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209B1 -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209B1
KR101199209B1 KR1020090034997A KR20090034997A KR101199209B1 KR 101199209 B1 KR101199209 B1 KR 101199209B1 KR 1020090034997 A KR1020090034997 A KR 1020090034997A KR 20090034997 A KR20090034997 A KR 20090034997A KR 101199209 B1 KR101199209 B1 KR 10119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red
beans
black
sa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100A (ko
Inventor
김동현
박준성
박혜윤
안수미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0980129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105131B/zh
Priority to JP2011521010A priority patent/JP5730763B2/ja
Priority to PCT/KR2009/002396 priority patent/WO2010013885A1/en
Priority to US13/056,931 priority patent/US8268366B2/en
Publication of KR2010001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소두, 녹두 및 흑두 중 1종 이상의 염장 발효 추출물 또는 적소두, 녹두 및 흑두 중 1종 이상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여 얻은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장 발효, 항산화, 항노화, 적소두, 녹두, 흑두, 해양 심층수

Description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xtracts with salt of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소두, 녹두 및 흑두 중 1종 이상의 염장 발효 추출물 또는 적소두, 녹두 및 흑두 중 1종 이상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여 얻은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 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최근에는 웰빙 등의 추세에 따른 인공적인 요소가 가미되지 않은 천연 발효 방법을 이용한 천연물의 발효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제품에 대한 요구가 계속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천연 발효 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대장균, 혐기성 세균 등에 의한 부패 및 오염에 대한 위험성으로 실제 제품으로 활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끓이는 방법 등의 발효 전 살균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열에 의해 효능 성분 등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에 비살균 방법에 의한 발효법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유래의 유효물질 중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항산화, 항노화 효과가 우수하고, 제품으로서의 안정성도 우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천연물을 소금에 절인 후 발효시키는 천연 발효 방법을 통해 제조된 염장 발효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해양 심층수를 더 첨가한 것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의 염장 발효 추출물은 DPPH 산화 억 제 실험을 통해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고, 프로콜라겐 생성 촉진과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이 두 가지 활성의 복합 상승 작용으로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다. 또는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해양 심층수를 더 첨가한 것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등을 얻을 수 없고, 함량이 30중량% 초과이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소두는 일반적으로 팥이라 부르며 이뇨, 소염, 배농, 해열에 효능이 있고, 전신부종, 간경화, 황달, 종기, 화농성 질환, 수종, 각기병, 소갈, 이질설사 등에 쓰인다.
녹두는 안두(安豆), 길두(吉豆)라고도 한다. 따뜻한 기후의 양토에서 잘 자라며 높이가 30~80㎝이다. 줄기는 가늘고 세로로 난 맥이 있고 10여 개의 마디가 있으며 가지를 친다. 잎은 1쌍의 떡잎과 갓 생겨난 잎이 나온 뒤, 3개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 나온다. 품종을 나누지 않고 종자의 빛깔에 따라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 녹두로 구분하나 녹색 녹두가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성분은 녹말 53~54%, 단백질 25~26%로 영양가가 높고 향미가 좋다. 민간에서는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쓰이며 해열, 해독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흑두는 검정콩 또는 흑대두(黑大豆)라고도 한다. 특정한 한 종류의 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총칭한다. 흑태, 서리태, 서목태(여두) 등이 검은콩에 속한다. 검은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여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고,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에는 검은콩의 효능에 대하여 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모든 약의 독을 풀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모발 성장에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방지하는 데도 효과가 있으며 꾸준히 복용하면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해양 심층수는 수심 200m 이하의 깊은 곳에 존재하고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연중 안정된 저온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양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미네랄 균형성이 양호한 해수자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소두, 녹두 및 흑두의 염장 발효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단계 1: 적소두, 녹두 및 흑두의 발효 단계
먼저,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에 일정량의 소금을 첨가하여 장기 숙성 발효시킨다. 또는 여기에 소금과 함께 해양 심층수를 더 첨가하여 염장 발효시킬 수 있다.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를 각각 1kg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해양 심층수는 1~2L 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장에 사용되는 소금으로는 정제한 고순도 염화나트륨, 천일염, 암염 및 죽염 등이 바람직하며, 소금의 농도는 전체 발효물에 대하여 10~30중량%가 바람직하다. 소금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기대하는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렵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소금 사용량에 비해 염장효과의 상승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발효 공정은 4~40℃ 사이에서, 충분한 발효가 일어날 수 있도록 30일에서 1년 정도, 바람직하게는 6개월 내지 1년 정도가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단계 2: 염장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의 염장 발효 천연물에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염장 발효 추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용매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건조 또는 동결 건조함으로써 적소두, 녹두 및 흑두의 염장 발효 추출물 또는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더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DPPH 산화 억제 실험을 통해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프로콜라겐 생성 촉진과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효과가 있으며, 이 두 가지 활성의 복합 상승 작용으로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염장 발효 추출물은 그 사용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이외에도 건강 식품의 첨가물 및 약제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세척한 적소두, 녹두 및 흑두 각 1kg과 해양 심층수 1L를 10중량% 농도의 소금 용액에 혼합한 후 옹기에 담아 준비하고 4℃에서 약 30일간 빛을 차단시킨 암실에서 저온 숙성 보관을 하였다. 이후 여기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현 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 19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적소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적소두 1k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적소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 182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녹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녹두 1k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녹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 172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흑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흑두 1k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흑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 178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적소두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적소두 1kg을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 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적소두 염장 발효 추출물 21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녹두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녹두 1kg을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녹두 염장 발효 추출물 193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흑두 염장 발효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흑두 1kg을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흑두 염장 발효 추출물 198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 발효 추출물의 제조
세척한 적소두, 녹두, 흑두 각 1kg과 해양 심층수 1L를 혼합한 후 옹기에 담아 준비하고 4℃에서 약 30일간 빛을 차단시킨 암실에서 저온 숙성 보관을 하였다. 이후 여기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 발효 추출물 185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 추출물의 제조
세척한 적소두, 녹두, 흑두 각 1kg과 해양 심층수 1L를 혼합한 후 여기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 추출물 170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DPPH 테스트)
상기 비교예 1~2의 천연물 추출물 및 실시예 1~7로부터 얻은 천연물 염장 발효 추출물의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트롤록스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유기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추출물인 비교예 1~2 및 실시예 1~7에 대한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비교예 및 실시예와 대조시료를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시료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DPPH 분석 결과(억제 %)
시료 IC50(ppm)
트롤록스 45
비교예 1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발효 추출물 183
비교예 2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추출물 145
실시예 1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39
실시예 2 적소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51
실시예 3 녹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46
실시예 4 흑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49
실시예 5 적소두 염장 발효 추출물 89
실시예 6 녹두 염장 발효 추출물 95
실시예 7 흑두 염장 발효 추출물 87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의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1~7은 발효 추출물인 비교예 1 및 단순 추출물인 비교예 2보다 항산화능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에 해양 심층수와 소금을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2~4는 해양 심층수를 첨가하지 않은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의 단순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5~7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항산화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4의 경우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와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능을 보이지만, 적소두, 녹두, 흑두 및 해양 심층수의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1의 경우는 트롤록스보다도 오히려 항산화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상기 비교예 1~2의 천연물 추출물 및 실시예 1~7로부터 얻은 천연물 염장 발효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며, 따라서 생성되는 주름의 양이 적어진다. 또한 토코페롤 및 EGCG는 항산화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비교예 1~2 및 실시예 1~7, 토코페롤 및 EGCG를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정도를 구하였으며,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24303117-pat00001
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75
EGCG 60
비교예 1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발효 추출물 136
비교예 2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추출물 112
실시예 1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66
실시예 2 적소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76
실시예 3 녹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79
실시예 4 흑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82
실시예 5 적소두 염장 발효 추출물 90
실시예 6 녹두 염장 발효 추출물 94
실시예 7 흑두 염장 발효 추출물 97
상기 표 2에서 보면, 발효 추출물인 비교예 1 및 단순 추출물인 비교예 2는 비처리군보다도 콜라게나제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여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의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1~7의 경우는 콜라게나제 발현의 정도에 차이가 있지만 모두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1~4는 단순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5~7보다도 훨씬 우수한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가지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보다 우수한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프로콜라겐 생성 촉진 효능 실험
상기 비교예 1~2의 천연물 추출물 및 실시예 1~7로부터 얻은 천연물 염장 발효 추출물의 프로콜라겐 생성능을 비타민 C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프로콜라겐은 콜라겐 생성 유도 물질로 콜라겐 생성과 노화 방지에 필요한 물질로서, 프로콜라겐의 생성 정도가 높을수록 콜라겐의 생성 정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피부 주름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콜라겐의 합성에 필수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비교예 1~2 및 실시예 1~7, 비타민 C를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지 중에 유리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 타입-1 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 (MK101,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프로콜라겐의 생성 정도를 계산하였으며,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채취된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의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를 구하였으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24303117-pat00002
물질 프로콜라겐
생성 정도(%)
비처리군 100
비타민 C 120
비교예 1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발효 추출물 56
비교예 2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추출물 86
실시예 1 적소두+녹두+흑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118
실시예 2 적소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104
실시예 3 녹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108
실시예 4 흑두+해양 심층수 염장 발효 추출물 105
실시예 5 적소두 염장 발효 추출물 101
실시예 6 녹두 염장 발효 추출물 103
실시예 7 흑두 염장 발효 추출물 103
상기 표 3에서 보면, 발효 추출물인 비교예 1 및 단순 추출물인 비교예 2는 비처리군보다도 프로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의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1~7의 경우는 프로콜라겐 생성 촉진 정도에 차이가 있지만 모두 시험관내(in vitro)에서 프로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1~4는 단순 염장 발효 추출물인 실시예 5~7보다 우수한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가지며, 실시예 1~4의 프로콜라겐의 생성 촉진 정도는 콜라겐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 C와 비슷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소두, 녹두 또는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형예를 하기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적소두, 녹두 및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를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5.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유연화장수
적소두, 녹두 및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적소두, 녹두 및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5.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적소두, 녹두 및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1 5.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팩
적소두, 녹두 및 흑두에 해양 심층수를 첨가한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5.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Claims (6)

  1.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해양 심층수를 더 첨가한 것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염장 발효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a) 적소두, 녹두 및 흑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소금; 또는 해양 심층수와 소금;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염장 발효 천연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염장 발효 천연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염장 발효 추출물을 얻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되는 염장 발효 추출방법.
KR1020090034997A 2008-08-01 2009-04-22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296062A CN102105131B (zh) 2008-08-01 2009-05-07 含有天然材料的盐-发酵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JP2011521010A JP5730763B2 (ja) 2008-08-01 2009-05-07 天然物の塩漬け発酵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PCT/KR2009/002396 WO2010013885A1 (en) 2008-08-01 2009-05-07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US13/056,931 US8268366B2 (en) 2008-08-01 2009-05-07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lt-fermented extract of natural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89 2008-08-01
KR20080075489 2008-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100A KR20100014100A (ko) 2010-02-10
KR101199209B1 true KR101199209B1 (ko) 2012-11-07

Family

ID=4208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997A KR101199209B1 (ko) 2008-08-01 2009-04-22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68366B2 (ko)
JP (1) JP5730763B2 (ko)
KR (1) KR101199209B1 (ko)
CN (1) CN1021051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6295A2 (ko) * 2010-04-06 2011-10-13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76236B1 (ko) * 2011-10-21 2018-07-10 (주)아모레퍼시픽 천연물의 염장 발효 토굴 숙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3558B1 (ko) 2011-11-11 2016-01-08 (주)아모레퍼시픽 염장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45069B1 (ko) 2011-12-19 2021-04-26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톤 향상을 위한 식물 추출물의 조합물
CN103039867A (zh) * 2012-12-28 2013-04-17 祝凤仪 一种泻热解毒的绿豆粉及制备方法
JP6444688B2 (ja) * 2014-10-16 2018-12-26 フジッコ株式会社 むくみ抑制または改善剤
KR102248712B1 (ko) * 2019-05-30 2021-05-06 주식회사 라피끄 염장된 벚꽃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838A (ja) 2000-12-19 2002-07-05 Yakult Honsha Co Ltd 皮膚外用剤
JP2003137768A (ja) 2001-08-21 2003-05-14 Shiseido Co Ltd 抗老化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7386B2 (ja) * 1996-03-01 1998-12-16 高知県 海洋深層水を利用した味噌又は清酒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5788A (ja) * 1997-08-29 1999-03-23 Toshimitsu Hattori 発酵野菜ジュースの製造方法
JP2001288066A (ja) 2000-03-31 2001-10-16 Shiseido Co Ltd 皮膚バリアー機能改善剤
KR20020042084A (ko) * 2000-11-30 2002-06-05 정진호 피부의 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BR0116679A (pt) 2000-12-19 2004-01-13 Yakult Honsha Kk Preparações para a pele para aplicação externa e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as mesmas
KR101073284B1 (ko) 2004-05-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6070146A (ja) * 2004-09-01 2006-03-16 Nichimo Co Ltd 発酵豆科植物由来の抗酸化組成物
KR20070067542A (ko) 2005-12-23 2007-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팥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리밍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2005A (ko) * 2006-09-05 2008-03-10 김지동 한방 약초의 약용 성분을 첨가한 쌀국수 제조방법
KR101483563B1 (ko) * 2008-02-29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천연물의 염장 발효 방법 및 그 발효 추출물
JP5467106B2 (ja) * 2008-07-31 2014-04-09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838A (ja) 2000-12-19 2002-07-05 Yakult Honsha Co Ltd 皮膚外用剤
JP2003137768A (ja) 2001-08-21 2003-05-14 Shiseido Co Ltd 抗老化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5131A (zh) 2011-06-22
CN102105131B (zh) 2013-06-19
KR20100014100A (ko) 2010-02-10
JP2011529874A (ja) 2011-12-15
US8268366B2 (en) 2012-09-18
JP5730763B2 (ja) 2015-06-10
US20110142972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209B1 (ko) 천연물의 염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5784A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JP5921056B2 (ja) 美容用組成物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1204858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874605B1 (ko)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051939B1 (ko) 황칠나무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203933A1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0780078B1 (ko) 해양 심층수 영양 염류 및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고미네랄 인체 세정용 조성물
CN111494284A (zh) 一种特殊方法炮制的铁皮石斛提取物及其在护肤品中的应用
KR102052522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76236B1 (ko) 천연물의 염장 발효 토굴 숙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6110B1 (ko)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053731B1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