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164A -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164A
KR20170009164A KR1020150100756A KR20150100756A KR20170009164A KR 20170009164 A KR20170009164 A KR 20170009164A KR 1020150100756 A KR1020150100756 A KR 1020150100756A KR 20150100756 A KR20150100756 A KR 20150100756A KR 20170009164 A KR20170009164 A KR 2017000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mask pack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로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로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로시코
Priority to KR102015010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164A/ko
Publication of KR2017000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폴리소르베이트80를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글리세레스-26,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베타인, 알란토인, 판테놀, 콜라겐추출물, 코코넛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아스타잔틴, 카프릴릴글라이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녹차추출물, 병풀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감자추출물 및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각종 천연추출물 및 수성의 조성물들을 정제수에 분산시켜 제조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고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하며,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MASK PACK COMPOSITION FOR SKIN BEAUTY AND MASK PACK FOR SKIN BEAUT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천연추출물 및 수성의 조성물들을 정제수에 분산시켜 제조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고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한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름답고 깨끗한 피부를 갖는 것은 여성들의 지속된 관심사이며 최근에는 면접심사 등에서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해 피부미용, 특히 깨끗한 피부의 얼굴을 얻기 위해 지대한 관심과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여성의 전유물이었던 피부미용이 남성들에게까지 확대되어 바야흐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얼굴의 피부미용에 대하여 관심도가 대단히 높아져 있다.
한편, 피부의 탄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화장품이나 마사지용 크림 등의 기능성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이를 전문으로 하는 마사지 전문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업체들의 관리방식은 주름살 제거 및 피부관리용 영양크림이나 기능성오일 등을 안면부에 적당히 도포한 후 일회용 마스크팩을 일정시간 착용케 하여 마사지 효과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술한 마사지용 크림이나 영양 크림 및 마스크팩은 함유된 성분을 단순히 흡수하는데 그치는 것이어서 짧은 시간에 만족할 만한 얼굴 피부의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일정한 시간 동안 마스크팩을 얼굴 전체에 붙여 놓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 피부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피부관리, 특히 안면 피부관리를 위하여 미용 성분이 함유된 젤타입 또는 크림타입 마스크팩, 분말형태의 물질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마스크팩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의 사용 방법으로는 안면을 클렌징하는 단계, 기능성 성분을 도포하는 단계, 기능성 성분(cosmetic ingredient)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을 도포하거나 또는 부착하는 단계 및 마스크팩 또는 시트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마스크팩은 제거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으나, 마스크팩과 피부 표면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기능성 성분이 피부 속으로 흡수하는 것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팩의 낮은 밀착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젤타입의 마스크팩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젤타입의 마스크팩은 물에 의해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정과정에서 기능성 성분이 함께 씻겨져 나갈 수 있으며 수분이 손실되어 마스크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마스크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높고, 마스크팩의 제거가 용이한 마스크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00987호(2015년 03월 04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606171호(2006년 07월 21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82507호(2015년 01월 06일 등록)
본 발명은 각종 천연추출물 및 수성의 조성물들을 정제수에 분산시켜 제조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고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한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폴리소르베이트80를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글리세레스-26,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베타인, 알란토인, 판테놀, 콜라겐추출물, 코코넛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아스타잔틴, 카프릴릴글라이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녹차추출물, 병풀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감자추출물 및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한다.
상기 정제수는 77 내지 79 중량부, 1,2-헥산디올은 0.2 내지 0.4 중량부, 글리세린은 7 내지 9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6 내지 8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은 0.5 내지 1.5 중량부,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0.2 내지 0.4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은 0.04 내지 0.06 중량부, 글리세레스-26은 0.5 내지 1.5 중량부,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0.5 내지 1.5 중량부, 베타인은 0.2 내지 0.4 중량부, 알란토인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판테놀은 0.2 내지 0.4 중량부, 콜라겐추출물은 0.2 내지 0.4 중량부, 코코넛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마치현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상백피추출물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아스타잔틴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0.0005 내지 0.0015 중량부, 녹차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캐모마일꽃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초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자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달팽이점액여과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페녹시에탄올은 0.3 내지 0.5 중량부, 옥수수전분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는 0.01 내지 0.03 중량부, 향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2 내지 0.04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은 마스크팩 시트; 및 상기 마스크팩 시트에 도포된 마스크팩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폴리소르베이트80를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글리세레스-26,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베타인, 알란토인, 판테놀, 콜라겐추출물, 코코넛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아스타잔틴, 카프릴릴글라이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녹차추출물, 병풀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감자추출물 및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한다.
상기 정제수는 77 내지 79 중량부, 1,2-헥산디올은 0.2 내지 0.4 중량부, 글리세린은 7 내지 9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6 내지 8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은 0.5 내지 1.5 중량부,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0.2 내지 0.4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은 0.04 내지 0.06 중량부, 글리세레스-26은 0.5 내지 1.5 중량부,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0.5 내지 1.5 중량부, 베타인은 0.2 내지 0.4 중량부, 알란토인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판테놀은 0.2 내지 0.4 중량부, 콜라겐추출물은 0.2 내지 0.4 중량부, 코코넛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마치현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상백피추출물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아스타잔틴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0.0005 내지 0.0015 중량부, 녹차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캐모마일꽃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초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자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달팽이점액여과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페녹시에탄올은 0.3 내지 0.5 중량부, 옥수수전분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는 0.01 내지 0.03 중량부, 향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2 내지 0.04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은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 시트상에 마스크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하되,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77.729 중량부의 정제수 및 0.3 중량부의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8 중량부의 글리세린 및 7 중량부의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2 중량부의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1 중량부의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0.3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0.05 중량부의 폴리소르베이트80을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1.0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1.0 중량부의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3 중량부의 베타인, 0.05 중량부의 알란토인, 0.3 중량부의 판테놀, 0.3 중량부의 콜라겐추출물, 0.2 중량부의 코코넛추출물, 0.2 중량부의 마치현추출물, 0.05 중량부의 상백피추출물, 0.05 중량부의 아스타잔틴, 0.05 중량부의 카프릴릴글라이콜, 0.001 중량부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3 중량부의 녹차추출물, 0.03 중량부의 병풀추출물, 0.03 중량부의 캐모마일꽃추출물, 0.03 중량부의 감초추출물, 0.03 중량부의 알로에베라잎추출물, 0.03 중량부의 감자추출물 및 0.03 중량부의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0.4 중량부의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0.03 중량부의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0.02 중량부의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향료는 0.03 중량부, 상기 킬레이트제는 0.03 중량부의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은 각종 천연추출물 및 수성의 조성물들을 정제수에 분산시켜 제조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고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은 메이크업은 물론 피부 상의 각질과 모공 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해주고 피부트러블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며 메마르고 건조한 피부를 촉촉하고 매끄럽게 가꾸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은 각종 천연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보습을 부여하고 피부를 진정시켜 주며 피부를 항상 생기있고 건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부미용 마스크팩을 사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고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한다.
상기 용제(Solvent)는 수분감, 보습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본 발명에 따른 각종 조성물들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제로는 정제수(Water) 및 1,2-헥산디올(1,2-Hexanediol)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은 용제로 사용되고, 각종 천연추출물 및 수성의 조성물들이 분산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은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제수는 77 내지 7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7.729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1,2-헥산디올은 0.2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이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마스크팩 조성물의 점성이 낮아 마스크팩 사용시 안면 피부에서 흘러내릴 수 있고,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마스크팩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Humectant)는 마스크팩의 시트에 신축성과 탄력성을 부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경화 단계에서 피부에 부드러운 유연성을 갖게 하여 피부에서 마스크팩의 일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Glycerin) 및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글리세린은 7 내지 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6 내지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이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 조성물의 경화시 딱딱한 피막이 형성될 수 있고, 피부유연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Viscosity controlling)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마스크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도조절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및 잔탄검(Xanthan Gum)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잔탄검은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잔탄검이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마스크팩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서 피부 도포시 쉽게 흘러내릴 수 있고,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피부 도포시 발림성이 좋지 않고, 끈적임이 심해 피부 도포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Surfactant)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마스크팩 조성물에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유화제 또는 가용화제 등의 역할을 하고,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의 분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세정제(Cleansing Agent)로 사용되고,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은 유화제(Solubiliz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0.2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은 0.04 내지 0.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과 폴리소르베이트80이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에 부드러움과 탄력성을 주고 수분유지력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첨가제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 스킨컨디셔닝제(Skin-Conditioning Agent)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마스크팩 조성물의 미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로는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하이알루로닉애씨드(Hyaluronic Acid), 베타인(Betaine), 알란토인(Allantoin), 판테놀(Panthenol), 콜라겐추출물(Collagen Extract), 코코넛추출물(Cocos Nucifera (Coconut) Fruit Extract),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상백피추출물(Morus Alba Bark Extract), 아스타잔틴(Astaxanthin),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녹차추출물(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캐모마일꽃추출물(Chamomilla Recutita (Matricaria) Flower Extract),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 알로에베라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감자추출물(Solanum Tuberosum (Potato) Pulp Extract) 및 달팽이점액여과물(Snail Secretion Filtrat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글리세레스-26은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0.5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베타인은 0.2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알란토인은 0.04 내지 0.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테놀은 0.2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콜라겐추출물은 0.2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코코넛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마치현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상백피추출물은 0.04 내지 0.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스타잔틴은 0.04 내지 0.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카프릴릴글라이콜은 0.04 내지 0.0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0.0005 내지 0.00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녹차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풀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캐모마일꽃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감초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되며, 상기 감자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달팽이점액여과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킨컨디셔닝제가 상기한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킨컨디셔닝제의 영양·보습, 진정·트러블 개선, 미백·항주름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한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스킨컨디셔닝제 첨가에 따른 효과 상승 비율이 크지 않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상기한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존제(Preservative)는 방부 효과를 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보존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존제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녹시에탄올은 0.3 내지 0.5 중량부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0.4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Viscosity Increasing Agent)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증점제로는 옥수수전분(Zea Mays (Corn) Starch)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옥수수전분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pH Adjuster)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마스크팩의 최종 pH를 화장품 법규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3.0 내지 9.0으로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마스크팩의 pH가 3.0 미만일 경우 피부가 산성으로 변하고 피부의 균형을 파괴해 피부변색, 발진, 화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pH가 9.0 초과시에는 약산성인 피부를 중화시키는 것이 아닌 알칼리화시키므로, 피부에 자극감과,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조성물에서는 pH를 4.0 내지 7.0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한 범위의 pH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를 사용하고, 상기 소듐시트레이트는 0.01 내지 0.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향료(Fragrance)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향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향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향료가 0.0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향을 발휘하지 못하고, 0.04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향이 너무 강하여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는 착화제 또는 겔화 속도 조절제로 사용되고, 본 발명에서 상기 킬레이트제로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2 내지 0.04 중량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0.03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부미용 마스크팩을 사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은 마스크팩 시트(100) 및 상기 마스크팩 시트에 도포된 마스크팩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팩 시트(100)는 사람 얼굴(50)의 각 부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사람의 얼굴(50)에 직접 압착되어 사람의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100)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알콜(PVA), 또는 폴리락틱에시드(PLA) 등의 다양한 합성 부직포나 이들을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마스크팩 시트(100)를 제조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이 많은 얼굴(50) 부위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며, 흡수력 등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들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상기 마스크팩 시트(100)를 함침시킴으로써, 상기 마스크팩 시트(100)에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마스크팩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였고, 상기 마스크팩 시트상에 마스크팩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는데, 상기 용제로는 77.729 중량부의 정제수 및 0.3 중량부의 1,2-헥산디올을 사용하였다.
상기 습윤제는 8 중량부의 글리세린 및 7 중량부의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였고, 상기 점도조절제는 2 중량부의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1 중량부의 잔탄검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0.3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0.05 중량부의 폴리소르베이트80을 사용하였다.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1.0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1.0 중량부의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3 중량부의 베타인, 0.05 중량부의 알란토인, 0.3 중량부의 판테놀, 0.3 중량부의 콜라겐추출물, 0.2 중량부의 코코넛추출물, 0.2 중량부의 마치현추출물, 0.05 중량부의 상백피추출물, 0.05 중량부의 아스타잔틴, 0.05 중량부의 카프릴릴글라이콜, 0.001 중량부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3 중량부의 녹차추출물, 0.03 중량부의 병풀추출물, 0.03 중량부의 캐모마일꽃추출물, 0.03 중량부의 감초추출물, 0.03 중량부의 알로에베라잎추출물, 0.03 중량부의 감자추출물 및 0.03 중량부의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보존제는 0.4 중량부의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고, 상기 증점제는 0.03 중량부의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pH 조절제는 0.02 중량부의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였고, 상기 향료는 0.03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0.03 중량부의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하였다.
< 비교예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마스크팩을 구입하였고, 이를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팩으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와 같이 제조된 피부미용 마스크팩과 비교예의 마스크팩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사용감 보습효과 피부자극 화장제거 후 느낌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0 8.2 8.2 8.3 8.2
비교예 5.3 5.1 5.3 5.2 5.2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피부미용 마스크팩과 비교예의 마스크팩에 대한 사용감, 보습효과, 피부자극, 화장제거후 느낌 및 종합적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피부미용 마스크팩이 종래의 마스크팩에 비해 사용감, 보습효과, 피부자극, 화장제거후 느낌 및 종합적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이 각종 천연추출물 및 수성의 조성물들을 정제수에 분산시켜 제조함으로써, 마스크팩 사용 후 물로 씻어내거나 닦아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마스크팩을 제거할 수 있고 마스크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의 흡수율이 우수하며 상품성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전체적인 기호도를 배가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50; 얼굴 100; 마스크팩 시트

Claims (6)

  1.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되,
    상기 용제는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폴리소르베이트80를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글리세레스-26,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베타인, 알란토인, 판테놀, 콜라겐추출물, 코코넛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아스타잔틴, 카프릴릴글라이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녹차추출물, 병풀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감자추출물 및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77 내지 79 중량부, 1,2-헥산디올은 0.2 내지 0.4 중량부, 글리세린은 7 내지 9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6 내지 8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은 0.5 내지 1.5 중량부,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0.2 내지 0.4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은 0.04 내지 0.06 중량부, 글리세레스-26은 0.5 내지 1.5 중량부,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0.5 내지 1.5 중량부, 베타인은 0.2 내지 0.4 중량부, 알란토인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판테놀은 0.2 내지 0.4 중량부, 콜라겐추출물은 0.2 내지 0.4 중량부, 코코넛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마치현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상백피추출물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아스타잔틴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0.0005 내지 0.0015 중량부, 녹차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캐모마일꽃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초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자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달팽이점액여과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페녹시에탄올은 0.3 내지 0.5 중량부, 옥수수전분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는 0.01 내지 0.03 중량부, 향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2 내지 0.04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3. 마스크팩 시트; 및
    상기 마스크팩 시트에 도포된 마스크팩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향료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폴리소르베이트80를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글리세레스-26,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베타인, 알란토인, 판테놀, 콜라겐추출물, 코코넛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아스타잔틴, 카프릴릴글라이콜, 토코페릴아세테이트, 녹차추출물, 병풀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감초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감자추출물 및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킬레이트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77 내지 79 중량부, 1,2-헥산디올은 0.2 내지 0.4 중량부, 글리세린은 7 내지 9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6 내지 8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은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은 0.5 내지 1.5 중량부,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0.2 내지 0.4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80은 0.04 내지 0.06 중량부, 글리세레스-26은 0.5 내지 1.5 중량부,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0.5 내지 1.5 중량부, 베타인은 0.2 내지 0.4 중량부, 알란토인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판테놀은 0.2 내지 0.4 중량부, 콜라겐추출물은 0.2 내지 0.4 중량부, 코코넛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마치현추출물은 0.1 내지 0.3 중량부, 상백피추출물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아스타잔틴은 0.04 내지 0.06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은 0.04 내지 0.06 중량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는 0.0005 내지 0.0015 중량부, 녹차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병풀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캐모마일꽃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초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감자추출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달팽이점액여과물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페녹시에탄올은 0.3 내지 0.5 중량부, 옥수수전분은 0.025 내지 0.035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는 0.01 내지 0.03 중량부, 향료는 0.02 내지 0.04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2 내지 0.04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6. 순면코튼이 60중량% 포함되어 있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 시트상에 마스크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하되,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용제, 습윤제, 점도조절제, 계면활성제, 스킨컨디셔닝제, 보존제, 증점제, pH 조절제 및 킬레이트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는 77.729 중량부의 정제수 및 0.3 중량부의 1,2-헥산디올을 사용하고,
    상기 습윤제는 8 중량부의 글리세린 및 7 중량부의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2 중량부의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1 중량부의 잔탄검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0.3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0.05 중량부의 폴리소르베이트80을 사용하며,
    상기 스킨컨디셔닝제는 1.0 중량부의 글리세레스-26, 1.0 중량부의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3 중량부의 베타인, 0.05 중량부의 알란토인, 0.3 중량부의 판테놀, 0.3 중량부의 콜라겐추출물, 0.2 중량부의 코코넛추출물, 0.2 중량부의 마치현추출물, 0.05 중량부의 상백피추출물, 0.05 중량부의 아스타잔틴, 0.05 중량부의 카프릴릴글라이콜, 0.001 중량부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3 중량부의 녹차추출물, 0.03 중량부의 병풀추출물, 0.03 중량부의 캐모마일꽃추출물, 0.03 중량부의 감초추출물, 0.03 중량부의 알로에베라잎추출물, 0.03 중량부의 감자추출물 및 0.03 중량부의 달팽이점액여과물을 사용하고,
    상기 보존제는 0.4 중량부의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며,
    상기 증점제는 0.03 중량부의 옥수수전분을 사용하고,
    상기 pH 조절제는 0.02 중량부의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향료는 0.03 중량부를 사용하고,
    상기 킬레이트제는 0.03 중량부의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1020150100756A 2015-07-16 2015-07-16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20170009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756A KR20170009164A (ko) 2015-07-16 2015-07-16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756A KR20170009164A (ko) 2015-07-16 2015-07-16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164A true KR20170009164A (ko) 2017-01-25

Family

ID=5799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756A KR20170009164A (ko) 2015-07-16 2015-07-16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16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82837A1 (en) * 2018-01-23 2019-09-19 Kegel, Llc Personal Care Cleaning Product in Tablet Form
KR102071627B1 (ko) * 2018-09-11 2020-01-31 김태연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23560A (ko) * 2018-08-23 2020-03-05 (주) 비에스티 천연물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미용 조성물
KR20200116205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뷰티스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장치
KR102165567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91929B1 (ko) 2020-05-27 2020-12-16 노은수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5203B1 (ko) * 2020-03-10 2021-08-31 주식회사 뷰티몬코리아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71B1 (ko) 2001-02-08 2006-07-3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마스크 조성물
KR101482507B1 (ko) 2014-04-11 2015-01-14 (주)씨아이티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500987B1 (ko) 2014-12-10 2015-03-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171B1 (ko) 2001-02-08 2006-07-3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마스크 조성물
KR101482507B1 (ko) 2014-04-11 2015-01-14 (주)씨아이티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500987B1 (ko) 2014-12-10 2015-03-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수용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82837A1 (en) * 2018-01-23 2019-09-19 Kegel, Llc Personal Care Cleaning Product in Tablet Form
US10780028B2 (en) * 2018-01-23 2020-09-22 Kegel, Llc Personal care cleaning product in tablet form
KR20200023560A (ko) * 2018-08-23 2020-03-05 (주) 비에스티 천연물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미용 조성물
KR102071627B1 (ko) * 2018-09-11 2020-01-31 김태연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6205A (ko)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뷰티스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조장치
KR102165567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5203B1 (ko) * 2020-03-10 2021-08-31 주식회사 뷰티몬코리아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KR102191929B1 (ko) 2020-05-27 2020-12-16 노은수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9164A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101785498B1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JP5096742B2 (ja) 頭皮頭髪用組成物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224754B (zh) 一种含植物提取物调节头皮油脂分泌、亮发、顺发的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洗发剂
CN106137003A (zh) 通鼻抗菌的复方精油、生活用纸及其制备方法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CN105796408B (zh)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以及卸妆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57814B1 (ko) 마스크팩 조성물, 모델링 마스크팩 및 피부미용 마스킹 방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KR102151305B1 (ko)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102049406B1 (ko) 고점도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KR20210144099A (ko) 눈꺼풀 또는 눈주위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CN112076144A (zh) 一种柔和肌肤面部清洁粉及其制备方法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973496A (zh) 一种海藻保湿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1762B1 (ko) 남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77571B1 (ko)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