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87A -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87A
KR20200041187A KR1020180121310A KR20180121310A KR20200041187A KR 20200041187 A KR20200041187 A KR 20200041187A KR 1020180121310 A KR1020180121310 A KR 1020180121310A KR 20180121310 A KR20180121310 A KR 20180121310A KR 20200041187 A KR20200041187 A KR 2020004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skin
sulforaphane
cosmetics
mel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385B1 (ko
Inventor
최강현
이지혜
조정규
박영금
신은영
김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젬
Priority to KR102018012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3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설포라판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whitening cosmetic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설포라판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과 관련된다.
현대 과학의 발달로 아름답고 젊은 피부를 원하는 여성들의 요구에 대응하여 다양한 화장품의 개발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 기업들은 기존의 화장품들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또한 미용보다는 치료와 기능성에 초점을 맞춘 이른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의 탄생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분야에 기존 화장품 기업뿐만 아니라 바이오, 제약 및 의료기기 기업의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 역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용 화장품뿐만 아니라, 치료와 기능성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피부세포의 분화, 노화현상의 규명 및 인공 세포의 개발 등 피부 과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기능성 천연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미백, 보습, 자외선 차단과 흡수, 유해산소 제거, 콜라겐 합성 및 피부 주름 방지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에 대한 관심도가 증대되고 있다.
미백과 관련해서는 종래부터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물들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과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알부틴, 감초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이 피부 미백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L-아스코르브산은 쉽게 산화되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여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및 변취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알부틴은 미백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1058호 (2010.12.15)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설포라판(Sulforaphane)에 대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규명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고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는 미백용 화장품을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화장품을 제시한다.
이 때 설포라판의 함량은 조성물 또는 화장품의 총량에 대하여 0.00000177 내지 0.0000177 중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과 피부 미백용 화장품은 유효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과 미백용 화장품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별도로 첨가되는 미백용 화장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고 소비자 역시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설포라판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설포라판의 활성산소 저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설포라판의 멜라닌 생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품을 사용한 인체시험에서 피시험자들의 피부밝기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품을 사용한 인체실험에서 피시험자들의 멜라닌 인덱스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현재 화장품 분야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된 상태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미백 및 유해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과 이러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천연 소재에 대한 관심도가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백 기능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멜라닌 합성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촉매작용을 통해 일어난다. 피부가 자외선(UV)에 노출되면 cAMP(cyclic Adenosine-3',5'-Monophosphate)가 증가되고, PKA(Protein Kinase A)가 활성화 된다. PKA는 CREB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를 거쳐 MITF( Microphth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MITF는 전사인자로서, 타이로시네이즈,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2의 발현을 자극하여 멜라닌 생성을 조절한다.
우리가 흔히 식용으로 사용하는 식품 중 브로콜리에는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설포라판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설포라판 성분이 암 줄기세포에 작용해 유방암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은 이미 밝혀져 있다. 또한, 항산화는 피부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를 더욱 건강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설포라판이 미백 기능도 포함하고 있는 지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포라판의 미백 기능의 포함 가능성, 미백 기능성 정도 및 인체 적합성, 미백 기능을 위한 적정량에 대하여 규명하고, 이를 실제 화장품에 적용함으로써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을 제시한다.
시약 및 세포의 준비
세포에 활성산소를 유발하기 위한 LPS(Lipopolysaccharides from Escherichia coli), 미백 기능을 비교하기 위한 알부틴(Arbutin), 활성산소 저해 기능을 비교하기 위한 ASA(Acetyl Salicylic Acid),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및 설포라판(Sulforaphane)은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사로부터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미백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B16F10 세포와 세포 독성 및 활성산소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RAW 264.7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세포배양
미백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B16F10 세포는 5%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을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한편 세포 독성 및 활성산소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RAW 264.7 세포는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MEM 용액에서 배양하였다.
상술한 B16F10 세포와 RAW 264.7 세포의 배양은 37℃로 유지되는 5% CO₂배양기(CO₂Incubator)에서 이루어졌다.
설포라판의 세포 독성 실험
설포라판의 미백과 항염 효과를 평가하기 전에,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세포 독성 실험으로 알려진 MTT Assay(Methyl Thiazolyl diphenyl Tetrazolium Assay)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Raw264.7 세포에서 설포라판의 각 농도에 따른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설포라판 농도 1, 5 및 10 μM에서 각각 103, 107 및 113%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설포라판 1, 5 및 10 μM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100 μM에서는 20% 정도의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1-10 μM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후술하는 멜라닌 분석(Melanin Assay)과 산화질소 분석(Nitric Oxide Assay)에서 이를 적용하여 1, 5 및 10 μM의 농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여기에서 설포라판을 균일하게 용해시키기 위해 유기용매인 0.1%의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0.1%의 DMSO는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독성 수치에 큰 차이가 없어 0.1%의 DMSO는 세포 독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설포라판의 활성산소 저해 실험
Raw264.7 세포에서 설포라판의 활성산소 생성 저해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산화질소분석(Nitric Oxide Assay)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Raw264.7 세포에서 설포라판의 각 농도에 따른 활성산소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설포라판의 1, 5 및 10 μM의 농도에서 각 농도에 유의미하게 활성산소가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Raw264.7 세포를 LPS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하여 활성산소를 증가시킨 후 1-10 μM의 설포라판을 처리하여 활성산소 저해를 측정하는 한편, 아무 처리도 하지않은 대조군(Control) 및 LPS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한 후 50 μM ASA를 처리한 군과 비교하였다. 세포의 활성산소를 유발시키는 물질인 LPS는 최적의 농도인 1 μg/mL로 사용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대조군인 50 μM의 ASA 처리에서 70% 정도의 활성산소가 감소하였으며, 설포라판 처리에서는 ASA의 1/5 농도인 10 μM에서 60% 정도의 활성산소가 감소하였다.
여기에서 설포라판은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에 따라 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를 채택하였다. LPS로 처리한 군을 100%로 기준으로 보았을 때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은 5배 정도 활성산소가 적고, 설포라판 처리군은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활성 산소가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포라판의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
B16F10 세포를 6 홀 웰플레이트(Well Plate)에 2 mL씩 나누어 담고 5% FBS가 함유된 DMEM 용액을 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으로 사용할 각 홀에 서로 다른 농도의 설포라판(1, 5 및 10 μM)을 투입한 후 37℃에서 30분간 배양하여 전 처리한 다음 1 μM의 α-MSH를 투입하여 37℃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난 후 이를 1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여 얻은 세포침전물(Cell Pellet)에 1N NaOH와 10% DMSO를 가하고 95℃에서 20분 가열하여 멜라닌을 완전히 녹인 후 96홀 웰플레이트에 150 μL를 옮기고 멜라닌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3회 반복적으로 실험하여 평균값을 얻어 각 홀에서 생성된 멜라닌 함량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설포라판을 투입하지 않고 α-MSH만을 투입한 경우의 멜라닌 양을 100%의 기준으로 보면 설포라판의 농도가 높을수록 멜라닌 양은 57, 44 및 36%로 점차 감소하므로 멜라닌 생성 저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 결과에서 보여지는 설포라판은 미백 효과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무 처리 안 한 군(Control)은 멜라닌 양이 적었고 미백 고시물질인 알부틴(Arbutin)을 투입한 군도 α-MSH로 처리한 군에 비해 50%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알부틴의 농도는 500 μM였다.
실험결과는 알부틴 500 μM의 1/100의 농도인 5 μM의 농도에서 설포라판이 유사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1/50의 수준인 10 μM의 농도에서는 설포라판이 알부틴보다 뛰어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참고로 멜라닌 생성 저해 기전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타이로시네이즈의 전구체인 MITF 등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타이로신을 이용하여 멜라닌을 생성하는 기능을 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기전, 둘째, 타이로시네이즈가 타이로신을 산화시켜 도파퀴논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중에 항산화작용으로 타이로신의 산화를 억제하는 기전, 셋째,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멜라닌세포로부터 주변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닌 소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구분된다.
상술한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에서 설포라판은 α-MSH(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여 멜라닌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세번째와 같이 멜라닌 소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보다는 첫번째 기전이나 두번째 기전의 멜라닌 생성과정에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통계처리
상술한 실험은 3회 이상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결정하였고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유의확률 p가 0.05 미만( p<0.05 이하)인 경우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크림제 화장품의 제조
위와 같은 실험을 기초로 하여 설포라판을 포함하는 크림제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크림제 화장품을 제조하는 공정을 채용하였다. 화장품의 성분 비율은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다.
조성물 중량%
설포라판
나이아신아마이드
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올레스-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솔비톨
트레할로오스
아데노신
알란토인
방부제

정제수
0.00001
2.0
1.5
1.275
0.95
0.9
0.005
0.35
0.3
0.04
0.05
적량
적량
잔량*
*: 전체가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
화장품에서의 설포라판의 함량
상술한 크림제 화장품에서 설포라판의 함량은 0.00001중량%이다. 이는 세포 독성이 없는 설포라판의 농도와 관련된다.
Figure pat00001
설포라판은 화학식 1로 나타내지고 C6H11NOS2로 표시할 수 있으며 분자량은 177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1-10 μM은 안전한 범위이다. 1-10 μM을 설포라판의 무게로 환산하면 0.177-1.77 mg/L가 된다. 여기서 물의 비중이 1이기 때문에 L 를 kg으로 변환하면 0.177-1.77 mg/kg이 된다.
따라서 화장품 제품 1kg당 0.177-1.77 mg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물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0.00000177 내지 0.000017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크림제 화장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위와 같은 설포라판의 함량 범위는 스킨, 로션,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등의 다른 화장품 군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첨가
본 발명의 크림제 화장품에는 미백 효과를 더 크게 하기 위해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첨가하였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백고시 물질로서 설포라판이나 알부틴과는 다르게 멜라닌세포로부터 주변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닌 소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에 작용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설포라판은 알부틴과 동일하게 타이로시네이즈의 생성을 억제하여 MITF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전으로 작용하고,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닌 소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미백기능으로 작용하는 두 물질이지만, 서로 다른 기전, 즉 타이로시네이즈의 생성 억제 및 멜라닌 소체의 이동 억제의 두 기전에서 각각 멜라닌의 생성과 이동의 억제를 저해하는 독립된 기전으로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의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최소농도-최고농도(2중량%-5중량%)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크림제에는 2중량%를 채용하였다. 이와 같이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최소농도를 채용하더라도 설포라판과 함께 사용함에 따라 충분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 대신 멜라닌 소체의 이동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다른 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 크림제 화장품의 무자극성 검증
본 발명의 크림제 화장품의 무자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피부 첩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 남녀 33명을 선정(탈락예수 10% 이내 고려)하였고, 실험 참가자의 등 부위에 시료를 적용하여 24시간 후 제거한 후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시험부위의 관찰은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의 3가지 경우에 대하여 5-point scale (홍반 및 가피, 부종)을 기준으로 피부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험방법 및 평가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규정(30명 이상의 유효데이터), PCPC(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Safety Evaluation Guidelines 및 Draize Dermal Irritation Scoring System(피부반응 자극정도 평가)과 EPA(Environmetal Protection Agency) Srandard Evaluation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자극 분류법 기준)의 기준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피부반응 자극도 평가인 Draize Dermal Irritation Scoring System의 평가기준은 아래 표 2와 같다.
Erythemeand Eschar Formation
(홍반 및 가피 형성)
Value
(단계)
Edema Formation Formation
(부종 형성)
Value
(단계)
No erythema 0 No erythema 0
Very slight erythema (barely perceptible) 1 Very slight erythema (barely perceptible) 1
Well-defined erythema 2 Slight edema (edges of area well-defined by dcfinite raiding) 2
Moderate-to-severe erythema 3 Miderate edema (raised approximately 1 mm) 3
Severe erythema (beet redness) to slight, eschar formation (injuries in depth) 4 Severe edema (raided more than 1 mm and extending beyind area of exposure 4
이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1의 평균 피부자극도 계산 공식에 따라 평균 피부자극도(M.I.I.: Mean Irritation index)를 산정하였다.
Figure pat00002
산출된 평균 피부자극도를 자극 분류법 기준의 피부 1차 자극 시험 결과 판정표(표 3)에 따라 자극군을 판정하였다.
자극군(Grade) M.I.I.
무자극(Negligible) 0.00 ≤ M.I.I. < 0.50
미자극(Slight) 0.50 ≤ M.I.I. < 2.00
중자극(Moderate) 2.00 ≤ M.I.I. < 5.50
강자극(Strong) 5.00 ≤ M.I.I. ≤7.50
실험 참가자들에 대한 실험결과와 이를 토대로 한 평균 피부 자극도를 산출한 값은 아래 표 4와 같다.
반응자 수 피부자극정도 평균 피부 자극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
1 2 3 4 1 2 3 4 1 2 3 4
홍반 12 5 2 1 - 6 3 - - 4 3 - - 0.47
부종 5 3 1 - - 3 - - - 3 1 - -
실험 참가자 33명 모두 실험을 마쳤으며 48시간 경과 후에는 피부 반응 자극도의 1단계와 2단계에 해당하는 실험 참가자 일부만이 있을 뿐이었고, 이들의 평균 피부 자극도는 0.47로 계산되었다. 이는 EPA(Environme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Evalution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의 자극 분류법 기준의 무자극(0.00≤M.I.I≤0.50)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림제 화장품은 무자극성임이 검증되었다.
본 발명 크림제 화장품의 미백효과 검증
한편 본 발명의 크림제 화장품에 대하여 최종 21명의 실험 참가자에게 피부밝기 및 피부멜라닌 개선효과 인체적용 시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는 1일 2회(아침, 저녁) 세안 후 크림 단계에서 100원 동전 크기만큼의 시료를 눈가 부위를 제외하고 얼굴에 펴 바른 후 가볍게 두드려 흡수시켰다.
이후 VISIA-CR을 이용한 안면부 사진 촬영 및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볼 부위의 피부밝기 평가와 멕사미터(Mexameter)를 이용한 색소침착 부위의 피부멜라닌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밝기를 평가하기 위해 촬영된 안면 사진의 색소침착이 없는 정상 부위를 시험 부위로 정했다. 아래에서 V값은 피부밝기와 연관을 갖는 인자라고 할 수 있으며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Image-Pro Plus, USA)를 이용하여 V값의 평균(mean) 값을 도출하였다. V값이 증가할수록 피부밝기가 개선되었다고 판단하며 피부밝기의 증가율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Figure pat00003
VISIA-CR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피부밝기(V)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각각 0.668%, 0.479%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피부멜라닌 측정은 피부에서 멜라닌(melanin)과 헤모글로빈(hemoglobin) 함량을 특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멕사미터 MX18 (Courage and Khazaka, Germany)을 이용하며 그 중 멜라닌(melanin)과 상관관계가 깊은 피부멜라닌 인덱스(M.I.)로 나타낸다. 멕사미터는 흡광 원리에 기초하여 특수한 탐침이 정해진 세 가지 파장의 빛을 방출하고 피부에서 반사된 빛을 측정함으로써 피부멜라닌의 양을 측정한다.
멕사미터로 시험 부위의 피부멜라닌을 각각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구하여 평가하였다. 피부멜라닌의 양이 적을수록 측정값이 낮아지며 피부멜라닌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멕사미터를 이용한 M.I.값의 감소율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Figure pat00004
한편 멕사미터를 이용한 색소침착 부위의 멜라닌 인덱스(M.I.) 측정값을 분석한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 적용 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으로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각각 0.942%, 1.747%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림제 화장품은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 피부멜라닌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시료 적용 2주 후, 적용 4주 후에 실험 참가자에게 시료의 일반적 평가(사용감), 효능성 평가, 이상반응 평가 및 시료에 대한 호감도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에서도 실험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설포라판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품은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채택함으로써 훨씬 적은 양으로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항산화효과까지 포함하므로 제조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설포라판(Sulforapha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설포라판(Sulforapha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3. 제2항에 있어서,
    설포라판의 함량은 화장품의 총량에 대하여 0.00000177 내지 0.000017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4. 제2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KR1020180121310A 2018-10-11 2018-10-11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KR102201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10A KR102201385B1 (ko) 2018-10-11 2018-10-11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10A KR102201385B1 (ko) 2018-10-11 2018-10-11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87A true KR20200041187A (ko) 2020-04-21
KR102201385B1 KR102201385B1 (ko) 2021-01-11

Family

ID=7045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10A KR102201385B1 (ko) 2018-10-11 2018-10-11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648B1 (ko) 2021-05-14 2023-12-29 씨앤알코스메틱스 주식회사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156A (ko) * 2002-12-30 2004-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50094806A (ko) * 2002-10-11 2005-09-28 엘엠디 티오유레아를 함유하는 탈색소침착제 또는 항돌연변이 및항암제용 의약품
KR20100131058A (ko) 2009-06-05 2010-12-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ty72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20036516A (ko) * 2010-10-08 2012-04-18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5296A (ko) * 2011-02-18 2012-08-2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459A (ko) * 2016-02-01 2017-08-09 이성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7741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성장률 및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및 이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806A (ko) * 2002-10-11 2005-09-28 엘엠디 티오유레아를 함유하는 탈색소침착제 또는 항돌연변이 및항암제용 의약품
KR20040060156A (ko) * 2002-12-30 2004-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100131058A (ko) 2009-06-05 2010-12-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ty72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20036516A (ko) * 2010-10-08 2012-04-18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5296A (ko) * 2011-02-18 2012-08-2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459A (ko) * 2016-02-01 2017-08-09 이성표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7741A (ko) * 2018-02-13 2019-08-21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성장률 및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및 이의 생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chiro SHIRASUGI et al, ‘Sulforaphan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by Regulating Tyrosinase Gene Expression in B16 Mouse Melanoma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0, Vol.74, No.3, pp.579-5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385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dog et al.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oral procyanidin with vitamins A, C, E for melasma among Filipino women
KR101916489B1 (ko) 멜라닌 변형 조성물들 및 이의 사용 방법들
TWI312687B (en) Skin lotion and wrinkle improving agent
US20110020252A1 (en) Method of long lasting human skin tanning
ES2372805T3 (es) Composiciones de autobronceado que comprenden sulfato de colesterol y dha.
KR20120095049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3753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009298752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102201385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백용 화장품
JPWO2007135841A1 (ja) ダイマージリノール酸ジエチレングリコールオリゴマーエステル含有化粧料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20142607A2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11110117B2 (en)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complex hyaluronic acid
CN103889413A (zh) 用于改善皮肤的包含丁香树脂醇的组合物
KR102159664B1 (ko) 주름 개선제
KR100795515B1 (ko)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24060B1 (ko) 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TWI605832B (zh)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desalinating skin and reducing melanin, pharmaceuticals and uses thereof
KR20150105550A (ko)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502279A (ja) 色素沈着過剰障害の処置方法
EP2314277B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wrinkle-repairing agent
KR20190023651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US2023030189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urolithins
KR20100033729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511063A (ja) プラチコジン−dを含有する皮膚美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