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895B1 -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895B1
KR101308895B1 KR1020110123316A KR20110123316A KR101308895B1 KR 101308895 B1 KR101308895 B1 KR 101308895B1 KR 1020110123316 A KR1020110123316 A KR 1020110123316A KR 20110123316 A KR20110123316 A KR 20110123316A KR 101308895 B1 KR101308895 B1 KR 10130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cosmetic composition
makeup cosmet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551A (ko
Inventor
박명삼
양재호
배정호
김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Priority to KR102011012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8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상의 다공성 성질을 갖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의 다공질 속에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함침시키고,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캡슐화 구상 분체는 3 ~ 8 마이크론의 크기를 갖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100 ~ 200nm 크기의 다공질을 갖게 하고, 이렇게 형성된 다공질 속에 피부의 섬유모세포나 케라틴 세포의 산소 호흡 증가 효과를 갖는 효모 용해 추출물 및/또는 10가지로 구성된 유기농 항노화 보습효능의 추출물을 함침시켜 캡슐화시킨 구상의 분체로써, 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효모 용해 추출물에 의한 피부 세포의 산소 호흡 증가 효과로 파우더 메이크업은 피부에 도포시 피부를 답답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파우더 메이크업을 편안한 느낌을 갖게하며, 10가지 유기농 항노화 보습 성분이 파우더 메이크업 도포 후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항노화 보습 효과를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건조감 없이 10시간 이상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파우더 모양이 구상이지만 내부에 수용성 추출물들이 캡슐화되어 있어 구상의 퍼짐성과 추출물에 의한 밀착감이 조화를 이루어 사용감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Powder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herical powder encapsulated with saccharomyces lysate extract and 10 organic farming ingredients having anti-aging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5 ~ 8 마이크론의 크기를 갖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ylmethacrylate)에 100 ~ 200nm 크기의 다공질을 갖게 하고, 이렇게 형성된 다공질 속에 피부의 섬유 모세포나 케라틴 세포의 산소 호흡 증가 효과를 갖는 효모 용해 추출물 및 10가지로 구성된 유기농 항노화 보습 효능의 추출물을 함침, 캡슐화시킨 구상의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에 있어서 피부에 도포시, 파우더 메이크업 제품이 피부 호흡을 방해하여 피부를 답답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화장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항노화 보습 효과를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건조감 없이 장시간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며, 또한 구상 파우더에 의한 우수한 퍼짐성과 다공질 속에 캡슐화되어 있는 추출물에 의한 우수한 피부 밀착감을 실현하였다.
종래 파우더 메이크업에서 피부 답답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피부 도포시의 답답함이나 무게감을 줄이기 위하여, 저 비중의 다공성 실리카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MMA),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등의 실리콘 폴리머 등을 사용함으로써 그 해결책을 찾았으나, 이 경우 제형의 안정성 측면에 있어서 성형성의 저하로 충격에 의한 파손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저비중 다공성 파우더에 의한 피부의 수분이나 오일의 흡습 및 흡유로 인하여 건조감으로 인한 피부 땅김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보습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파우더 표면의 촉감적인 측면에서는 마이카, 알루미나, 바륨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판상안료의 함량을 증가시켜 느낌상에서의 촉촉함을 부여하였으며, 효과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파우더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결합제 목적의 오일의 함량을 높이고, 고점도의 오일의 사용을 통하여 그 목적을 이루고자 하였으나, 판상의 안료를 많이 사용할 경우 화장 도포 후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성분에 의한 화장 들뜸으로 인한 화장 지속효과가 약해지게 되며, 결합제의 함량이나 사용되는 오일의 분자량을 높일 경우, 화장 도포 초기에는 건조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도포 퍼짐성이 약화와 과량의 오일과 높은 분자량의 오일로 인한 화장 답답함을 가중될 수 있으며, 효과 유지면에서도 오일 성분이 사용된 파우더에 흡수되기 시작하면서, 도포 색상의 칙칙해지는 색상 지속성의 저하와 함께 보습효과가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또한 종래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오일이나 오일을 용재로 사용하는 추출물에 의한 보습 부여만이 가능하고, 수용성 효능 성분의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사용감과 피부 케어 효과를 부여함에 있어서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99332호(2005. 10. 13. 공개)에는 화장료의 효과를 장기간 지속시키기 위하여 캡슐화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피부 답답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로 피부 도포시의 답답함이나 무게감을 줄이는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기에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 추출물을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함침시키고 이를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개발함으로써,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메이크업 화장 후의 피부 답답함을 해결하고 피부 표면에 도포되어 피부 표면 위에 존재하면서도 피부에 장시간 지속적으로 항노화 보습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함침시켜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구상 분체는 2.0 ~ 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5 ~ 8 마이크론(micron), 다공질의 평균 크기가 100 ~ 200나노미터(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캡슐화되는 효모 용해 추출물의 경우 음식이나 음료의 발효에 이용되어 지는 사카로미세스(Sccharomyces) 용해물로, 효모균인 사카로미세스를 배양하면서 균을 자외선 자극을 줌으로써, 생산되어 지는 신진대사 물질의 혼합물을 20.0 내지 27중량% 물에 용해된 것으로,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중량 대비 10 ~ 30중량%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캡슐화되는 10가지 유기농 항노화 보습 물질은 아사이 야자 추출물, 불루베리 추출물, 덩굴월귤 열매 추출물, 로즈힙 열매 추출물, 루이보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레몬밤입 추출물, 성모초입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중량 대비 10~30중량% 의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10가지 유기농 항노화 보습 물질의 혼합비율은 각 성분을 5 내지 15중량%로 혼합사용하며, 동일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효모 용해 추출물에 의한 피부 세포의 산소 호흡 증가 효과로 피부에 도포시 피부를 답답하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파우더 메이크업을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하며, 10가지 유기농 항노화 보습 성분이 파우더 메이크업 도포 후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항노화 보습 효과를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건조감 없이 장시간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아이새도우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캡슐화 구상 분체는 피부 세포의 산호 호흡을 증가시키는 효모 용해 추출물과 항노화 효과의 10가지 유기농 성분을 다공질의 구상 분체에 함침하고 있어, 이를 함유하고 있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로 인한 피부 건조감 없이 촉촉한 보습을 장시간 유지시켜 주며, 또한 피부의 산소 호흡 증가로 인한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으로 인한 피부 답답함이나 부담감을 줄여 주면서, 구상의 퍼짐성의 특성과 캡슐화된 추출물의 피부 밀착 및 보습 효과가 조화되어 사용감에 있어서도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캡슐화 구상 분체를 2.0 ~ 15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캡슐화 구상 분체의 량이 2.0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15중량% 초과시에는 제조 과정에서의 파우더 간의 뭉침 현상이 있을 수 있으며, 구상, 판상, 무정형 형상의 파우더 간의 조화에 의한 파우더 메이크업의 사용감에 있어서 사용감을 악화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또한 파우더 성형물의 경우 결합력 증가로 인한 높은 경도를 갖게 되어 파우더 메이크업 표면의 케이킹 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상기 효과에 있어 더 이상의 변화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다공질 구상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효과 물질을 캡슐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효모 용해 추출물 및 10가지 유기농 추출 혼합물의 함량은 사용되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중량 대비 10 ~ 30중량%가 적합하며, 10중량% 이하의 경우 효과에 있어 개선 효과가 약하며, 30중량% 초과시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다공질 속에 캡슐화함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감의 조정에 있어서도 큰 개선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
그리고 효모 용해 추출물 및 10가지 유기농 추출 혼합물의 비율은 1 : 2 ~ 2 : 1 정도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아니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이다.
상기 캡슐화 방법은 기재로 사용되는 다공성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68 ~ 80중량%를 헨슬 믹서에 투입한 후 효모 용해 추출물과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의 1 : 1 혼합물 18 ~ 30중량%를 2 내지 3회에 나누어 투입한 후 1,200rpm의 속도로 2회 분산/혼합 공정을 거쳐 추출물이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의 미세공(pore)에 함침되도록 한다.
여기에 액상 액티브 성분의 손실을 막음과 동시에 원료의 사용감 개선을 위하여 약 65℃로 가온된 다이메티콘(Dimethicone) 2중량%를 헨슬믹서에 분사(spray)하면서 800rpm의 속도로 2회 분산/혼합하여 추출물이 함침된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코팅한 후 20 ~ 30 매시(MASH) 여과망에 여과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 제조예 1 및 제조예 1 내지 3]
비교 제조예 1과 제조예 1 내지 3에서는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각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1의 비교 제조예 1 은 종래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이고, 제조예 1은 캡슐화 기재인 다공질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와 효모 용해 추출물과 유기농 추출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고, 제조예 2는 다공질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상기에 기록된 유효물질들 중 효모 용해 추출물을 제외한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을 캡슐화한 캡슐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며, 제조예 3의 경우는 효모 용해 추출물과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을 캡슐화한 구상 캡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단위 : 중량%)
성분명 비교
제조예 1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1.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나일론 파우더 5.0 5.0 5.0 5.0
3. 실리카 5.0 5.0 5.0 5.0
4. 전분 3.0 3.0 3.0 3.0
5. 적색산화철 0.4 0.4 0.4 0.4
6. 황색산화철 1.0 1.0 1.0 1.0
7. 흑색산철 0.2 0.2 0.2 0.2
8.티타늄옥사이드 10.0 10.0 10.0 10.0
9.다공질 PMMA - 7.0 - -
10.캡슐 파우더
(다공질PMMA+10가지유기농추출물)
- - 10.0 -
11.캡슐 파우더
(다공질PMMA+효모용해추출물+10가지유기농추출물)
- - - 10.0
12.효모 용해 추출물 - 1.5 -
13. 10가지 유기농추출물 - 1.5 -
14.스쿠알렌 2.0 2.0 2.0 2.0
15.메도폼시드오일 2.0 2.0 2.0 2.0
16.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향료 0.3 0.3 0.3 0.3
상기 비교 제조예 1 및 제조예 1 내지 3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원료 1 ~ 11을 평량하여 헨슬믹서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원료 12 ~ 17을 65 ℃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혼합하고 헨슬믹서로 혼합하여 비교 제조예 1 과 제조예 1 내지 3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저장하였다.
[시험예 1]화장의 사용감, 초기 보습감, 보습 지속감, 화장 마무리감 평가
상기 비교 제조예 1 및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퍼짐성과 밀착성을 고려한 사용감과, 초기 보습감, 보습지속감, 화장의 편안함 여부를 평가하는 화장 마무리감에 대하여 전문 패널 30 명(25 ~ 35세의 여성)이 비교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가장 좋지 않은 평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좋은 평가 점수를 9로 하는 점수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초기 보습감 7.0 8.5 7.6 7.8
보습 지속감 5.4 4.8 8.6 8.4
사용감
(퍼짐성,밀착성,촉감)
6.4 6.2 7.4 7.6
마무리감
(화장의 편안함)
6.7 7.0 7.8 8.5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슐화한 파우더들 사용한 조성물의 경우가 모든 항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초기 보습감의 결과는 제조예 1의 경우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추출물이 오일바인더와 함께 파우더 표면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피부에 닿는 순간 촉촉함이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되며, 사용감 평가는 제조예 2와 제조예 3이 높게 평가를 받았다.
이는 제조예 1과 비교할 경우 동일한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라 할지라도 제조예 1의 경우는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가 구상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감에서 퍼짐성은 좋을 수 있으나, 밀착력에서는 떨어지고 오히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일 바인더를 다공질의 미세공이 흡수함으로써 보습 지속감에서는 오히려 비교 제조예 1에 비해서도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또한 사용감에서도 가루 날림과 같은 좋지 않은 요인으로 인해 사용감 평가가 가장 낮게 평가됨을 볼 수 있다.
반면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경우 추출물이 다공질의 미세공에 함침되어 있고 이를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오일의 흡수는 일어나지 않으며, 오히려 함침된 추출물과 코팅된 실리콘 성분이 구상의 형상으로 인한 굴러다니는 사용감을 감소시키면서 피부에 대한 밀착감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퍼짐성과 밀착감이 조화된 사용감으로 높게 평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화장의 편안함을 묻는 화장 마무리 감에 있어서는 제조예 2와 제조예 3에서 볼 수 있듯이, 효모 용해 추출물이 함께 함침된 구상 파우더를 함유한 제조예 3이 가장 높은 평가를 얻었으며, 이는 피부의 섬유 모세포나 케라틴 세포의 산소 호흡 증가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효모 용해 추출물의 피부 세포의 산소호흡 증가로 인한 평가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2]피부 도포 후 수분 변화 측정
상기 비교 제조예 1과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후 도포 부위의 수분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측정은 코네오메타(Corneometer, CM825,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분 측정은 도포 전과 도포 후 1, 3, 6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수분이 높을수록 측정치가 높아지며, 측정계수는 무차원적 단위인 Arbitraryjunit(A.U)이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도포 전 도포 후 1시간 3시간 6시간
비교제조예 1 27.8 33.2 30.8 28.7
제조예 1 27.9 35.2 29.8 27.6
제조예 2 27.9 34.6 33.8 32.4
제조예 3 27.6 34.3 33.2 31.3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보습 유지력에 있어서 제조예 2와 제조예 3이 높은 결과가 나옴을 볼 수 있다.
제조예 1의 경우는 시간 경과에 따라 다공성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가 오일과 함께 피부 수분도 흡습함으로 인해 수분감이 오히려 약해짐을 볼 수 있으며, 제조예 2와 제조예 3의 경우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의 함량이 높은 제조예 2의 경우가 보습 유지력을 우수하나 제조예 3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공성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아사이야자 추출물, 불루베리 추출물, 덩굴월귤 열매 추출물, 로즈힙 열매 추출물, 루이보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레몬밤입 추출물, 성모초입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10가지 유기농 추출물 또는 효모 용해추출물에 상기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침시키고, 이를 캡슐화한 구상의 캡슐 파우더를 2.0 ~ 15.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는 평균 입경이 5 마이크론이고, 다공질의 평균 크기는 100 ~ 2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효모 용해 추출물이 음식이나 음료의 발효에 이용되는 사카로미세스(Sccharomyces) 용해물로,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중량 대비 10 ~ 30중량%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있어서,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이 다공질의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중량 대비 10 ~ 30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형은 투웨이케익, 팩트, 파우더, 아이섀도, 블러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에 추출물의 캡슐화는 다공성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68 ~ 80중량%를 헨슬 믹서에 투입한 후 10가지 유기농 추출물 또는 효모 용해 추출물과 10가지 유기농 추출물의 혼합물 18 ~ 30중량%를 2 내지 3회에 나누어 투입한 후 1,200rpm의 속도로 2회 분산, 혼합 공정을 거쳐 추출물이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의 미세공에 함침시키고, 65℃로 가온된 다이메티콘(Dimethicone) 2중량%를 헨슬믹서에 분사하면서 800rpm의 속도로 2회 분산,혼합하여 추출물이 함침된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코팅한 후 20 ~ 30 매시 여과망에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23316A 2011-11-24 2011-11-24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KR10130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16A KR101308895B1 (ko) 2011-11-24 2011-11-24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16A KR101308895B1 (ko) 2011-11-24 2011-11-24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51A KR20130057551A (ko) 2013-06-03
KR101308895B1 true KR101308895B1 (ko) 2013-09-24

Family

ID=4885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316A KR101308895B1 (ko) 2011-11-24 2011-11-24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8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52A (ko) * 1999-10-06 2001-05-07 서경배 식물 추출물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추출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30052019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주름개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665A (ko) * 2003-10-10 2006-10-1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식물 추출물, 센텔라,에치나세아 또는 알피니아 식물 추출물 및 dna 복구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52A (ko) * 1999-10-06 2001-05-07 서경배 식물 추출물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추출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30052019A (ko) *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주름개선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665A (ko) * 2003-10-10 2006-10-1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식물 추출물, 센텔라,에치나세아 또는 알피니아 식물 추출물 및 dna 복구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51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8602B (zh) 含無機粉體的多孔性高分子的複合粉體、含有其的化妝品組成物及其製造方法
EP3369412B1 (en) Method for producing pressed make-up powder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84426B1 (ko) 에탄올, 물, 및 글리세린의 혼합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53232A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91579A (ko)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53070B1 (ko)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66826B1 (ko) 커버력과 보습력이 우수한 파우더 조성물
KR101380373B1 (ko) 휘발성 혼합 용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5789A (ko)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8895B1 (ko)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KR102338785B1 (ko) 금속염으로 표면 처리한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8040466B (zh) 玉粉颗粒含浸于多孔高分子的复合粉体,含有其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400035A (zh) 珠光眼影及其制备方法
KR0185818B1 (ko)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고형분말 색조화장료
KR20090126031A (ko) 유중수 유화물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의제조방법
KR101144469B1 (ko) 수분산 바인더와 파우더 혼합물을 함유하는 오일-프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9862867B (zh) 水润感优异的彩妆化妆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10001541A (ko) 돔형 분말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4250A (ko) 피부 부착성과 지속성이 높은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