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788A -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788A
KR20060039788A KR1020040089007A KR20040089007A KR20060039788A KR 20060039788 A KR20060039788 A KR 20060039788A KR 1020040089007 A KR1020040089007 A KR 1020040089007A KR 20040089007 A KR20040089007 A KR 20040089007A KR 20060039788 A KR20060039788 A KR 2006003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d ginseng
composition
skin
cor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316B1 (ko
Inventor
김나미
도재호
이종원
강봉구
위재준
양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4008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3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상자 추출물은 부작용 없이 콜라겐 생합성 증진,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및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므로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사상자, 피부미용, 피부노화, 콜라겐, 콜라게네이즈

Description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mposi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to support skin beauty and antiaging}
본 발명은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부작용 없이 콜라겐 생합성 증진,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및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에 유용하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현대인들은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는 외측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외부자극이나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수분·지질 성분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진피는 섬유성분과 기질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섬유성분에는 콜라겐(collagen)이 70%, 엘라스틴(elastine)이 2% 정도 함유되어 있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를 팽팽하고, 탄력 있게 유지시켜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작용에 의하여 합성되며,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와 엘라스티네이즈(elastinase)에 의해 분해된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는 주름,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과 탄력 감소 현상을 의미하는데, 나이의 증가에 의한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주요원인이 된다.
나이가 증가하면 섬유아세포의 수가 감소하고 그 작용이 저하되어 섬유성분(콜라겐,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줄어들고, 피부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면서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된다. 또한 콜라게네이즈의 작용이 증가하여, 콜라겐의 가교된 형태가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매끄러움이나 팽팽함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피부가 자외선 등에 노출되면 체내에서 산소의 불완전 대사가 발생하고 그 결과 활성산소(oxygen free radical)가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 진피의 구성성분 감소, 멜라닌 생성 증가, 표피의 각질화 등을 유발한다. 그 결과 체내에 활성산소가 많아지면,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탄력성이 감소되며 색소가 침착 된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억제시켜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켜 진피 내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하여야 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와 엘라스티네이즈의 활성을 저해시켜야 한다. 아울러 자외선이나 피부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활성산소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하여 거의 피부 표면에 바르는 화장품에 의존해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65755호에는 피부세포 증식, 콜라겐섬유 합성 촉진 등 피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 효과가 있는 베타-1,3-글루칸과 인삼사포닌 함유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23,521호에는 주름개선효과, 콜라겐합성촉진효과, 광접촉에 의한 손상피부회복효과,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인삼다당체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직접 피부 표면에 적용되는 외용제 및 화장품은 진피층까지 흡수되지 못하고, 표피에만 작용하므로 피부노화 방지효과가 일시적이고, 그 부작용으로 피부가 손상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내에 있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지 못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노화작용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경구용으로 체내에 투여할 수 있는 먹는 화장품 및 식품 개발이 시도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97070호에는 포도씨추출물, 석류추출물, 실크펩타이드, 베타카로틴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먹는 화장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82,822호에는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 oxide dismutase)가 다량 함유된 천연추출물과, 콜라겐, 포도씨유 등을 함유하는 경구용 피부미용 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6471호에는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등을 포함하는 한방 피부미용 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은 피부미용 증진을 나타내는 콜라겐 합성 증진 작용과 피부노화 방지효과를 나타내는 항산화 작용을 동시에 나타내지는 못하여 각각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혼합하여 사용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 방지 경구용 소재를 연구하기 위하여 인체 투여시 부작용 우려가 없는 식품공전에 수재된 생약재를 대상으로 탐색하던 중에 사상자(蛇床子)가 기존에 알려진 효과 외에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에 매우 강력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함께 나타내며, 경구용으로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의 우려가 없는 생약재 소재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상자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를 위하여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켜 진피 내의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e)의 합성을 촉진하여야 하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와 엘라스티네이즈(elastinase)의 활성을 저해시켜야 한다. 아울러 자외선이나 피부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 (oxygen free radical)를 제거하여 활성산소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인체에 존재하는 활성산소는 주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에 의하여 분해된다.
따라서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는 콜라겐(collagen)의 생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의 활성을 저해하며, 활성산소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를 활성화시켜 피부에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생약소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함께 나타내는 천연물 및 생약재를 선별하기 위하여 인체 투여시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진 식품공전에 수재된 생약재들에 대하여 콜라겐 생합성 능력,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능력, 활성산소 제거효소 활성 능력을 스크리닝(screening)하였다.
본 발명에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사상자는 예전부터 한방 또는 민간에서 약용식물로 피부 가려움증 등에 사용되던 것이었으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사상자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상자 및 산수유의 생약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사상자 또는 산수유에 정제수를 가하고, 70~10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상자 또는 산수유 1kg에 정제수 10L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온도를 15~20℃로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생약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홍삼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홍삼에 70% 에탄올을 가하고, 70~100℃에서 6~10시간씩 수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홍삼 에탄올추출물에 88% 주정을 첨가하여, 24시간 정치한다. 상기 정치해둔 액을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감압 농축하여 정제홍삼에탄올추출물(이하 '홍삼추출물'이라 한다.)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1kg에 70% 에탄올 8L를 가하여 85℃에서 8시간씩 5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홍삼 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홍삼 에탄올추출물에 88% 주정을 중량대비 5배량 (2.5L) 첨가하여 냉장온도에서 24시간 정치한다. 상기 정치해둔 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정제홍삼에탄올추출물을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생약재를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추출 용매로 정제수, 에탄올, 헥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상자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 생약재를 추출한 후 또는 사상자와 산수유를 함께 추출하여 혼합생약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생약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배합비는 그들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의 중량비는 1 : 9 로 혼합되며,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및 산수유추출물의 중량비는 1 : 9 : 0.7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보조성분으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히아루론산, 콜라겐 펩티드, 대두추출물, 식이섬유, 석류추출물, 비타민 C, 비타민 B2, 비타민 B6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은 여러가지 영양제(비타민, 아미노산, 항산화제 등), pH 조절제(구연산, 구연산소다), 감미제(액상과당, 에리스 리톨, 파라치노스, 저당 등), 합성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부형제(유당, 포도당, 전분, 락츄로스 등), 안정화제, 활택제(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유지류(소맥배아유, 올리브유, 밀납, 왁스, 토코페롤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음료, 정제, 환제,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과립제 등 경구섭취를 위한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사상자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 증진,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및 항산화 작용이 매우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상자추출물의 제조
사상자 1kg에 정제수 10L를 가하여 85℃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 40%인 사상자추출물 150g을 얻었다.
<실시예 2> 정제홍삼에탄올추출물(홍삼추출물)
홍삼 1kg에 70% 에탄올 8L를 가하여 85℃에서 8시간씩 5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이 40%인 홍삼 에탄올추출물 500g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홍삼에탄올추출물 500g에 88% 주정을 중량대비 5배량(2.5L) 첨가하여 냉장온도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상기 정치해둔 액을 5000 r.p.m.에서 15~20℃를 유지하면서 20분 동안 원심분리 여과한 후, 그 상징액을 60℃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 36%인 정제홍삼에탄올추출물 300g을 얻었다.
<실시예 3> 산수유추출물의 제조
산수유 1kg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수분함량 40%인 산수유추출물 900g을 얻었다.
<실시예 4 내지 8> 혼합생약조성물의 제조(사상자추출물 + 홍삼추출물)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홍삼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생약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생약조성물
구분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 중량비 (사상자추출물:홍삼추출물)
실시예 4 9g 1g 9:1
실시예 5 7g 3g 7:3
실시예 6 5g 5g 5:5
실시예 7 3g 7g 3:7
실시예 8 1g 9g 1:9
<실시예 9> 혼합생약조성물의 제조 (사상자추출물 + 홍삼추출물 + 산수유추출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1.0g,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홍삼추출물 9.0g,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산수유추출물 0.7g을 혼합하여 혼합생약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산수유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로 시판 중인 레티노익산(Sigma 사, R2625)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8에서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혼합생약조성물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측정하였고, 실시예 9에서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에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생약조성 물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각각의 추출물 및 생약조성물을 70% 에탄올에 용해시켜 0.05%, 0.1% 농도로 제조하였다. 또한 생약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을 기준으로 콜라겐 생성률을 비교하였다.
① 6 웰(well) 디시(dish)에 일정수의 정상인의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접종(seeding)한 후 하루동안 배양한다.
② FBS(fetal bovine serum, 송아지혈청)가 0.05% 들어있는 각각의 웰(well)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다.
③ 48시간 후 세포 배지를 수집하고, 수집한 각 샘플의 100ul를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한다.
⑤ 각 웰을 인산완충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400ul로 3회 세척한다.
⑥ 용액Ⅰ{Antibody-POD(perosidase)conjugate solution}을 각 웰에 100ul 씩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incubation)한다.
⑦ 각 웰을 인산완충식염수 400ul로 3회 세척한다.
⑧ 기질용액(TMBZ, 3,3',5,5'-tetramethylbenzidine,) 100ul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상온(20~30℃)에서 15분간 배양(incubation)한다.
⑨ 1N H2SO4 100ul를 각 웰에 첨가한 후, 잘 섞는다.
⑩ 450nm에서 ELISA 측정기로 탐색한다.
각각의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률
시료 생합성률(%)
대조군 100.00
레티노익산 111.3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1%) 112.1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1%) 102.6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1%) 102.8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은 종래에 콜라겐 합성물질로 알려진 레티노익산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노화의 주원인은 콜라겐 생합성 능력 감소이므로,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사상자추출물은 부작용이 적고, 변성이 적으며 복용 가능한 생약추출물로서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혼합생약조성물의 콜라겐 생합성률
시료 생합성률(%) 비고 사상자추출물 : 홍삼추출물(중량비)
대조군 100.0
레티노익산 111.3
실시예 4 (0.1%) 115.4 9 : 1
실시예 5 (0.1%) 121.7 7 : 3
실시예 6 (0.1%) 121.0 5 : 5
실시예 7 (0.1%) 117.2 3 : 7
실시예 8 (0.1%) 124.6 1 : 9
실시예 9 (0.05%) 134.85 홍삼추출물 +사상자추출물 +산수유추출물
실시예 9 (0.1%) 108.6 상동
상기 표 3에 따르면, 사상자추출물에 홍삼추출물을 혼합한 조성물은 종래에 콜라겐 합성물질로 알려진 레티노익산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의 혼합비율에는 거의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상자, 홍삼 및 산수유추출물의 혼합생약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증진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자추출물에 홍삼 및/또는 산수유추출물을 더 포함된 혼합조성물은 각각의 생약재가 상호간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종래에 콜라겐 생합성 물질로 알려져 있는 레티노익산과 그 효과를 비교하여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산수유추출물의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9에서 제조한 사상자, 홍삼 및 산수유 혼합생약조성물의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비교예로 시판 중인 TNF-알파(Tumor necrosis factor-α, Sigma 사, T7539)를 사용하였으며, TNF-알파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값을 기준으로 각 생약추출물 및 혼합생약조성물의 활성율(%)을 계산하였다.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각각의 추출물 및 생약조성물의 농도를 0.01%, 0.05%, 0.1%로 희석하였다.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활성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콜라게네이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Type Ⅰ 콜라게네이즈 조사 키트(Collagenase assay kit, Amersham 사)를 이용하였으며, ELI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① 정상인의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적합한 배지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② 일정한 수의 세포를 적절한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세포 배양액에 시료와 TNF-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매트릭스 메탈로 프로테나아제-1(MMP-1, 콜라게네이즈의 일종)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TNF-알파를 사용한다.
③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지를 수집하여 그 중 100ul를 시험용 웰(assay well)에 넣고 2∼8℃에서 하룻밤동안 배양한다.
④ 각각의 시험용 웰(assay well)을 워시 버퍼를 이용하여 4번 세척한다.
⑤ 각 웰(well)에 APMA(p-aminophenylmercuric acetate) 50ul, 시험용 버퍼(assay buffer), 탐색용 시약(detection reagent, 탐색 효소+ 기질)을 각각 50ul씩 첨가하여 잘 섞어준다.
⑥ 37℃에서 90분간 배양한 후, ELISA 측정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한다.
각 추출물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율(%)
시료 활성율(%)
TNF-알파 100.00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1%) 70.8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1%) 92.0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1%) 93.8
상기 표 4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율(%)은 TNF-알파에 의한 콜라게네이즈 활성율(%)보다 낮아서, 사상자추출물에 의하여 콜라게네이즈 활성이 저해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피부미용 증진 또는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는 홍삼 또는 산수유로 처리한 경우보다도 콜라게네이즈 활성율(%)이 낮아,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상자추출물은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와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혼합생약조성물의 콜라게네이즈 활성율(%)
시료 활성율(%) 비고
TNF-알파 100
실시예 9의 혼합생약조성물(0.01%) 98.2 홍삼추출물+사상자추출물+산수유추출물
실시예 9의 혼합생약조성물(0.05%) 96.4 상동
실시예 9의 혼합생약조성물(0.1%) 99.5 상동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상자, 홍삼 및 산수유의 혼합생약조성물은 사상자추출물 단독에 비해 콜라게네이즈 활성저해 효능이 크지는 않지만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사상자추출물 단독에 비해 혼합생약조성물에서는 사상자가 1/3 정도 함유되어 있음을 고려하면 각각의 생약재가 상호간의 상승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능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산수유추출물 및 비교예로 비타민 C(ascorbic acid, (주)태경 사)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항산화 효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에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혼합생약조성물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항산화 효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① 시료를 농도별로 96 웰 플레이트에 20ul씩 분주한다.
② 반응 용액(reagent solution)200ul를 넣고 섞어준다.
③ 효소 용액(enzyme solution)20ul를 넣고, 37℃에서 20분간 배양한다.
④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SOD 활성도를 계산한다.
SOD 활성도
={[(Ablank1 - Ablank3)-(Asample-Ablank2)]/(Ablank1-Ablank3)}×100
샘플, blank 1, 2, 3의 양
용액 샘플 blank1 blank 2 blank 3
샘플 용액 20ul - 20ul -
ddH2O - 20ul - 20ul
반응 용액 200ul 200ul 200ul 200ul
효소 용액 20ul 20ul - -
희석액 - - 20ul 20ul
각 추출물들이 SOD 활성에 미치는 효과
시료 SOD 활성도(%)
비타민 C(0.01%) 99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01%) 46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05%) 81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01%) 32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05%) 65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01%) 54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05%) 75
상기 표 7에 따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은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산소 제거효소) 활성도 값이 비타민 C와 동등한 정도로 나타났다. SOD는 활성산소 제거효소로서 SOD 활성도 값이 클수록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커지므로, 사상자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상자 추출물은 부작용이 없고, 변성이 적으며, 복용가능한 생약추출물이면서도 항산화 효능을 나타남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또한 이미 항산화 효능이 있음이 알려진 비타민 C와 동등한 정도의 항산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편 홍삼추출물과 산수유추출물도 유의성 있는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혼합생약조성물이 SOD 활성에 미치는 효과
시료 SOD활성도(%)
비타민 C(0.01%) 99
실시예9의 혼합생약조성물(0.01%) 56
실시예9의 혼합생약조성물(0.05%) 89
실시예9의 혼합생약조성물(0.1%) 98
상기 표 8에 따르면, 실시예 9에서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및 산수유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생약조성물 역시 SOD 활성도 값이 커서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상자추출물에 홍삼추출물과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한 경우, 각각의 생약재가 상호간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에 항산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비타민 C와 그 효과를 비교하여도 동등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세포증식 및 세포독성 평가 시험(MTT 조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사상자추출물, 홍삼추출물, 산수유추출물에 대하여 세포증식 및 세포독성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상자추출물과 홍삼추출물에 산수유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실시예 9에서 제조한 혼합생약조성물의 세포증식 및 세포독성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 때 생약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 비율을 계산하였다.
MTT(3-(4,5-다이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틸테트라조리움 브로마이드)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쇄효소에 의해 개열하고 암청색의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한다.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포르마잔의 생성량은 살아있는 세포수 측정에 이용된다.
① 정상인의 섬유아세포를 적합한 배지로 37℃ 5% CO2 배양 조건 하에서 배양한 후 유지한다.
② 시험을 위하여 일정한 수의 세포를 적절한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세포 배양액에 샘플을 농도별로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③ MTT 조사(MTT assay)를 하여 570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를 측정 하였다.
각 추출물에 의한 세포 생존 비율
시료 세포 생존 비율(%)
대조군 100.00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01%) 98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05%) 100
실시예 1의 사상자추출물(0.1%) 102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01%) 91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05%) 89
실시예 2의 홍삼추출물(0.1%) 84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01%) 91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05%) 95
실시예 3의 산수유추출물(0.1%) 100
혼합생약조성물에 의한 세포 생존 비율
시료 세포 생존 비율(%)
대조군 100
실시예9의 혼합생약조성물(0.01%) 97.3
실시예9의 혼합생약조성물(0.05%) 130.05
실시예9의 혼합생약조성물(0.1%) 121.9
표 9, 표 1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 및 혼합생약조성물은 유의성 있는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제조실시예 1>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 100mg,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홍삼추출물 900mg,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산수유추출물 70mg에 히아루론산 75mg, 콜라겐 펩티드 75mg, 대두추출물 375mg(수용성이소후라본 10% 함유), 비타민 C 75mg, 비타민 B2 4mg, 비타민 B6 3mg, 식이섬유 1,000mg, 석류추출물 8,000mg에 액상과당 20000mg, 용량이 50ml이 되도록 정제수를 혼합한다. 혼합액을 2∼3㎛의 필터를 통과시켜 청징화한 최종혼합액을 90∼93℃에서 15∼20초간 전 살균하여 50ml병에 충진하고 80∼85℃에서 15∼20분간 후 살균하여 음료제품을 완성하였다.
<제조실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 100mg,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홍삼추출물 900mg,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산수유추출물 70mg에 히아루론산 75mg, 콜라겐 펩티드 75mg, 대두추출물 125mg(이소후라본 30%함유), 비타민 C 75mg, 비타민 B2 4mg, 비타민 B6 3mg, 식이섬유 100mg를 혼합한 후 부형제로서 유당200mg, 락츄로스 260mg과 향료30mg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과립제조기를 통과시켜 과립을 제조한 다음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mg를 배합하여 고르게 혼합한 뒤 일정한 중량으로 타정하여 정제제품을 완성하였다.
<제조실시예 3> 연질캅셀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 100mg,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홍삼추출물 900mg,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산수유추출물 70mg에 히아루론산 75mg, 콜라겐 펩티드 75mg, 대두추출물 125mg(이소후라본 30%함유), 비타민 C 75mg, 비타민 B2 4mg, 비타민 B6 3mg, 식이섬유 100mg, 석류추출물 1,000mg, 소맥배아유 3500mg, 밀납 500mg, 왁스 500mg을 혼합하고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을 50mg 첨가하여 균질화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일정중량의 연질캅셀에 충전하였다.
<제조실시예 4>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사상자추출물 100mg,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홍삼추출물 900mg,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산수유추출물 70mg에 히아루론산 75mg, 콜라겐 펩티드 75mg, 대두추출물 125mg(이소후라본 30%함유), 비타민 C 75mg, 비타민 B2 4mg, 비타민 B6 3mg, 식이섬유 100mg를 혼합한 후 부형제로서 유당200mg, 락츄로스 260mg과 향료30mg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과립제조기를 통과시켜 과립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식품공전에 수재되어 있는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종래에 콜라겐 생합성 물질로 알려진 레티노익산과 동등한 콜라겐 생합성 증진 능력을 나타내고, 콜라게네이즈 저해활성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비타민 C와 동등한 항산화 효 능을 나타내어,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미용 증진과 피부노화 방지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0)

  1.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홍삼추출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산수유추출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산수유추출물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5.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경구용 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액상제형, 정제, 과립제 또는 캅셀제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제제.
  7. 사상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홍삼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산수유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산수유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20040089007A 2004-11-03 2004-11-03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10059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07A KR100596316B1 (ko) 2004-11-03 2004-11-03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07A KR100596316B1 (ko) 2004-11-03 2004-11-03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788A true KR20060039788A (ko) 2006-05-09
KR100596316B1 KR100596316B1 (ko) 2006-07-03

Family

ID=3714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07A KR100596316B1 (ko) 2004-11-03 2004-11-03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3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334B1 (ko) *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54116B1 (ko) * 2007-03-20 2008-08-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0024608A2 (ko) * 2008-08-27 2010-03-04 (주) 아모레퍼시픽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80B1 (ko) 2014-05-26 2015-09-07 유한회사한풍제약 세포 활성화 효능을 통한 항노화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200098153A (ko)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진트론바이오텍 황칠나무 및 자색고구마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3347A (ko)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샤이닝 스테비아 및 화산석 송이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728A (en) 1998-08-05 2000-02-22 Yuen; Liu Herbal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100368126B1 (ko) * 2000-10-06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030047627A (ko) * 2001-12-10 2003-06-18 서봉석 산수유(Comi Fructus)를 주제로한 건강식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334B1 (ko) *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54116B1 (ko) * 2007-03-20 2008-08-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0024608A2 (ko) * 2008-08-27 2010-03-04 (주) 아모레퍼시픽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WO2010024608A3 (ko) * 2008-08-27 2010-06-10 (주) 아모레퍼시픽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393403B1 (ko) * 2008-08-27 2014-05-14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펩티드를 함유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316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916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조성물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US20130183255A1 (en) Avocado flesh and/or skin extract rich in polyphenols and cosmetic, dermatological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KR20090080153A (ko)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50059551A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419464B1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7197A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0596316B1 (ko) 피부미용 증진 및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10143648B2 (en) Peptide and oside extract of schisandra fruit and improvement in the response of the cutaneous neurosensory system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01543525B (zh) 一种含红豆越橘提取物的美容组合物及其应用
JP4902967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060101100A (ko) 피부 미백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10167284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