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669A -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 Google Patents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669A
KR20020040669A KR1020017015379A KR20017015379A KR20020040669A KR 20020040669 A KR20020040669 A KR 20020040669A KR 1020017015379 A KR1020017015379 A KR 1020017015379A KR 20017015379 A KR20017015379 A KR 20017015379A KR 20020040669 A KR20020040669 A KR 2002004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substance
formation
m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오데쯔지
Original Assignee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겜마 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겜마 아키라
Publication of KR2002004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6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생약을 비롯한 식물 유래의 당 오일 또는 추출물로서, 코니파이드 엔벨롭의 형성 또는 성숙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 또는 피부과학적 제제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제제는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에 유효하다.

Description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AGENTS IMPROVING SKIN BARRIER FUNCTION}
각층은 표피 각화 세포가 종말 분화되어 형성된 각질 세포와, 이것을 둘러싼 세포간 지질로 구성된다. 세포간 지질은 세라미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을 성분으로 하여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고, 각층 배리어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이것은, 각층 배리어 기능이 저하되는 각종 피부 질환이나 살갗 거칠어짐 등의 피부 트러블에 있어서, 세포간 지질이 형태적으로 또한 조성적으로도 흐트러져 있는 것에 의해 증명된다. 한편, 각질 세포는 케라틴 선유(線維)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을 둘러싼 CE (cornified envelop ; 각질 비후막) 로 구성된다. CE 는 표피 각화 세포의 분화에 따라 상기 세포에서 생산되는 복수의 CE 전구체 단백질이 효소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에 의해 가교되고 불용화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일부에는 세라미드 등이 공유 결합하여 소수성 구조를 취함으로써, 상술한 세포간 지질의 라멜라 구조의 토대를 공급하여 각층배리어 기능의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CE 는, 표피 조직 또는 배양 피부 세포 등을 도데실황산나트륨 등의 계면활성제 및 메르캅토에탄올 등의 환원제를 포함한 용액중에서 끓이고, 원심분리 등의 수단에 의해 가용성 성분을 제거한 불용성 분획을 얻음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것을 현미경으로 형태 관찰함으로써 그 성상을 평가할 수 있다. Michel 등은 각층의 최외층과 비교하여 각층의 심부에서는 취약한 구조의 CE 가 많음을 보고하였다 (J. Invest. Dermatol 91:11-15, 1998). 그리고, 건선이나 엽상 어린선 등에서는 최외층에서도 취약한 CE 가 확인된 것으로 되어 있다 (Br. J. Dermatol. 122:15-21, 1990).
본 발명자들은 피부, 특히 각층의 상태를 CE 의 성상을 통해 해명하기 위하여 검토해 왔다. 그 결과, CE 의 형태에 추가하여, 예컨대 닐 레드(Nile Red) 염색에 의해 CE 의 소수성을 조사하고, 또한 구성 요소인 인볼루크린(involucrin)의 항원성을 면역 염색에 의해 조사함으로써 각층의 배리어 기능의 변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염색성은 배양 각화 세포에 있어서의 CE 의 형성 또는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음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태의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본 특허출원 평11-207890호).
한편, 종래 건선처럼 최외층에서조차 취약한 CE 가 확인되고, 병리 조직 소견으로서는 부전 각화 (또는 각층 배리어 기능의 저하) 를 수반한다고 하는 피부과학적 질환의 치료에서는, 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의 외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각층 배리어 기능의 저하에 기인하는 피부 거칠어짐 등의 피부 트러블에 대해서도 각종 대책이 강구되어 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의 부전 각화 (또는 각화 세포의 미성숙화) 또는 각층 배리어 기능의 저하에 대해 각종 대책이 강구되고 있지만, 더욱 유효한 수단을 제공할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각층 배리어 기능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시사되어 있는 CE 의 형성이나 성숙화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촉진하는 수단의 제공이 요구된다.
발명의 개시
상술한 바와 같은 CE 의 성숙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피부과적 질환만큼은 아니지만, 안면 등의 일정한 피부 배리어 기능이 저하된 각층에도 미숙 CE 가 많이 존재함이 밝혀졌다. 본 발명자는 이들을 충분한 성숙도로 유도할 수 있다면, 이에 따라 피부 배리어 기능을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상정하였다.
이와 같은 상정하에서 다종 다양한 성분의 CE 의 형성 또는 성숙의 촉진능에 대해 검토해 본 결과,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가져올 수 있으면 피부 배리어 기능을 확실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한 것이다. 추가로, 상술한 바와 같은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가져오기 위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것으로서, 다종 다양한 생물학적 생성물 (biological products) 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도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일 태양(態樣)의 본 발명은 코니파이드 엔벨롭 (CE)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달성할 수 있는 양과 희석제 또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다른 태양의 본 발명은, CE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을 피험자의 피부에 국소 투여하고, 이와 같이 하여 그 피부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개선을 통한 미용용 스킨케어 방법도 제공된다.
또 다른 태양의 본 발명은,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의 조제를 위한 CE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달성할 수 있는 양으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품 또는 피부과학적 제제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코니파이드 엔벨롭(cornified envelop) (이하, CE 라 약칭함)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제 및 그의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말하는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란, 표피 각화 세포가 분화됨에 따라 생산되는 복수의 CE 전구체 단백질이 효소 트랜스 글루타미나아제 등의 작용으로 가교되어 불용화되고, 또한 그 일부에 세라미드 등이 공유 결합하여 소수성 구조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의 척도는 소수성 영역을 선택적으로 염색할 수 있는 색소, 예컨대 닐레드에 의한 염색 양성, 또는 CE 의 구성 단백질의 항원성의 저하 또는 소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백질에 대한 항체의 결합성의 저하 또는 소실) 에 의해 검출 및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CE 의 충분한 성숙도가 달성」되는 것이란, CE 의 구성 단백질, 예컨대 인볼루크린의 항원성이 실질적으로 소실된 상태에 있는 것을 가르킨다. 「이 실질적으로 소실」이란, 후술하는 CE 의 성상 평가에 있어서 미숙 CE 가 확인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이라면,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한 어떠한 물질이어도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에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예컨대 하기하는 다종 다양한 물질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 물질로서는,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허브, 뿌리, 잎, 꽃, 과실, 종자 등) 에서 유래하는 생성물을 들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로서는, 일본한약을 비롯한 민간요법에 사용되고 있는 식물이나, 예컨대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Seventh Edition, 1997, Published by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Washington, DC 의 “Biolobical Products”의 절에 열거되어 있는 것에서 선택할 수 있다.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올리브 (Olea europaeaL.) 오일,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L.) 오일, 쿠쿠이 오일 [candle nut oil : 쿠쿠이나무 (Aleurites moluccanaWild.) 의 종자 오일], 아마인 [아마 (Linum usitatisimunL.) 의 종자] 오일, 아보카도 (Persea americanaMill.) 오일, 정향나무 [Syzygium aromaticumMerrill et Perry 의 꽃봉오리 (Caryophylli Flos)] 추출물 또는 정향나무 오일, 주니퍼 (Juniperus communisL.) 추출물, 유칼리 (Eucalyptus globulusLabill) 추출물, 당귀 (Angelica acutilobaKitagawa) 추출물, 카밀레 (Matricaria chamomillaL.) 추출물, 황벽나무 [Phellodendri Cortex :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Ruprecht) 의 껍질] 추출물, 의이인(薏苡仁) [Coicis Semen : 율무 (Coix Cacryma-jobiL. var.ma-yuenStapf) 의 과실에서 과피, 종피 등을 제거한 것] 추출물, 홍차 (Thea sinensisL. var.assamicaPieqre) 추출물, 차 (Thea sinensisL.) 추출물, 방아풀 (Plectranthus japonicasKoidz.) 추출물, 팥 (Phaseolus radiatusL. var.aureaPrain) 추출물, 산수국 [Hydrangeae Dulcis Folium :Hydrangea macrophyllaSeringe var.thunbergiiMakino 의 잎의 발효 양건물] 추출물, 당약 [Swertiae Herba : 용담과의 월년초 (자주쓴풀 따위) (Swertia japonicaMakino) 의 전초]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는 바람직한 유효 성분으로서 특정 종, 변이주 등에 의해 기원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오일」또는「…추출물」이라 칭할 때에는, 상기 특정 종, 주의 근연(近緣) 식물에서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것인 한, 모든 근연 식물 유래의 성분을 포함하고, 또한 어떠한 정제 단계에 있는 것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오일 또는 추출물은 대부분이 생약 또는 생약 원료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또는 간단한 조제 (예컨대, 용매 추출, 증류, 수증기 증류 등) 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또는 추출물에는 각각 다종 다양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고, 반드시 서로 공통되는 화학구조를 갖는 것만도 아니다 (예컨대, 히로카와 약용 식물 대사전, 히로카와쇼텐 발행, 1980년 2월 25일 등을 참조바람). 그럼에도 불구하고,본 발명자들이 확립한 평가계에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은 공통적으로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 효과를 갖는다.
상기 물질은 또한 이들 자체가 생체외 또는 생체내에서 각화 세포 또는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를 촉진하여 충분한 성숙도를 달성하기 위한 유효성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는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피부과학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그리고 미용상의 스킨케어에, 한편 생체외에서의 사용은 예컨대 표피 세포 조제물의 제공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의 추출물 또는 오일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제 또는 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총 조성물 중량당 일반적으로 건조 중량으로 0.00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 5 중량% 로 처방된다. 0.00001 중량% 미만에서는 본원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고, 한편 10 중량% 를 넘게 배합하여도 별로 큰 효과의 향상은 확인되지 않고, 또한 제제화가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이 하여 처방되는 조성물은, 희석제 또는 캐리어로서의 순수 또는 이온교환수 또는 완충화된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칸올 또는 그 함수(含水) 용액,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 또는 그 함수 용액에, 또는 경화 피마자유, 바셀린, 스쿠알렌 등의 유분에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여 혼합 또는 균질화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외용제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컨대 미백제, 보습제, 산화방지제,유성 성분,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증점제, 고급 알코올류, 분말성분, 색제, 수성 성분, 물, 각종 피부영양제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타닌, 베라파밀, 트라네키삼산 및 그 유도체, 글라브리딘, 모과나무의 과실의 열수 추출물, 상기 이외의 각종 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시르레틴(glycyrrhetin)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효모산 등의 미백제, 글루코스, 푸룩토오스, 만노스, 자당,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레티노인산, 레티놀, 레티놀아세트산, 레티놀팔미틴산 등의 비타민 A 유도체류 등을 적절히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또는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분산계, 수-오일 이층계, 수-오일-분말 삼층계, 연고, 겔, 에어로졸 등 임의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그 사용 형태도 임의일 수 있고, 예컨대 화장수, 유액, 크림, 팩 등의 페이셜 화장료나 파운데이션 외에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방향 화장료, 욕용제 등일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를 생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피험자의 피부 국소 또는 신체의 피부 전체로 경피적으로 투여한다. 투여량은 피험자의 연령, 성별 및 피부 상태에 따라 최적량이 변동되므로 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 일 1 회 내지 수회 상기와 같이 조제된 조성물을 피부에 투여하면 된다. 필요하다면, 후술하는 평가법에 따라 적당한 검체를 평가한 결과를 참조하면서 용량 또는 투여 빈도를 결정해도 된다.
이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할 목적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퍼센트 (%) 는 특기하지 않는 한 중량/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 CE 의 형성 및 성상 평가 시험
CE 의 형성
인간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는 Rheinwald & Green 의 방법 (Cell 6 : 331-344, 1975) 에 따라 배양하였다. 증식 배지 (10 % 소 태아 혈청, 히드로코르티손 0.5 ㎍/㎖, 인슐린 5 ㎍/㎖, 콜레라톡신 10-10M, 상피증식인자 10 ng/㎖, 아데닌 1.8 ×10-4M 을 함유한 DMEM-Ham's F12(3:1)) 에서 배양하여 콘플루언트에 도달한 후에, 피험물질을 함유한 배양액 (0.1 % 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MEM) 으로 치환하여 추가로 1 주일 배양을 계속하였다. 배양 종료후에 디티오트레이톨, 도데실황산나트륨을 함유한 트리스염산 완충액을 첨가하여 100 ℃ 에서 10 분간 가열하였다. 불용물을 4000 g 10 분간의 원심에 의해 모았다. 그리고 용출액 첨가와 가열을 반복하여 가용성 성분을 철저하게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불용물을 CE 로 하였다. 얻어진 CE 의 양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또는, 그 개수를 혈구계산판을 사용하여 현미경하에서 카운트하였다. 결과를 표1 에 나타낸다.
CE 의 성상 평가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CE 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적하하고, 바람에 건조시킨 후, 냉아세톤 중에서 고정시켰다. 돌베코의 인산 완충 생리식염액으로 수화시킨 후, 마우스 항인간 인볼루크린 항체 (NOVOCASTRA 사) 를 1 차 항체로서 반응시켰다. 잉여의 항체를 세정에 의해 제거한 후에 FITC 표지 토끼 항마우스 이뮤노글로불린 항체를 2 차 항체로서 반응시켰다. 잉여의 항체를 세정에 의해 제거한 후에 닐 레드 염색액을 반응시키고, 봉입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화상을 CCD 카메라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 (Mac Scope) 를 사용하여 인볼루크린 양성의 미숙 CE, 닐 레드 양성의 성숙 CE 등, 그 성숙도를 감별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그리고, 표 1 에 나타낸 평가의 지표는 다음 기준에 의한다.
CE 형성 촉진 효과 :
- : CE 형성 없음
+ : CE 형성이 확인되지만, 양성 대조 (증식배지) 에 비교하여 약간 적음
++ : 양성 대조 (증식배지) 와 동등량의 CE 형성이 확인됨.
+++ : 양성 대조 (증식배지) 보다 분명히 많은 CE 형성이 확인됨.
CE 성숙도의 평가 :
- : 인볼루크린 양성의 미숙 CE 가 확인됨
+ : 인볼루크린 양성의 미숙 CE 가 확인되지 않음
CE 형성 촉진 효과
피험물질 농도 CE 형성 촉진 효과 CE 성숙도 비고
증식배지(a) ++
비첨가(b)
올리브 오일 3% (c)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 1% ++ (c)
3% +++
아마인 오일 3% ++ (d)
동백나무 오일 3% +++ (c)
쿠쿠이나무 오일 3% +++ (c)
아보카도 오일 3% (c)
에탄올(용매대조) 0.3% -
정향나무 추출물 15㎍/㎖ ++ (e)
주니퍼 추출물 15㎍/㎖ ++ (f)
유칼리 추출물 15㎍/㎖ ++ (e)
황백나무 추출물 15㎍/㎖ ++ (e)
대황 추출물 15㎍/㎖ ++ (e)
의이인 추출물 15㎍/㎖ ++ (e)
홍차 추출물 15㎍/㎖ ++ (e)
차 추출물 15㎍/㎖ ++ (e)
방아풀 추출물 15㎍/㎖ ++ (e)
팥 추출물 15㎍/㎖ ++ (e)
산수국 추출물 15㎍/㎖ ++ (e)
스쿠알렌 3%
당귀 스쿠알렌 추출물 3% ++ (e)
카밀레 스쿠알렌 추출물 3% ++ (e)
(a) 상기 증식배지와 동일함(b) 0.1% 소 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MEM(c)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적합품(d) 와코쥰야쿠로부터 입수(e)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적합품에서 용매를 증발시킨 건조 잔분을 시험에 사용함(f) 마루젠세이야쿠로부터 입수
제제예 1 : 유액
(처방)중량%
스테아르산2.5
세틸알코올1.5
바셀린5.0
유동 파라핀5.0
올리브 오일 (엑스트라버진)5.0
폴리옥시에틸렌(10몰)모노올레산에스테르2.0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3.0
트리에탄올아민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0.05
아황산수소나트륨0.01
에틸파라벤0.2
향료적당량
이온교환수나머지
(제법)
소량의 이온교환수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용해한다 (A 상). 나머지 이온교환수에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고, 가열 용해시켜 70 ℃ 로 유지한다 (수상).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 용해시켜 70 ℃ 로 유지한다 (오일상). 수상에 오일상을 첨가하여 예비 유화를 실시하고, A 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 유화하고, 유화후 잘 뒤섞으면서 30 ℃ 까지 냉각하여 유액을 얻었다.
제제예 2 : 화장수
(처방)중량%
에탄올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0.3
폴리옥시에틸렌(15몰)올레일에테르0.8
글리세린5.0
1,3-부틸렌글리콜5.0
정향나무 추출액1.0
시트르산0.03
시트르산나트륨0.07
메틸파라벤0.1
이온교환수나머지
(제법)
이온교환수에 시트르산과 시트르산나트륨을 용해하고, 이것을 수상으로 하였다. 한편, 그 외의 성분을 교반 용해시켜 이것을 수상에 첨가하여 균질로 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제제예 3 : 크림
(처방)중량%
스테아르산2.0
스테아릴알코올7.0
수첨 라놀린2.0
당귀 스쿠알렌 추출물5.0
2-옥틸도데실알코올6.0
폴리옥시에틸렌(25몰)세틸알코올에테르3.0
글리세린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2.0
1,3-부틸렌글리콜5.0
에데트산3나트륨0.1
글리시르레틴산나트륨0.1
비타민E아세테이트0.3
에틸파라벤0.3
이온교환수나머지
(제법)
이온교환수에 1,3-부틸렌글리콜, 에데트산3나트륨, 글리시르레틴산나트륨을 첨가하여 70 ℃ 로 유지하고, 이것을 수상으로 하였다. 한편, 그 외의 성분을 혼합하여 가열 용해시켜 70 ℃ 로 유지하고, 이것을 오일상으로 하였다. 수상에 오일상을 첨가하여 예비 유화를 실시하고, 호머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30 ℃ 로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달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품 분야나 미용산업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코니파이드 엔벨롭(cornified envelop)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달성할 수 있는 양과 희석제 또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2. 제 1 항에 있어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이,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유래의 생성물인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3. 제 1 항에 있어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이, 올리브 오일, 동백나무 오일, 쿠쿠이나무 오일, 아마인 오일, 아보카도 오일, 정향나무 추출물, 주니퍼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대황 추출물, 율무 (의이인) 추출물, 홍차 추출물, 차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팥 추출물, 산수국 추출물 및 용담과의 월년초 (자주쓴풀 따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4. 올리브 오일, 동백나무 오일, 쿠쿠이나무 오일, 아마인 오일, 아보카도 오일, 정향나무 추출물, 주니퍼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대황 추출물, 율무 (의이인) 추출물, 홍차 추출물, 차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팥 추출물, 산수국 추출물 및 용담과의 월년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의 물질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과, 희석제 또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체내 또는 생체외에서의 코니파이드 엔벨롭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제.
  5. CE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을 준비하는 것, 이 물질에 의한 처치가 바람직한 피험자의 피부에 이 물질을 국소 투여하는 것, 및 이와 같이 하여 이 피부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피부 배리어 기능의 개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이,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유래의 생성물인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이, 올리브 오일, 동백나무 오일, 쿠쿠이나무 오일, 아마인 오일, 아보카도 오일, 정향나무 추출물, 주니퍼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대황 추출물, 율무 (의이인) 추출물, 홍차 추출물, 차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팥 추출물, 산수국 추출물 및 용담과의 월년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의 물질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 방법.
  8. CE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을 준비하는 것, 이 물질에 의한 처치가 바람직한 피험자의 피부에 이 물질을 국소 투여하는 것, 및 이와 같이 하여 이 피부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가져와서 피부 배리어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 스킨케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CE 의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이, 올리브 오일, 동백나무 오일, 쿠쿠이나무 오일, 아마인 오일, 아보카도 오일, 정향나무 추출물, 주니퍼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대황 추출물, 율무 (의이인) 추출물, 홍차 추출물, 차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팥 추출물, 산수국 추출물 및 용담과의 월년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의 물질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스킨케어 방법.
  10.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의 조제를 위한 CE 형성 또는 성숙화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의 표피에 있어서의 CE 의 충분한 성숙도를 달성할 수 있는 양으로의 사용.
KR1020017015379A 2000-03-31 2001-03-16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KR200200406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98039 2000-03-31
JP2000098039A JP2001288066A (ja) 2000-03-31 2000-03-31 皮膚バリアー機能改善剤
PCT/JP2001/002116 WO2001074326A1 (fr) 2000-03-31 2001-03-16 Agents ameliorant la fonction de barriere cutan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69A true KR20020040669A (ko) 2002-05-30

Family

ID=1861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379A KR20020040669A (ko) 2000-03-31 2001-03-16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72816A1 (ko)
EP (1) EP1181927A4 (ko)
JP (1) JP2001288066A (ko)
KR (1) KR20020040669A (ko)
WO (1) WO20010743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261A1 (ko) * 2017-09-29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210067484A (ko) * 2019-11-29 2021-06-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347A (ja) * 2001-03-13 2002-09-18 Shiseido Co Ltd コーニファイドエンベロープの成熟を促す化粧料
FR2831443B1 (fr) * 2001-10-30 2005-02-11 Oreal Utilisation d'extraits vegetaux pour ameliorer la fonction barriere de la peau
JP3747192B2 (ja) * 2002-08-30 2006-02-22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JP4647991B2 (ja) * 2004-12-22 2011-03-09 花王株式会社 Scf発現阻害剤
JP2007277149A (ja) * 2006-04-06 2007-10-25 Kao Corp インボルクリン発現促進剤
JP2008239494A (ja) * 2007-03-23 2008-10-09 Naris Cosmetics Co Ltd 皮膚外用剤
JP2008239493A (ja) * 2007-03-23 2008-10-09 Naris Cosmetics Co Ltd 皮膚外用剤
JP5860577B2 (ja) * 2008-04-17 2016-02-16 丸善製薬株式会社 クローディン産生促進剤及びオクルディン産生促進剤
KR101199209B1 (ko) * 2008-08-01 2012-11-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0013885A1 (en) * 2008-08-01 2010-02-04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JP2010195740A (ja) * 2009-02-27 2010-09-09 Kose Corp セラミド産生促進剤、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20110001407A (ko) * 2009-06-30 2011-01-06 (주)아모레퍼시픽 지황, 감초, 의이인, 맥아, 모과, 오가피, 또는 갈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 세포 분화 촉진 조성물
JP2011088845A (ja) * 2009-10-21 2011-05-06 Kao Corp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JP2011088854A (ja) * 2009-10-22 2011-05-06 Kao Corp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JP6267412B2 (ja) * 2012-01-17 2018-01-24 株式会社コーセー cAMP産生抑制剤
US10064800B2 (en) 2012-08-29 2018-09-04 Kao Corporation Transglutaminase activator
JP7148225B2 (ja) * 2017-05-25 2022-10-05 日油株式会社 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1082C2 (de) * 1990-07-03 1995-08-17 Hans Dr Lautenschlaeger Hautbehandlungsmittel mit hohen Lipidgehalten unter Verwendung eines Bilayer enthaltenden Systems, Salzen organischer Säuren, Alkohol und Stabilisator
EP0691327B1 (en) * 1993-03-17 1999-07-21 Kao Corporation Amine derivative and dermatolog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US5571503A (en) * 1995-08-01 1996-11-05 Mausner; Jack Anti-pollution cosmetic composition
JPH10218784A (ja) * 1997-02-05 1998-08-18 Susumu Kiyokawa アレルギー性皮膚炎治療用外用薬
DE19824727A1 (de) * 1998-06-03 1999-12-09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Catechinen oder einem Gehalt an Extrakt von grünem Tee
JP3816262B2 (ja) * 1998-09-30 2006-08-30 花王株式会社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4035258B2 (ja) * 1999-05-10 2008-01-1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3878787B2 (ja) * 1999-07-22 2007-02-07 株式会社資生堂 コーニファイドエンベロップの評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261A1 (ko) * 2017-09-29 2019-04-04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산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210067484A (ko) * 2019-11-29 2021-06-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4326A1 (fr) 2001-10-11
US20030072816A1 (en) 2003-04-17
JP2001288066A (ja) 2001-10-16
EP1181927A1 (en) 2002-02-27
EP1181927A4 (en)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6651A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especially dermatological composition, intended for promoting the pigmentation of the skin or hair, containing an extract of cyperus, and the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20020040669A (ko) 피부 배리어 기능 개선제
US5591437A (en) Cosmetic or pharme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black horehound extract
US201301016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EP1870094A1 (en) Antiwrinkle agent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20140003198A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92888B1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US6193975B1 (en) Use of potentilla erecta extract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12236201B (zh) 红木(bixa orellana)提取物的用途
KR10185251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지질 생성 억제 및 피지 분비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US7285294B2 (en)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EP1352637A1 (en) Hair growth inhibito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2176B1 (ko) 저 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33334B1 (ko)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