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435A -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435A
KR20190013435A KR1020180027593A KR20180027593A KR20190013435A KR 20190013435 A KR20190013435 A KR 20190013435A KR 1020180027593 A KR1020180027593 A KR 1020180027593A KR 20180027593 A KR20180027593 A KR 20180027593A KR 20190013435 A KR20190013435 A KR 2019001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smetic composition
fine dust
removing harmful
heavy m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1142B1 (ko
Inventor
이승규
허용기
Original Assignee
(주)엘에스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스화장품 filed Critical (주)엘에스화장품
Publication of KR2019001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 상태의 금속과 결합이 용이한 킬레이팅 성분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유해 성분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제수,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EDTA 0.01 ~ 10 % , Cyclodextrin 0.01 ~ 10 % , Sodium Phytate 0.01 ~ 10 %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A chelating cosmetic composition effective for removing harmful heavy metals among fine dust and yellow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 상태의 금속과 결합이 용이한 킬레이팅 성분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유해 성분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그에 따라 세계적으로 화장품에 대한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피부 미용에 대한 제품 뿐 아니라 특정 기능성이 포함된 화장품들의 출시가 계속되고 있어 여러 분야의 연구 결과들을 화장품 산업에 접목하려는 노력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황사나 미세먼지 피해가 계속되고 있어 관련 산업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황사나 미세먼지 중 지름이 10㎛ 보다 작고, 2.5㎛ 보다 큰 입자를 미세먼지라고 하고 지름이 2.5㎛ 이하의 입자는 초미세먼지라고 한다. 입자의 성분이 인체의 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주로 탄소, 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 곰팡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코와 기도를 거쳐 기도 깊숙한 폐포에 도달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을수록 폐포를 직접 통과해서 혈액을 통해 전신적인 순환을 할 수 있다.
급성 노출 시에는 기도의 자극으로 인한 기침과 호흡 곤란이 발생하며, 천식이 악화되고 부정맥이 발생한다. 만성 노출 시에는 폐기능이 감소하고 만성 기관지염이 증가하고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심장이나 폐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심지어 건강한 성인이어도 높은 농도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이런 증상들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미세먼지에 의해 세기관지에 염증 반응이 유발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기도와 폐에서 박테리아를 불활성화하거나 제거하는 인체의 방어 작용을 방해함으로써 호흡기계 감염을 초래하게 한다. 미세먼지에 의한 심혈관질환의 발생은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장애와 혈액 응고 능력의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황사 또는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이 피부 모공에 축적되면 피부트러블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폐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금속 이온과 결합력이 좋은 킬레이팅 성분 (Chealating agent)을 배합한 화장품 조성물을 고안하게 되었다. 킬레이트(Chealate)란 새우나 게의 집게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Chela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중심 금속을 리간드가 집게처럼 물고 있는 모양을 뜻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한 개의 리간드가 금속 이온과 두 자리 이상에서 배위결합을 하여 생긴 착이온을 뜻한다. 킬레이트 성분은 보통 반응성이 좋아 피부 자극을 유발하려는 경향이 있어 화장품 제조 시 종류와 함량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463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275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조성물에 EDTA, Cyclodextrin, Sodium Phytate 등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배합하여 황사나 미세먼지 속 유해 중금속이 피부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제수,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EDTA 0.01 ~ 10 % , Cyclodextrin 0.01 ~ 10 % , Sodium Phytate 0.01 ~ 10 %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정제수 35 ~ 85 %, 보습제 1 ~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조성물에 EDTA, Cyclodextrin, Sodium Phytate 등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배합하여 황사나 미세먼지 속 유해 중금속이 피부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자극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온 상태의 금속과 결합이 용이한 킬레이팅 성분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유해 성분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EDTA, Cyclodextrin, Sodium Phytat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EDTA는 금속이온과 안정한 수용성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게 되어 피부에 축적된 황사 또는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0.01 ~ 10 %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0.01 % 미만에서는 EDTA의 유효한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10 % 초과에서는, 효과의 증가는 없으면서도 제제화에 어려움, 제품 사용감 저하, 피부자극 증가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Cyclodextrin은 금속이온과 안정한 수용성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게 되어 피부에 축적된 황사 또는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0.01 ~ 10 %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0.01 % 미만에서는 Cyclodextrin의 유효한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10 % 초과에서는, 효과의 증가는 없으면서도 제제화에 어려움, 제품 사용감 저하, 피부자극 증가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Sodium Phytate는 금속이온과 안정한 수용성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게 되어 피부에 축적된 황사 또는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0.01 ~ 10 %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0.01 % 미만에서는 Sodium Phytate의 유효한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10 % 초과에서는, 효과의 증가는 없으면서도 제제화에 어려움, 제품 사용감 저하, 피부자극 증가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과 관련 어느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시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형 제형, 유중수형 제형 또는 연고 등의 화장품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해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렌징 워터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정제수 77.94%, PEG-7 Glyceryl Cocoate 4%, PEG-6 Caprylic/Capric Glycerides 5%, Dipropylene Glycol 10%, 1,2-Hexanediol 1%, Citric acid 0.01%, Phenoxyethanol 0.3%, EDTA-2Na 0.05%, Cyclodextrin 1%, Sodium Phytate 0.5%, 향료 0.2%로 구성하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에 축적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금속 등의 이물질 제거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EDTA, Cyclodextrin 및 Sodium Phytate 함량을 갖는 네 가지 종류의 클렌징 워터(S1,S2,S3,S4)를 제조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구 분 S1 S2 S3 S4
D.I.Water 77.94 % 78.74 % 78.94 % 78.44 %
PEG-7 Glyceryl Cocoate 4 % 4 % 4 % 4 %
PEG-6 Caprylic/Capric Glycerides 5 % 5 % 5 % 5 %
Dipropylene Glycol 10 % 10 % 10 % 10 %
1,2-Hexanediol 1 % 1 % 1 % 1 %
Citric acid 0.01 % 0.01 % 0.01 % 0.01 %
Phenoxyethanol 0.3 % 0.3 % 0.3 % 0.3 %
Disodium-EDTA 0.05 % - 0.05 % 0.05 %
Cyclodextrin 1 % 0.5 % - 1 %
Sodium Phytate 0.5 % 0.25 % 0.5 % -
Fragnance 0.2 % 0.2 % 0.2 % 0.2%
실험용 돼지 피부로는 메디키네틱스社의 MICROPIG® 을 사용하였고, 중금속 및 미세먼지 시료로는 시그마 알드리치社의 Fine Dust (PM-10 like)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과정은, 먼저, 실험용 돼지피부를 10×10 mm 단위로 커팅하고, 깨끗한 50 ml 비커 4개에 각각 준비된 네 종류의 클렌징 워터(S1,S2,S3,S4) 30 ml, Fine Dust 1 mg을 넣은 후 돼지피부를 넣어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4개의 비커를 각각 볼텍스 믹서로 약하게 10초 정도의 동일시간 동안 교반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Fine Dust가 도포된 돼지피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동일 단위면적 세 부위(단위면적 1,2,3)의 파티클 수를 카운트 하였다.
아래 (표 2)는 상기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EDTA, Cyclodextrin 및 Sodium Phytate를 모두 포함한 클렌징 워터(S1)가 다른 비교군 즉, 상기 세 가지 성분 중 한 가지 성분이 각각 제외된 다른 클렌징 워터(S2,S3,S4)에 비해 파티클 수가 확실히 감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구 분 S1 S2 S3 S4
단위면적 1 12 45 59 48
단위면적 2 15 41 48 45
단위면적 3 10 47 61 51
평 균 12.3 44.3 56 48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의하면, EDTA, Cyclodextrin, Sodium Phytate 등의 킬레이트화합물을 배합하여 황사나 미세먼지 속 유해 중금속이 피부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자극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 상태의 금속과 결합이 용이한 킬레이팅 성분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유해 성분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정제수,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EDTA 0.01 ~ 10 % , Cyclodextrin 0.01 ~ 10 % , Sodium Phytate 0.01 ~ 10 %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정제수 35 ~ 85 %, 보습제 10 ~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20180027593A 2017-07-28 2018-03-08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2091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024 2017-07-28
KR20170096024 2017-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435A true KR20190013435A (ko) 2019-02-11
KR102091142B1 KR102091142B1 (ko) 2020-03-19

Family

ID=653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93A KR102091142B1 (ko) 2017-07-28 2018-03-08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9981A2 (en) * 2000-09-11 2002-03-14 Johnson & Johnson Gmbh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elating/sequestering agents and their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
CN104771353A (zh) * 2015-05-08 2015-07-15 山东友励商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面部皮肤深层清洁和护理的凝霜
KR101627542B1 (ko) 2015-07-15 2016-06-13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4631A (ko) 2015-07-03 2017-01-11 김혜정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9981A2 (en) * 2000-09-11 2002-03-14 Johnson & Johnson Gmbh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elating/sequestering agents and their cosmetic and dermatological use
CN104771353A (zh) * 2015-05-08 2015-07-15 山东友励商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面部皮肤深层清洁和护理的凝霜
KR20170004631A (ko) 2015-07-03 2017-01-11 김혜정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7542B1 (ko) 2015-07-15 2016-06-13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142B1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y Antioxidants as potential therapeutics for lung fibrosis
Lin et al.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Haksar et al. Zingiber officinale exhibits behavioral radioprotection against radiation-induced CTA in a gender-specific manner
Chattopadhyay et al. Effect of nicotine on lipid profile, peroxidation & antioxidant enzymes in female rats with restricted dietary protein
Karg et al. Nonenzymatic antioxidants of blood in multiple sclerosis
US7597915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skin allergic conditions and acne
Chander et al. Resveratrol, a polyphenolic phytoalexin protects against cyclosporine-induced nephrotoxicity through nitric oxide dependent mechanism
CA2489932A1 (en) Compositions with anisic acid and glycerides
Gao et al. Amelior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fucoidan and sodium alginate against lead-induced oxidative stress in Sprague Dawley rats
Yang et al. Paraquat-induced free radical reaction in mouse brain microsomes
Hassan et al. An evaluation of hepatotoxicity, nephrotoxicity, and genotoxicity induced by acute toxicity of hexavalent chromium and comparison of the possible protective role of selenium and vitamin E on these effects
KR102091142B1 (ko)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JP2016196419A (ja) 皮膚外用製剤
Ugbaja et al. Lead induced dyslipidemia: The comparative effects of ascorbate and chelation therapy
JP2018172419A (ja) メタロポルフィリン神経学処置
US20060246007A1 (en) Use of osmolytes obtained from extremophilic bacteria the production of inhalable medicaments for the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pulmona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n inhalation device comprising an osmolyte as active agent component
Thephinlap et al. Efficacy of curcuminoids in alleviation of iron overload and lipid peroxidation in thalassemic mice
KR101785600B1 (ko) 망간 착물 화합물 및 비 망간 착물 형태의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200053253A (ko) 피부에 흡착된 유해성분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화장품 조성물
Aminian et al. Enhancement of cisplatin nephrotoxicity by morphine and its attenuation by the opioid antagonist naltrexone
CA2667091A1 (en) Method for correcting a lipid imbalance in a subject
Azab et al.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aqueous extract of Rosmarinus officinal with nicotine resulted in prevention of induced hepatorenal toxicity in guinea pigs
US2023003324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ed decontamination
RU1829897C (ru) Композици дл борьбы с грибами
JP5079257B2 (ja) Burkholderiacepaciaに対する保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