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040A -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040A
KR20030068040A KR1020030004683A KR20030004683A KR20030068040A KR 20030068040 A KR20030068040 A KR 20030068040A KR 1020030004683 A KR1020030004683 A KR 1020030004683A KR 20030004683 A KR20030004683 A KR 20030004683A KR 20030068040 A KR20030068040 A KR 2003006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atings
extract
antimicrobial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6550B1 (ko
Inventor
문웅식
김재철
손성민
강흔수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Priority to PCT/KR2003/0001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61554A2/en
Priority to CNB038070405A priority patent/CN100335081C/zh
Priority to AU2003206183A priority patent/AU2003206183A1/en
Priority to US10/502,520 priority patent/US20050084553A1/en
Priority to JP2003561500A priority patent/JP2005523252A/ja
Publication of KR2003006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좀, 액취 또는 여드름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구강청결용 조성물, 살균소독제용 조성물, 비듬균 제거 및 냄새 제어용 조성물, 및 기능성주방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무좀균, 피부습진 원인균 및 피부상재균을 포함하는 세균, 및 진균(곰팡이)에 대하여 우수한 살균효과를 가지며, 약제, 화장료 또는 세정제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분야]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 화장료 또는 세정제로 적용 가능한 무좀, 액취 발생 또는 여드름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구강 청결용 조성물, 살균소독용 조성물 및 주방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세균 또는 진균(곰팡이)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며, 그 종류 역시 매우 다양하다. 세균 및 진균은 적절한 생육조건에서 성장 및 번식을 반복하며,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진균에 의한 무좀 및 칸디다증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미생물은 식품이나 공산품의 재질 및 성능 손상 등에 피해를 야기한다.
진균(곰팡이)은 피부에 기생하여 피부진균증(derma-tomycosis)을 유발한다. 특히 피부의 각질, 모발, 손톱, 발톱 등의 각질조직에 침입하여 기생하는 피부사상균(dermatophyte)은 피부사상균증(dermato-phytosis), 백선(Tinea) 또는 표재성 진균증(superficial fungal infection)을 유발하기도 한다. 표재성 진균증의 주된 원인은 소아포균(microsporum), 표피균(epidermo-phyton), 백색균 (Trichophyton), 칸디다균(candida species), 전풍균(Malassezia furfur)이다. 표재성 진균증의 원인균들은 상피세포 상부의 각질조직(keratin)에 기생하여 번식함으로써 표재성 병변을 유발하지만, 때때로 상피 상부이하까지도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백선진(Dermatophytid)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균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환으로는 액취증(Osmidrosis)이 있다. 액취증은 아포크린선 분비물, 또는 각질의 분해물, 피지 및 땀을 포함하는 피부 표면의 물질이 액와에 상주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질환이다. 액취증의 원인균으로는 에어로빅 디프테로이드(aerobic diptheroid), 코아글루라제 음성 스타플로코코시(coaglucoccus negative Staphylococci) 등이 있다(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 28, No. 5, pp.559-564, 1990). 이러한 액취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땀 분비를 억제하거나 땀 분해를 억제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에틸 락테이트, 옥틸크로토네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카라탄(4,6-디니트로-2-(메틸헵틸)페닐크로토네이트) 등의 직·간접적인 미생물 억제제 또는 효소억제제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피지에 포함된 다량의 불포화 화합물의 산화물질들이 악취 생성에 기여한다는 입장에서, BHA(부틸레이트 히드록시아니졸)나 BHT(부틸레이트드 히드록시톨루엔)과 같은 산화방지제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소취효과가 미약하고, 피부에 심각한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다. 땀 분비 억제물질의 사용은 정상적인 신체 유지 기능을 방해할 수 있으며, 미생물 억제제 및 산화방지제는 피부독성을 야기할 수 있으며, 피부의 pH를 낮추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세균은 인간에게 이로운 유용세균과 해를 끼치는 유해세균이 있다. 유용세균은 식품가공시 사용되거나 항생물질로 이용된다. 질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유해세균으로는 파상풍균, 콜레라균, 디프테리아균 및 결핵균 등이 있다. 특히 병원성 세균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침입하여 열 또는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종래에는 유해미생물들의 활성을 저해시키기 위하여 합성 유기계 항균성제 또는 무기계 항균성제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의 합성 유기계 항균성제는 사람의 눈이나 피부, 후각에 자극성이 강하고, 그람 음성균(세포막 존재)에 대하여 약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무기계 항균성제는 대체적으로 항균력이 약하며, 특히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항균성이 거의 없고, 수분과 접촉시에는 항균력이 급감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사용이 가능한 가능한 대표적인 천연 항균제로는 유산균의 박테리오신인 니아신이나 폴리라이신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항균활성을 위하여 다량이 요구되며,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토산은 그람음성균에 비해 그람양성균에 더욱 효과적이나, 진균류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한 항균력을 보이며 세포벽내에 키토산을 함유한 속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Riccardo M et al., Antimicrobial Society and Chemotherapy, 1990, 34, 2019-2023).
한편, 세균 또는 진균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90-17490호에서는 국소 투여에 의한 진균성 피부질환치료에 적합한 약제 조성물로, 산제, 용액제, 현탁제, 크림제, 겔제, 페이스트제, 연고제 또는 팅크제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형의 조성물을 환부에 적용할 경우, 적용부위가 넓을 경우 다량의 약물 도포가 요구되며, 도포량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어려우며, 또한 점성이 높은 반 고형제의 경우(예: 연고제, 크림제) 피부에 적용 후 피복물에 달라붙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구용 항균 또는 항진균제의 경우, 약물이 전신에 순환되므로 약효를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필요이상의 약물 투여가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장기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트리아졸계 약물을 장기 복용시 간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 체내 독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며 무좀균, 비듬균 등 피부 사상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취 발생 방지용 및 액취증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드름 발생 방지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쉽고, 간편하게 환부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항균성 및 항진균성 물질의 피부 침투가 용이한 항미생물성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균 또는 진균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항미생물성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에 분포되어 있는 유해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 소독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한 구강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구취억제 및 충치 예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한 일상 생활의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주방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및 사이클로피록스, 트리클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노르프로삭신, 시프로플록산신, 시프로플록산신염, 이트라코나졸신산염, 미토코나졸실산염, 케토코나졸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균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자일리톨, 프로폴리스, 트리클로산,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ⅩⅡ), 염화세틸피리디니움(ⅩⅢ),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히노키치올, 글리틸리틸산, 알란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및 사이클로피록스, 트리클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목단피 추출물이 무좀, 액취증, 구취, 충치 및 여드름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단피 추출물은 목단피를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목단피(Moutan Root Bark)는 모란(학명 ;Paeonia SuffruticosaAndrews)의 뿌리껍질로, 한의학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인체에 무해한 식물이다.
목단피 추출물은 일 예로 식물 건조물을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추출용매로 층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올, 아세톤, 벤젠,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목단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0.001 내지 40 중량%의 목단피 추출물 및 잔량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 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트리콜린산 및 사이클로피록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화합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화합물에 의한 항균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하는 경우 화합물이 석출되거나 효과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0.05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형은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졸제(AEROSOLS), 스프레이제(SPRAY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또는 환제(PILLS)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에어로졸제 또는 스프레이제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좀 방지용 조성물은 약제, 세정제 또는 화장료 일 수 있다. 약제의 경우 환부에 도포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세정제의 경우 비누일 수 있다. 화장료의 경우 로션 또는 마사지 크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취 방지용 조성물은 목단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0.001 내지 40 중량%의 목단피 추출물 및 잔량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욱 포함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트리클로산(Triclosan)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Aluminium Hydroxychloride)가 있다.
본 발명의 액취 방지용 조성물은 비 경구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형으로는 로션제, 산제, 시럽제, 액제, 스틱형, 겔상,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연고제, 유제, 현탁제 또는 크림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제형으로는 에어로졸제 또는 스프레이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여드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 여드름 조성물은 목단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0.001 내지 40 중량%의 목단피 추출물 및 잔량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로는 트리클로산(Triclosan) 또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Aluminium Hydroxychloride)가 있다.
본 발명의 항 여드름 조성물은 비 경구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형으로는 로션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연고제, 유제, 현탁제 또는 크림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 여드름 조성물은 화장료, 세정제 또는 약제로 적용가능하며, 화장료 또는 세정제는 인체 피부에 적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화장료는 로션, 크림, 에멀젼액, 젤 및 팩이 있으며, 세정제로는 비누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항 미생물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항 미생물성은 조류(algae), 균류(bacteria), 원생동물류(protozoa), 사상균류(mold), 효모류(yeast) 또는 바이러스(virus)와 같이 유해한 미생물에 대하여 살균활성을 가짐을 의미하며, 유해한 미생물로는 무좀균, 피부진균원인균, 피부상재균, 유해세균 및 표재성 진균증의 원인균이 있다.
상기 항 미생물성 화합물은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및 사이클로피록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케토코나졸이다.
본 발명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은 상기 목단피 추출물 및 상기 화합물을 1:5 내지 5: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항 미생물성 조성물이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이외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경우, 목단피 추출물은 0.001 내지 20 중량%로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항 미생물성 화합물은 0.001 내지 20 중량%로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목단피 추출물 및 항 미생물성 화합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항 미생물 활성이 미비할 수 있으며,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에 따른 활성증가가 비례하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바람직한 목단피 추출물 및 항 미생물성 화합물 각각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은 목단피 추출물 및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로는 피부 보습제, 피부 침투 증진제, 향료, 향료 포첩 담체, 유기용매 또는 충진제가 있다.
상기 피부 보습제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200 내지 600,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글리콜성 에스테르 및 에테르, PEG 또는 PPG의 알킬에테르, PEG 또는 PPG의 카복실산 에스테르, 솔비톨, 트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린 및 다가 알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피부보습제의 항미생물성 조성물내의 함량은 0.05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피부보습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보습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 중량% 초과하는 경우 항미생물성 조성물의 물성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피부보습제의 함량은 0.1 내지 3 중량%이다.
상기 피부 침투 증진제는 항미생물성 물질의 피부 각질을 투과하여 진피로 침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 예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로레이트(PEGML), 글리세롤 모노로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로레이트, 유칼립톨, 레시틴, 1-치환된 아자시클로 헵탄-2-온, 1-n-도데실 시클아자시클로 헵타-2-온(상품명: 이존),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트 알콜, 폴리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 트윈 20, 40, 60, 80 등),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 스판 60, 80 등), 도데실 아민 또는 라놀린이 있다. 상기 피부 침투 증진제는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인 트윈 화합물,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인 스판 화합물, 라놀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라놀린이다. 상기 피부 침투 증진제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내 함량은 0.1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다. 피부 침투 증진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피부 침투 효과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10 중량% 초과하는 경우 효과대비 비경제적이다. 피부 침투 증진제의 더욱 바람직한 함량은 0.5 내지 5 중량%이다.
상기 향료는 냄새제거를 위한 마스킹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화장료 또는 약제에 첨가되어 인체 및 동물에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향료의 예로는 라벤다향, 레몬향, 후로랄향, 허브향, 사과향, 딸기향, 백합향, 후리지아향, 라일락향, 장미향, 아카시아향, 모과향, 사향, 페로몬향 및 솔잎향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향료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내의 함량은 0.05 내지 2 중량%가 바람직하다. 향료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인 경우 마스킹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2 중량% 초과하는 경우 강한 향이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향료의 함량은 0.5 내지 1.5 중량%이다.
상기 향료 포접 담체는 냄새 마스킹 기능을 지속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담체는 통상의 물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 덱스트린이다. 담체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내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5 중량%이다. 담체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향료의 포접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 중량%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내에 포함되는 각 물질들이 효과적으로 용해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동물에 무해한 용매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스프레이 조성물에 나머지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스프레이 제품에 사용되는 충진제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 대표적인 충진제로는 인체용 액화석유가스(LPG)가 있다. 또한 상기 충진제가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조성물이 스프레이 형태로서 적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함량은 0.01 내지 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은 pH가 3.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pH 4.0 내지 7.5이다. 상기 pH가 3.0 보다 낮거나 pH가 9.0 보다 높은 경우 제형의 안정성이나 적용상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조성물은 액상, 겔상, 고상, 에어로졸상(AEROSOLS) 또는 스프레이상(SPRAYS)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제형에 따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을 스프레이상으로 제조할 경우, 조성물은 분말분사형과 액상분사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액상분사형이다. 상기 스프레이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피부, 피부와 접촉하는 물건 또는 동물의 생활환경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즉 악취가 심한 발, 무좀, 신발 또는 양말에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항미생물성 스프레이 조성물은 통상적인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분사기구를 구비한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주석의 용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 조성물은 환부에 도포량을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고 피복물에 부착되지 않는 등 사용성이 우수하고 위생적이며,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항미생물성 스프레이 조성물은 구제역, 피부가려움증, 백선, 비듬 또는 무좀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항미생물성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비듬균 및 냄새 제어용 조성물, 살균 소독제 조성물, 동물 및 동물 사육장 살균 소독용 조성물 또는 항구제역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자일리톨, 프로폴리스, 트리클로산,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ⅩⅡ), 염화세틸피리디니움(ⅩⅢ),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히노키치올, 글리틸리틸산, 알란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상기 목단피 추출물 및 상기 화합물을 1:5 내지 5: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청결용 조성물이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이외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경우, 목단피 추출물은 0.001 내지 20 중량%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항미생물성 화합물은 0.001 내지 20 중량%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항미생물 활성이 미비할 수 있으며,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에 따른 활성증가가 비례하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바람직한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 각각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통상적인 치약조성물, 가글 조성물 또는 구취억제 및 충치예방 및 치료조성물에 사용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치약, 가글 또는 구취억제 및 충치 예방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제형으로는 경고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정제, 캅셀제, 크림제, 또는 환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 및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및 사이클로피록스, 트리클로산, 노프로삭신, 시프로삭신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방세제는 상기 목단피 추출물 및 상기 화합물을 1:5 내지 5: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주방세제 조성물이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이외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경우, 목단피 추출물은 0.001 내지 20 중량%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항미생물성 화합물은 0.001 내지 20 중량%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항미생물 활성이 미비할 수 있으며,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에따른 활성증가가 비례하지 않으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바람직한 목단피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 각각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주방용 세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식기 및 주방용기 세척용 조성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방세제 조성물은 제형으로는 액제, 에어로졸제, 스프레이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1: 식물 추출물 제조
목단피는 모란(Paeoniaceae,Paeonia suffruticosa)과의 뿌리껍질로서 약용으로 판매되는 것으로 구입하였다.
목단피를 완전 건조시키고, 분쇄한 다음 40 메쉬망(1.18 mm mesh)을 통과시켰다. 목단피 분쇄물 1 kg에 하기 표 1의 용매를 각각 10 kg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시간 상온 방치하였다. 이를 45 ℃에서 12시간 추출한 다음 와트만 6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물을 수득하였다. 여과물은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용매에 따른 목단피 추출 수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용매 목단피 추출물(g)
실시예 1 32
실시예 2 에틸아세테이트 17
실시예 3 부틸아세테이트 25
실시예 4 에틸알콜 33
실시예 5 이소프로필알콜 23
실시예 6 부틸알콜 17
실시예 7 에틸렌글리콜 21
실시예 8 프로필렌글리콜 26
실시예 9 프로판올 31
실시예 10 아세톤 25
실시예 11 벤젠 31
실험예 1
1. 첩포 시험(patch test)
상기 목단피 추출물의 피부자극성을 첩포 시험으로 확인하였다.
직경 8 mm, 깊이 0.5 mm의 챔버(Stiff aluminium)에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도포하고, 장방형 테이프 1줄에 5개의 챔버를 2줄로 부착하였다. 테이프는 100명의 성인 등에 부착하고, 2일 후 첩포를 제거한 다음 ICDRG 기준에 의하여 피부자극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이 모두 피부자극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CDRG 기준-
?: 의심스러운 반응, +: 약양성, ++: 강양성, +++: 초강양성, -: 음성, IR: 자극성
추출용매 피부자극성
-
에틸아세테이트 -
부틸아세테이트 -
에틸알콜 -
이소프로필알콜 -
부틸알콜 -
에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
프로판올 -
아세톤 -
벤젠 -
2. 항미생물성 검증
세균으로 대장균(E. coliO-157:H7, KCTC1682),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KCTC1621), 살로넬라균(Salomella typhimutiumKCTC1925), 리스테리아균(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을 사용하였고, 곰팡이로 칸디다균(Candida albicans, KCTC7729), 백선균속 모창균(T. mentagrophytes, KCTC6085), 백선균속 홍색균(T. rubrum, KCTC6352), 검은곰팡이(A. niger, KCTC6985), 푸른곰팡이(P. citrinum, KCTC6990), 누룩곰팡이(A. flavans, KCTC 6081)를 사용하였다.
항곰팡이균 활성은 미국공업표준규격인 ASTM G21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항세균 활성은 교반 플라스크방법(Shake flask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항세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 균주를 25 ℃에서 24시간 진탕(진탕횟수 :150회/분)배양하여, 목단피 추출물 20 ㎕을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군의 배양액을 일부 채취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항균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환산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계산식 1)
항균활성= ((대조군의 균수 - 실험군의 균수)/ 대조군의 균수) X 100항 진균 활성은 미국공업표준규격인 ASTM G2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항진균 활성은 하기 판단기준에 따라 등급을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판단기준-
0등급 : 시편위 전혀 균주가 자라지 않음
1등급 : 시편위 10% 이내로 균주가 성장
2등급 : 시편위 10%∼30% 정도 균주가 성장
3등급 : 시편위 30%∼60%정도 균주 성장
4등급 : 시편위 60%이상 균주 성장
균주 항미생물 활성
E. coli0-157:H7 99.99
S. aureus 99.99
S. chlerasuis 100
P. hacmolytica 100
L. monocytogenes 100
S. typhimurium 99.99
T. mentagrophytes 0 등급
T. rubrum 0 등급
Candida albicans 0 등급
A. niger 0 등급
P. citrinum 0 등급
A. flavans 0 등급
상기 표 3에서, 본 발명의 목단피 추출물은 항균 및 항 진균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내지 16 : 액상 살균 소독제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11의 목단피 추출물과 여기에 냄새 마스킹 기능을 부가하기위하여 천연 허브 추출물질을 함유하여 정제수 및 에탄올이 혼합된 살균소독제 조성물을 하기 표 4(단위: 중량%)와 같이 제조하였다.
살균력의 측정은 균 감소율 측정법(Shaking flask method)을 이용했으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견되는 세균인 대장균(E.coli,KCTC1682),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KCTC 1621),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KCTC1925)을 접종한 후 24시간 후의 세균감소율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조 성 표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목단피 추출물 10 10 5 10 10
라벤더 - 0.5 0.5 - -
로즈마리 - - - 0.5 -
페퍼민트 - - - - 0.5
에탄올 80 19.5 15 19.5 19.5
정제수 10 70 79.5 70 70
100 100 100 100 100
균감소율(%) E.coli 99.99 99.36 87.01 99.50 99.99
S. aureus 99.99 96.95 86.33 99.99 99.97
S. typhimurium 99.99 97.43 86.14 99.43 99.20
표 4에서, 본 발명의 목단피 추출물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제의 경우에도 여전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7 내지 21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항미생물제를 제조하였고, 항균활성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목단피 추출물 10 10 10 5 5
시프로플록삭신 - 5 - - -
시프로플록삭신염 1 - - 1 1
에노삭신 - - 2 - -
노르플로삭신 - - - 1 1
이트라코나졸질산염 - - 2 - -
미토코나졸질산염 - 5 - 1 -
케토코나졸 3 - - 1 2
트리콜린산 1 - 1 1 1
에탄올 25 20 25 30 30
정제수 60 60 60 60 60
100 100 100 100 100
항균활성(%) E.coli 99.99 99.99 99.99 99.99 99.99
S. aureus 99.99 99.99 99.99 99.99 99.99
S. typhimurium 99.99 99.99 99.99 99.99 99.99
항진균활성 P.citrium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A.niger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상기 표 5에서, 목단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제는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2 내지 25
하기 표 6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목단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항미생물성 화합물, 향료 및 용매를 혼합하여 살균 소독제를 제조하였다. 이후 항균, 항진균 및 항구제역 활성을 실험하였다.
항구제역 활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항미생물제 및 구제역 바이러스를 4 ℃에서 30분간 접촉시킨다.
2. BHK21(바이러스 유무 확인용 세포)를 접종한 다음 37 ℃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3. 배양물을 한천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4. 메틸렌 블루로 염색하여 자연광 존재 하에서 바이러스 단위체(plaque) 형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목단피 5 5 5 5
노르플로삭신 - - - -
시프로플록삭신 1.0 - 1.0 -
시프로플록삭신염 - 1.0 - 1.0
로즈마리 - - - 0.5
아시클로버 1.0 1.0 1.0 1.0
리바비린 1.0 1.0 1.0 1.0
트리콜린산 1.0 - - 2.0
라벤더 0.5 - - -
탄산수소나트륨 1.0 - 1.0 -
에탄올 15.0 15.0 15.0 15.0
정제수 74.5 77.0 76.0 74.5
100 100 100 100
항균활성(%) E.coli 99.99 99.99 99.99 99.99
S. aureus 99.99 99.99 99.99 99.99
S. typhimurium 99.99 99.99 99.99 99.99
L. monocytogenes 99.99 99.99 99.99 99.99
항진균활성 A. niger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P. citrinum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A.flavans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T.mentagrophytes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T.rubrum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Candida albicans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안됨 검출안됨 검출안됨 검출안됨
표 6에서, 실시예 22 내지 25의 살균 소독제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며, 구제역 방제제로도 효능을 좋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6 내지 28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실시예 26 내지 28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목단피 추출물 15 10 5
노프록삭신 - 5 2
정제수 25 20 25
트리콜린산 - - 1
케토코나졸 - 5 2
에틸알콜 60 60 60
A. niger 0 등급 0 등급 0 등급
P. citrium 0 등급 0 등급 0 등급
A.flavans 0 등급 0 등급 0 등급
T.mentagrophyter 0 등급 0 등급 0 등급
T.rubrum 0 등급 0 등급 0 등급
Candida albican 0 등급 0 등급 0 등급
상기 표 7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6 내지 28의 조성물은 곰팡이에 대하여 우수한 항진균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가려움증, 백선, 비듬 또는 무좀의 치료 및 예방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6 내지 28의 조성물을 수동용 스프레이에 장착하였다. 상기한 항미생물제는 족부가 감염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스프레이형태로 환부에 매일 3초 동안 3회 분무하였고, 무좀균 및 백선균의 치료효과를 시간별로 조사하였다. 처리결과, 무좀이 심한 사람의 경우 사용시간에 따라 하기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처리 1-3일 경과: 상피세포 또는 조직에서 진물 생성이 없어짐
-처리 3-5일 경과: 갈라진 부위가 서서히 아물어 듬.
-처리 5-7일 경과: 무좀부위에 각질이 형성되고, 가려움증 및 통증이 사라짐
-처리 7-9일 경과: 각질이 형성되어 완전히 치유되는 양상을 보임.
무좀이 심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3일 6회 처리로 충분한 각질형성을 유도하여 무좀균 및 가려움증 유발균인 칸디다균의 완치가 가능하였다. 피부 자극성 시험은 별도로 실시하지 않았으나, 환자의 피부에 별다른 병반 및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26 내지 28의 항미생물제는 무좀이 형성된 조직의 각질화를 야기 시켜 백선균의 생육조건의 변화를 유도하여 무좀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실험예 3
실시예 26 내지 28의 항미생물제를 피부에 상주하여 여드름 및 각종 피부병을 유발시키는 균주에 처리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Staphylococcus aureus 100 % 99.9 % 99.9 %
Staphylococcus epidermidis 100 % 98.5 % 100 %
Streptococcus pyogenes 99.9 % 99.9 % 99.9 %
Pronionbacterium acne 99.6 % 100 % 99.6 %
상기 표 8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6 내지 28의 항미생물제는 피부상주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져 화장료 또는 세정제에 사용하여 피부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4
실시예 26 내지 28의 항미생물제를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발진성 여드름 환자 22명과, 화농성 여드름 환자 14명을 남녀 비율로 11:25로 구성하였고, 매일 2 내지 3회로 15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여드름 치료효과는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효과를 판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대조군으로 이제이 한방비누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현저한 효과 약간 효과 효과없음 악화됨
실시예 26-28 9명 7명 2명 0명
대조군 0명 7명 7명 4명
상기 표 9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6 내지 28의 항미생물제는 여드름에 대하여 매우 탁월한 치료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통상적인 여드름 치료제로 사용하는 대조군의 경우 여드름을 악화시키기도 하였다.
실시예 29 내지 65: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스프레이 조성물 제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물을 각 250 ㎖씩 혼합용기에 넣고, 750 rpm으로 충분히 교반하고, 여기에 천연향 또는 합성향 오일 75 g을 서서히 가하고, 교반하여 제조한 후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미세 분말화 하여 향 포접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사용한 목단피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의 혼합추출물이며, 하기 표 10a 및 10b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실시예 29 내지 65의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리 활성제 향료포접물 용매 보습제 피부침투증진제 합계
실시예 29 케토코나졸 0.01 라벤다 0.5 에탄올 96.49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0 케토코나졸 0.5 라벤다 0.5 에탄올 96.0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1 케토코나졸 1.0 라벤다 0.5 에탄올 95.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2 케토코나졸 2.0 라벤다 0.5 에탄올 94.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3 플루코나졸 0.01 라일락 0.5 에탄올 96.49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4 플루코나졸 0.5 라일락 0.5 에탄올 96.00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5 플루코나졸 1.0 라일락 0.5 에탄올 95.50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6 이트라코나졸 0.01 로즈마리 0.5 에탄올 96.49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7 이트라코나졸 0.5 로즈마리 0.5 에탄올 96.0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8 이트라코나졸 1.0 로즈마리 0.5 에탄올 95.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39 미코나졸 0.01 페퍼민트 0.5 에탄올 96.49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0 미코나졸 0.5 페퍼민트 0.5 에탄올 96.0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1 미코나졸 1.0 페퍼민트 0.5 에탄올 95.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2 케토코나졸 1.0플루코나졸 1.0 라벤다 0.5 에탄올 70.00IPA 24.50 P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3 케토코나졸 1.0이트라코나졸 1.0 라벤다 0.5 에탄올 70.00IPA 24.50 P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4 케토코나졸 1.0터비나핀 1.0 라벤다 0.5 에탄올 70.00IPA 24.50 P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5 펜티코나졸 1.0 무스크 0.5 IPA 95.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6 에코나졸 1.0 사과 0.5 IPA 95.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7 비포나졸 1.0 레몬 0.5 IPA 95.50 P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8 옥시코나졸 1.0 후로랄 0.5 에탄올 95.50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49 클로코나졸 1.0 후리지아 0.5 에탄올 95.50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50 롤시클레이트 1.0 라벤다 0.5 에탄올 95.50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51 암포테리신B 1.0 라벤다 0.5 에탄올 95.50 E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52 플루사이토신 1.0 로즈마리 0.5 IPA 95.50 P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53 그리세오플빈 1.0 로즈마리 0.5 IPA 95.50 PG 1.0 라놀린 2.0 100
실시예 54 터비나핀 1.0 로즈마리 0.5 IPA 95.50 PG 1.0 라놀린 2.0 100
포접제 :(주)보락의 인공합성/천연 향료 + 사이클로덱스트린, IPA : 이소프로필알콜, PE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EG: 에틸렌 글리콜, PG: 프로필렌 글리콜
약리 활성제 향료 포접체 용매 보습제 피부침투증진제 합계
실시예 55 목단피추출물 0.5 페퍼민트 0.5 에탄올 94.00 P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56 목단피추출물 1.0 페퍼민트 0.5 에탄올 93.50 P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57 목단피추출물 5.0 페퍼민트 0.5 에탄올 89.50 P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58 목단피추출물 10.0 페퍼민트 0.5 에탄올 84.50 P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59 목단피추출물 5.0케토코나졸 1.0 페퍼민트 0.5 IPA 88.50 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60 목단피추출물 5.0플루코나졸 1.0 페퍼민트 0.5 IPA 88.50 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61 목단피추출물 5.0 이트라코나졸1.0 페퍼민트 0.5 IPA 88.50 E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62 목단피추출물 5.0미코나졸 1.0 페퍼민트 0.5 IPA 88.50 P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63 목단피추출물 5.0 에코나졸 1.0 페퍼민트 0.5 IPA 88.50 P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64 목단피추출물 5.0옥시코나졸 1.0 페퍼민트 0.5 IPA 88.50 PG 2.0 라놀린 3.0 100
실시예 65 목단피추출물 5.0터비나핀 1.0 페퍼민트 0.5 IPA 88.50 PG 2.0 라놀린 3.0 100
실험예 7: 피부침투 증진효과 검증
케토코나졸, 플루코나졸, 터비나핀 및 목단피 추출물의 피부 침투 증진 효과 측정은 기네아피그 피부를 대상으로 경피흡수기기(Franz형 확산셀, Hason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조성물 1 내지 8을 제조하여 실험군으로 두었으며, 조성물 9 내지 10은 대조군으로 두었다.
약리 활성제 용매 피부침투 증진제 합계
실험군 조성물 1 케토코나졸 1.0 에탄올 97.00 세틸알콜 2.0 100
조성물 2 케토코나졸 1.0 에탄올 97.00 트윈 80 2.0 100
조성물 3 케토코나졸 1.0 에탄올 97.00 스판 80 2.0 100
조성물 4 케토코나졸 1.0 에탄올 97.00 라놀린 2.0 100
조성물 5 플루코나졸 1.0 에탄올 97.00 라놀린 2.0 100
조성물 6 클로트리마졸 1.0 에탄올 97.00 라놀린 2.0 100
조성물 7 터비나핀 1.0 에탄올 97.00 라놀린 2.0 100
조성물 8 목단피 추출물 1.0 에탄올 97.0 라놀린 2.0 100
대조군 조성물 9 케토코나졸 1.0 에탄올 99.00 - 100
조성물 10 목단피추출물 1.0 에탄올 99.00 - 100
기네아피그의 복부 피부를 평방 1 ㎠의 면적으로 채취하고, 이를 투과경의 직경이 0.9 cm인 투과셀에 정치한 다음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한쪽 면에 실험 군 및 대조군을 각각 0.5 ㎖씩 도포한 다음 32 ℃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후 도포된 피부에서 투과된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HPLC로 분석하여 피부에 흡수된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
피부 흡수량 (㎕/cm2/중량%)
0시간 8시간 경과 16시간 경과 24시간 경과
실험군 조성물 1 0 3.11 7.14 9.44
조성물 2 0 6.36 9.55 11.66
조성물 3 0 7.02 10.88 12.92
조성물 4 0 10.55 14.82 21.24
조성물 5 0 9.33 12.69 19.92
조성물 6 0 9.96 11.23 19.32
조성물 7 0 10.33 12.22 20.23
조성물 8 0 4.55 9.65 15.59
대조군 조성물 9 0 1.42 3.55 5.95
조성물 10 0 2.62 6.78 8.99
상기 표 12에서, 피부침투 증진제를 사용한 실험군이 피부침투 증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하여 피부 투과율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항균 및 항진균 활성 검증
실시예 29 내지 65의 조성물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시험은 미국공업표준규격인 ASTM G22에 따라, 항진균시험은 미국공업표준규격인 ASTM G2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은 하기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등급)
0등급 : 시편위 전혀 균주가 자라지 않음
1등급 : 시편위 10% 이내로 균주가 성장
2등급 : 시편위 10%∼30% 정도 균주가 성장
3등급 : 시편위 30%∼60%정도 균주 성장
4등급 : 시편위 60%이상 균주 성장
T. mentagrophytes T. rubrum Candida albicans Epidermophyton floccosum A. niger P. citrinum
실시예 31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35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38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41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42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43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44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46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48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50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52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54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57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59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61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64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실시예 65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0 등급
E. coli P. aeruginosa S. typhimurium
실시예 57 1.5 mm ± 0.5 mm 2.0 mm ± 0.5 mm 2.0 mm ± 0.5 mm
실시예 59 1.0 mm ± 0.5 mm 1.5 mm ± 0.5 mm 1.0 mm ± 0.5 mm
실시예 60 1.5 mm ± 0.5 mm 1.0 mm ± 0.5 mm 1.5 mm ± 0.5 mm
실시예 63 1.0 mm ± 0.5 mm 1.0 mm ± 0.5 mm 1.5 mm ± 0.5 mm
실시예 64 1.0 mm ± 0.5 mm 1.5 mm ± 0.5 mm 1.0 mm ± 0.5 mm
상기 표 13에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무좀의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테스 및 트리코피톤 루프럼, 피부습진 및 가려움증의 원인균인 칸디다 알비칸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 아스퍼질러스 나이거(흑곰팡이) 및 푸른곰팡이에 대하여, 항미생물성 스프레이 조성물의 항진균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항미생물성 물질을 혼합물 형태로 사용한 실시예 42 내지 43 및 59 내지 65의 조성물 역시 동일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9: 목단피 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증
목단피 추출물을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경우 항균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55 및 65의 조성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증하였다.
항균활성을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환산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4에 나타낸다.
(계산식 1)
항균활성= ((대조군의 균수 - 실험군의 균수)/ 대조군의 균수) X 100
균 수 감소율(%)
접종직후 24시간 후
S. aureus (KCTC 1916) 대조군 5.0 x 105 683 x 109 -
실시예 55 5.0 x 105 602 x 108 91.20
실시예 57 5.0 x 105 5.7 x 103 99.99
실시예 58 5.0 x 105 4.3 x 102 99.99
실시예 59 5.0 x 105 4.75 x 103 99.99
M. luteus(KCTC 1071 ) 대조군 5.0 x 105 1.72 x 1010 -
실시예 55 5.0 x 105 1.33 x 109 92.26
실시예 57 5.0 x 105 6.0 x 102 99.99
실시예 58 5.0 x 105 3.25 x 102 99.99
실시예 59 5.0 x 105 5.11 x 102 99.99
상기 표 14에서,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피부상재균에 대하여 살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9는 목단피 추출물과 케토코나졸이 혼합된 것으로, 이 역시 피부상재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목단피 추출물은 피부 상재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내어, 신체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10: 피부 자극성 검증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스프레이용 조성물들의 피부자극 정도를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19 세 내지 34세의 평균 22세 연령의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 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1 실시예35 실시예38 실시예41 실시예57 실시예58 실시예59 실시예60 실시예61 실시예62 실시예63 실시예64 실시예65
판정결과 - - - - - - - - - - - - -
상기 표 15에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스프레이용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는 무해한 조성물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66 내지 82: 스프레이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6의 조성(단위: 중량%)로 실시예 66 내지 82의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케토코나졸 향료 용매 보습제 합계
실시예 66 0.05 라벤다 1 에탄올 98.75 PEG 0.2 100
실시예 67 0.1 라벤다 1 에탄올 98.70 PEG 0.2 100
실시예 68 0.5 라일락 1 에탄올 98.3 PEG 0.2 100
실시예 69 0.7 라일락 1 에탄올 98.1 PEG 0.2 100
실시예 70 0.75 라일락 1 에탄올 98.05 PEG 0.2 100
실시예 71 1.0 라일락 1 에탄올 97.8 PEG 0.2 100
실시예 72 2.0 라벤다 0.5백합 0.5 IPA 96.80 PEG 0.2 100
실시예 73 3.0 백합 0.5 IPA 96.30 PEG 0.2 100
실시예 74 4.0 사과향 1 IPA 94.80 PEG 0.2 100
실시예 75 2.0 라일락향 1 에탄올 60.00IPA 36.80 PEG 0.2 100
실시예 76 케토코나졸 1.90이트라코나졸 0.10 라벤다 1 에탄올 60.00IPA 36.80 PEG 0.2 100
실시예 77 플루코나졸 0.05 라벤다 1 IPA 98.75 PEG 0.2 100
실시예 78 플루코나졸 0.25케토코나졸 0.25 라벤다 0.5백합 0.5 IPA 98.30 PEG 0.2 100
실시예 79 플루코나졸1.0 라벤다 0.5 IPA 38.30에탄올 60.00 PEG 0.2 100
실시예 80 이트라코나졸 0.05 라벤다 0.5 에탄올 99.15 PEG 0.3 100
실시예 81 이트라코나졸 0.25케토코나졸 0.25 백합 0.5 IPA 98.70 PEG 0.3 100
실시예 82 이트라코나졸 1.0 사과 0.5 EA 10.00IPA 88.20 PEG 0.3 100
실험예 11: 항균 및 항진균 활성 검증
ASTM G21(미국 공업표준규격)에 의거하여 실험을 실시예 66 내지 82의 스프레이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66 내지 82의 스프레이 조성물은 곰팡이에 대하여 살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중 결과 일부를 하기 표 17에 나타낸다.
항진균효과 (Inhibition zone)
실시예 67 실시예 68 실시예 69 실시예 71 실시예 76
푸른곰팡이 2 ± 0.1 mm 6 ± 0.1 mm 8 ± 0.1 mm 8.5 ± 0.1 mm 8.5 ± 0.1 mm
흑곰팡이 2 ± 0.1 mm 9 ± 0.1 mm 11 ± 0.1 mm 12 ± 0.1 mm 12 ± 0.1 mm
상기 표 17에서, 케토코나졸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은 무좀원인균(Trichophyton mentgrophytes, rubrum),피부습진 원인균(Candida albicans,Epidermophyton floccosum)에 대하여 탁월한 항진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이트라코나졸과 혼합한 실시예 76 역시 우수한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3 내지 85 : 액취 방지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8의 조성(단위 : 중량 %)으로 실시예 83 내지 85의 액취 방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3 실시예 84 실시예 85
목단피 추출물 2 1 0.5
트리콜린산(Triclosan) 0.5 0.5 0.5
마그네슘옥사이드(Aluminiumhydroxychloride) 4.60 4.60 4.60
PMMA 2.0 2.0 2.0
제올라이트(Zeolite) 0.23 0.23 0.23
DC 344 6.77 6.77 6.77
IPM 0.92 0.92 0.92
bisabolol 0.02 0.02 0.02
향료 0.15 0.15 0.15
액화 석유가스 82.81 83.81 84.31
합 계 100 100 100
실험예 12
1. 액취 유발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증
세균 감소율 측정법(Shaking Flask Method)에 의거하여 대표적 액취증 유발균인 스타플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1621), 스텐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Stenotrophomonas maltophilia, KCTC 2437) 그리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729)을 대상으로 실시예 83 내지 85의 액취 방지용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표 1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3 실시예 84 실시예 85
S. aureus, KCTC1621 99.99% 99.99% 99.99%
S. maltophilia, KCTC 2437 99.99% 99.99% 99.99%
C. albicans, KCTC 7729 99.99% 99.99% 99.99%
표 19에서, 실시예 83 내지 85의 조성은 액취 유발균들에 대하여 우수한 살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액취 및 악취에 대한 소취효과 비교 실험
평소 자신에게서 불쾌한 액취가 나며 자신의 액취가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느끼고 있는 20∼45세의 여성 30명과 남성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83 내지 85의 조성물을 각 4주간 하루 3회(아침, 점심, 저녁)씩 분사하여 패널의 액취에 대한 소취효과를 하기 표 20과 같은 판정기준에 따라 판단하였고, 그 평균을 표 21에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 자극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는 표 22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표시 내용
4 소취 효과가 매우 좋음
3 소취 효과가 있는 듯하나 확실하지는 않음
2 미미한 소취 효과가 있는 듯하나 확실하지는 않음
1 소취 효과도 액취의 악화도 없음
0 소취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액취가 악화됨
평점(패널스스로 평가) 평점(관능 평가 전문요원이 평가)
실시예 84 3.8 3.9
실시예 85 3.8 3.7
실시예 86 3.7 3.7
피부 자극도
실시예 84 -
실시예 85 -
실시예 86 -
표 21 및 22에서, 본 발명의 액취 방지용 조성물은 분말 분사형 에어로졸 형태로 사용하였을 때, 인체의 불쾌한 액취 및 악취에 대한 뛰어난 소취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피부 자극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6 내지 88: 구강 청결용 조성물
하기 표 23의 조성(단위: 중량%)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6 실시예 87 실시예 88
목단피 추출물 1 - 0.5
자일리톨 - 1 0.5
글리세린 8 8 8
불화나트륨 0.02 0.02 0.02
사카린 나트륨 0.5 0.5 0.5
에탄올 12 12 12
폴리디메틸실록산 20 20 20
에멀젼 0.04 0.04 0.04
정제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합계 100 100 100
1.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시험
균 감소율 방법(Shaking Flask Method)으로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균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KCTC 3065)와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KCTC 3556)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6 실시예 87 실시예 88
Streptococcus mitis 98.56 % 85.45 % 99.9 %
Streptococcus mutans 97.77 % 80.44 % 100 %
2. 항균효과 지속성 확인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에 실시예 86 내지 88의 조성물을 넣고, 시간별 균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5에 나타낸다.
6hr 12hr 24hr 48hr 72hr
실시예 86 97.55 % 97.70 % 97.77 % 93.25 % 80.44 %
실시예 87 83.23 % 81.15 % 80.44 % 60.35 % 43.25 %
실시예 88 99.99 % 100 % 100 % 100 % 98.33 %
3. 통증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86 내지 88의 조성물 사용 후 통증이 사라진 실험자 수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6에 나타내었다.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1주 이상
실시예 86 2 2 4 3 3 0 6
실시예 87 3 1 2 4 2 1 7
실시예 88 2 4 6 3 2 2 1
4. 구취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 86 내지 88의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사람이 사용하였을 경우 실제로 구취 제거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마늘에 있는 구취 감지 성분을 메틸 머캡탄으로 한정하고, 이의 제거율을 소취율로 측정하였다. 시험에는 메틸 머캡탄을 측정하는 구취감지기, Dr. Etiquette DE-160(Winners Japan Co., Ltd.)을 사용하였으며, 5명을 실험대상자로 하였다.
실험대상자는 시험 2시간 전에 아무 것도 섭취하지 못하도록 한 다음, 마늘 0.5 g을 2분 동안 저작시키고, 1분 동안 실시예 86 내지 88의 조성물을 입안에 3회 분사하였다. 이후 10분 간격으로 6회 입안의 메틸머캡탄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마늘 0.5 g을 2분 동안 저작하게 한 후 10분 간격으로 6회 입안의 메틸머캡탄 농도를 측정하였다.
소취율은 하기 계산식 2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계산식 2)
S: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적용 직후의 메틸머캡탄 농도(ppm)
H: 구강 청결용 조성물 적용 후 10분 간격으로 측정한 메틸머캡탄 농도(ppm)
소취율 결과는 표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지속적인 구취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hr 20hr 30hr 40hr 50hr 60hr
대조군(무처리) 10.50 15.37 18.77 34.55 36.53 42.45
실시예 86 75.44 77.55 79.32 83.56 81.45 81.25
실시예 87 73.56 74.77 79.45 80.22 81.56 79.66
실시예 88 88.55 89.78 91.45 92.11 93.45 93.78
상기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실시예 86 내지 88의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우수하고, 지속적인 구취 소취 효과를 가지며, 특히 목단피 추출물과 화합물을 병행 사용한 실시예 88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89 내지 91: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하기 표 28의 조성(단위: 중량%)으로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9 실시예 90 실시예 91
목단피 추출물 0.5 - 0.5
트리클로산(Triclosan) - 0.5 0.5
알킬벤젠설폰산 11.0 11.0 11.0
마그네슘옥사이드 0.69 0.69 0.69
알킬에테르설페이트 소듐염(27%) 15.0 15.0 15.0
에틸알콜 0.5 0.5 0.5
코코넛 지방산 디에탄올아마이드 2.0 2.0 2.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즈 0.05 0.05 0.05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합계 100 100 100
1. 행주의 살균력 평가
E. coli(KCTC 1682),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KCTC 1621), 녹농균(P. aeruginosa, KCTC 2004)을 혼합하여 희석(2.0×106/ml)한 용액에 시험포(백색면포를 121 ℃에서 15분간 멸균)를 넣어 오염시키고, 실시예 89 내지 91의 조성물로 1분간 세척한 다음 세균 배양용 배지위에 올려놓고 37 ℃에 방치하였다. 이후 세균 증식정도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9에 나타내었다.
- 세균증식정도 -
◎ : 완전살균, ○ : 살균, △ : 억제, × : 증식
2. 살균력 평가
살모넬라(Salomella typhimurium,KCTC1925), 이질균(Shigella flexneri, KCTC 2008)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상기 세균 배양은 40 ℃에서 24시간 실시하였다.
3. 소취력 평가
밀폐된 용기에 실시예 89 내지 91의 조성물을 넣고, 동량의 악취원(3종)을 각각 넣은 후 일정시간 뒤 소취되지 않은 악취의 잔류량을 건지관에 흡입시켜 잔류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Gastec Dectector, 검지관 사용).
-악취원-
- 암모니아 : 암모니아 검지관 사용, 0.03% 수용액, 0.5ml 사용
- 아민 : 아민류 검지관 사용, 0.3% 수용액, 0.5ml 사용
- 머캅탄 : 머캅탄류 검지관 사용, 0.1% 벤젠용액, 0.1ml 사용
-평가(검지관의 검지농도에 의한 평가)-
80 ppm 이상 : 소취력 없음( × )
50∼80 ppm : 미미한 소취력( △ )
20∼50 ppm : 소취력 있음( ○ )
20 ppm 이하 : 소취력 탁월( ◎ )
하기 표 29는 실시예 89 내지 91의 조성물의 살균력 및 소취력을 나타낸 것이다.
행주 살균력 살균력 소취력
S. typhimurium S. flexneri 암모니아 메틸 머캅탄 트리메틸아민
실시예 89
실시예 90
실시예 91
실시예 92 내지 94: 비누 조성물
하기 표 30의 조성(단위: 중량%)로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2 실시예 93 실시예 94
목단피 추출물 2 - 2
케토코나졸 - 2 1
정제수 2.0 2.0 2.0
트리콜린산 - 1 1
미네랄오일 1.0 1.0 1.0
폴리에틸렌글리콜 0.5 0.5 0.5
향료 1.2 1.2 1.2
트리브롬살란 0.1 0.1 0.1
헥사클로로펜 0.1 0.1 0.1
에틸렌디아민아세테이트산 0.1 0.1 0.1
이산화티탄 0.1 0.1 0.1
비누베이스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합계 100 100 100
1. 항균활성
상기 실시예 92 내지 94의 조성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저해환 형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2 실시예 93 실시예 94
B. cereus 3 10 10
B.subtilis 2 12 12
E.coli 3 0 3
K.pnewmoniae 3 0 3
S.aureus 4 12 12
S.typhymurium 5 0 5
A.niger 2등급 3 3
A.flavans 1등급 4 4
P.citrinum 2등급 2 2
T. mentagrophytes 3 15 15
T. rubrum 3 12 12
상기 표 31에서, 목단피 추출물과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그람 양성세균, 그람 음성세균 및 곰팡이에까지 광범위하게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2. 소취 효과
상기 실시예 92 내지 94의 조성물에 대한 소취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하기 표 32에 나타내었다.
소취력
암모니아 메틸 머캅탄 트리메틸아민
실시예 92
실시예 93
실시예 94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단피 추출물은 우수한 항미생물 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목단피 추출물을 의료용, 식품 첨가물, 화장품, 살균 소독제, 세제에 사용하여 구제역 바이러스, 피부가려움증, 백선, 비듬, 액취, 구취, 충치 또는 무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목단피를 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올, 아세톤, 벤젠,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 한 것인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 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및 사이클로피록스, 트리클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스프레이 형태로 적용되는 것인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 세정제 또는 화장료인 것인 무좀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6.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취 방지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목단피를 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올, 아세톤, 벤젠,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액취 방지용 조성물.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취 방지용 조성물은 스프레이 형태, 액상, 스틱형, 겔상, 크림형 및 세정제 형태로 적용되는 것인 액취 방지용 조성물.
  9.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여드름제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목단피를 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올, 아세톤, 벤젠, 에탄올, 메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것인 항 여드름제 조성물.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항 여드름제 조성물은 약제, 세정제 또는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목단피 추출물; 및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클로트리마졸, 펜티코나졸, 에코나졸, 비포나졸, 옥시코나졸, 클로코나졸, 롤시클레이트, 암포테리신 B, 플루사이토신,그리세오플빈, 터비나핀,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나프티핀, 할로프로진, 에노삭신, 노프록삭신, 사이플로삭신, 아시크로버, 리바비린, 트리클론산 및 사이클로피록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상, 겔상, 고상, 에어로졸 또는 스프레이 형태의 항 미생물성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 미생물성 조성물은 상기의 목단피 추출물 및 화합물을 1:5 내지 5: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미생물성 조성물은 피부 보습제, 피부 침투 증진제, 향료, 향료 포첩 담체, 유기용매 또는 충진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피부보습제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0.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피부 침투 증진제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향료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향료 포첩 담체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충진제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고; 및
    상기 유기용매는 항 미생물성 조성물에 나머지 잔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침투 증진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로레이트(PEGML), 글리세롤 모노로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로레이트, 유칼립톨, 레시틴, 1-치환된 아자시클로 헵탄-2-온, 1-n-도데실 시클아자시클로 헵타-2-온,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트 알콜, 폴리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도데실 아민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인 조성물.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200 내지 600,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글리콜성 에스테르 및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카복실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카복실산 에스테르, 솔비톨, 트리하이드록시 스테아린 및 다가 알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라벤다향, 레몬향, 후로랄향, 허브향, 사과향, 딸기향, 백합향, 후리지아향, 라일락향, 페파민트향, 로즈마리향, 후레쉬민트향, 스피아민트향, 올리브향, 키위향, 박하향, 장미향, 아카시아향, 페로몬향, 무스크향, 사향, 모과향 및 솔잎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상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포첩 담체는 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 덱스트린인 것인 조성물.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액화 프로판 가스인 것인 조성물.
  22. 제 12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 미생물성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비듬균 및 냄새 제어용 조성물, 살균 소독제 조성물, 동물 및 동물 사육장살균 소독용 조성물 또는 항구제역 조성물인 것인 조성물.
  23. 목단피 추출물; 및
    자일리톨, 프로폴리스, 트리클로산,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ⅩⅡ), 염화세틸피리디니움(ⅩⅢ),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히노키치올, 글리틸리틸산 및 알란트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
KR10-2003-0004683A 2002-01-26 2003-01-24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3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0160 WO2003061554A2 (en) 2002-01-26 2003-01-24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CNB038070405A CN100335081C (zh) 2002-01-26 2003-01-24 含有牡丹根皮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AU2003206183A AU2003206183A1 (en) 2002-01-26 2003-01-24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10/502,520 US20050084553A1 (en) 2002-01-26 2003-01-24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03561500A JP2005523252A (ja) 2002-01-26 2003-01-24 牧丹皮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660 2002-01-26
KR20020004660 2002-01-26
KR1020020045033 2002-07-30
KR20020045033 2002-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040A true KR20030068040A (ko) 2003-08-19
KR100536550B1 KR100536550B1 (ko) 2005-12-14

Family

ID=3223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683A KR100536550B1 (ko) 2002-01-26 2003-01-24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5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303B1 (ko) * 2007-06-07 2007-10-04 박병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0829519B1 (ko) * 2006-10-18 2008-05-19 김영홍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조성물
KR100882744B1 (ko) * 2008-11-05 2009-02-23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06177A (ko) * 2016-07-08 2018-01-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플라스틱을 이용한 항균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신발 깔창
KR102066979B1 (ko) * 2019-05-10 2020-01-15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512B1 (ko) * 2019-09-25 2021-04-07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19B1 (ko) * 2006-10-18 2008-05-19 김영홍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염 치료용 조성물
KR100762303B1 (ko) * 2007-06-07 2007-10-04 박병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0882744B1 (ko) * 2008-11-05 2009-02-23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06177A (ko) * 2016-07-08 2018-01-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플라스틱을 이용한 항균성 신발 깔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신발 깔창
KR102066979B1 (ko) * 2019-05-10 2020-01-15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550B1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84553A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9814737B2 (en) Composition for skin sanitization and protection and method of its use
WO2004028520A1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JP5776364B2 (ja) 抗微生物剤、口腔用組成物とその応用
EP2213165A1 (en) Novel compositions containing ozonized surfactant
WO2006087569A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archonanthus camphoratus
JP2010528098A (ja) ジアルキル・スルホスクシナート及びカルバニリド抗菌剤を含んでなる抗菌製剤
US20210260106A1 (en) Chlorite-containing compositions
US20110236503A1 (en) Topical Skincare Composition
JP2000247864A (ja) 化粧料組成物
JP2005187474A (ja) 改善された香粧料
KR101780836B1 (ko) 3,5-디히드록시-2-멘텐일스틸벤, 그것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그 채취 방법과 그 응용
KR100536550B1 (ko)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4294640B2 (ja) 防腐殺菌剤、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又は医薬品、及び防腐殺菌方法
KR101817318B1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방지용 조성물
US8486459B2 (en) Bulbine frutescens extract
JP3658626B2 (ja) 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WO2008044636A1 (fr) Agent anti-rides et préparation pour la peau pour un usage externe
KR100807842B1 (ko) 냄새 제거용 항균성 조성물
JP3385293B2 (ja) アルトカルピン含有抗菌・防腐剤及び化粧料
KR100562077B1 (ko) 피부보호,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유해균 성장억제, 여드름 예방 및 항균특성을 가지는 석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석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항균조성물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JP6291151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211761B1 (ko) 미네랄 복합체를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