50%의 항온항습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며, 모사판 제작용 실리판 고무 인상재(Epigem, Seoul, Korea)를 사용하였다. 제작한 모사판의 분석은 컴퓨터 영상분석기(Visioline VL650, CK electronic GmbH, Germany)을 사용하여 주름의 총면적(total wrinkle area), 최대 주름깊이(max wrinkle depth), 주름 평균깊이(mean depth) 및 평균 길이(mean length) 등의 4가지 주름지표 항목을 분석하였다.
4) 피부조직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무모생쥐의 등 피부 조직을 적출하고 10% 포르말린에 고정한 다음, 한국 CFC (경기도, 한국)에 의뢰하여 Hema toxylin and eosin(H&E)와 Masson's trichrome(M&T) 염색을 한 뒤 광학현미경 (IX71, Olympus, JPN)을 이용하여 관찰한 뒤, digital camera (DP71, Olympus, JPN)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였다.
5) RT-PCR 분석
등 피부조직 0.1 g 당 Trizol 용액 1 ml을 첨가하여 조직을 분쇄한 후, 4, 12,000 x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chloroform 200 ㎕을 첨가하고, vortex하였다. 이 과정을 두 번 반복한 다음, 상층액을 새 튜브로 옮긴 후 isoprophanol과 상층액을 1:1 비율로 첨가하였다. 10회 세게 흔든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 12,000 x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에 70% ethanol 1 ml을 가한 후 7,500 xg, 4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에탄올을 제거한 후 RNA 침전물이 담긴 튜브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건조시키고, nuclease free water를 사용하여 RNA pellet을 용해시켰다. UV/VIS spectrophotometer(Beckman coulter, DU730)를 이용하여 260 nm 및 280 nm 파장에서 추출된 RNA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고, agarose gel electrophoresis를 실시하여 RNA 시료의 integrity를 확인하였다.
등 피부조직에서 추출된 RNA 시료를 대상으로 oligo dT primer와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을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을 수행함으로써 cDNA를 합성하였다. Reverse transcription을 통해 얻은 cDNA를 template로 하고 증폭하고자 하는 유전자 cDNA의 5'과 3' flanking sequence를 primer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primer sequence는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증폭된 PCR 산물 1 ㎕를 1% agarose gel에 전기영동 하여 DNA band를 확인하였다.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3') 어닐링 온도(℃) PCR 산물(bp)
Collagen type Ⅰalpha1(Col1α1) F ggcaacagtcgcttcaccta(서열번호 1) 55 164 
R agtccgaattcctggtctgg(서열번호 2)
Collagen type Ⅰalpha2(Col1α2) F cggttctgttggtcctgttg(서열번호 3) 55 103 
R acccctgtgccctttatcac(서열번호 4)
Collagen type Ⅲalpha1(Col3α1) F taaccaaggctgcaagatgg(서열번호 5) 55 104 
R accagtgcttacgtgggaca(서열번호 6)
Matrixmetallopeptidase 1a(MMP-1a) F ccctgtgtttcacaacggag(서열번호 7) 55 133
R cctcagcttttcagccatca(서열번호 8)  
Matrixmetallopeptidase 1b(MMP-1b) F tttgctcatgcttttctgcc(서열번호 9) 55 146 
R gaatgggagagtccaaggga(서열번호 10)
Matrixmetallopeptidase 3(MMP-3) F tgctggtatggagcttctgc(서열번호 11) 55 142 
R catctccaacccgaggaact(서열번호 12)
Matrixmetallopeptidase 9(MMP-9) F gtggaccatgaggtgaacca(서열번호 13) 55 102 
R actgcacggttgaagcaaag(서열번호 14)
Glyceraldehyde3-phosphatedehydrogenase(GAPDH) F ggagattgttgccatcaacg(서열번호 15) 55  122 
R tgacaagcttcccattctcg(서열번호 16)
1) 무모 생쥐의 체중 및 식이섭취량
자외선조사,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비타민C 섭취는 무모 생쥐 마우스의 체중 및 식이섭취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3 내지 6). 도 3 내지 6의 값들은 5마리 마우스의 mean ± SEM이다.
2) 자외선 조사 무모 생쥐 피부조직의 수분량, 탄력성 및 홍반지수 변화
10주 동안 자외선을 조사받은 +UVB 대조군은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정상군(-UVB)에 비해 피부조직의 수분함유량 및 탄력성은 유의하게 감소한 한편,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도 7 내지 10). p-시멘을 섭취시킨 군(CM)의 경우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UVB 대조군에 비해 수분함유량 및 탄력성은 각기 97% 및 81%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각각 53% 및 29%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 7).
베헨산을 섭취시킨 군(BA)의 경우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UVB 대조군에 비해 수분함유랑 및 탄력성은 각기 91% 및 99%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각각 56% 및 30%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 8).
2-메톡시나프탈렌을 섭취시킨 군(2MN)의 경우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UVB 대조군에 비해 수분함유랑 및 탄력성은 각기 95% 및 79%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각각 57% 및 31%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 9).
티몰을 섭취시킨 군(TM)의 경우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UVB 대조군에 비해 수분함유랑 및 탄력성은 각기 107% 및 76%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분증발량 및 홍반지수는 각각 51% 및 29%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 10).
도 7 내지 10의 값들은 5마리 마우스의 mean ± SEM이며, 바(bar) 위의 알파벳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가 뒤따르는 one-way ANOVA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3) 자외선 조사 무모 생쥐의 피부주름 생성변화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섭취가 피부주름의 형성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등피부 부위를 사진 촬영하였다. 10주 동안 UVB를 조사받은 +UVB 대조군은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정상군(-UVB)에 비해 다수의 굵고 깊게 패인 주름과 함께 잔주름이 형성된 것을 육안 상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섭취군의 경우 +UVB 대조군에 비해 주름의 굵기와 깊이가 현저히 감소하여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UVB군에서 관찰된 피부상태와 유사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내지 14).
10주 동안 자외선을 조사받은 무모 생쥐의 등피부로부터 실리콘 고무로 모사판을 제작하여 주름의 형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UVB 대조군은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정상군(-UVB)에 비해 굵고 깊게 패인 주름과 함께 잔주름이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섭취군은 같은 세기의 UV가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UVB 대조군에 비해 깊은 주름이 거의 사라지는 등, 주름의 굵기와 깊이가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5A, 16A, 17A 및 18A). 컴퓨터 영상분석기를 이용하여 모사판에서 주름형성 정도를 수치화 한 결과에서도 CM군의 경우 +UVB군에 비해 총주름면적이 60%, 최대 주름깊이가 66%, 평균 주름깊이가 33%, 그리고 평균 주름길이가 63%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와 같은 p-시멘의 주름개선 효능은 비타민 C에서 관찰된 주름개선효능과 유사하였다(도 15B).
BA군의 경우 +UVB군에 비해 총 주름면적이 56%, 최대 주름깊이가 68%, 평균 주름깊이가 44%, 그리고 평균 주름길이가 71%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와 같은 베헨산의 주름개선 효능은 비타민 C에서 관찰된 주름개선효능과 유사하였다(도 16B).
2MN군의 경우 +UVB군에 비해 총주름면적이 76%, 최대 주름깊이가 69%, 평균 주름깊이가 47%, 그리고 평균 주름길이가 74%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와 같은 2-메톡시나프탈렌의 주름개선 효능은 비타민 C에서 관찰된 주름개선효능과 유사하였다(도 17B).
TM군의 경우 +UVB군에 비해 총주름면적이 73%, 최대 주름깊이가 59%, 평균 주름깊이가 43%, 그리고 평균 주름길이가 69%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와 같은 티몰의 주름개선 효능은 비타민 C에서 관찰된 주름개선효능과 유사하였다(도 18B).
도 15B, 16B, 17B 및 18B의 값들은 5마리 마우스의 mean ± SEM이며, 바(bar) 위의 알파벳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가 뒤따르는 one-way ANOVA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따라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의 섭취는 자외선조사에 의한 주름생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자외선 조사 무모 생쥐의 피부두께 변화
자외선 등에 의한 광노화가 진행되면 피부 진피층을 보호하기 위해 각질층의 형성이 증가하여 피부가 두꺼워지고, 따라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 표피층의 두께가 두꺼워졌다는 것은 그만큼 광노화에 의한 피부손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Gail J Molecular mechanism of skin ageing Mech Ageing Dev 123: 801-810, 2002).
실험사육 마지막 날 디지털 마이크로 캘리퍼를 이용하여 등피부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UVB 대조군은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정상군(-UVB)에 비해 피부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섭취시킨 군은 +UVB 대조군에 비해 피부두께가 각각 22%, 19%, 16%, 14%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이 확인되었다(도 19A, 20A, 21A 및 22A). 도 19A, 20A, 21A 및 22A의 값들은 5마리 마우스의 mean ± SEM이며, 바(bar) 위의 알파벳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가 뒤따르는 one-way ANOVA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피부조직의 H&E 염색을 통해 무모생쥐의 피부 표피층 두께를 관찰한 결과에서도 +UVB 대조군은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정상군(-UVB)에 비해 피부 표피층이 비후해진 것이 관찰되었고, 한편, CM, BA, 2MN 및 TM군의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비후해진 표피층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도 19B, 20B, 21B 및 22B).
5) 자외선 조사 무모 생쥐의 진피층 내 교원섬유(collagen fiber)의 양과 형태 변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광노화가 진행된 피부의 경우 표피-진피 결합부위의 교원섬유망이 손상되고, 따라서 교원섬유의 양과 형태는 피부의 광노화 지표로 사용된다(Varani et al. "Inhibition of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by damaged collagen in photoaged skin and by collagenase-degraded collagen in vitro."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58: 931-942, 2001). 자외선을 조사받은 무모 생쥐의 피부조직을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여 교원섬유(collagen fibers) 염색 정도를 관찰한 결과, -UVB군의 표피 밑의 진피층에는 aniline blue에 강하게 염색된 교원섬유가 관찰되었으나 UVB를 10주간 조사한 +UVB군의 교원섬유는 aniline blue에 의해 미약하게 염색되었다. UVB를 조사하면서 10주간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섭취시킨 마우스의 경우 자외선만 조사한 대조군에 비하여 진피층 교원섬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더 조밀하였고 배열이 규칙적이었으며, aniline blue에 의한 염색정도도 더 강하여 정상군(-UVB)에 가까운 양상을 보였다(도 23 내지 26).
6) 자외선 조사 무모 생쥐 피부조직의 유전자발현 변화
콜라겐 타입 1과 3은 진피층의 세포간질 구성성분을 이루는 단백질이고, 특히 타입 1 콜라겐은 피부결합조직에 존재하는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에서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한다. 한편, 콜라겐 분해를 촉매하는 MMPs는 포유류에서 23개의 타입이 존재하며 이중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MMP 타입은 1, 3 및 9번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세가지 타입의 MMPs는 콜라겐 타입 1과 3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MMP-1의 경우 콜라겐섬유의 중간을 절단하는 한편, MMP-3, MMP-9는 절단된 콜라겐섬유를 세분해서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Quan T. et al. Elevated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collagen fragmentation in photodamaged human skin: impact of altered extracellular matrix microenvironment on dermal fibroblast function. J Investigative Dermatology, 133: 1362, 2013; Kondo S. The roles of cytokines in photoaging. J Dermatological Science 23: S30-S36, 2000).
피부조직을 대상으로 RT-PCR 분석에 의해 유전자발현 변화를 평가한 결과, +UVB 대조군의 경우 자외선을 조사받지 않은 정상군(-UVB)에 비해 피부조직의 콜라겐 타입 1α1과 α2, 그리고 콜라겐 타입 3α1의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MMP-1a 및 -1b, MMP-3, 그리고 MMP-9 유전자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섭취군의 경우 +UVB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 타입 1α1과 α2, 그리고 콜라겐 타입 3α1의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MMP-1a 및 -1b, MMP-3, 그리고 MMP-9 유전자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27 내지 30). 따라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은 피부조직의 콜라겐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분해를 저해함으로써 자외선조사에 의한 주름형성을 억제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는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주름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으로 향후 기능성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3. 피부주름 개선, 피부자극 및 피부각질 제거 관능시험
3-1. 실험물질을 함유하는 영양 크림(실험예 1 내지 4)과 실험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영양 크림(비교예 1)의 제조
성분 AIN-93G 식이 (g/kg diet) 실험물질 보충식이 (CM, BA , 2MN 또는 TM ) (g/kg diet) 비타민 C 보충식이 ( VitC ) (g/kg diet)
카제인 200 200 200
말토덱스트린 132 132 132
옥수수 전분 397.486 395.486 395.486
수크로오스 100 100 100
셀룰로오스 50 50 50
콩기름 70 70 70
비타민 복합물 10 10 10
미네랄 복합물 35 35 35
콜린 비타르트레이트 2.5 2.5 2.5
L-시스틴 3 3 3
Tert-부티하이드로퀴논 0.014 0.014 0.014
실험물질(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 2 -
비타민 C - - 2
총합(g) 1,000 1,000 1,000
상기 표 3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 내지 8을 70의 온도에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성분 9 내지 13을 성분 14에 용해 분산시켜 70로 가열한 것에 유화한다. 이후, 상기 유화한 것을 56의 온도로 냉각한 후, 분취된 성분 9에 용해시킨 성분 15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에서 냉각하여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은 실험물질인 성분 15(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구성이나 제조방법을 동일하게 진행하여 제조한 것을 설정하였다.
3-2.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자극 관능시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피부자극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 3의 실험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을 이용하여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3에 기재된 실험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제형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각각 도포했을 때 피부의 주름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대 내지 50대 연령층의 여성 40명을 연령이 고루 분포되게 하여 네 그룹으로 나눈 후 안면 왼쪽 부분에는 표 3의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크림(시험군)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표 3의 비교예 1 영양크림(대조군)을 1일 1회 12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관능시험에서 피부의 주름개선효과 항목에 대하여는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기준으로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크림이 나타내는 주름개선효과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피부자극에 대한 관능평가는 피부의 가려움, 따가움 및 홍반 등의 현상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는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나쁨(2점), 매우 나쁨(1점)의 오점법 기준에 의거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피부자극은 점수가 높을수록 피부자극이 적은 것을 나타내며, 표 4 및 5에서 비교예 1은 네 사람의 평균 값을 나타낸 것이다.
번호 피부자극
실험예 1(CM) 실험예 2(BA) 실험예 3(2MN) 실험예 4(TM) 비교예 1
1 5 5 4 4 4.75
2 5 4 5 5 4.5
3 5 5 5 4 4
4 4 4 5 5 4.5
5 5 3 4 4 4
6 4 4 4 3 4
7 5 4 3 4 4.25
8 4 5 5 5 4.75
9 3 4 4 3 4.5
10 5 5 5 5 4
평균 4.5 4.3 4.4 4.2 4.325
번호 주름개선
실험예 1(CM) 실험예 2(BA) 실험예 3(2MN) 실험예 4(TM) 비교예 1
1 4 5 4 5 4.5
2 4 4 5 5 4.25
3 5 4 5 4 4
4 3 5 4 4 4
5 4 4 5 4 3.75
6 5 4 5 4 3.75
7 4 4 4 3 3.5
8 4 5 5 5 4.25
9 5 5 4 5 4.5
10 5 4 4 5 4
평균 4.3 4.4 4.5 4.4 4.0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 크림 제형에 대한 피부자극 평가점수는 순서대로 4.5점, 4.3점, 4.4점 및 4.2점으로 매우 양호하게 평가되어, 4.325점을 받은 비교예 1의 영양 크림 제형과 유사하게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주름 개선효과에서 4.05점의 평가점수를 받은 비교예 1의 영양 크림 제형과 비교하여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및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 크림 제형은 순서대로 4.3점, 4.4점, 4.5점 및 4.4점의 평가점수를 받아 주름개선 정도 또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5).
따라서, 본 발명의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주름 개선효과,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 증가 및 콜라겐 섬유의 분해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하다.
3-3.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시험
상기 표 3에 기재된 실험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제형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각각 도포했을 때 피부의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20대 내지 50대 연령층의 여성 40명을 연령이 고루 분포되게 하여 네 그룹으로 나눈 후 안면 왼쪽 부분에는 표 3의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크림(시험군)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표 3의 비교예 1 영양크림(대조군)을 충분한 양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도포하도록 하였다. 마사지는 골고루 약 1분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피부 수분량의 측정은 도포 전 실내온도 25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고, 상기 표 3의 실험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제형을 각각 안면 왼쪽 및 오른쪽에 도포 후 10분에 걸쳐 휴식을 취하고 도포 12시간 후 및 도포 24시간 후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co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 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되었다.
3)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 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하였다.
실험예 1 내지 4의 측정치는 각 그룹에 대한 10명의 평균값으로, 비교예 1의 측정치는 네 그룹의 평균값으로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 수분량(%)
도포 전 12시간 후 24시간 후
실험예 1(CM) 30.2 43.7 38.2
실험예 2(BA) 30.1 43.5 38
실험예 3(2MN) 30.0 43.9 38.5
실험예 4(TM) 30.0 44.6 38.7
비교예 1 30.1 38.2 30.6
상기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영양 크림을 도포한 경우 도포 12시간 경과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지만, 24시간 경과 후에는 도포 전의 상태와 유사한 수준으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반면,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실험예 1의 영양 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 수분량 증가 효과 또한 비교예 1 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4. 피부각질 제거 효과 시험
상기 표 3에 기재된 실험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제형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각각 도포했을 때 피부의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20대 내지 50대 연령층의 여성 40명을 연령이 고루 분포되게 하여 네 그룹으로 나눈 후 안면 왼쪽 부분에는 표 3의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크림(시험군)을, 안면 오른쪽 부분에는 표 3의 비교예 1 영양크림(대조군)을 충분한 양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도포하도록 하였다. 마사지는 골고루 약 1분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피부 각질량의 측정은 도포 전 실내온도 25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Charm view(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초기 피부 각질량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표 3의 실험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제형을 각각 안면 왼쪽 및 오른쪽에 도포한 다음 24시간 후의 피부 각질량을 측정하고 피부 각질 감소량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1 내지 4의 측정치는 각 그룹에 대한 10명의 평균값으로, 비교예 1의 측정치는 네 그룹의 평균값으로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 각질량(%)
도포 전 24시간 후 피부각질 감소량
실험예 1(CM) 20.3 10.2 10.1
실험예 2(BA) 20.3 10.4 9.9
실험예 3(2MN) 20.3 10.6 9.7
실험예 4(TM) 20.1 9.8 10.3
비교예 1 20.2 15.6 4.6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 크림은 비교예 1의 영양 크림보다 피부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에 보습 효과가 부여될수록 각질량은 감소하게 되는데 실험예 1 내지 4의 영양 크림은 상기 실시예 3-3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뛰어난 수분 보유능으로 인해 비교예 1의 영양 크림보다 월등한 피부각질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1] 화장품의 제조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1-1( 중량% )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0.1
에탄올 10.0
폴리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6.0
적량
색소 적량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1-2( 중량% )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0.05
와셀린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에탄올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수산화칼륨 0.1
색소 적량
적량
1-3.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 표 10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1-3( 중량% )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0.2
스테아린산 15.0
세탄올 1.0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1-4. 팩의 제조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1-4( 중량% )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0.05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에탄올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칠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2
색소 적량
적량
1-5.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1-5( 중량% )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0.2
프로필렌글리콜 10.0
글리세린 10.0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
적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2-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하기 표 13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2-1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1.0 ㎎
비타민 E 0.13 ㎎
비타민 B1 0.15 ㎎
비타민 B2 0.5 ㎎
비타민 B6 0.2 ㎍
비타민 B12 10 ㎎
비타민 C 10 ㎍
비오틴 1.7 ㎎
니코틴산아미드 50 ㎍
엽산 0.5 ㎎
판토텐산 칼슘 적량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륨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 음료의 제조
하기 표 14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2-2(mg)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볼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2-3. 정제의 제조
하기 표 15의 조성으로,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2-3(mg)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2-4. 캡슐제의 제조
하기 표 16의 조성으로,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각각 함유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2-4(mg)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2-5. 환의 제조
하기 표 17의 조성으로, 통상의 환 제조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환을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2-5(mg)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2-6. 과립의 제조
하기 표 18의 조성으로,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을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2-6(mg)
p-시멘, 베헨산,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제조예 3]
피부 외용 연고의 제조
하기 표 19의 조성으로,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 제조예 3( 중량% )
p-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또는 티몰 0.5
디에틸 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0
벤조산 나트륨 적량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시멘(cymene), 베헨산(behenic acid),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 티몰(thymol) 및 이들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마스크팩, 마스크시트, 각질제거제,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로 포함되는 피부주름 개선 성분은 비타민 C, 레티노산,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시멘(cymene), 베헨산(behenic acid),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 티몰(thym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로 포함되는 피부주름 개선 성분은 비타민 C, 레티노산,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시멘(cymene), 베헨산(behenic acid), 2-메톡시나프탈렌(2-methoxynaphthalene), 티몰(thymol)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의약외품 조성물.
PCT/KR2017/005933 2016-06-28 2017-06-08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80041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845 2016-06-28
KR1020160080845A KR101796866B1 (ko) 2016-06-28 2016-06-28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141A1 true WO2018004141A1 (ko) 2018-01-04

Family

ID=603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5933 WO2018004141A1 (ko) 2016-06-28 2017-06-08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866B1 (ko)
WO (1) WO20180041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6031A (zh) * 2021-08-13 2021-10-26 上海美浮特生物科技有限公司 促进角质层更新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796169A (zh) * 2022-05-19 2022-07-29 中国农业大学 2-甲氧基萘在制备抗皮肤光损伤产品中的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92B1 (ko) 2018-08-06 2019-01-04 주식회사 보타닉센스 야라야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7417454B2 (ja) 2020-03-27 2024-01-1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000A (ko) * 2002-06-25 2005-06-17 코즈메스틱 솔루션즈 프로퍼티 리미티드 국소 화장품용 조성물
JP2006160701A (ja) * 2004-12-10 2006-06-22 Noevir Co Ltd チロシナーゼ活性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WO2007030961A2 (en) * 2005-09-12 2007-03-22 Givaudan Sa Topical compositions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KR20070043449A (ko) * 2005-10-21 2007-04-25 렉슨코리아 (주) 나노에멀젼 피부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US20120064136A1 (en) * 2010-09-10 2012-03-15 Nanobio Corporation Anti-aging and wrinkle treatment methods using nanoemulsion compositions
KR20150113632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000A (ko) * 2002-06-25 2005-06-17 코즈메스틱 솔루션즈 프로퍼티 리미티드 국소 화장품용 조성물
JP2006160701A (ja) * 2004-12-10 2006-06-22 Noevir Co Ltd チロシナーゼ活性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WO2007030961A2 (en) * 2005-09-12 2007-03-22 Givaudan Sa Topical compositions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KR20070043449A (ko) * 2005-10-21 2007-04-25 렉슨코리아 (주) 나노에멀젼 피부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US20120064136A1 (en) * 2010-09-10 2012-03-15 Nanobio Corporation Anti-aging and wrinkle treatment methods using nanoemulsion compositions
KR20150113632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6031A (zh) * 2021-08-13 2021-10-26 上海美浮特生物科技有限公司 促进角质层更新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796169A (zh) * 2022-05-19 2022-07-29 中国农业大学 2-甲氧基萘在制备抗皮肤光损伤产品中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866B1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22317A1 (ko) 이오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132833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8004141A1 (ko) 시멘, 베헨산, 2-메톡시나프탈렌, 티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7146414A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7213346A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8186640A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21261975A1 (ko) 식물성 콜라겐 및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18720A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641A1 (ko) 피페로날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7142265A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WO2018186643A1 (ko) 신코닌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644A1 (ko) 자스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WO2021080129A1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080104759A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8186639A1 (ko) 요놀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보습, 탄력증진, 각질제거, 홍반억제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284005B1 (ko) 노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WO2021002642A1 (ko)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56380A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7217660A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피부각질 제거, 피부탄력 증진, 홍반 억제,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광노화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16117762A1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23277626A1 (ko) 2-phloroeck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3128630A1 (ko)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2939A (ko) 실리빈 또는 이소실리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04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204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