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296A -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296A
KR20120095296A KR1020120009404A KR20120009404A KR20120095296A KR 20120095296 A KR20120095296 A KR 20120095296A KR 1020120009404 A KR1020120009404 A KR 1020120009404A KR 20120009404 A KR20120009404 A KR 20120009404A KR 20120095296 A KR20120095296 A KR 2012009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
skin
oxyge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071B1 (ko
Inventor
김미진
김영소
나용주
박선영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210039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641223A/zh
Publication of KR2012009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해조류 추출물 및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세포의 재생 및 정화 능력을 최대로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톤으로 개선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ONE OR SKIN ELASTICITY}
본 발명은 피부톤을 개선하거나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든 사람들은 노화를 피하고 싶어하지만, 아직까지 생물학적인 노화를 막는 완벽한 방법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세포의 활성도 및 재생력이 저하되어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의 색소침착 및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는 피부 노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내인적, 유전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게 발생한다.
따라서, 사람마다 다르게 발생하는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의 탐색이 필요하였고, 나아가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톤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1505호
본 발명은 산소수, 해조류 추출물 또는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톤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해조류 추출물 및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세포의 재생 및 정화 능력을 최대로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톤으로 개선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프로테아솜 저해제가 존재할 때 남아있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피부세포 속의 단백질 찌꺼기(흑색 부분)의 사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색 맑아짐(a) 및피부색 균일도(b)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색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사용 전(a), 사용 후(b)).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 피부결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6: 6번 피험자, #14: 14번 피험자)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수분 함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산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해조류 추출물 및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80 중량%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산소수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습 효과 및 피부세포의 활성 효과가 미미하고,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효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원료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제형 사용감이 악화되어 화장품으로서의 가치를 낮추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소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 및 채소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세포의 정화 및 재생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효능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원료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수는 물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과포화 농도까지 용해시켜 일반적인 물보다 산소가 높게 함유되어 있는 물이다. 이러한 고농도의 산소가 함유된 물을 피부 위에 직접 공급하여줌으로써 피부세포의 호흡을 촉진하고 세포를 활성화시켜 보습력을 높이고 노화를 지연시키며, 피부 턴오버를 촉진시켜줌으로써 피부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시켜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산소수는 해양 심층수, 빙하수, 지하수, 온천수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빙하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해양 심층수, 빙하수, 지하수, 온천수 및 증류수 같은 다양한 물에 포함된 미네랄 등 다양한 성분이 피부에 보습, 미백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해양 심층수는 약 수심 200MM 이하의 심층 지역에서 추출된다. 표층수는 광합성 작용을 하므로 물 속의 질소, 인, 질산 등이 소모되지만, 심층 지역은 태양광이 도달하지 않으므로 영양물질을 소비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없고 광합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광합성에 의해 소비되는 질소, 인, 질산 등의 무기 영양염류가 그대로 남아 있다. 또한, 심층수는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이나 필수 미량 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부족되기 쉬운 미네랄 보충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용존되어 있는 금속이온들의 작용으로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대장균이나 일반 세균에 의한 오염이 없고, 육지나 대기로부터의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도 적다. 또한, 일년 내내 저온으로 변화가 적고 안정된 낮은 수온성을 가지며 수천년 동안 형성된 물이기 때문에 그 성질이 안정되어 있다.
빙하수는 높은 산이나 극지방에서 수천만년에 걸쳐 오랜 세월동안 눈이 녹지않고 쌓여 만년설을 이루게 되면 압력에 의해 단단한 얼음으로 변하고, 그로부터 생성된 물을 말한다. 현재 빙하수는 지구상 최고의 청정지역인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 형성되어 있고, 자연의 건강과 순수한 생명력을 상징하는데, 에콰도르의 빌카밤바, 코카서스의 아브하자 및 히말라야의 훈자 지방 등이 대표적인 빙하수 생성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빙하수는 미생물이나 병원균이 번식하기 힘들고 구조적으로 육각수의 비율이 높으며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이 미네랄은 생체 내에서 삼투압과 산, 알칼리 평형 유지, 상처 회복과 체내에서의 대사 기능을 관장하고 산소 전달 및 세포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소수는 20~200ppm의 용존산소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산소수는 상기 빙하수에 에어스톤과 같은 산소주입기로 1~10kg/cm2 압력으로 10~120분 동안 1~10회 반복하여 산소를 주입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산소수의 제조는 기체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저온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갈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갈조류인 호스테일켈프 및 미세조류인 스피룰리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해조류는 엽록소를 가지고 물속에서 광합성을 하는 식물로 고염도, 고압, 태양열 등과 같은 바다의 극한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되어 왔다. 해조류는 단세포 생물체로부터 길이가 100미터를 넘는 켈프 해조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해조류에는 비타민, 미네랄, 섬유소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등의 효과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추출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해조류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에서 상기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해조류를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고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추출 공정에 사용된 해조류의 양은 사용된 방법 및 비용에 따라 변할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은 십자화과 채소로 예를 들어, 브로콜리, 케일, 양배추, 무, 순무, 콜리플라워, 무순 및 청경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브로콜리 및 순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설포라판의 함유량이 많이 피부에 좋다. 설포라판 성분은 십자화과 채소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으로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 항암 및 항염 효과,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홍반 감소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소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추출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채소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에서 상기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채소를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고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추출 공정에 사용된 채소의 양은 사용된 방법 및 비용에 따라 변할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산소수, 호스테일켈프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및 순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톤 개선용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피부세포의 프로테아솜 활성을 증가시켜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톤을 개선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피부세포의 콜라겐을 생합성시켜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파우더,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미용액, 비누, 유액, 로션, 연고 젤, 크림, 패취, 분무제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더 함유할 수 있고, 이들의 구체적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당업자는 주지된 통상의 성분 및 함량을 어려움 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제조예, 실시예 및 시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빙하수를 이용한 산소수의 제조
빙하수 20 kg에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초고순도 산소를 1 kg/cm2의 압력으로 20분간 1차 주입하였다. 냉각수를 이용하여 15℃로 냉각 후 초고순도 산소를 2 kg/cm2의 압력으로 10분간 2차 주입하고, 15℃로 냉각한 다음 초고순도 산소를 3 kg/cm2의 압력으로 10분간 3차 주입한 후 밀봉하여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용존산소 측정기(HI964400, HANNA instrument, ITALY)로 상기 추출물의 산소 용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32 ppm의 농도로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2] 증류수를 이용한 산소수의 제조
증류수 20 kg에 에어스톤을 이용하여 초고순도 산소를 1 kg/cm2의 압력으로 20분간 1차 주입하였다. 냉각수를 이용하여 15℃로 냉각 후 초고순도 산소를 2 kg/cm2의 압력으로 10분간 2차 주입하고, 15℃로 냉각한 다음 초고순도 산소를 3 kg/cm2의 압력으로 10분간 3차 주입한 후 밀봉하여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용존산소 측정기(HI964400, HANNA instrument, ITALY)로 상기 추출물의 산소 용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33 ppm의 농도로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3] 호스테일켈프 및 스피룰리나 추출물의 제조
호스테일켈프와 스피룰리나 1kg을 70% 에탄올 5ℓ에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 1ℓ에 현탁한 후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ℓ로 5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메틸렌클로라이드층을 감압농축하여 해조류 추출물 350g을 얻었다.
[제조예 4] 파래 추출물의 제조
파래 1kg을 70% 에탄올 5ℓ에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엑기스를 물 1ℓ에 현탁한 후에, 메틸렌클로라이드 1ℓ로 5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메틸렌클로라이드층을 감압농축하여 해조류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제조예 5] 브로콜리 및 순무 추출물의 제조
브로콜리와 순무 1kg을 동결건조하여 믹서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 후, 70% 에탄올 2ℓ에 넣고,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침적액을 다시 3회 환류 추출한 후, 여과포 여과를 통해 채소 추출물을 200g 얻었다.
[제조예 6] 콜리플라워 추출물의 제조
콜리플라워 1kg을 동결건조하여 믹서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 후, 70% 에탄올 2ℓ에 넣고,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침적액을 다시 3회 환류 추출한 후, 여과포 여과를 통해 채소 추출물을 200g 얻었다.
[시험예 1] 인간 피부세포에 대한 콜라겐 생합성 효능
인간 섬유아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를 갖는 각각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여 3일간 배양하고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를 각 웰당 0.5㎖씩 첨가한 후 L[2, 3, 4, 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각각 2개의 시험관에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 유닛/㎕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s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구한 다음 경과시간에 따른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농도(ppm) 대조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10 100 110 104 120 108
1 100 105 101 108 10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산소수와(제조예 1, 2), 해조류 추출물(제조예 3, 4)이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용존산소를 증가시킨 빙하수(제조예 1), 호스테일켈프와 스피룰리나 추출물(제조예 3)이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피부의 탄력이 증진되는 효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시험예 2]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프로테아솜 활성 증가 효능
상기 추출물의 프로테아솜 활성 증가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물을 48시간 처리한 정상적인 인간 섬유아세포에 20mM Tris-HCl (pH 7.8), 5mM MgCl2, 10mM KCl, 1mM DTT의 완충액으로 모아 초음파 처리하여 파괴시킨 후, 4℃,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단백질 정량을 위해서 BSA(bovine serum albumin)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bicinchoninic acid (Pierce)방법으로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프로테아솜 활성을 나타내는 3가지 활성 중 가장 대표적인 키모트립신-유사 활성(chymotrypsin-like activity)을 측정하기 위해 30μg 단백질과 형광성 펩타이드 기질인 succinyl-Leu-Leu-Val-Tyr-7-amino-4-methylcoumarin (LLVY-AMC) 100μM(최종 농도)을 각각 50μl씩 섞어 최종 부피가 100μl이 되게 한 후 37℃, 30분간 어두운 환경에 두었다. 활성은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 380nm, 방출파장(emission wavelength) 460nm으로 세팅된 형광분광계를 통해 측정된 형광강도로 나타내었다. 상기 효소활성이 프로테아솜에 비의존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을 제외하기 위해, 프로테아솜 저해제 MG132(Biomol, PI-102) 20μM 이 존재할 때 남아있는 활성을 전체 활성에서 보정하여 계산하였다. 그 프로테아솜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2와 표 3에 나타내었고, 피부세포 속의 단백질 찌꺼기(흑색 부분)를 관찰한 것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2는 빙하수로 제조한 산소수(제조예 1)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와 브로콜리 및 순무 추출물을 함께 사용했을 경우(실시예 1)의 효과를 비교한 것이고, 표 3은 증류수로 제조한 산소수(제조예 2)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와 콜리플라워을 함께 사용했을 경우(실시예 2)의 효과를 비교한 것이다.
대조군(무첨가) 제조예 1 1% 제조예 1 5% 실시예 1(제조예 1 5% + 제조예 5 0.5%)
프로테아솜 활성도(%) 100 108 118 143
대조군(무첨가) 제조예 2 5% 실시예 2(제조예 2 5% + 제조예 6 0.5%)
프로테아솜 활성도(%) 100 104 107
표 2 및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소수를 단독 사용한 경우보다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산소수와 채소추출물을 함께 사용했을 경우인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프로테아솜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빙하수로 제조한 산소수와 브로콜리와 순무 추출물를 사용했을 경우인 실시예 1에서 더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1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프로테아솜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세포 내 클렌징(Cleansing)을 담당하는 프로테아솜 활성화를 통해 피부 노화를 개선하고 피부톤을 맑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3-7 및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6의 추출물로 하기 표 4의 조성을 갖는 피부톤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수상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수상
부틸렌글리콜 2.0 2.0 2.0 2.0 2.0 2.0
수상
베타인 2.0 2.0 2.0 2.0 2.0 2.0
수상
카보머 0.2 0.2 0.2 0.2 0.2 0.2
수상
베타글루칸 5.0 5.0 5.0 5.0 5.0 5.0
수상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08 0.08 0.08 0.08 0.08 0.08
가용화상
에탄올 5.0 5.0 5.0 5.0 5.0 5.0
가용화상
가용화제 0.3 0.3 0.3 0.3 0.3 0.3
가용화상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가용화상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추출물상 제조예 1 5.0 5.0 - - - -
제조예 2 - - 5.0 5.0 5.0 -
제조예 3 1.0 - - - 5.0 -
제조예 4 - - 1.0 - - -
제조예 5 - 1.0 - - 5.0 -
제조예 6 - - - 1.0 1.0 -
상온에서 투명하게 용해되어 점증된 수상에 가용화상을 넣어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제조예 1~6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여 실시예 3-7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은 추출물상에 제조예 1~6을 투입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시험예 3] 안색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3-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의 건강한 여성 35명을 대상으로 7명씩 5개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3-6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한 후, 4주 후 크로마미터(Minolta CM-3500d)를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L)를 측정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 기재된 수치는 각 군의 평균치이다.
시험물질 피부톤 개선 정도(△L)
실시예 3 3.7
실시예 4 4.2
실시예 5 1.8
실시예 6 2.0
비교예 1 1.5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추출물이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1이 가장 낮은 효과를 보였고, 제조예 2, 4, 6의 추출물이 들어간 실시예 5,6는 비교예 1 보다는 우수하였으나, 실시예 3,4보다는 낮은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빙하수, 호스테일켈프와 스피룰리나 추출물, 브로콜리와 순무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3,4는 실시예 5,6, 비교예 1에 대비하여 높은 안색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빙하수, 브로콜리와 순무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4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피부 탄력 증진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3-6 및 비교예 1의 피부 탄력회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40대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5명을 1개군으로 하여 5개 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각 군에 실시예 3-6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하루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한 후, 4주 후 피부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 탄력 개선도(%)
실시예 3 75
실시예 4 71
실시예 5 50
실시예 6 47
비교예 1 43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실시예 3-6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비교예 1에 대비하여 우수하였고, 실시예 3,4가 실시예 5,6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용존산소를 증대시킨 빙하수, 호스테일켈프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3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안색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7의 안색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41±3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피부 사진(외부, 내부반사, 광학)을 측정하여 피부색 맑아짐 및 피부색 균일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피험자에게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스킨케어 첫 단계(스킨사용전)에서 안면 전체에 고르게 도포하도록 하고, 항온항습실에서 15분 대기 후 측정하였다.
사용 전, 사용 후 2주 및 4주에 각각 피부색 맑아짐 및 피부색 균일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피부색 맑아짐에 대하여 사용 2주 후 1.7%, 4주 후 1.9%의 유의한 개선을 확인하였다. 피부색 균일도에 대하여도, 사용 2주 후 2.8%, 4주 후 4.3%의 개선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서 붉고 탁한 피부색이 맑고 밝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결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7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소공급에 의한 피부 세포 재생을 미세 피부결 개선으로 평가하였다. 41±3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3D skin topography를 이용하여 피부결 개선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예 5와 동일하게, 피험자에게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스킨케어 첫 단계(스킨사용전)에서 안면 전체에 고르게 도포하도록 하고, 항온항습실에서 15분 대기 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2주 후 피부결이 5% 유의한 개선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6: 6번 피험자, #14: 14번 피험자)에서 잔주름이 진 미세 피부결이 회복되고 매끈한 표면으로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피부 수분 함유량 평가
상기 실시예 7의 피부 수분 함유량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41±3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안면수분량 측정을 통한 수분개선율(%)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5와 동일하게, 피험자에게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스킨케어 첫 단계(스킨사용전)에서 안면 전체에 고르게 도포하도록 하고, 항온항습실에서 15분 대기 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 2주 후 10.8%, 4주 후 13.5%의 유의한 개선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케어 가장 첫 단계에 사용하여 산소성분의 흡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에 미세 피부결을 건강하게 회복하고 보습을 부여하여, 피부톤을 맑게 개선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하기 예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1]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3 5.0(제조예 1)
1.0(제조예 3)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화장수(밀크 로션)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4 5.0(제조예 1)
1.0(제조예 3)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5 5.0(제조예 1)
1.0(제조예 3)
글리세린 3.5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맛사지 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6 5.0(제조예 1)
1.0(제조예 3)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7 5.0(제조예 1)
1.0(제조예 3)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적량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6] 패취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패취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7 5.0(제조예 1)
1.0(제조예 3)
베타-1,3-글루칸 3.0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Cetomacrogol 1000)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정제수 잔량
10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산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해조류 추출물 및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80 중량% 비율로 함유되고,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비율로 함유되며,
    상기 채소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비율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수는 20~200ppm의 용존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수는 해양 심층수, 빙하수, 지하수, 온천수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산소주입기로 1~10kg/cm2 압력으로 10~120분간 1~10회 반복하여 산소를 주입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갈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호스테일켈프 및 스피룰리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는 십자화과 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채소는 브로콜리, 케일, 양배추, 무, 순무, 콜리플라워, 무순 및 청경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채소는 브로콜리 및 순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소수, 호스테일켈프 추출물, 스피룰리나 추출물, 브로콜리 추출물 및 순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 추출물 또는 설포라판을 함유하는 채소 추출물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피부세포의 프로테아솜 활성을 증가시켜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톤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피부세포의 콜라겐을 생합성시켜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09404A 2011-02-18 2012-01-31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0392013A CN102641223A (zh) 2011-02-18 2012-02-17 用于改善肤色或增加皮肤弹性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740 2011-02-18
KR20110014740 2011-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296A true KR20120095296A (ko) 2012-08-28
KR101972071B1 KR101972071B1 (ko) 2019-04-24

Family

ID=4688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404A KR101972071B1 (ko) 2011-02-18 2012-01-31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07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7411A1 (en) * 2013-01-07 2014-07-10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elective catabolysis and viability in cells of keratin surfaces
WO2015010371A1 (zh) * 2013-07-23 2015-01-29 彭海英 一种用于治疗青春痘色素沉斑和美白的精华液
CN108721186A (zh) * 2018-08-02 2018-11-02 江西登云健康美业互联有限公司 一种抗衰面霜及其制备方法
JP2019052113A (ja) * 2017-09-15 2019-04-04 ヤクルトヘルスフーズ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用食品
KR102031289B1 (ko) * 2018-05-24 2019-10-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1187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그라젬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KR20200094513A (ko) 2019-01-30 2020-08-07 (주)아모레퍼시픽 알비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210003473A (ko) 2019-07-02 2021-01-12 (주)아모레퍼시픽 헵타히드록시플라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9739A (ko) 2019-10-02 2021-04-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25570B1 (ko) * 2021-07-28 2021-11-12 주식회사 라오가닉 산소수와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731B1 (ko) * 2019-06-27 2020-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605A (ko) * 1995-09-27 1997-04-28 킴 에스. 미첼 브라시카 채소 보조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031297A (ja) * 2005-07-22 2007-02-08 Oriza Yuka Kk 美白用組成物
KR100843745B1 (ko) * 2007-02-28 2008-07-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1505A (ko) 2008-02-25 2009-08-28 (주)아모레퍼시픽 산소수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1284A (ko) * 2008-11-07 2010-05-17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13812A (ko) * 2009-08-03 2011-02-10 (주)더페이스샵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4605A (ko) * 1995-09-27 1997-04-28 킴 에스. 미첼 브라시카 채소 보조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031297A (ja) * 2005-07-22 2007-02-08 Oriza Yuka Kk 美白用組成物
KR100843745B1 (ko) * 2007-02-28 2008-07-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1505A (ko) 2008-02-25 2009-08-28 (주)아모레퍼시픽 산소수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1284A (ko) * 2008-11-07 2010-05-17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용 또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13812A (ko) * 2009-08-03 2011-02-10 (주)더페이스샵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4665B2 (en) 2013-01-07 2017-11-14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elective catabolysis and viability in cells of keratin surfaces
US9814664B2 (en) 2013-01-07 2017-11-14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elective catabolysis and viability in cells of keratin surfaces
WO2014107411A1 (en) * 2013-01-07 2014-07-10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elective catabolysis and viability in cells of keratin surfaces
WO2015010371A1 (zh) * 2013-07-23 2015-01-29 彭海英 一种用于治疗青春痘色素沉斑和美白的精华液
JP2019052113A (ja) * 2017-09-15 2019-04-04 ヤクルトヘルスフーズ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用食品
KR102031289B1 (ko) * 2018-05-24 2019-10-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8721186A (zh) * 2018-08-02 2018-11-02 江西登云健康美业互联有限公司 一种抗衰面霜及其制备方法
KR20200041187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그라젬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KR20200094513A (ko) 2019-01-30 2020-08-07 (주)아모레퍼시픽 알비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210003473A (ko) 2019-07-02 2021-01-12 (주)아모레퍼시픽 헵타히드록시플라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US11554091B2 (en) 2019-07-02 2023-01-17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heptahydroxyflavan as an effective ingredient
KR20210039739A (ko) 2019-10-02 2021-04-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25570B1 (ko) * 2021-07-28 2021-11-12 주식회사 라오가닉 산소수와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071B1 (ko)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060165644A1 (en) Cosmetics
KR101964809B1 (ko) No 활성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제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1116216A2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ES2769268T3 (es) Extracto sinérgico de Palmaria palmata
KR101746639B1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EP3102181B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KR20110057895A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JP2004210653A (ja) 皮膚外用剤
CN115778880A (zh) 一种脂质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895636B2 (ja) 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
JP5855949B2 (ja) ケラチン産生促進剤、染毛用剤及びマニキュア用剤
US10278914B2 (en) Formula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cutaneous uptake of molecular oxygen by skin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4556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230060659A (ko)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