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005A -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005A
KR20070074005A KR1020060001406A KR20060001406A KR20070074005A KR 20070074005 A KR20070074005 A KR 20070074005A KR 1020060001406 A KR1020060001406 A KR 1020060001406A KR 20060001406 A KR20060001406 A KR 20060001406A KR 20070074005 A KR20070074005 A KR 2007007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in
wood
wood fiber
cosmetic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식
Original Assignee
노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식 filed Critical 노정식
Priority to KR102006000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005A/ko
Publication of KR2007007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의 물관부가 성장하여 이루어진 다공질의 목질부와; 송진 또는 관솔을 함께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하여 송진의 성분이 목질분말에 침착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으로서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피부의 노폐물 각질 제거와 피부재생에 효과가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유기물인 나무의 목질과 송진을 배합 분쇄하여 분말화시킴으로써 피부에 해가 전혀없고, 노폐물제거 및 정화작용이 뛰어나며, 살균, 소염, 진정작용으로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나무섬유, 화장품, 소나무, 송진, 관솔, 분쇄, 다공질

Description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WOODY FIBER COSMETICS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유기물인 나무섬유 분말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의 노폐물 및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피부정화 기능을 갖추고, 살균, 소염, 진정 등의 우수한 약리작용을 가진 천연의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기 위하여 도찰(塗擦)·살포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적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하게 미화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보전하기 위하여 도찰하는 종류로서 보통 기초화장품이라 부르는 각종 화장수·크림류가 이에 속하며; 매력을 증진하고 용모를 변경시키는 종류로서 가루분·고형백분·크림백분·파운데이션·입술연지·눈썹연필·미조료(美爪料) 등이 있는데 대체로 빛깔이 있는 화장품이며, 마무리화장품 또는 메이크업 화장품이라 하고; 머리털을 건강하게 보존하고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는 두발화장품이라 하여 헤어로션·헤어토닉, 액상 및 유상 정발료, 헤어크림·헤어 트리트먼트 크림·샴푸·헤어 스프레이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이, 화장품은 이제 거의 남녀노소가 두루 사용하는 필수품이 되었으며, 따라서 그 성분은 순해야 하며 피부에 해로운 불순물 또는 부산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특히, 국제기구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의 수효가 3,600가지에 이르고,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조되는 완제품의 수효는 19,500가지에 이르고 있어 더욱 그러하다.
예컨대, 이들 성분중 최근 사용금지 또는 성분제한된 바이티오놀, 수은화합물, 염화비닐, 질코니움, 제놀로포름, 프레온, 헥사클로로핀,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클로로필린, 카본블랙 등은 지금껏 허용되어오다 정책적, 환경적, 기타 여러가지 사유로 인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이다.
그런데, 기존 피부 마사지용 화장품이나 화운데이션과 같은 파우더 제품은 고령토나 활석과 같은 무기질인 돌가루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이를 화장품의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그 성질이 냉하여 피부에 해로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무기질분말은 물론 점착성이 낮아 지방분이나 에스테르지방산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밖에 없으므로 그 성분들이 피부호흡을 방해함으로써 피부노화 등의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사지용 화장품(황토, 머드 등)의 경우에는 그 주성분이 입자는 작아도 무기질의 날카로운 돌가루나 혹은 조개껍질 가루이기 때문에 노폐물 흡수력이 거의 없고, 피부의 노폐물과 각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맛사지(peeling)할 경우 각질과 각질 속에서 자라고 있는 새세포를 가리지 않고 갉아내므로(Sanding) 새살세포에 상처를 내게 되어 세균침투, 감염에 취약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처받은 피부세포가 정상적인 모습으로 생성되지 못하게 되어 피부가 나중에는 오히려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천연 유기물로 구성되고 부드러운 다공질의 나무 목질부, 즉 나무섬유가 갖는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송진 성분의 특성을 이용하여 화운데이션을 비롯한 각종 화장품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미용 및 피부건강 증진은 물론 피부재생효과를 제공해 주는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나무의 물관부가 성장하여 이루어진 다공질의 목질부와 송진(또는 관솔)을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하여 송진의 성분이 목질분말에 침착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염, 진정, 수렴 등의 피부보호 작용으로 피부재생효과가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되는 나무는 육송, 해송, 미송 또는 삼나무 등 독성을 갖고 있지 않은 모든 나무가 해당되며, 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나무의 물관부가 성장하여 이루어진 다공질의 목질부를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하여 형성된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을 제공함에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쌀, 고구마전분, 밀과 같은 고형의 유기물과, 송진을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가열하여 송진의 성분이 고형의 유기물에 침착되도록 형성시킨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을 제공함에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나무섬유와 송진을 일정비율로 분쇄기에 장입하는 단계와; 장입된 혼합물을 1~1000㎛의 크기로 분쇄하여 분쇄와 동시에 송진분말을 나무섬유분말 속으로 침착시키는 단계와; 분쇄된 분말의 크기별로 스크리닝하여 용도별로 포장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나무섬유 화장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도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무섬유 화장품은 나무의 목질부분을 1~1000㎛ 크기로 분쇄 하여 분체를 만들고, 이 분체를 다시 크기별로 스크린하여 화운데이션, 마사지, 팩, 필링(peeling) 등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나무는 자연상태의 모든 나무가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육송, 해송, 미송, 낙엽송, 오엽송, 삼나무 등 소나무과에 속하는 나무가 독성이 없어서 좋다.
이러한 나무의 목질부분, 즉 나무섬유는 물리, 화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물리적 특징으로는 돌가루가 주성분인 진흙을 사용하는 기존 화장품 재료와는 달리 천연 유기물로서 그 성질이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넓은 표면적을 지진 다공질로 이루어져 피부 마사지 또는 팩을 할 때 각질 및 노폐물을 흡수(착) 교합(묻혀내는 기능)하여 제거하므로 속살(각질층속의 새세포)에 해(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피부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화학적 특징으로는 나무섬유 속에는 송진성분이 함유(특히 관솔부위)되어 있어 살균, 진정, 소염작용을 하며, 각질 제거시 외부에 노출되는 새세포를 유해한 세균으로부터 보호하고 감싸주어 새세포 생성에 이상적인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나무섬유는 인체에 무해한 무공해 자연물로서 동의보감에서도 "풍습(風濕)을 다스리며, 독이 없다"고 했듯이 예로부터, 식용(솔잎, 송화, 솔방울, 솔껍질 등) 및 약용(송진, 관솔, 목질부 등)으로 사용해 온 천연 유기물이며, 나무의 성장에 따라 물관부가 그대로 목질화되어 조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많은 물관으로 이루어진 나무섬유는 탄성이 뛰어나고 다공질인 말 그대로 자연섬유질인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나무섬유는 피부의 수분(땀)이나 피지 등을 빨아들이는 강한 흡수(착)력을 가진다.
특히, 상기 분체를 만들때 나무섬유 자체에 함유된 송진성분 이외에 별도로 송진 또는 관솔을 적정량 용도에 따라 0.1~30중량% 까지 첨가하여 노폐물 각질 제거, 살균, 진정, 소염 효능을 배가시키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송진은 소나무과의 나무가 손상을 입었을 때 분비되는 발삼(balsam)으로서 물에 녹지 않으며, 성분은 수지분(로진)이 70∼75%, 정유(精油:테레빈유)가 18∼22%, 물 기타 불순물 5∼7%이며, 이 중 송진산의 경우는 전체의 60∼65%가 레보피마르산·네오아비에틴산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송진은 살균력이 우수하여 피부를 살균, 진정, 소염하는 효능이 있고, 새살을 돋게 하는데 유효하며, 악성피부종양도 치료하는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여드름 치료에도 효능이 보고된 바 있으며, 습진, 데인곳, 옴 등에도 쓰이고, 그 맛은 쓰며,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그리고, 관솔은 송진이 엉긴 소나무의 가지나 옹이를 말하며, 성분은 주로 로진과 테레빈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나무섬유에 송진을 분비 침착시켜 이루어진 분말형 또는 반유의 액상, 고형의 화장품 혹은 기초화장품, 화운데이션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말형 화장품은 나무의 물관부가 성장하여 이루어진 다공질의 나무섬유가 입도 1~1000㎛의 크기로 분쇄된 나무섬유분말에 송진성분이 흡 수 침착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나무섬유와 송진의 혼합비율은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0.1~30중량%의 범위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조정가능한 범위를 넘어서거나 미치지 못하게 되면 송진의 효능이 과대해지거나 과소해지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로 첨가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즉, 만약 송진이 3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게 되면 목질부 분말과 교합되지 못한 송진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그냥 송진 분말을 가지고 사용하는 것과 같아서 송진의 함량을 최대 30중량% 까지만 첨가하도록 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나무섬유 화장품의 특성을 방해할 수 있는 물질인 화장품을 구성하기 위한 주원료에 더하여 첨가되는 보조제 및 여타의 첨가제, 이를테면 물(정제수),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 알콜, 유동 파라핀 등이 포함되지 않는다.
덧붙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목질부의 나무섬유와 송진을 교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송진을 고형의 유기물 이를테면, 쌀, 고구마전분, 밀 등과 함께 분쇄 가열하여 동일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소나무의 경우에는 목질부에 이미 송진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특별히 별도의 송진을 더 첨가혼합할 필요없이 곧바로 소나무 목질부를 상술한 입도로 분쇄하여 동일한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나무섬유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각종 나무와 송진 또는 관솔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100).
이때, 본 발명 화장품의 조흔색은 대상 나무의 색깔 특성에 따라 백색에서 살색까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것을 적절히 조합하여 색조화장에 필요한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도 있다.
상기 S100 단계를 통해 나무섬유와 송진이 준비되면 일정량의 상기 송진과 나무섬유를 분쇄기에 장입하게 된다(S110).
이후, 분쇄기를 구동시켜 나무섬유와 송진의 혼합물을 분쇄하게 된다(S120).
이와 같이, 나무섬유와 송진을 함께 혼합 분쇄하는 이유는 이들을 함께 분쇄하게 되면 서로 강하게 부딪히면서 분쇄되게 되는데 이때 그 입자가 작아질수록 서로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마찰열 혹은 가열에 의해 목질분말(나무섬유분말)은 탈수되고 송진분말은 녹아(액화) 목질분말에 흡수 침착되게 되어 관솔과 유사한 형태로 송진을 함유하게 되기 때문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목질분말이 필요로 하는 송진의 성분을 함유하게 되는데 이는 나무섬유와 송진을 각각 분쇄하여 단순혼합하였을 때와는 전혀 다른 특별한 물성을 가지게 된다.
예컨대, 송진이 흡수 침착된 나무섬유분말을 이용하여 피부에 마사지하게 되면 송진의 점착력이 목질의 탄성과 다공성 등의 특성과 동조(어우러져)되어 노폐물 각질을 제거함에 있어 훨씬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동시에 송진의 성분이 새로 노출되는 피부표면에 자연스럽게 아주 골고루 균등히 도포(코팅)되어 감싸주는 놀 라운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포된 송진성분은 노출된 새 세포를 세균으로부터 보호해 줄 뿐만 아니라 소염, 진정, 수렴 작용으로 고운 피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감싸고 보호하여 주기 때문에 그 피부미용(피부재생)에 주는 효과가 뛰어난 것이다.
하지만, 단순 혼합의 경우에는 송진과 목질 각각이 갖는 특성들이 서로 어우러지지 못해 다소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탁월한 효과를 창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나무섬유와 송진을 일정량씩 배합하여 혼합한 상태에서 분쇄토록 함으로써 송진이 나무섬유분말에 흡수 침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분쇄된 분말의 입도는 1~1000㎛의 크기가 되도록 하여 피부 접촉시 무리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송진을 나무섬유에 빨리 침착흡수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열원을 통해 가열하거나 혹은 테레빈유 혹은 송진을 녹일 수 있는 용제를 촉진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송진이 나무에서 곧바로 수집된 점액성의 송진이 아닌 정제한 고체 송진이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S120 단계를 거쳐 분쇄가 완료되면 분쇄된 분말 입자의 입도, 즉 1~1000㎛의 범위내에서 다시 각 입도 크기별로 스크리닝하여 분리한 다음 용도, 이를테면 화운데이션용, 파우더용, 팩용, 마사지(필링)용 등으로 나누어 포장하여 사용토록 한다(S130,S14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 실시를 위해 소나무의 물관부로부터 채취된 나무섬유 95중량%와, 동일 소나무로부터 채취된 송진 5중량%를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여 입도 10㎛를 갖는 팩용 혼합분만을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해 시중에 알려진 임의의 종래 분말형 화장품 팩 조성물과 비교하여 성분조성상의 차이를 하기한 표 1에 나타내었다.
번호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발명예
1 카오린 85.0중량% 5.0중량% -
2 탈크 10.0중량% 5.0중량% -
3 산화티탄 5.0중량% 5.0중량% -
4 머드분말 - 85.0중량% -
5 나무섬유분말 - - 95.0중량%
6 송진분말 - - 5.0중량%
이후, 사용상 편의성 및 효능 평가를 위해 상기 비교예1,2의 성분조성으로 이루어진 팩과 발명예의 성분조성으로 이루어진 팩을 20~50세 여성들로 구성된 일반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사용상 편의성과 효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한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상 편의성 및 효능에 대한 평가기준은 "◎:90% 이상 만족, ○:80% 이상 만족, △:70% 이상 만족, ×:70% 미만 만족" 과 같이 규정하였다.
조사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발명예
각질제거,정화작용
살균,소염,진정작용 × ×
피부 트러블 없음
수렴작용
미백효과
실시후 피부부드러움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무섬유 화장품은 각질제거, 정화작용, 살균, 소염, 진정작용, 피부트러블이 없고, 수렴작용이 우수하며, 미백효과가 뛰어나고, 실시후 피부 부드러움 등에서 거의 모두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덧붙여, 본 발명 나무섬유 화장품의 사용예를 예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운데이션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초화장품인 로션이나 크림을 바른 후 그 위에 분첩으로 본 발명 나무섬유 화장품을 발라준다.
그러면, 반투명의 자연 섬유의 색깔이므로 매우 자연스러우며, 자외선이나 외부의 오염물질 및 유해한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피부에서 분비되는 분비물 등의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화시키게 되어 피부를 맑고 부드럽게 만들어주게 된다.
다음으로, 세안 및 마사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마사지(peeling)용 나무섬유분말을 정수에 개어 얼굴에 바르고 가볍게 문질러 준다. 이때, 비누세수를 하고 마사지를 해도 되나 그냥 마사지만 해도 노폐물과 각질이 깨끗이 제거된다.
또한, 마사지후 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필링후 피부에 정수를 스프레이 한 다음 팩용 나무섬유분말을 그 위에 뿌려주거나 물에 비교적 되게 개어 피부에 팩을 하도록 한다. 약 20분후에 정수로 세안하면 피부가 희고 고와지며 수렴작용을 통해 잔주름이 제거된다.
또한, 전신 피부 마사지 또는 목욕할 경우에는 상기 세안 및 마사지의 경우와 팩을 할 때의 경우처럼 해 주면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과량의 나무섬유분말을 목욕물에 희석시켜 나무섬유 목욕을 해도 피부미용에 좋다.
특히, 이와 같은 마사지시 아토피성 피부염에 사용할 경우 살균, 소염, 진정 및 피부재생 효과 때문에 매우 탁월한 치료기능을 보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 유기물인 나무의 목질과 송진을 배합 분쇄하여 분말화시킴으로써 피부에 해가 전혀없고, 노폐물제거 및 정화작용이 뛰어나며, 살균, 소염, 진정 작용으로 피부재생 및 아토피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각질 및 노폐물 제거와 새로 노출되는 새살 세포에 송진 성분을 도포 살균, 소염, 진정 효과로 새살이 깨끗하고 부드럽게 재생되도록 하여 주기 때문에 필링을 매일 1회씩 반복하여 일주일 이상 연속 시행, 확실한 피부재생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5)

  1. 나무의 물관부가 성장하여 이루어진 다공질의 목질부와;
    송진 또는 관솔을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하여 송진의 성분이 목질분말에 침착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무는,
    육송, 해송, 미송 또는 삼나무, 독성을 갖지 않은 모든 나무가 해당되며, 그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
  3. 소나무의 물관부가 성장하여 이루어진 다공질의 목질부를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
  4. 쌀, 고구마전분, 밀과 같은 고형의 유기물과, 송진을 1~1000 미크론의 미립자로 분쇄가열하여 송진의 성분이 고형의 유기물에 침착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 어난 나무섬유 화장품.
  5. 나무섬유와 송진을 일정비율로 분쇄기에 장입하는 단계와;
    장입된 혼합물을 1~1000㎛의 크기로 분쇄하여 분쇄와 동시에 송진분말을 나무섬유분말 속으로 침착시키는 단계와;
    분쇄된 분말의 크기별로 스크리닝하여 용도별로 포장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소염, 진정, 수렴작용을 갖고 노폐물 제거와 피부재생 기능이 뛰어난 나무섬유 화장품.
KR1020060001406A 2006-01-05 2006-01-05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4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06A KR20070074005A (ko) 2006-01-05 2006-01-05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06A KR20070074005A (ko) 2006-01-05 2006-01-05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005A true KR20070074005A (ko) 2007-07-12

Family

ID=3850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406A KR20070074005A (ko) 2006-01-05 2006-01-05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0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596A2 (ko) * 2009-02-27 2010-09-02 (주) 아모레퍼시픽 송진 추출물, 적송엽 추출물 및 적송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5174B1 (ko) * 2008-05-27 2011-01-04 문효식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1525526A (ja) * 2008-06-24 2011-09-22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松節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74B1 (ko) * 2008-05-27 2011-01-04 문효식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1525526A (ja) * 2008-06-24 2011-09-22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松節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2306969A4 (en) * 2008-06-24 2016-04-20 Amorepacific Corp COMPOSITION WITH PINIENASTEXTRAKT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AND PREPARATION FOR THIS
WO2010098596A2 (ko) * 2009-02-27 2010-09-02 (주) 아모레퍼시픽 송진 추출물, 적송엽 추출물 및 적송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0098596A3 (ko) * 2009-02-27 2011-01-06 (주) 아모레퍼시픽 송진 추출물, 적송엽 추출물 및 적송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2355887A (zh) * 2009-02-27 2012-02-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松香提取物、赤松针叶提取物和赤松根提取物的皮肤保湿化妆品组合物
US8906433B2 (en) 2009-02-27 2014-12-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CN102355887B (zh) * 2009-02-27 2014-12-3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松香提取物、赤松针叶提取物和赤松根提取物的皮肤保湿化妆品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845B1 (ko)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 및 천연 마스크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0154113A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70009164A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101623383B1 (ko) 동결건조분말을 이용한 거즈형 마스크 팩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2227915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100620248B1 (ko) 황토 함유 미용 조성물
KR20210024525A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973B1 (ko) 모발 보호제 조성물
KR10165030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100360725B1 (ko) 마사지용 젤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893B1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57829B1 (ko) 치마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로부터 분리된 베타글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20050100307A (ko) 한방 맛사지 팩의 제조방법
KR101995998B1 (ko)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849896A (zh) 含有天麻的面膜粉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3531A (ko) 황토젤
KR102239892B1 (ko) 김치 발효 마스크팩
KR10053811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0637924B1 (ko) 허니 인삼 팩 조성물
KR102483898B1 (ko) 미강유를 포함하는 천연가루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9281B1 (ko) 마스크팩
KR102085064B1 (ko) 카테킨 및 테르펜 성분의 자연 식물성 추출물, 장기 3년 숙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