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334B1 -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334B1
KR100733334B1 KR1020050129824A KR20050129824A KR100733334B1 KR 100733334 B1 KR100733334 B1 KR 100733334B1 KR 1020050129824 A KR1020050129824 A KR 1020050129824A KR 20050129824 A KR20050129824 A KR 20050129824A KR 100733334 B1 KR100733334 B1 KR 10073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skin aging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미
양재원
도재호
이종원
강봉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5012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리포좀화 시킨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상자 추출물은 무자극 물질로서 콜라겐 생합성 증진,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및 항산화 효능을 갖고 있으므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을 나타내어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상자, 피부미용, 피부노화, 콜라겐, 콜라게네이즈, 나노 리포좀

Description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orising Nanoliposome of Torilis japonica Fruit}
제 1 도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의 사상자 추출물의 강도에 의한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 by Intensity)를 나타낸 것이며,
제 2 도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의 사상자 추출물의 수에 의한 크기분포(Size Distribution by Number)를 나타낸 것이고,
제 3 도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의 사상자 추출물의 부피에 의한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 by Volume)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89007호 발명의 계속된 내용으로서, 나노 리포좀화 시킨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89007호에서 사상자 추출물이 콜라겐(collagen)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를 활성화시켜 피부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억제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출원하였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현대인들은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는 외측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외부자극이나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수분·지질 성분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진피는 섬유성분과 기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섬유성분에는 콜라겐(collagen)이 70%, 엘라스틴(elastine)이 2% 정도 함유되어 있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를 팽팽하고, 탄력 있게 유지시켜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작용에 의하여 합성되며,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와 엘라스티네이즈(elastinase)에 의해 분해된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는 주름,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과 탄력 감소 현상을 의미하는데, 나이의 증가에 의한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주요원인이 된다.
나이가 증가하면 섬유아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그 작용이 저하되어 섬유성분(콜라겐,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줄어들고, 피부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면서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된다. 또한 콜라게네이즈의 작용이 증가하여, 콜라겐의 가교된 형태가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매끄러움이나 팽팽함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피부가 자외선 등에 노출되면 체내에서 산소의 불완전 대사가 발생하고 그 결과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가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 진피의 구성성분 감소, 멜라닌 생성 증가, 표피의 각질화 등을 유발한다. 그 결과 체내에 활성산소가 많아지면,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탄력성이 감소되며 색소가 침착 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억제시켜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켜 진피 내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하여야 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와 엘라스티네이즈의 활성을 저해시켜야 한다. 아울러 자외선이나 피부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활성산소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사상자를 포함한 성분을 이용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28315호에는 분말진흙, 사상자, 백질려, 화피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마사지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81417호에는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예방 및 완화 또는 알러지 유발 억제용 피부 외용조성물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41722호에는 고구마, 검정콩, 석류껍질, 녹차잎, 사상자, 오리알 및 효모 로 이루어진 발모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09227호에는 유근피, 박하, 백지, 지부자, 사상자, 고삼, 행인 및 녹두로 구성된 피부병 예방 치료용 비누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리포좀은 물리화학적으로 성질이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상 중심부에는 수용성 성분이, 인지질막에는 지용성 성분이 가용화되어 있어서 친수성 물질과 친유성 물질 모두를 봉입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매우 불안정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리포좀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상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불포화 레시틴의 우수한 피부 친화성, 피부 흡수력 증진, 미세한 나노 입자 제조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안정화 등의 장점이 알려지면서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84120호에는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크기가 100 내지 150㎚로 이루어지며 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101588호에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산삼, 산수유, 산약, 감초, 맥문동, 복령 및 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7991호에는 어성초, 자일로스, 마조랑, 알피니아 및 삼백초로 구성된 생약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111227호에는 입자크기가 200 내지 300㎚인 니오 좀화 된 멀티라 멜라베지클과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기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62910호에는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49711호에는 초임계 유출 추출법에 의한 대나무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함유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7612호에는 불포화 레시틴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등 많은 특허출원이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이 콜라겐(collagen)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를 활성화시켜 피부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므로써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억제 기능을 갖는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사상자 추출물을 나노 리포좀화 시켜 화장료로 개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함께 나타내는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나노 리포좀화 시킨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상자 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나노 리포좀화 시킨 화장료를 제공한다.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억제를 위하여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켜 진피 내의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e)의 합성을 촉진하여야 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와 엘라스티네이즈(elastinase)의 활성을 저해시켜야 한다. 아울러 자외선이나 피부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를 제거하여 활성산소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인체에 존재하는 활성산소는 주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에 의하여 분해된다.
따라서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억제 효과는 콜라겐(collagen)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를 활성화시켜 피부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생약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함께 나타내는 천연물 및 생약재를 선별하기 위하여 인체 투여시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진 식품공전에 수재된 생약재들에 대하여 콜라겐 생합성 능력,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능력, 활성산소 제거효소 활성 능력을 스크리닝(screening)하여 얻어진 사상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사상자는 예전부터 한방 또는 민간에서 약용식물로 피부 가려움증 등에 사용되던 것이었으며,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어제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개발한 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89007호로 출원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상자 추출물을 나노 리포좀화 시킨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상자 및 산수유의 생약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사상자 또는 산수유에 정제수를 가하고, 70~10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상자 또는 산수유 1kg에 정제수 10L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온도를 15~20℃로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생약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홍삼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홍삼에 70% 에탄올을 가하고, 70~100℃에서 6~10시간씩 수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홍삼 에탄올추출물에 88% 주정을 첨가하여, 24시간 정치한다. 상기 정치해둔 액을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감압 농축하여 정제홍삼에탄올추출물(이하 '홍삼추출물'이라 한다.)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1kg에 70% 에탄올 8L를 가하여 85℃에서 8시간씩 5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홍삼 에탄올추출물에 88% 주정을 중량대비 5배량(2.5L) 첨가하여 냉장온도에서 24시간 정치한다. 상기 정치해둔 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정제홍삼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생약재를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추출 용매로 정제수, 에탄올, 헥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를 위해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상자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생약재를 추출한 후 또는 사상자와 산수유를 함께 추출하여 혼합생약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생약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배합비는 그들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의 중량비는 1 : 9 로 혼합되며,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및 산수유추출물의 중량비는 1 : 9 : 0.7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사상자 또는 홍삼 및/또는 산수유 추출물을 이용한 나노 리포좀화 할 수 있다. 나노 리포좀화는 통상적인 나노 리포좀화 방법에 따라 고압 균질기를 통과 시킨후 냉각, 탈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불포화 레시틴이 대두에서 추출하여 제조되거나 이를 정제하여 포스파티딜콜린 함량이 90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포좀의 성상 아정화제가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4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80, PEG-20 스테아레이트 또는 PEG-45 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파우더, 지용성 파우더, 수용성 리퀴드, 크림 도는 에센스로 제형화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특별한 제형의 제한은 없고, 다만, 나노리포좀이 피부흡수촉진 및 안정도를 증가시키므로서 두렷한 효과를 지닐 수 있는 분야로서 기초화장료, 색조화잘요, 세정료, 정발료, 염모제 등에 적용할 수 잇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사상자 추출물의 제조
사상자 1kg에 정제수 10L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 40%인 사상자추출물 150g을 얻었다.
<제조예 2> 정제홍삼 에탄올추출물(홍삼추출물)
홍삼 1kg에 70% 에탄올 8L를 가하여 85℃에서 8시간씩 5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이 40%인 홍삼 에탄 올추출물 500g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홍삼에탄올추출물 500g에 88% 주정을 중량대비 5배량(2.5L) 첨가하여 냉장온도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상기 정치해둔 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 36%인 정제홍삼 에탄올추출물 300g을 얻었다.
<제조예 3> 산수유 추출물의 제조
산수유 1kg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수분함량 40%인 산수유추출물 900g을 얻었다.
<제조예 4 내지 8> 혼합생약조성물의 제조(사상자추출물 + 홍삼추출물)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과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홍삼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생약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생약조성물
구분 제조예 1의 사상자추출물 제조예 2의 홍삼추출물 중량비 (사상자추출물:홍삼추출물)
제조예 4 9g 1g 9:1
제조예 5 7g 3g 7:3
제조예 6 5g 5g 5:5
제조예 7 3g 7g 3:7
제조예 8 1g 9g 1:9
<제조예 9> 혼합생약조성물의 제조(사상자추출물 + 홍삼추출물 + 산수유추출물)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1.0g,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홍삼추출물 9.0g,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산수유추출물 0.7g을 혼합하여 혼합생약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 제조
정제수 1000㎖에 트리에탄올아민 10g을 가하여 50℃에서 완전히 용해시키고(A상) 레시틴 90g 및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 추출물 10g 및 폴리소르베이트 40 10g을 균질하게 혼화하여 80℃까지 가열, 용해시킨 후 분산기로 10분간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B상).
A상에 B상을 투입하여 압 균질기로 2,500r.p.m으로 5분간 유화 한 후 고압균질기를 사용하여 1,000 기압에서 10회전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다. 30℃까지 냉각한 후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상자 나노리포좀의 평균입자는 11.38㎚ 였다.
제 1 도는 강도에 의한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 by Intensity)를 나타낸 것이며, 제 2 도는 수에 의한 크기분포(Size Distribution by Number)를 나타낸 것이고, 제 3 도는 부피에 의한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 by Volume)를 나타낸 것이다.
<제조실시예 1> 영양크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비고
1 쎄테아릴 알콜(&)쎄테아릴 글루코시드 1.0
2 PEG-4 올리베이트 1.0
3 메칠글루코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0.5
4 세트릴알콜 2.0
5 베헤닝알콜 1.5
6 비스 왁스 2.0
7 세레신 1.0
8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로우렛-23 0.5
9 소르비탕 스테아레이트 0.8
10 폴리소베이트-60 1.2
11 부틸파라벤 0.1
12 라놀린 2.0
13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4
14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15 디메치콘 2.0
16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0
17 알란토인 0.5
18 디포타시움 글리시리지드 0.5
19 부틸렌글리콜 3.0
20 메칠파라벤 0.1
21 디소디움 EDTA 0.01
22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0.05
23 알기닌 0.3
24 글리세린 5.0
25 풀루란 2.0
26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27 카보머 0.1
28 향료 0.05
29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실시예 1) 10.00
30 증류수 TO 100.00
합 계 100.00
<제조방법>
19, 20, 24, 30을 혼합교반하면서 80℃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1 내지 18, 21, 22, 23, 25 내지 28을 80℃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29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실시예 2> 화장수(스킨로숀)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비고
1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0.03
2 디소디움 EDTA 0.02
3 디포타시움 글리시리지드 0.50
4 부틸렌글리콜 4.00
5 메틸파라벤 0.10
6 벤조페논-9 0.02
7 글리세레이트-26 5.00
8 PEG-3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카스터 오일 0.10
9 PEG-6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카스터 오일 0.10
10 에탄올 2.00
11 향료 0.050
12 베타인 5.00
13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 10.00
14 증류수 TO 100.00
합 계 100.00
<제조방법>
14번에 1,2,3,4,6,7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1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4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8,9,10,12,13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실시예 3> 영양로숀의 제조
실시예 1의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비고
1 PEG-4 올리베이트 1.50
2 메칠그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0.05
3 스테아릴 알콜 0.40
4 비스 왁스 0.30
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0.6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0
7 폴리소르베이트-60 0.80
8 부틸파라벤 0.10
9 세아 부테르 1.00
10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20
11 이소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4.00
12 아프리코트 케르넬 오일 8.00
1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0
14 디메치콘 2.00
15 알란토인 0.50
16 디포타시움 글리시리지트 0.50
17 부틸렌글리콜 4.00
18 메칠파라벤 0.10
19 디소디움 EDTA 0.01
20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0.05
21 알기닌 0.30
22 글리세린 5.00
23 솔비톨 2.00
24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05
25 카보머 0.04
26 향료 0.05
27 소디움 히알우로네이트 0.10
28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알킬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030
29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 10.00
31 WATER TO 100.00
합 계 100.00
<제조방법>
17, 25, 28, 31을 혼합교반하면서 80℃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1 내지 13, 15, 16, 18 내지 24, 27, 30을 순차적으로 넣어 80℃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2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29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예 4>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사상자 추출물 나노리포좀(실시예 1)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실험예 1>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나노리포좀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시판 중인 레티노익산(Sigma 사, R2625)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70% 에탄올에 용해시켜 0.05%, 0.1% 농도로 제조하였다. 또한 생약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을 기준으로 콜라겐 생성률을 비교하였다.
① 6 웰(well) 디시(dish)에 일정수의 정상인의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접종(seeding)한 후 하루동안 배양한다.
② FBS(fetal bovine serum, 송아지혈청)가 0.05% 들어있는 각각의 웰(well)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다.
③ 48시간 후 세포 배지를 수집하고, 수집한 각 샘플의 100ul를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한다.
⑤ 각 웰을 인산완충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400ul로 3회 세척한다.
⑥ 용액Ⅰ{Antibody-POD(perosidase)conjugate solution}을 각 웰에 100ul 씩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한다.
⑦ 각 웰을 인산완충식염수 400ul로 3회 세척한다.
⑧ 기질용액(TMBZ, 3,3',5,5'-tetramethylbenzidine,) 100ul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상온(20~30℃)에서 15분간 배양(incubation)한다.
⑨ 1N H2SO4 100ul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잘 섞는다.
⑩ 450nm에서 ELISA 측정기로 탐색한다.
콜라겐 생합성률
시료 생합성률(%)
대조군 100.00
레티노익산 111.3
실시예 1 132.1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 나노리포좀은 종래에 콜라겐 합성물질로 알려진 레티노익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노화의 주원인은 콜라겐 생합성 능력 감소이므로,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사상자추출물 나노리포좀은 부작용이 적고, 변성이 적으며 복용 가능한 생약추출물로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을 갖는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8900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상자, 홍삼 및 산수유의 혼합생약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률이 매우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나노리포좀화 시킬 경우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2>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나노리포좀의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비교예로 시판 중인 TNF-알파(Tumor necrosis factor-α, Sigma 사, T7539)를 사용하였으며, TNF-알파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값을 기준으로 각 생약추출물 및 혼합생약조성물의 활성율(%)을 계산하였다.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시험군의 각각의 농도를 0.01%, 0.05%, 0.1%로 희석하였다.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콜라게네이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Type Ⅰ 콜라게네이즈 조사 키트(Collagenase assay kit, Amersham 사)를 이용하였으며, ELI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① 정상인의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적합한 배지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② 일정한 수의 세포를 적절한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세포 배양액에 시료와 TNF-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매트릭스 메탈로 프로테나아제-1(MMP-1, 콜라게네이즈의 일종)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TNF-알파를 사용한다.
③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지를 수집하여 그 중 100ul를 시험용 웰(assay well)에 넣고 2∼8℃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한다.
④ 각각의 시험용 웰(assay well)을 워시 버퍼를 이용하여 4번 세척한다.
⑤ 각 웰(well)에 APMA(p-aminophenylmercuric acetate) 50ul, 시험용 버퍼(assay buffer), 탐색용 시약(detection reagent, 탐색 효소+ 기질)을 각각 50ul씩 첨가하여 잘 섞어준다.
⑥ 37℃에서 90분간 배양한 후, ELISA 측정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한다.
콜라게네이즈 활성율(%)
시료 활성율(%)
TNF-알파 100.00
실시예 1 82.8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의 나노리포좀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율(%)은 TNF-알파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율(%)보다 낮아서, 사상자추출물에 의하여 콜라게네이즈 활성이 저해되었음을 알 수 있어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8900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상자, 홍삼 및 산수유의 혼합생약조성물은 콜콜라게네이즈 활성이 저해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나노리포좀화 시킬 경우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능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의 나노리포좀 및 비교예로 비타민 C(ascorbic acid, (주)태경 사)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항산화 효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① 시료를 96 웰 플레이트에 20ul씩 분주한다.
② 반응 용액(reagent solution)200ul를 넣고 섞어준다.
③ 효소 용액(enzyme solution)20ul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배양한다.
④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SOD 활성도를 계산한다.
SOD 활성도
={[(Ablank1 - Ablank3)-(Asample-Ablank2)]/(Ablank1-Ablank3)}×100
SOD 활성에 미치는 효과
시료 SOD 활성도(%)
비타민 C(0.01%) 99
실시예 1 97
상기 표 4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은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산소 제거효소) 활성도 값이 비타민 C와 동등한 정도로 나타났다. SOD는 활성산소 제거효소로서 SOD 활성도 값이 클수록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커지므로, 사상자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은 부작용이 없고, 변성이 적으며, 복용가능한 생약추출물이면서도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어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8900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상자, 홍삼 및 산수유의 혼합생약조성물은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나노리포좀화 시킬 경우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4> 피부자극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18 주령의 수컷 NZW 토끼 6 마리를 이용하여 피부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제모한 토끼 경배부에 대조부위 및 실시예 1의 시험물질 투여부위를 설정하고, 각 부위(2.5㎠×2.5㎠)를 비찰과부위 및 찰과부위로 나누어 서로 대각선이 되도록 구분하였다.실시예 1의 시험물질을 0.5㎖씩 2.5㎠×2.5㎠의 3겹의 거즈에 적용하여 도포하였고, 고형재질의 박지와 거즈를 덮은 후 탄력붕대로 폐색 첩보하였다. 실시예 1의 시험물질 투여 후 24 및 72시간째 피부반응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투여부위의 비찰과부위 및 찰과부위에서 투여 후 24 및 48 시간째 관찰에서 약간의 홍반 및 부종이 일부 개체에서 관찰되었고, 투여 후 72 시간째 모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관찰 기간 중 실시예 1의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일반 증상 및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은 피부자극성이 없는 물질로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5> 안점막자극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16 주령의 수컷 NZW 토끼 9 마리를 이용하여 안점막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미세안군에서는 6 마리의 우안 결막낭 내에 100% 실시예 1의 물질을 점안하고 각막, 홍채 및 결막을 관찰하였다. 별도의 세안군 3 마리 토기를 사용하여 투여 30초 후에 세척하여 세안 효과를 확인하였다. Draize의 안반응의 평가표에 따라 평가하고 Guillot의 방법을 참조해서 안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비세안군 및 세안군의 시험물질 투여 후 1, 2, 3, 4, 및 7일째 관찰에서 각막, 홍채 및 결막의 모든예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관찰 기간 중 실시예 1의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일반 증상 및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은 안점막자극성이 없는 물질로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화 시킨 사상자 추출물은 종래에 콜라겐 생합성 물질 로 알려진 레티노익산과 동등한 콜라겐 생합성 증진 능력을 나타내고, 콜라게네이즈 저해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화장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 C와 동등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어,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로 유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사상자 추출물 5-20 중량%, 포스파티딜콜린 함량이 90 중량% 이상인 불포화 레시틴 5-94 중량% 및 리포좀 성상안정화제로서의 폴리소르베이트 40 1-5 중량%를 함유하고, 10 nm 내지 15 nm의 크기를 갖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수용성 파우더, 지용성 파우더,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및 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삭제
KR1020050129824A 2005-12-26 2005-12-26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3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24A KR100733334B1 (ko) 2005-12-26 2005-12-26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824A KR100733334B1 (ko) 2005-12-26 2005-12-26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334B1 true KR100733334B1 (ko) 2007-06-29

Family

ID=3837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824A KR100733334B1 (ko) 2005-12-26 2005-12-26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17B1 (ko) * 2022-05-26 2022-12-05 주식회사 고결 천연 유래 복합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1A (ko) * 1996-11-02 1998-08-05 이승철 홍삼 지질 추출액 조성물 및 그 피부 항노화제의 용도
US6027728A (en) * 1998-08-05 2000-02-22 Yuen; Liu Herbal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20030073346A (ko) * 2002-03-11 2003-09-19 유앤아이화장품(주) 피부노화억제효과를 갖는 산수유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8819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해피어스화장품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20060039788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891A (ko) * 1996-11-02 1998-08-05 이승철 홍삼 지질 추출액 조성물 및 그 피부 항노화제의 용도
US6027728A (en) * 1998-08-05 2000-02-22 Yuen; Liu Herbal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20030073346A (ko) * 2002-03-11 2003-09-19 유앤아이화장품(주) 피부노화억제효과를 갖는 산수유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8819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해피어스화장품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20060039788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17B1 (ko) * 2022-05-26 2022-12-05 주식회사 고결 천연 유래 복합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11148B1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20020040669A (ko)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KR20170031496A (ko)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733334B1 (ko)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451387B1 (ko)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KR20130027227A (ko) 감귤류 꽃을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KR102073943B1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8825A (ko) 아이소쿼사이트린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아이소쿼사이트린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1107B1 (ko) 대마 엑소좀 추출물 및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236B1 (ko)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