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476B1 -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476B1
KR101517476B1 KR1020130072856A KR20130072856A KR101517476B1 KR 101517476 B1 KR101517476 B1 KR 101517476B1 KR 1020130072856 A KR1020130072856 A KR 1020130072856A KR 20130072856 A KR20130072856 A KR 20130072856A KR 101517476 B1 KR101517476 B1 KR 101517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weeks
powd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93A (ko
Inventor
김효준
Original Assignee
김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준 filed Critical 김효준
Priority to KR102013007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4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산 광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Powder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산 광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장품산업에 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천연산 광물로는 자철석, 적철석, 활석, 운모, 카올린, 실리카, 세리사이트, 석고, 맥반석 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한 광물분체는 주로 색조화장품(페이스파우더, 화운데이션 ,블러셔 아이세도우, 네일 에나멜), 팩, 자외선차단제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이외에 말라카이트, 흑요석, 진주, 산호, 자수정, 호박, 금 등은 기초화장품 및 고기능성 화장품에도 일부 사용되고 있다.
천연산 광물의 피부에 대한 효과를 보고한 논문으로는 활석, 견운모, 양기석, 적석지를 주요 구성 성분으로 한 광물성 미네랄혼합물이 사람 피부세포에 미치는 광보호 효과 및 주름개선 효능을 평가한 "사람피부 세포에 대한 광물성 미네랄 혼합물의 노화 방지 효과"(강동규,2006)와 흰쥐의 피부 창상에 광물성 미네랄 도포가 혈관 및 상피 재생, 섬유증식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고한 "광물성 미네랄이 흰쥐 전층 피부창상 치유에 미치는 효과"(최광만, 이창원, 이미영, 2008) 등이 있으나 인체 피부에 직접 적용한 임상 연구사례(in vivo)는 거의 미미하다.
또한, 일라이트와 관련된 연구 또한 중금속 및 유기질 흡착, 유독가스 흡착 분해, 원적외선 방사, 아토피 등 피부질환 개선, 항균 및 항바이러스, 신진대사 촉진 등 효능은 많이 소개되고 있으나 인체에 적용하여 효과가 입증된 임상실험 연구는 학술적으로 보고된 것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여드름은 염증성과 비염증성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흔히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다. 박초희의 연구에 의하면, 여드름은 우리나라 피부과 환자의 68%를 차지하는 흔한 피부질환으로, 의학적인 치료방법으로는 항생제의 복용과 국소도포, 주사요법 등 항염 및 항균효과에 중점을 두고 치료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박초희 등, 2012).
여드름 발생의 병인으로 모낭벽의 과각화, 피지분비의 증가, Propionibacterium acne의 증식, 염증유발 등이 언급되며 최근 최응호의 연구에서는 이들 4가지 외에 피부장벽 이상으로 인해 여드름이 발생하는 기전을 추가적인 병인으로 제시하고 있다(최응호, 2006).
현재까지 보고된 여드름 개선과 관련된 임상연구에는 이온 영동법, 아로마 에센셜 오일, 천연 추출물, 초음파기기, 글리콜릭산, MTS, 메디컬 치료를 적용한 실험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화학약품이나 스테로이드제 등으로는 재발 빈도가 높고 내성이 생기는 등 부작용이 발생한다. 환경오염 및 호르몬 불균형 등으로 인해 성인기 여드름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성인기 여드름은 대인기피증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더욱 관리방법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는 천연산 광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기초화장료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내 유해물질들을 흡착하여 피부조직을 재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무해 천연산 광물 분체를 포함함으로써 기초화장품으로서 그 기능이 최대한 발현되어 생명력 있는 피부가 만들어질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기초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점토광물 분체 및 수산화철 분체를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 분체 80 내지 97중량% 및 상기 수산화철 분체 3 내지 20중량%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불석, 캐올리나이트 또는 파이로필라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철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광물이다.
[화학식]
FeO(OH)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 분체 및 상기 수산화철 분체는 5㎛ 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을 분산된 상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수 분산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매 1부피부 당 상기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은 0.5 내지 5부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의하면, 피부내 유해물질들을 흡착하여 피부조직을 재생시키는 기능을 가진 무해 천연산 광물 분체를 포함함으로써 기초화장품으로서 그 기능이 최대한 발현되어 생명력 있는 피부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2는 기존에 알려진 일라이트 분체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점토광물 분체 및 수산화철 분체를 동시에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분산된 상태로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에 있다.
즉,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 분체의 시너지효과로 각각을 별로도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하게 여드름 개선, 피부 리프팅과 탄력(콜라겐 결합)향상, 지성피부 개선, 피부염증 감소, 피부 미백 효과 , 피부 재생, 중금속 흡착, 필링 효과, 방사능 흡착, 피부 색소 완화, 유기 오염물 흡착, 보습 및 유분 흡착, 모공 축소 등 다양한 피부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은 점토광물 분체 및 수산화철 분체를 포함한다.
먼저, 점토광물은 거의 모든 종류의 암석에서 주로 2차적인 변질광물로서 흔히 산출되며 결정구조는 층상구조이며 SiO₄사면체 시트와 AlO6 팔면체시트의 결합에 의해 1:1형, 2:1형, 혼합층형 등으로 나뉜다. 점토광물들은 결정구조와 결정화학적인 차이에 따라 illite group, smectite group, kaolinite group, talc & pyrophyllite group으로 나눌 수 있다. 점토광물의 특성은 층상의 구조적인 특징과 연관되는데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1)점토광물의 표면이나 층간, 구조적 공극에 많은 물이 흡착되며 이러한 수화과정에서 부피가 팽창하는 성질을 가진다. 2) 100~150도 정도로 가열시 쉽게 탈수된다. 3) 유기분자를 층간에 흡착하는 특성을 가진다. 4) 미립이어서 단위표면적이 크며 콜로이드적 성질을 가진다. 5) 양이온 교환 능력이 있다. 6)약하고 부드러운 물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점토광물들의 피부에 대한 작용은 양이온 교환 성질에 의한 독소제거, 유기물과 반응하여 노폐물 흡착, 항균작용에 의한 염증감소, 세정작용에 의한 각질 및 미백효과, 항산화 작용, 신진대사 활성, 혈액순환 원활, 수분 조절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석영, 장석과 함께 황토의 주 구성광물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에 포함되는 점토광물은 점토광물이기만 하면 제한이 없으나, illite group, smectite group, kaolinite group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불석, 캐올리나이트 또는 파이로필라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기계적 분쇄 및 수비(습식)정제, 살균과정을 거쳐 제조되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일라이트 분말은 피부에 독성이 없으며 피부정화(피지,유기물질 흡착), 양이온 효과(셀룰라이트 분해), 원적외선(세포활성에 도움), 자외선 차단, 중금속 및 노폐물 흡착제거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산화철 분체는 철의 수산화물 분체이기만 하면 사용 가능하나, 특히 화학식이 FeO(OH) 인 천연산 광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학식을 가진 천연산 광물로는 침철석(goethite) ,레피도크로사이트(lepidocrosite), 아카가네아이트(akaganeite), 페리하이드라이트(ferrihydrite) 등이 있다.
특히, 침철석(FeO(OH))은 황색 및 갈색을 띠는 황토의 색을 나타나게 하는 광물이며 토양에 광범하게 함유되어 있어, 철(산수)산화물들 중에서 지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안정된 광물로 알려져 있다. 천연산 침철석은 거의 항상 세립질 집합체로 산출하는데 보통 괴상, 포도상, 종유석상, 구상을 이루고 있다. 색은 괴상 집합체로 산출될 때에는 흑갈색을 띠지만 세립 분말로 산출될 때에는 황갈색을 보여 준다. 침철석은 일반적으로 함철광물의 풍화 산화물로 산출된다. 침철석은 Fe3+가 O2- 및 OH-와 배위결합을 하고 있으며 FeO3(OH)3 팔면체들이 두 줄로 c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소위 복쇄상(double chain)구조를 이루고 있다.
침철석은 무기 및 유기 오염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비소와 같은 산음이온(oxyanions)형태의 오염 물질들과 유해한 중금속들에 대한 친화력이 크고 산출빈도가 크므로 환경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은 상술된 특성을 갖는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분체의 시너지효과를 위하여 점토광물 분체 80 내지 97중량% 및 수산화철 분체 3 내지 20중량%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점토광물 분체 및 수산화철 분체는 10㎛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특히 5㎛ 이하 내지 적어도 수나노미터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분체는 용매에 분산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할 뿐만 아니라 특정크기 범위내에서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분체가 상호작용하여 피부개선에 상승작용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상술된 특징을 갖는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을 분산된 상태로 포함함으로써 피부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용매에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분체가 분산되어 포함된 것이다. 필요에 따라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스킨케어용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 보습 또는 습윤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달맞이꽃 오일, 보리지 오일, 호호바 오일, 알로에베라젤, 비타민 F, 판테놀, 및 그 혼합물,
(2) 치유/활력/재생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비타민나무 (Hippophae, Sea Buckthorn) 오일, 차나무 오일, 비타민 A, 알란토인 및 유도체, 카로티노이드, 캐롯시드추출물과 오일, 파촐리에센샬 오일, 및 그 혼합물,
(3) 탈색(미백)/라이트닝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감초 (Licorice (Gycyrrhiza Glabra) root)추출물, 알부틴, 코지산, 하이드로퀴논, 베타-하이드록시산 예컨대 살리실산, 알파하이드록시산, 비타민 C 및 유도체, 및 그 혼합물,
(4) 항산화/자유라디칼 제거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비타민 E, 토코트리에놀, 토코페롤, 비타민 F,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루틴, 레스베라트롤 및 그 유도체, 카멜리아 시넨시스 잎 추출물 (녹차 또는 홍차), 포도씨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보리지 오일, 생강에센샬 오일, 커큐민, 키토산, 카로티노이드, 및 그 혼합물,
(5) 쿨링 및 진정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멘톨, 알로에 바르바덴시스 잎 추출물, 장뇌, 메틸살리실레이트, 멘틸락테이트, 알란토인, 비스아발올, 카모마일 추출물 및 에센샬 오일, 달맞이꽃 오일, 보리지 오일, 유칼립투스 시트리오도라 에센샬 오일, 파촐리에센샬 오일, 판테놀, 및 그 혼합물,
(6) 온감제(warming agent)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후추 추출물 및 에센샬 오일, 파프리카 (레드페퍼) 추출물, 시나몬 추출물 및 에센샬 오일, 생강추출물 및 에센샬 오일, 제올라이트; 및 그 혼합물,
(7) 마취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알로에 바르바덴시스 젤 (알로에베라젤), 벤조케인, 리도케인, 디부케인, 프라목신, 테트라케인,장뇌, 레소르시놀 및 그 혼합물,
(8) 선스크린/선블록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p-아미노벤조산 (PABA) 및 그 에스테르, 벤잘프쌀라이드, 벤조페논, 시나메이트, 에토크릴렌, 옥토크릴렌, 살리실레이트, 포도씨추출물, 티타늄 디옥사이드,산화 아연, 및 그 혼합물,
(9) 무햇볕 태닝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1,3-디하이드록시아세톤, 멜라닌, 마하칸니, 에리쓰룰로스, 5-하이드록시-1,4-나프쏘퀴논, 5-하이드록시-1,4-나프쏘퀴논, 및 그 혼합물,
(10) 방부제 예컨대,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꿀, 커큐민, 캡탄, 클로르헥시딘 및 그 유도체, 헥사클로로펜, 트리클로산, 트리아세틴, 소디움 우스네이트, 황, 및 그 혼합물, 및
(11)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라벤더, 네롤리 향수 오일, 캐모마일 에센샬 오일, 생강 에센샬 오일, 파촐리 에센샬 오일, 유칼립투스 시트리오도라 에센샬 오일, 로즈마리 에센샬 오일, 샌달우드 에센샬 오일, 차나무 오일,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향수/방향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는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분체를 분산시킬 수 있고 화장료로 사용되기에 적합하기만 하면 공지된 수성 및 유성용매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제수를 사용하여 분산시켰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부개선용분체조성물의 함량은 용매 1부피부 당 0.05부피부 내지 5부피부일 수 있다. 피부개선용분체조성물의 함량범위는 화장품의 종류 및 피부개선기능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것으로, 0.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피부개선기능이 가시적으로 보여지지 않으며 5부피부를 초과하게 되면 효과는 상승하지 않지만 화장료 제형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원재료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베이비파우더, 페이스파우더, 파우더블러셔, 팩, 비누, 입욕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여드름 개선, 피부 리프팅과 탄력(콜라겐 결합)향상, 지성피부 개선, 피부염증 감소, 피부 미백 효과 , 피부 재생, 중금속 흡착, 필링 효과, 방사능 흡착, 피부 색소 완화, 유기 오염물 흡착, 보습 및 유분 흡착, 모공 축소 등 다양한 피부개선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피부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1
5㎛ 이하로 가공된 일라이트분체 97중량%와 5㎛ 이하로 가공된 침철석 3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5㎛ 이하로 가공된 일라이트분체 90중량%와 5㎛ 이하로 가공된 침철석 1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5㎛ 이하로 가공된 일라이트분체 80중량%와 5㎛ 이하로 가공된 침철석 20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정제수 3ml 당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 7.5ml을 섞어서 균일하게 배합하여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4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도가 7~28㎛ 범위를 갖는 일라이트분체를 준비하여 비교예분체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정제수 3ml 당 비교예 분체조성물 10ml를 섞어서 균일하게 배합하여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과 비교예1에서 제조된 비교예분체조성물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을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로부터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의 분체크기가 10㎛ 범위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과 비교예1에서 제조된 비교예분체조성물을 각각 X선형광분석(XRF)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비교예분체조성물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
SiO2 49.50 52.49
Al2O3 31.62 25.87
Fe2O3 2.79 6.75
TiO2 0.30 0.75
MgO 0.45 0.81
MnO 0.01 0.10
CaO 0.03 0.23
Na2O 0.39 0.62
K2O 9.45 6.60
P2O5 0.05 0.13
Ig. loss 5.17 5.47
99.76 99.82
표1로부터, 비교예분체조성물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은 노폐물 및 피지제거에 효과가 있는 SiO2 함량, 콜라겐결합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는 Fe2O3 함량, 해독과 안정 효과가 있는 Ca 함량, 노폐물 배설촉진, 콜라겐결합에 효과가 있는 Mg함량, 삼투압 조절, 수분균형에 영향을 주는 Na함량이 많게는 10배까지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1. 실험방법
안면에 구진, 농포, 결절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형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 Grade 1-3에 해당하는 지성피부 타입의 20-30대 성인 남자 40명, 여자 50명을 각각 30명씩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1을 사용하는 I그룹,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2를 사용한 II그룹 및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3을 사용한 III그룹으로 분류하여 6주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Spilt face approach방법을 적용하여 얼굴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시료를 적용하여 두 가지 시료의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으로 실험 대상자들에게 6주 분량의 시료와 팩 붓, 고무볼, 해면, 스파출라 등을 제공하여 홈케어로 주3회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고 세안하도록 하였다. 이 때 실험대상자들에게 각각의 시료를 팩으로 사용하기 알맞은 정해진 비율의 정수된 물에 혼합하여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1 내지 3을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1회 분량씩 나누어 하기와 같은 사용 설명서와 함께 피험자들에게 제공하였다.
<사용설명서>
* 반드시 주3회 사용한다. (날짜 간격은 관계없음)
1. 제품을 사용하기 전 반드시 본인이 사용하는 클린징 제품으로 얼굴을 청결히 닦아낸다.
2. 시료 1 (비교예분체조성물)1회 분량(2Teaspoon)과 정수된 물 3cc를 고무볼에 담아 스파출라로 저어 섞는다.
3. 시료2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1 내지 3) 1회 분량(1.5Teaspoon)과 정수된 물 3cc를 고무볼에 담아 스파출라로 저어 섞는다.
4. 깨끗이 세척된 마른 팩 붓을 이용하여 1의 혼합물을 모두 사용하여 눈 주위를 제외 하고 왼쪽 얼굴표면에 여러 번 겹쳐 바른다.
5.깨끗이 세척된 마른 팩 붓을 이용하여 2의 혼합물을 모두 사용하여 눈 주위를 제외 하고 오른쪽 얼굴표면에 여러 번 겹쳐 바른다.
6. 안정을 취하고 15분 경과 후 해면을 미온수에 적셔 부드럽게 닦아낸다. (20분 이상 경과시 얼굴이 심하게 당길 수 있음)
7.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기초화장품으로 마무리 한다.
실험자들의 피부 관리 방법은 특정 제품을 사용할 경우 실험 대상자의 피부에 맞지 않아 과민반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 실험 대상자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홈케어 제품을 실험기간 6주 동안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피부측정은 실험 전과 2주, 4주, 6주차에 실시하여 총 4회 진행하였으며 이때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모공상태 측정, 전문가에 의한 여드름 견진 및 여드름 부위 사진촬영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측정값은 Friedman test를 사용하였고,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Bonferroni method에 의하여 사후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측정값 비교 시에는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6주차에 설문을 통하여 주관적 피부 변화에 대한 만족도와 피부 자극유무, 시료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즉, 실험 종료 후에 실험대상자가 느끼는 주관적 평가는 3가지 문항으로 분류되어 항목별 피부상태에 대한 변화 10항목 , 피부 자극 유무 및 종류, 시료 선호도(피부개선 및 사용감 관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항목별 주관적 효과 평가에서는 피부톤, 피부 촉촉함, 피부 각질, 피부 당김, 기초화장품 흡수 정도, 화장 잘 받음 정도, 피부 번들거림, 산화된 피지, 모공 크기, 피부 만족도 개선 정도에 대하여 아주 좋음(5), 좋음(4), 보통(3), 나쁨(2), 아주 나쁨(1)의 5단계의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가설평균 차는 5%(p<0.05)로 하여 유의성을 확인했다.
2. 실험결과
(1)피부 수분 함유량의 측정결과 및 변화량 비교결과
(Mean±SD)
방문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0주 52.00±14.10 54.34±11.67
2주 56.44±8.16 59.74±12.49
4주 57.50±11.53 60.59±10.69
6주 65.27±10.46 65.27±8.87
표2로부터 피험자의 피부 수분 함유량은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부위와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부위 모두 제품 사용 후 6주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품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8.54 10.58 25.53
비교예화장료조성물 9.94 11.51 20.12
※ 변화율(%)=(after-before)/beforeㅧ100
또한, 표 3으로부터 두 군간의 피부 수분 함유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의 경우 6주 이후에 수분 함유량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 실험기간 지속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실험 6주 이후 수분함유량이 더욱 증가되고 있는 것은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의 적용이 각질, 노폐물 및 유분흡착을 원활히 함으로써 과각화된 각질을 정상적인 피부재생주기로 유도하여 피부 수분함유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되며 유분감소율이 더 많이 나타난 실험군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여졌다.
(2) 피부 유분 함유량의 측정결과 및 변화량 비교결과
(Mean±SD)
방문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0주 97.56±50.11 102.67±53.55
2주 104.11±54.32 99.11±41.94
4주 82.78±30.71 78.33±33.19
6주 52.44±23.89 60.44±21.88
제품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6.72 -15.15 -46.24
비교예화장료조성물 -3.46 -23.70 -41.13
※ 변화율(%)=(after-before)/beforeㅧ100
표 4 는 피부 유분 함유량은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부위와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부위 모두 제품 사용 후 6주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6주 후에서 p<0.017(=5%/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4주 이후로 유분 함유량 감소효과가 더 커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적용으로 인해 정상적인 턴오버 주기를 유도하여 과각화되어 정체되어 있던 유분의 흡착이 가속화된 것으로 사료되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이 비교예화장료조성물보다 화학적 조성 성분상 SiO2(산화규소)와 Mg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이병임의 연구에서 SiO2(산화규소)와 Mg이 노폐물 및 피지제거기능을 가진다고 한 것과 연관이 있으며 두 시료들의 유분과 유기물의 흡착기능과 피부정화능력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었다고 예측된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유분 변화량를 비교하기 위하여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사용 2주, 4주, 6주의 평균차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를 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의 경우 4주 이후에 유분 함유량 변화율이 가파르게 감소하는 현상이 보여 실험기간의 연장에 따라서 유의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3)피부 모공의 변화 측정결과 및 변화량 비교결과
하기 표 6은 피험자의 피부 모공 개수는 특히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를 사용한 부위에서 제품 사용 후 2주, 4주, 6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은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4주, 6주후 모두 p<0.017(=5%/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Mean±SD)
방문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0주 20.67±10.16 12.44±13.43
2주 16.44±8.16 11.78±12.00
4주 14.44±7.58 11.44±12.62
6주 12.67±7.16 11.33±11.58
제품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20.43 -30.11 -38.71
비교예화장료조성물 -5.36 -8.04 -8.93
※ 변화율(%)=(after-before)/beforeㅧ100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모공 변화 차이를 비교하기 알기 위하여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사용 2주, 4주, 6주의 평균차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확률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차적으로 두 군 모두 시료 적용 후 묵은 각질과 노폐물, 유분, 각질이 흡착되어 막혀있던 모공이 비워지면서 모공이 줄어든 것으로 보여지며, 2차적으로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이 비교예화장료조성물보다 콜라겐 결합기능을 가지고 있는 Fe2O3(산화철), Mg(마그네슘)의 함량을 더 많이 가지고 있어 콜라겐 결합에 도움을 주어 피부에 탄력이 생겨 모공이 큰 폭으로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은 모공 개선효과가 뛰어나지만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은 모공 개선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여드름 유형에 따른 상태 변화 및 변화량 비교결과
① 구진의 개수
(Mean±SD)
방문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0주 20.67±10.16 12.44±13.43
2주 16.44±8.16 11.78±12.00
4주 14.44±7.58 11.44±12.62
6주 12.67±7.16 11.33±11.58
제품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21.43 -25.51 -52.04
비교예화장료조성물 -13.64 -27.27 -55.45
※ 변화율(%)=(after-before)/beforeㅧ100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험자의 구진 개수는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부위에서 사용 6주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부위에서 제품 사용 후 4주, 6주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구진 개수 변화를 사후 검정한 결과,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및 비교예화장료조성물 모두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6주 후에 p<0.017(=5%/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구진 개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및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의 사용 2주, 4주, 6주의 평균차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를 검정을 실시한 결과, 표 9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음을 알 수 있다.
②농포의 개수
(Mean±SD)
방문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0주 3.00±2.24 2.67±1.87
2주 2.11±2.20 1.67±1.50
4주 4.00±4.97 2.00±2.35
6주 3.44±4.33 2.11±3.22
제품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29.63 33.33 14.81
비교예화장료조성물 -37.50 -25.00 -20.83
※ 변화율(%)=(after-before)/beforeㅧ100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포 개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의 경우 0주에서 3.00±2.24, 2주, 4주 및 6주에서 각각 2.11±2.20, 4.00±4.97, 3.44±4.33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은 0주에서 2.67±1.87, 2주, 4주 및 6주에서 각각 1.67±1.50, 2.00±2.35, 2.11±3.22로 나타났으며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표 9는 실험 후 두 군간의 농포 개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③결절의 개수
(Mean±SD)
방문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0주 1.22±1.56 0.67±1.12
2주 1.00±1.41 1.00±1.12
4주 0.44±1.33 0.56±0.73
6주 0.33±0.71 0.44±1.01
제품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18.18 -63.64 -72.73
비교예화장료조성물 50.00 -16.67 -33.33
※ 변화율(%)=(after-before)/beforeㅧ100
결절 개수의 변화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과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및 비교예화장료조성물 모두 결절 개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결절 개수 변화를 검정한 결과,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및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두 군간의 결절 개수 변화를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및 비교예화장료조성물 사용 2주, 4주, 6주의 평균차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를 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상술된 여드름 유형에 따른 상태 변화 및 변화량 비교결과로부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이 비교예화장료조성물보다 여드름에 대한 개선효과가 더 클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여드름 유형에 따른 상태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는데 여드름의 단계에 따라 각각 다른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즉 구진의 경우 횟수증가에 따른 개선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이 더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농포의 경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은 0주차에 비해 6주차에 오히려 개수가 늘어났으나 4주차에 늘어났다가 6주차부터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은 차츰 줄어들었으나 모두 유의한 변화가 아니었다. 결절은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및 비교예화장료조성물 모두 개선되었으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더 개선효과가 컸으나 유의한 변화와 차이는 아니었다. 그러나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실험 6주차 이후부터 구진, 농포, 결절 모든 유형에서 개선율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6주이상의 실험기간이 주어진다면 유의한 결과가 검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된 실험결과는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에 포함된 천연산 광물분체가 광물성 미네랄 성분 즉 무기질을 함유하여 염증 감소 및 피부조직의 재생 효과를 나타나는데 상승작용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5)주관적 평가결과
① 항목별 피부 상태 변화 비교결과
실험 종료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피부 상태 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모두 10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구성된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실험결과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가 만족스러운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4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개선용화장료
조성물
비교예화장료
조성물

Z

p
Mean±SD Mean±SD
피부톤 맑음 3.22±1.09 3.00±1.00 -0.975 0.393
피부 촉촉함 3.44±1.13 3.22±1.09 -0.747 0.579
피부 각질 감소 3.33±1.22 3.33±1.00 -0.125 0.912
피부 당김 개선 3.44±1.01 3.22±1.09 -0.627 0.579
기초화장품 흡수 정도 3.56±0.73 3.33±1.00 -0.448 0.739
화장 잘 받음 3.11±0.93 3.33±1.12 -0.166 0.912
피부 번들거림 감소 3.44±1.01 3.56±1.13 -0.312 0.796
모공 크기 감소 3.00±0.71 2.89±0.93 -0.123 0.912
산화된 피지 감소 2.89±0.93 3.00±1.00 -0.572 0.631
피부에 대한 만족도 3.33±1.12 3.22±1.09 -0.334 0.796
표 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피부톤 맑음, 피부 촉촉함, 피부 당김 개선, 모공 크기 감소, 피부에 대한 만족도 항목에서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의 평가 점수가 더 높았다. 화장 잘 받음, 피부 번들거림 감소, 산화된 피지 감소 항목은 비교예화장료조성물대조군의 평가 점수가 더 높았으며, 피부 각질 감소 항목은 평가 점수가 동일하였다.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과 비교예화장료조성물 간의 평가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② 피부자극 증상 비교결과 (정도, 종류)
설문조사를 통하여 시료 사용 후 피부 자극 정도와 종류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자극 증상에 대한 항목별 답변과 답변에 대한 피험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표15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 정도에 대한 설문평가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에서 피부자극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10명이었으며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0%,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을 사용한 실험군에서 11.1%로 나타났다. 피부자극 증상은 붉어짐, 건조함이었다.
피부자극증상 중 붉어짐과 건조함은 실험 후 두 군 모두에서 수분함유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볼 때 원료에 의한 독성반응보다는 민감한 피부에 시료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피부가 당겨져 생긴 현상으로 보여지며 피부타입에 따라 적용시간을 적절하게 줄여서 조정하고 제형 개발 시 보습, 진정기능을 함유한 성분을 함께 적용한다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주간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으로도 홍반, 발진 및 소양감 등 피부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은 피부자극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화장품 원료로서 활용가치가 기대된다.
구분 백분율(%)
피부 자극을 경험하셨습니까? 그렇다 11.1
그렇지 않다 88.9
피부 자극 증상이 있었다면 어느 부위에 있었습니까? 왼쪽(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11.1
오른쪽(비교예화장료조성물) 0.0
양쪽 모두 0.0
피부자극 증상이 있었다면 증상이 무엇입니까?
(복수 선택 가능)
따가움 0.0
가려움 0.0
각질이 일어남 0.0
통증 0.0
붉어지거나 화끈거림 0.0
부어오름 0.0
뾰루지가 생김 0.0
좁쌀같은 것이 남 0.0
붉어짐 11.1
③ 시료 선호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험 종료 후 피부개선효과 및 사용감에 따른 시료 선호도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항목별 답변의 설문 값과 답변에 대한 피험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시료 선호도에 대한 설문평가 결과, 피험자의 80% 이상이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와 사용감이 비교예화장료조성물대조군보다 우수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백분율(%)
두 가지 시료 중 어느 것이 피부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느끼셨습니까? 비교예화장료조성물 11.1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88.9
두 가지 시료 중 어느 것이 사용감이 좋다고 느끼셨습니까? 비교예화장료조성물 11.1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 88.9
앞서 5점 척도로 실시한 항목별 주관적 효과 평가에서는 각 군간 비교에서 항목에 따른 평가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피부에 대한 만족도' 항목은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이 66.7% 비교예화장료조성물이 55.6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명목척도로 조사된 시료 선호도 평가에서는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이 우세한 결과로 차이가 나타났다.
상술된 실험결과들로부터,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분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이 점토광물분체만을 포함하는 비교예화장료조성물과 비교하여 지성피부에 상태개선에 더욱 효과적이며 피부자극이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임상실험의 측정결과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유분도, 수분도, 모공, 여드름의 개선율이 실험 6주차 이후에도 크게 증가되어 피부개선용화장료조성물의 지성피부에 대한 지속성 있는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는 일라이트의 화장품으로서 품질 평가에 있어서 철분을 제거한 백색의 일라이트 광석이 고품위로 활용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화장품 시장에서 일라이트를 포함한 점토광물분체와 수산화철분체의 상승작용을 간접적으로 입증함으로써 지성피부개선에 효과적인 화장품 제형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점토광물 분체 및 수산화철 분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점토광물 분체 80 내지 97중량% 및 상기 수산화철 분체 3 내지 20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은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불석, 캐올리나이트 또는 파이로필라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철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조성물.
    [화학식]
    FeO(OH)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광물 분체 및 상기 수산화철 분체는 5㎛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조성물.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분체조성물을 분산된 상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조성물은 수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용매 1 부피부 당 상기 분체조성물은 0.5 내지 5 부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0130072856A 2013-06-25 2013-06-25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517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56A KR101517476B1 (ko) 2013-06-25 2013-06-25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56A KR101517476B1 (ko) 2013-06-25 2013-06-25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93A KR20150000593A (ko) 2015-01-05
KR101517476B1 true KR101517476B1 (ko) 2015-05-04

Family

ID=5247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856A KR101517476B1 (ko) 2013-06-25 2013-06-25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4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21B1 (ko) * 2000-08-31 2008-04-24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신규 복합 분체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21B1 (ko) * 2000-08-31 2008-04-24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신규 복합 분체 및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93A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thana et al. Polyvinyl alcohol (PVA) mixed green–clay and aloe vera based polymeric membrane optimization: Peel-off mask formulation for skin care cosmeceuticals in green nanotechnology
US7700079B2 (en) Therapeutic soap product with UV protection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JP7290912B2 (ja) 絹ベース湿潤剤組成物、及びその方法
KR101996253B1 (ko)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omc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Velasco et al. Characterization and Short-Term clinical study of clay facial mask
DE102017010930A1 (de) Topische Zubereitungen
Aglaw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face pack
KR101627542B1 (ko)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8258A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17476B1 (ko) 피부개선용 분체조성물 및 상기 분체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103529B1 (ko) 유아용 기능성 비누 조성물
Londh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Clay Face Pack.
KR20170010499A (ko) 달팽이 점액 발효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개선 및 높은 피부 흡수율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기능성 화장품
Avhad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Face Pack
RU2320317C2 (ru) Набор косметических масок
KR100760325B1 (ko) 규산염 광물을 이용한 미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미용용 팩
KR20100043744A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CN102415981A (zh) 红景天美容面膜
US20220401353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KR20200036411A (ko) 초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Matsui et al. The interaction of metals and the skin: The good, bad, and the ugly
Dav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Face Scrub containing Coffea arabica Linn, Myristica fragrans, and Lens culinaris as an Antioxidant and Antiseptic Activity
KR20070003531A (ko) 황토젤
US7569210B2 (en) Therapeutic soap product with UV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