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146B1 -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146B1
KR101724146B1 KR1020150035274A KR20150035274A KR101724146B1 KR 101724146 B1 KR101724146 B1 KR 101724146B1 KR 1020150035274 A KR1020150035274 A KR 1020150035274A KR 20150035274 A KR20150035274 A KR 20150035274A KR 101724146 B1 KR101724146 B1 KR 10172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951A (ko
Inventor
정병곤
Original Assignee
바이허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허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허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1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하며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으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여 민감한 피부에도 자극없이 피부 각질 제거 및 주기 조절을 하며, 동시에 피부 진정과 보습 작용을 증진시켜,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상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al the dead skin cell containing crude drug extracts}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며 피부 안정성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기저층(Basal layer)에서 생겨난 세포는 14 일이 걸려 과립층까지 올라온 뒤, 과립층에서 케라토하이알린(Keratohyalin)의 작용으로 각질화가 시작되면, 세포속의 체액은 빠져나가 납작해진 상태로 각질화된 후, 약 28 일을 경과하면, 각질화 현상으로 하루에 수백만개의 죽은 각질 세포가 피부 각질층(Stratum Corneum)에서 떨어져 나가고 새 각질 세포로 교체된다.
세포의 각질화에 걸리는 시간은 여성의 나이 25 세까지 가장 짧아 세포의 재생이 가장 왕성하여 윤기있는 피부를 유지하다가, 그 이후부터 둔화되기 시작하여 60 세에 이르면 2 배의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피부는 20 % 의 수분을 가진 연질 각질(Soft Keratin)로서, 70 % 정도의 수분으로 채워진 기저층의 세포가 각질층에 도달하면, 수분이 20 % 로 줄어들면서 각질 세포로 변하게 되는데, 20 % 정도의 수분은 피부(겉피부의 각질층)의 가장 좋은 상태로 피부가 촉촉하고 탱탱하여 윤기가 흐르는 아름답고 고운 피부를 만드는 조건이다. 피부의 수분이 15 % 이하로 떨어지면 건조해지며 갈라지고 트는 거친 피부가 된다. 납작하게 된 각질 세포는 마치 벽돌을 쌓아 놓은 것처럼 15 내지 40 줄로 층층이 단단하게 겉피부까지 닿아 있다.
또한 사람이 나이가 들면, 피부의 신진대사가 저하되어 세포의 박리 또는 낙설(Desquamation)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포 재생 회전 주기(Cell Turnover Cycle)가 길어지면서 죽은 각질 세포(Keratinocyte)가 쌓여 거칠고 칙칙한 피부가 되어 활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세포의 박리 또는 낙설을 촉진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표피층을 벗겨내 기저층에서의 세포 분열과 증식을 자극하여 불필요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 표면을 젊고 매끈하며 건강하게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요구가 증대되어 최근에는 피부의 각질 제거 효능이 있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품과 관련한 기술을 살펴 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490212호로,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 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 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 에 관한 특허가 공지된 바 있으나, 동 기술의 경우,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보습과 콜라겐 합성 증진 및 피부 각질 제거 등의 효과를 보여주지만, 피부의 진정 작용이 부족하여 사용시, 피부에 자극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크럽 입자를 사용하는 각질제거제는 사용후 얼굴에 미세한 긁힘, 붉은 점과 같은 얼룩덜룩함, 씻은 후에도 나타나는 가려움증 등의 피부 트러불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크럽 입자나 산을 이용한 각질제거에 비해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 보습력을 해치지 않아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는 피부 각질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황금 추출물은 1.5 내지 2.5 중량 %를 함유하며, 상기 병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은 각각 0.5 내지 2.5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생약 추출물이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르간 오일은 5 내지 20 중량 %, 상기 유차나무씨 오일은 5 내지 10 중량 % 및 상기 쉐어버터는 5 내지 10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르간 오일은 5 내지 20 중량 %, 상기 유차나무씨 오일은 5 내지 10 중량 % 및 상기 쉐어버터는 5 내지 10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겔, 세럼,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보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여 민감한 피부에도 자극없이 피부 각질 제거 및 주기 조절을 하며, 동시에 피부 진정과 보습 작용을 증진시켜, 피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상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로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미나리를 초음파 또는 열수추출시킨 추출물이거나, 미나리를 자연 발효시킨 후, 추출된 발효추출물일 수 있다.
병풀(Asiatic Pennywort)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한국, 일본 및 중국에 주로 분포하며 다습한 지역에서 서식하는데, 인도에서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황금(Skullcap)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가 대략 20 ~ 60cm 이고 약용식물로 재배된다. 또한, 상기 황금은 여러 대가 나와 포기로 자라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한방에서는 상기 황금을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캐모마일(Chamomile)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풀이다. 카모밀, 카모마일, 또는 카밀레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산지는 영국이나, 현재는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캐모마일은 벼룩, 접촉 알레르기와 다양한 종류의 세균성, 진균성 감염에 의한 피부 염증에 차게 한 카모마일차를 사용하면 증상을 완화, 치료하는데에 도움이 되며, 항균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감초(甘草, Chinese Liquorice)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몽골,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는 1.5m 정도이며 비대한 곧은뿌리가 있다. 잎은 깃 모양이며, 7 ~ 8월에 옅은 남보라색 꽃이 이삭 모양으로 핀다. 뿌리와 줄기 밑 부분을 감미제와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므로, 한방에서 다양한 용도로 쓴다. 또한, 감초 추출물은 피부에서는 부신피질호르몬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처럼 작용한다. 이것은 이 성분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가 점점 얇아지고 주름지게 만들 수 있다.
녹차(문화어: 푸른차, 한자: 綠茶, 일본어: りょくちゃ)란 발효시키지 않은, 푸른 빛이 그대로 나도록 말린 찻잎(茶葉), 또는 찻잎을 우린 물을 말한다. 녹차에는 비타민A와 탄닌성분이 피부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고 비타민C성분이 레몬에 비해 5 ~ 8배가 많고 멜라닌 색소를 억제하며 피부를 하얗게 만들어 준다. 또한 피부의 진정효과.보습작용과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작용을하며녹차에서 풍겨나오는 은은한 향기는 심신의 피로를 풀어준다. 녹차추출물이 각종 유해요인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더욱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로 가꾸어 주는 효능이 있다.
호장근(학명 : Reynoutria elliptica )은 마디풀과의 다년초로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중국에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하며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다. 잎 끝이 짧게 뾰족하고 밑은 절저(截底)이며 가장자리는 파상(波狀)이다. 턱잎은 막질이고 길이 6mm 정도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호장근이라고 하며 완화 ·이뇨 및 통경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쓴다. 어릴 때 줄기가 호피같이 생겨서 호장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미나리는 한국 원산으로 들이나 습지, 물가 근처의 습한 곳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우리나라 제주, 전남, 전북, 경북, 충남, 충북, 강원도 등지에서 야생하며 재배하기도 한다. 미나리는 각종 비타민과 몸에 좋은 무기질 및 섬유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물이다.
상술한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들이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룰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병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은 각각 0.5 내지 2.5 중량 % 함유되며, 황금 추출물은 1.5 내지 2.5 중량 % 함유 될 수 있으나 그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르간 오일과 유차나무씨 오일과 쉐어버터(Shea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화제에 의해 제형화될 수도 있다. 상기 아르간 오일과 유차나무씨 오일와 쉐어버터는 식물성 유지로서, 이들의 함량에 따라 액상 솔루션, 크림, 로션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아르간 오일과 유차나무씨 오일과 쉐어버터는 공지의 시판품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들 중에서 상기 아르간 오일은 유럽 유기농 인증기관인 에코서트(Ecocert)의 인증을 받은 유기농 원료로서 냉간 압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노화/주름방지, 아토피 피부, 피부 탄력, 피부 염증에 등에 효과가 있고,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모발용 제품까지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차나무씨 오일은 유효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참기름을 제조하는 방식, 즉 공지의 저온 압착법에 의해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예시하며, 상기 쉐어버터는 쉐어나무(shea tree)의 열매에서 채취한 식물성 유지로서 주로 피부 보습제나 연화제로 사용되며, 식용으로도 이용되고, 피부 보습 및 재생 효과 외에도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쉐어버터는 자외선 차단 효과도 가지는데, 자외선 차단효과는 대략 SPF(sun protection factor) 6 정도이며,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두발과 두피를 윤택하게 하며 영양공급과 재생력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헤어컨디셔너로도 이용된다. 상기 아르간 오일과 유차나무씨 오일을 합친 중량비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이면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크림으로 될 수 있고, 5~10중량%이면 로션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5중량% 이하이면 액상 솔루션(스킨)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조성비에 따라 제형이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겔, 세럼,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보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아르간 오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 중에 0 내지 20 중량 %, 보다 상세하게는 5 내지 20 중량 %함유되고, 상기 유차나무씨 오일은 0 내지 10 중량 %, 보다 상세하게는 5 내지 10 중량 % 함유되고, 상기 쉐어버터는 0 내지 10 중량 %, 보다 상세하게는 5 내지 10 중량 % 함유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의 함량이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성분들의 함량이 다르게 변경되더라도 저자극 및 피부 보습력을 해치지 않는 각질 제거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생약 추출물들의 제조방법
상기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은, 공지의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제조되는 예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초음파란 인간의 가청주파수 범위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지며, 초음파 추출법은 일반적인 용매추출에 비해 매우 짧은 시간에 추출을 완료할 수 있으며, 초임계 추출에 비해 대략 10배 이상 추출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 K. W., W. I. Kim, I. K. Hong and K. A. Park. "Ultrasonic energy effects on squalene extraction from amaranth seed". Applied Chemistry. 4(2). 149-152 (2000). Kim W. I., K. W. Chung, S. B. Lee, I. K. Hong and K. A. Park, "Ultrasonic energy effects on solvent extraction from amaranth seed oil". J. Korean Ind. Eng. Chem. 12(3), 307-311 (2001))
상기 병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35 ~ 45 kHz 파장의 초음파, 특히 40 kHz 파장의 초음파를 이용하며, 출력은 대략 300 내지 500Watt의 조건의 초음파로 상기 병풀 추출물을 추출한다. 상기 병풀 원재료 2중량부와 추출용매(정제수 68중량부와 1,3-부틸렌글라이콜 30중량부)를 공지의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초음파를 작동시켜서 40 내지 50 ℃의 온도에서 약 2 시간 동안 추출과정을 수행하여 1차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입자가 큰 유기체 알코올로서 수분을 당기는 효과를 가지므로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는 보습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자극도가 없는 안전한 용매에 해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략 40 ℃에서 300 Watt의 출력으로 1시간 동안 초음파를 가한 후에, 50 ℃의 온도에서 500 Watt의 출력으로 1시간 동안 초음파를 가하여 수득되는 1차 병풀 추출물을 실온까지 냉각시켜서 상기 병풀 원재료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1차 추출물을 0.4~0.8㎛의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의 상기 병풀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의 제조과정도 상기 황금 추출물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양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초음파 추출법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르간 오일은 모르코산 수입품(수입사: 유일앤컴퍼니(www.fairetrade.net), 제품명: 오가닉 퓨어 아르간 오일-모르코산)을 이용하였고, 상기 쉐어버터는 프랑스산 수입품(수입사:(주)마리노엘, 제품명:프리미엄 쉐어버터-프랑스 산)를 이용하였다. 상기 유차나무씨 오일은 저온 압착법에 의해 얻어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100 g의 유차나무씨를 상온에서 40 ℃ 사이에서 착유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제조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
먼저 상기 황금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성분 각각에 상기 황금 추출물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액(예를 들면 병출 추출물과 황금 추출물의 혼합액) 전체에 상기 황금 추출물 2 중량 % 함유되도록 한다.
그리고 정제수를 섭씨 100도로 가열한 후에 이를 50도까지 냉각시키고 상기 황금 추출물과 상기 정제수와 혼합하여 상기 황금 추출물이 2 중량 % 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모든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배합한 후에 상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황금 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생약 추출물 성분들을 거의 유사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각 성분이 고르게 효능을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상기 황금 추출물은 전체 중량에 대해 2.5 중량 %를 넘으면 방부성과 항산화력이 더 좋아지나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1.5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방부성과 항산화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되는 점증제와 금속이온봉쇄제나 산도(PH) 조절제는 첨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럽 입자나 산을 이용한 각질제거에 비해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 보습력을 해치지 않아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는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아래 [표 1]의 실시예들로 제조되었다.
구성성분 실시예1(단위 중량%) 실시예2(단위 중량%)
병풀 추출물 1 2
황금 추출물 2 2
캐모마일 추출물 1 2
감초 추출물 1 2
녹차 추출물 1 2
호장근 추출물 1 2
미나리 추출물 1 2
아르간 오일 15 15
유차나무씨 오일 8 8
쉐어버터 8 8
정제수 잔량 잔량
실험예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 1, 2 와 비교예 1(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각질 제거 효능을 측정 비교하였다.
1. 각화 주기 촉진 효과
각화 주기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20 ~ 40 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20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피시험자의 우측 팔 상부 안쪽의 색상을 크로마미터 (CR300, Minolta, Japan)로 측정한 후, DHA(dihydroxy acetone) 10 % 용액을 약 7 시간 동안 폐쇄 첩포하여 착색시켰다. 24 시간 경과 후, 비교예 1 과 실시예 1, 2 의 제품을 착색된 부위에 1 일 2 회씩 도포하여 매일 탈색 정도를 크로마미터로 측정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질 박리율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각질 박리율 (%) = (대조군의 TT - 시료 도포시 TT)/대조군의 TT × 100
TT (Turnover Time):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대체되는데 걸리는 시간. (실험에서 DHA 에 의해 착색된 피부색이 원래의 색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
시료의 종류 TT(Turnover Time) 각질 박리율(%)
무처리군 (대조군) 27.2 -
비교예 1 23.5 20.5
실시예 1 15.8 43.5
실시예 2 14.7 48.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각질 박리율이 20.5 % 를 나타내었으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한 실시예 1, 2 에서는 각 43.5 %, 49.0 %로 향상되었으며, Turnover time 도 비교예 1에 비하여 실시예 1은 7.7 일, 실시예 2는 8.8 일 감소하였다. 따라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각질 제거제는 각화 주기를 촉진하며,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2. 피부 각질 제거 효과
실시예 2의 피부의 각질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 - 40 세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20 명을 대상으로 Keratin sticker (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시험자의 얼굴과 팔을 시험부위로 정하고 keratin sticker 를 이용하여 시험부위 각질을 각각 시료 사용 전과 사용 후에 채취한 후, visioscan VC98 (Courage and Khazaka, Germany)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측정값 D.I. (Desquamation Index)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5024973612-pat00001
D.I : the desquamation Index
A : the percent area covered by corneocytes
Tn : the percent of corneocytes in relation to thickness
n : the thickness level (1-5)
시료 사용 전과 사용 후의 D.I 측정값 분석하여 각질 개선율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각질 개선율 (%) = (시료 사용 전 측정값 - 시료 사용 후 측정값)/시료 사용 전 측정값 × 100
사용 전 사용 후 각질 개선율(%)
얼굴 14.32 12.69 11.4
16.49 14.76 10.5
상기 표 3과 같이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각질 케어제를 피시험자의 얼굴과 팔에 적용하여 각질 개선율을 본 결과, 각각 11.4 %, 10.5 % 로 각질이 개선되었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였다.
3. 피부 첩포 자극 시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 제거 화장품 조성물의 자극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교예 1 과 실시예 1, 2 에 대한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부에 질환이 없는 피시험자 20 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료를 각각 동일량 처리한 패치를 복부에 부착하여 24 시간 경과 후, 자극 정도를 판정하였다. 자극성 지수는 총 4 단계 (0 - 3)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극성 지수 자극성지수
평균
3 2 1 0
무처리군 - - - 20명 0
비교예1 6 10 4 0 2.1
실시예1 0 0 1 19 0.05
실시예2 0 0 1 19 0.05
패치를 이용한 자극 시험 결과, 비교예 1의 경우 자극성 지수 평균이 2.1로 상당히 높았으나,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 2 에서는 평균 자극 지수가 0.05 로 극히 미비하였으며, 자극감을 느낀 피시험자도 1 명에 그쳐 거의 자극이 없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7)

  1.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 황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잔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황금 추출물은 1.5 내지 2.5 중량 %를 함유하며, 상기 병풀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미나리 추출물은 각각 0.5 내지 2.5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 추출물은 미나리를 발효시킨 후 추출한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생약 추출물이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에, 아르간 오일, 유차나무씨 오일 및 쉐어버터(Shea but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화제를 더 첨가하여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르간 오일은 5 내지 20 중량 %, 상기 유차나무씨 오일은 5 내지 10 중량 % 및 상기 쉐어버터는 5 내지 10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7.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겔, 세럼,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보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150035274A 2015-03-13 2015-03-13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KR10172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74A KR101724146B1 (ko) 2015-03-13 2015-03-13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74A KR101724146B1 (ko) 2015-03-13 2015-03-13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951A KR20160109951A (ko) 2016-09-21
KR101724146B1 true KR101724146B1 (ko) 2017-04-06

Family

ID=5708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274A KR101724146B1 (ko) 2015-03-13 2015-03-13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00A (ko) 2021-07-13 2023-01-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165B1 (ko) 2018-09-14 2020-07-09 이현미 식물발효추출물과 베타인을 함유한 발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CN110604712A (zh) * 2019-10-29 2019-12-24 广州市澳源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抗炎修复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16B1 (ko) * 2005-10-11 2006-10-16 김종란 한방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2011010868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6206B1 (ko) * 2010-06-09 2012-05-24 (주) 존스킨코스메틱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16B1 (ko) * 2005-10-11 2006-10-16 김종란 한방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000A (ko) 2021-07-13 2023-01-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951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4147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1724146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20110071713A (ko) 모발용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938489A (zh) 一种植物护肤组合物、舒缓霜及其制备方法
KR101540410B1 (ko)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89999A (ja) ナツメ抽出物および胡桃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50106070A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세안제품
KR101881663B1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855949B2 (ja) ケラチン産生促進剤、染毛用剤及びマニキュア用剤
KR20170043071A (ko) 부들(Typha orientalis)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제조 방법
KR100886879B1 (ko)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CN104382781A (zh) 一种含有发芽糙米的天然可食多功能化妆品组合物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20050031211A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349A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