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361A -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361A
KR20220108361A KR1020210011280A KR20210011280A KR20220108361A KR 20220108361 A KR20220108361 A KR 20220108361A KR 1020210011280 A KR1020210011280 A KR 1020210011280A KR 20210011280 A KR20210011280 A KR 20210011280A KR 20220108361 A KR20220108361 A KR 20220108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group
uvb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909B1 (ko
Inventor
이세연
오찬호
신민지
권이성
웅 안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현4차산업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현4차산업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1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견운모 추출물과 추가로 첨가될 수 있는 게르마늄, 아데노신(Adenosine)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제한된 유효농도 적용시 피부주름 개선 및 UVB 조사된 피부가 UVB 조사가 되지 않은 정상세포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COSMETIC COMPOSITION FOR MASKPACK AND MASK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주름 개선 및 자외선 조사 피부 세포의 회복 효과가 있는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물이나 전해질과 같은 인체 내 생체성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인체 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는 배기가스, 유해 화학물질, 오존층의 파괴 등으로 자외선, 수질오염 등에 의한 활성산소가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고, 이러한 활성산소는 인체에 침투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색소변화, 피부노화 등의 주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과중한 사회적, 업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골프 등과 같은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야외에서의 레저활동 중에는 신체 피부가 상기한 오염원 등에 더욱 쉽게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피부훼손 및 피부노화가 피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야외레저활동을 보다 적극적이고 쾌적하게 즐기고자 하는 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 피부미용제, 화장품 등의 여러 피부 외용제가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피부외용제는 피부에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주로 안면의 피부 손상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특화된 제품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안면 피부에 개선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얼굴 형태로 시트를 구성한 마스크 팩 역시 다수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존의 마스크 팩은 주로 알로에나, 오일, 황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조직 안정화, 피부신진대사 촉진, 보습 등의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나 안면 피부의 주요 미용적 질환인 피부훼손과 노화(자외선 및 활성산소가 피부세포에 산화작용을 일으켜 색소를 검게 변화시키는 것 등)를 본질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황토나 진흙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 등의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기 황토에는 그 자체에 독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독성을 중화시켜 사용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황토의 독성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0824호
본 발명은 피부주름 개선 및 자외선 조사 피부 세포의 회복 효과가 있는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견운모 추출물은 견운모에 95% 발효 주정과 활성탄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추출 및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르마늄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12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인 특징을 가짐으로써,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르마늄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UVB에 노출된 표피의 상피세포의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표피 밑의 진피층의 아교섬유도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피부조직의 표피 상피세포의 분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증식세포핵항원(PCNA) 관찰시 정상 세포와 유사하게 미약하게 발현함을 알 수 있고, Myeloperoxidase의 발현에서도 정상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UVB에 노출된 표피의 상피세포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표피 밑의 진피층의 아교섬유도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12 μg/mL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UVB에 노출된 표피의 상피세포의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표피 밑의 진피층의 아교섬유도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피부조직의 표피 상피세포의 분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증식세포핵항원(PCNA) 관찰시 정상 세포와 유사하게 미약하게 발현함을 알 수 있고, Myeloperoxidase의 발현에서도 정상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는 Myeloperoxidase의 발현에서 정상 세포와 가장 유사하게 확인되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 회복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 B16F10(생쥐 흑색종세포주)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 HaCat cell(피부각질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 tyrosinase의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정상군(N)과 5주간 UVB에 노출된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에 대한 대조군(C),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게르마늄 투여군(GW), 아데노신 투여군(AW)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 투여군(NW)의 피부 주름 사진이다.
도 5는 정상군(N)과 5주간 UVB에 노출된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에 대한 대조군(C),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게르마늄 투여군(GW), 아데노신 투여군(AW)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 투여군(NW)의 표피 상피세포의 두께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6은 정상군(N)과 5주간 UVB에 노출된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의 대조군(C),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게르마늄 투여군(GW), 아데노신 투여군(AW)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 투여군(NW)에 대하여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여 진피층의 아교섬유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정상군(N)과 5주간 UVB에 노출된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의 대조군(C),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게르마늄 투여군(GW), 아데노신 투여군(AW)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 투여군(NW)에 대하여 증식세포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정상군(N)과 5주간 UVB에 노출된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의 대조군(C),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게르마늄 투여군(GW), 아데노신 투여군(AW) 및 나이아신 아마이드 투여군(NW)에 대하여 Myeloperoxidase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운모 추출물은 견운모에 95% 발효 주정과 활성탄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추출 및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운모 추출물은 95% 농도의 발효 주정에 활성탄과 견운모 암석을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이고, 추가로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르마늄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12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인 특징을 가짐으로써,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르마늄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UVB에 노출된 표피의 상피세포의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표피 밑의 진피층의 아교섬유도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피부조직의 표피 상피세포의 분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증식세포핵항원(PCNA) 관찰시 정상 세포와 유사하게 미약하게 발현함을 알 수 있고, Myeloperoxidase의 발현에서도 정상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25 μg/mL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UVB에 노출된 표피의 상피세포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표피 밑의 진피층의 아교섬유도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의 유효농도가 6.25 내지 12 μg/mL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UVB에 노출된 표피의 상피세포의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표피 밑의 진피층의 아교섬유도 정상 세포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UVB에 노출된 이후 피부조직의 표피 상피세포의 분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증식세포핵항원(PCNA) 관찰시 정상 세포와 유사하게 미약하게 발현함을 알 수 있고, Myeloperoxidase의 발현에서도 정상 세포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는 Myeloperoxidase의 발현에서 정상 세포와 가장 유사하게 확인되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 회복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험과 그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 B16F10(생쥐 흑색종세포주)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포독성 실험을 통하여 견운모, 게르마늄 등의 미네랄 성분이 B16F10(생쥐 흑색종세포주)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배양세포주 실험계로 확인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실험에 사용한 B16F10(흑색종 세포주) 세포 생존율에 대한 미네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료 농도별(6.25 ~ 50 μ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25μ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 HaCat cell(피부각질 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험에 사용한 HaCat cell(피부각질 세포주) 세포 생존율에 대한 미네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료 농도별(6.25 ~ 50 μ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나이아신을 제외하고는 25μ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별 tyrosinase의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n vitro
B16F10 melanoma cell를 6well plate에 8×105/ml로 분주하여, 4시간 후에 아데노신, 게르마늄, 나이아신, 견운모 시료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배양상등액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수거해서 tyrosinase colorimetric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Tyrosinase는 피부 멜라닌 생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tyrosine에서 L-DOPA, L-DOPA에서 dopaquinone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촉매작용을 통해 멜라닌 합성의 초기단계에 관여한다.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료를 처리한 후 측정한 결과 12.5 ㎍/㎖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3의 a).
2) in vivo
Hairless 생쥐에 UVB를 5주 동안 조사하여 피부 손상을 유도한 실험 종료 후 생쥐 심장에서 채혈한 혈청중의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견운모 추출물을 투여한 혈청에서 tyrosinase 활성이 가장 증가하였다(도 3의 b).
광노화 피부개선 실험 (in vivo)
1.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7주령, 숫컷, hairless 생쥐(SKH-1 hairless mice)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30마리를 구입하여 1주일간 사육실에서 적응시킨 후 항온항습(22±2℃, 65±2% RH)하에서 사육하였고, 사료는 시판하는 고형사료를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은 6개군으로 분류하여 군별로 5마리씩 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 대조군(C), Germanium 미네랄워터(GW), 견운모추출물(KW), 아데노신(AW), Niacin amide(NW)군으로 나누었다. 동물실험은 우석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승인(WS2020-04)을 받아 실시하였다.
2. 실험방법
1) 광노화피부 유발 및 시료도포
자외선 조사장치는 실험실에서 자체 제작한 캐비넷 내에 20 W Ultraviolet B(UVB) lamp를 부착한(Sankyo G20T10E, 20W, Japan) 후 조사한 광원을 UV Light meter(UV-340, UVA+UVB, Lutron, Taiwan)로 측정하여 UVB 강도(intensity)가 0.13 mW/cm2가 되는 높이에서 조사하였다. 실험동물의 UVB 조사는 아크릴로 제작한 조사틀에 실험군 별로 각각의 생쥐를 가둔 후 생쥐의 등부위가 노출되도록 위쪽은 철망을 부착하였다. UVB 조사량은 최초 1주간은 1 MED(minimal erythema dose)에 해당하는 100 mJ/cm2를 1주에 3회씩 조사하였고, 2주는 150 mJ/cm2, 3주는 200 mJ/cm2, 4주는 250 mJ/cm2, 300mJ/cm2를 1주에 3회씩 조사하여 총 5주간 실시하였다.
2) 피부 최소홍반도 측정
피부 최소홍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0W UVB lamp에서 조사한 자외선 강도가 0.3 mW/cm2가 되도록 UV Light meter로 측정하여 조사높이를 정한 후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hairless 생쥐의 등에 1x1 cm2의 넓이로 소구획을 나눈 후 UVB를 60 mJ/cm2에서 120 mJ/cm2까지의 조사량을 10 mJ/cm2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UVB 조사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경계가 분명하고 네 모서리가 뚜렷한 홍반을 보이는 가장 낮은 광량인 100 mJ/cm2을 최소홍반량으로 정하였다.
3) 피부주름의 형태학적 관찰
피부의 육안적인 관찰은 실험 5주째 Avertin으로 가볍게 마취한 후 혈액을 채혈한 후 SILFLO(Flexico developments LTD, Tokyo, Japan) silicone rubber impression materal로 등쪽 피부주름의 replica를 제작하여 stereomicroscope로 촬영한 후 주름의 양상을 실험군별로 비교 관찰하였다.
4) 광학 현미경 관찰을 위한 피부조직의 일반 및 특수염색
절취한 피부조직을 실온에서 Bouin solution에 24시간 고정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세, 탈수, 투명, 침투과정을 거친 다음 파라핀에 포매하고 7㎛ 두께로 절편을 만들어 일반적인 조직학적 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피부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특수염색으로는 진피층 내 교원섬유(collagen fiber)의 변화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5) 피부조직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피부 조직내 PCNA(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와 myeloperoxidase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피부조직을 절취한 후 Bouin,s solution에 24시간 고정한 후 일반적인 방법으로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였다. 파라핀 절편은 7 ㎛의 두께로 절단한 후 100% methanol에 0.3% H2O2를 넣은 용액에서 endogeneous peroxidase를 제거하였다. 그 후 비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제거하기 위하여 30분간 정상혈청(normal serum, 1:50)으로 처리하였다. UVB조사 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rabbit anti-PCNA(sc-7907, Santa Cruz, USA)와 rabbit anti-myeloperoxidase(ab-9535, abcam, USA)를 일차항체로 이용하였다. 일차항체의 희석배율은 구입한 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의 항체에 대한 positive control test를 실시하여 적정한 항체 희석 배율(각각 1:100, 1:50)을 정한 후 4℃의 moisture chamber에서 24시간 염색하였다. 2차항체는 1차항체 반응 후 5분간 3회 0.1 M PB로 수세과정을 거친 후에 Hsu 등의 방법에 따라 biotinylated anti-IgG(Vector Laboratories, Inc., CA, USA)를 1:200으로 희석한 후 실온의 moisture chamber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5분간 3회 0.1 M PB 수세과정을 거친 후 peroxidase가 표지된 ABC 용액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다시 0.1 M PBS로 15분간 2회 수세하고 나서 30 mg의 3-3' diaminobenzidine를 150 ㎖의 0.1 M PBS에 녹인 용액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과산화수소를 0.005% 되게 첨가하여 갈색의 발색반응을 약 15분간 시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조직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탈수와 투명화를 거친 후 permount로 봉입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1. 피부주름 개선의 육안적 관찰소견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주름 양상을 육안적인 광노화 피부의 지표로 사용하기위하여 silicone rubber로 replica 모형을 제작하여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정상군(N))에서는 잔주름이 많이 관찰되었으나 깊고 굵은 주름은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UVB를 5주간 조사하면서 물만 투여한 대조군(C)에서는 잔주름은 감소되고 깊고 굵은 주름이 많이 관찰되었다. UVB를 5주간 조사하면서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 견운모 추출액 투여군(KW), adenosine 투여군(AW) 및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굵은 주름이 감소하였고, 잔주름의 소실도 감소하였다. 특히, 주름 개선 효과는 견운모 추출액 투여군(KW)에서 현저하게 깊고 굵은 주름이 소실되는 것을 관찰하였다(도 4).
2. 피부의 일반적인 조직학적 변화 관찰
1) H&E stain
SKH-1 hairless mice의 피부조직을 H&E 염색하여 표피세포의 증식과 표피의 두께를 광노화 피부의 지표로 하여 관찰한 결과 정상군(N)의 등쪽 피부의 표피는 3-4층의 상피세포로 이루어졌으나(도 5, N), UVB를 5주간 조사한 대조군(C)의 표피는 7-8층의 상피세포로 증식되었다(도 5, C). UVB를 5주간 조사하면서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 adenosine 투여군(AW) 및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상피세포의 두께는 감소하였다(도 5, GW, AW, NW). 특히, 표피 상피세포의 두께는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과 niacin amide 투여군(NW)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도 5, NW).
2) Masson's trichrome stain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여 진피층의 아교섬유를 관찰한 결과 정상군(도 6, N)에서는 표피 밑의 진피층(특히 유두층)에서 methyl blue에 강하게 염색된 아교섬유가 관찰되었으나 UVB를 5주간 조사한 대조군(도 6, C)에서는 변성된 아교섬유가 methyl blue에 미약하게 염색되었다. UVB를 5주간 조사하면서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 adenosine 투여군(AW) 및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의 아교섬유는 methyl blue에 중등도의 염색성을 나타내었다(도 6, GW, AW, NW). 그러나 견운모추출액을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C)과 유사하게 methyl blue에 미약하게 염색되었다(도 6, KW).
3. 피부의 면역조직화학적인 염색의 변화
1)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
피부조직의 표피 상피세포의 분열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증식세포핵항원(PCNA)의 발현은 UVB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N)(도 7, N)의 표피 상피의 바닥층 한 층에서만 미약하게 발현되었으나 UVB를 5주간 조사한 대조군(C)(도 7, C)의 표피 상피에서는 N군에 비해 바닥층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UVB를 5주간 조사하면서 게르마늄 미네랄워터 투여군(GW)과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표피 상피의 바닥층에서 미약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도 7, GW, NW). 그러나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에서는 대조군(C)과 유사하게 바닥층에서 강한 염색반응을 나타내었다(도 7, KW).
2) Myeloperoxidase에 대한 면역염색 반응
Myeloperoxidase의 발현은 정상군(N)(도 8, N)의 진피층에서는 미약하게 발현된 세포가 소수 관찰되었으나 UVB를 5주간 조사한 대조군(C)(도 8, C)의 진피층에서는 N군에 비해 비교적 강하게 발현된 세포가 다수 관찰되었다. UVB를 5주간 조사하면서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및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층에서 미약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도 8, GW, KW, NW). 특히 niacin amide 투여군(NW)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하게 진피층에서 미약한 염색반응을 나타내었다(도 8, NW).
결론
1. 피부주름의 육안적인 변화는 견운모 추출액 투여군(KW)에서 현저하게 깊고 굵은 주름이 소실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2. 표피세포의 증식에 의한 표피의 두께변화는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과 niacin amide 투여군(NW)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3. Masson's trichrome 염색에 의한 진피의 아교섬유의 염색성은 게르마늄 미네랄워터를 투여한 군(GW), adenosine 투여군(AW) 및 niacin amide 투여군(NW)에서 대조군에 비해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4.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증식세포핵항원(PCNA) 항체를 이용한 표피 상피세포의 분열 상태는 게르마늄 미네랄워터 투여군(GW)과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표피 상피의 바닥층에서 미약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5. Myeloperoxidase의 발현은 게르마늄 미네랄워터 투여군(GW), 견운모추출액 투여군(KW), 및 niacin amide 투여군(NW)은 대조군에 비해 진피층에서 미약한 염색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niacin amide 투여군(NW)은 정상군과 유사하게 진피층에서 미약한 염색반응을 나타내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시험 결과, 비소(As), 수은(Hg) 등이 불검출되었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및 히드로퀴논의 함량이 기준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견운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견운모 추출물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운모 추출물은 견운모에 95% 발효 주정과 활성탄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추출 및 발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게르마늄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르마늄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데노신(Adenosin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25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나이아신 아마이드(Niacin Amide)의 유효농도는 6.25 내지 12 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6.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0210011280A 2021-01-27 2021-01-27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2573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280A KR102573909B1 (ko) 2021-01-27 2021-01-27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280A KR102573909B1 (ko) 2021-01-27 2021-01-27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361A true KR20220108361A (ko) 2022-08-03
KR102573909B1 KR102573909B1 (ko) 2023-09-01

Family

ID=8284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280A KR102573909B1 (ko) 2021-01-27 2021-01-27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9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36B1 (ko) * 2015-12-31 2016-02-25 박성율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KR101746277B1 (ko) * 2015-06-29 2017-06-27 (주)바로나 탈모 개선용 천연 모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16B1 (ko) * 2016-03-07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90824B1 (ko) 2017-02-17 2019-06-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색소가 제거된 닥나무 수피 추출물 및 천연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277B1 (ko) * 2015-06-29 2017-06-27 (주)바로나 탈모 개선용 천연 모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97636B1 (ko) * 2015-12-31 2016-02-25 박성율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KR101769416B1 (ko) * 2016-03-07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90824B1 (ko) 2017-02-17 2019-06-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색소가 제거된 닥나무 수피 추출물 및 천연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909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hem et al. Artificial skin in perspective: concepts and applications
US7220417B2 (en) Use of phaeodactylum algae extract as cosmetic agent promoting the proteasome activity of skin cells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US7604806B2 (en) Use of a lyophilisate of dedifferentiated plant cells for skin depigmentation and/or lightening
JP5582630B2 (ja) ハスからの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前記組成物を用いる美容ケアの方法
CN109125194B (zh) 一种具有抗蓝光功效的气垫粉底及其制备方法
US6406720B1 (en) Cosmetic containing plant extracts
CN110279639A (zh) 一种芦荟美肌多护精华液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US20140044651A2 (en) Methods useful in studying or modulating skin or hair pigmentation, plant extracts for use in compositions and cosmetic care method
CN112891243A (zh) 一种含抗皱功效组合物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1632018A (zh) 一种含水解藻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573909B1 (ko)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CN103505374A (zh) 一种抗皮肤光老化制剂及其应用
CN112826778A (zh) 一种抑制黑色素合成的多肽及植物组合物
CN115737476B (zh) 一种美白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KR101585913B1 (ko) 말 사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말 사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940909B (zh) 一种调节昼夜节律的组合物及其应用
KR20070082635A (ko) 적송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2260051B1 (ko) 산화 그래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143784A (zh) Fto抑制剂在制备皮肤保护及修复产品中的新应用
KR101884434B1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220323536A1 (en) Use of beta-l-aspartyl-l-arginine on senescent skin
EP2260831A1 (en) Plant extracts modulating Myo-X for use in compositions
Yehia et al. Histomorphometry, immunohistochemistry, and fine structure of Rats skin exposed to Ultraviolet-A radiation
Yan et al. The oral administration of elastin peptide reduces ultraviolet light-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ice.
Yussif et al. Evidence of the effect of intraepidermic vitamin c injection on melanocytes and keratinocytes in gingival t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