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182A -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182A
KR20020029182A KR1020000059996A KR20000059996A KR20020029182A KR 20020029182 A KR20020029182 A KR 20020029182A KR 1020000059996 A KR1020000059996 A KR 1020000059996A KR 20000059996 A KR20000059996 A KR 20000059996A KR 20020029182 A KR20020029182 A KR 2002002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s
skin
potentilla chin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367B1 (ko
Inventor
김원찬
김호정
김청택
진무현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5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3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 및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보이며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아 안전하고 기미나 주근깨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eratrum nigrum L. extracts and Potentilla chinensis Ser. extracts}
본 발명은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그러나,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카니즘(mechanism)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유전에 기인한 기미, 자외선, 유전에 기인한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이에 종래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고지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같은 티로시나제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하여, 피부 미백이나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에 사용하여 왔으나, 하이드로퀴논의 미백효과는 인정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사용량이 극히 제한된다. 또한,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나며 경피흡수에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은 극성이 높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태반 추출물 등은 미백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여로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년 식물로 학명은 Veratrum nigrum L. 의 뿌리로 맛은 쓰고 매우며 단면은 희고 분질하다. 여로는 강압작용 있어서 고혈압증에 효능이 있으며, 심한 두통, 황달, 학질, 과창, 치통, 옴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중약대사전). 여로의 성분의 성분연구에 의하면 여러 알칼로이드계 성분이 함유가 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Jervine, Pseudojerivine, Rubijervine, Colchicine, Germerine, Veratoylzygadenine을 함유하고 있다. (Chem. Pharm. Bull. (1911), 39(3), 549-54).
위릉채는 장미과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 학명은 Potentilla chinensis Ser.이며,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또한, 이질, 풍습으로 인한 근골의 의 동통, 반신 불수, 전간, 옴등을 치료한다(중약대사전).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JP2000143488)와 아토피성 치료로 쓰이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WO9600078)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합성 유도 자체를 억제하는 물질까지 스크리닝(screening)할 수 있는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천연에서 자생하는 동식물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미백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와 미백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약재로 구입할 수 있는 여로, 위릉채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로 1차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거나 분무 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서 매우 강력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건조된 여로, 위릉채 추출물로 피부 외용 연고나 화장료로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약재로 시판되는 여로, 위릉채를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20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50-100oC로 1-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이상씩 더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추출물을 얻는다.
건조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elanoma cell)에 처리하였을 때, 매우 강력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연고나 로션 같은 여러 화장료를 제조한다.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연고나 로션 등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어떤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여로, 위릉채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제임을 알 수 있다.
피부외용연고나 화장료 제조시에 함유되는 여로, 위릉채 추출물의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0.0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10.0중량%가 적당하다. 0.0001중량%이하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10중량%이상의 농도에서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실시예 1-12
시판되는 여로, 위릉채를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100g을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등의 용매 3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 추출한 다음, 1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oC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표1과 같이 각각의 건조 중량을 얻었다.
추출용매 및 추출물의 건조중량
여로 위릉채
80%메탄올 7.5g (실시예1) 9.5g(실시예7)
정제수 5.8g(실시예2) 7.2g(실시예8)
85%에탄올 8.3g(실시예3) 8.3g(실시예9)
70%아세톤 6.5g(실시예4) 7.0g(실시예10)
에칠아세테이트 7.3g(실시예5) 6.2g(실시예11)
포화노말부탄올 9.7g(실시예6) 7.6g(실시예12)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12에 따라 얻어진 각 추출물들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Lotan R., Lotan D. Cancer Res. 40:3345-3350, 1980). 실시예 1-12에 따라 얻어진 각 추출물들을 최종농도가 0.005%가 되도록 하여 하이드로퀴논 수용액과 함께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이것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1N농도) 1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 400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106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12에 따라 얻어진 각 시료들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추출물임을 감안하면 기존에 알려진 미백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할 때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로, 위릉채 추출물의 세포수준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시 료 멜라닌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048±0.003 -
실시예 1(최종농도 0.005%) 0.032±0.003 33%
실시예 2(최종농도 0.005%) 0.031±0.003 35%
실시예 3(최종농도 0.005%) 0.025±0.002 48%
실시예 4(최종농도 0.005%) 0.026±0.002 46%
실시예 5(최종농도 0.005%) 0.028±0.003 42%
실시예 6(최종농도 0.005%) 0.024±0.003 50%
실시예 7(최종농도 0.005%) 0.023±0.004 52%
실시예 8(최종농도 0.005%) 0.029±0.002 40%
실시예 9(최종농도 0.005%) 0.030±0.002 38%
실시예10(최종농도 0.005%) 0.025±0.002 48%
실시예11(최종농도 0.005%) 0.025±0.002 48%
실시예12(최종농도 0.005%) 0.026±0.002 46%
하이드로퀴논(최종농도0.0001% ) 0.025±0.002 48%
* 반복수 = 3
실험예 2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실시예1, 7의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시료 적용 농도(%) 멜라닌생성량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 0.048±0.003 -
실시예 1 최종농도(0.0005 %) 0.035±0.002 27%
최종농도(0.005%) 0.030±0.003 38%
최종농도(0.05 %) 0.026±0.002 46%
최종농도(0.5%) 0.023±0.001 52%
실시예 7 최종농도(0.0005 %) 0.046±0.002 4%
최종농도(0.005%) 0.032±0.004 33%
최종농도(0.05 %) 0.027±0.002 44%
최종농도(0.5%) 0.022±0.001 54%
하이드로퀴논 (0.0001%) 0.025±0.002 48%
●반복수 = 3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이드로퀴논은 저농도에서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지만 세포 독성이 심해 0.0001%이상에서는 실험을 할 수 없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의 추출물들은 0.05%농도 이상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사용가능한 최대량의 하이드로퀴논보다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이 단일물질이 아니고 혼합물질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처방예를 제조예에 의해 나타내었다.
제조예 1-2 및 비교예 1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의 것을 말한다.
조성물 제조예(중량%) 비교예
1 2 1
-추 출 물여로 추출물위릉채 추출물-디에틸 세바케이트-경납-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벤조산 나트륨-바셀린 10-856적량to 100 -10856적량to 100 --856적량to 100
제조예 3-4 및 비교예 2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의 것을 말한다.
조성물 제조예(중량%) 비교예
3 4 2
-추 출 물여로 추출물위릉채 추출물-스테아린산-세탄올-수산화칼륨-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방부제-향-정제수 1.0-15.01.00.75.03.0적량적량to 100 -1.015.01.00.75.03.0적량적량to 100 --15.01.00.75.03.0적량적량to 100
제조예 5-6 및 비교예 3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의 것을 말한다.
조성물 제조예(중량%) 비교예
5 6 3
-추 출 물여로 추출물위릉채 추출물- 에탄올-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글리세린-1,3-부틸렌글리콜-향-색소-정제수 0.2-10.01.00.25.06.0적량적량to 100 -0.210.01.00.25.06.0적량적량to 100 --10.01.00.25.06.0적량적량to 100
제조예 7-8 및 비교예 4
여로, 위릉채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의 것을 말한다.
조성물 제조예(중량%) 비교예
7 8 4
-추 출 물여로 추출물위릉채 추출물- 와셀린-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카르복시비닐폴리머-수산환칼륨-색소-향-정제수 0.1-2.00.81.2적량5.03.218.00.1적량적량to 100 -0.12.00.81.2적량5.03.218.00.1적량적량to 100 --2.00.81.2적량5.03.218.00.1적량적량to 100
제조예 9-10 및 비교예 5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의 것을 말한다.
조성물 제조예(중량%) 비교예
9 10 5
-추 출 물여로 추출물위릉채 추출물- 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폴리비닐알코올-에탄올-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칠-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향-색소-정제수 0.5-5.04.015.08.01.00.2적량적량to 100 -0.55.04.015.08.01.00.2적량적량to 100 --5.04.015.08.01.00.2적량적량to 100
제조예 11-12 및 비교예 6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에셋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1의 것을 말한다.
조성물 제조예(중량%) 비교예
11 12 6
-추 출 물여로 추출물위릉채 추출물-프로필렌글리콜-글리세린-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에탄올-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향-정제수 5-10.010.05.05.01.00.1적량to 100 -510.010.05.05.01.00.1적량to 100 --10.010.05.05.01.00.1적량to 100
실험예 3
건강한 남여 20명씩을 선정하여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mm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붙이고, 팔에서 10cm 떨어진 거리에서 ORIEL solar simulator 1000W를 사용하여 60mJ/cm2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전에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하였다. 조사하기 3일전부터 조사 후 3주째까지 1일 2회씩 제조예 1-12 및 비교예 1-6에 따라 제조된 로로통, 백미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와 각각의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기제를 한 쌍으로 같은 줄에 도포하였다.(제조예 9, 10 및 비교예 5의 팩 처방의 경우 도포한 다음 15분 후에 떼어내었다.) 각각에 대하여 제조예와 비교예의 색소침착도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색소침착을 억제한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있음, 차이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과 같다.
여로,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연고 및 화장료의 색소 침착 저해 효과
실험물질 뚜렷한 효과(명) 효과있음(명) 차이없음(명)
제조예 1 4 8 8
제조예 2 4 9 7
제조예 3 3 8 9
제조예 4 3 7 10
제조예 5 2 9 8
제조예 6 2 8 10
제조예 7 2 8 10
제조예 8 2 9 9
제조예 9 2 10 8
제조예 10 3 8 9
제조예 11 3 8 9
제조예 12 3 9 8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12에 따라 제조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이 함유된 미백연고 및 화장료는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최소 10명 이상에 대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많은 양의 여로, 위릉채 추출물이 적용된 제조예 1, 2와 비교예1의 비교 실험에서는 60%가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보이고,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여로, 위릉채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하고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 및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보이며 피부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아 안전하고 기미나 주근깨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3)

  1.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여로 추출물, 위릉채 추출물을 건조 중량으로 0.0001-1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여로, 위릉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으로 1회 이상 추출하고, 추출액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 건조하거나 분사 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59996A 2000-10-12 2000-10-12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97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96A KR100797367B1 (ko) 2000-10-12 2000-10-12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996A KR100797367B1 (ko) 2000-10-12 2000-10-12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182A true KR20020029182A (ko) 2002-04-18
KR100797367B1 KR100797367B1 (ko) 2008-01-22

Family

ID=1969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996A KR100797367B1 (ko) 2000-10-12 2000-10-12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3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736B1 (ko) * 2002-01-11 2004-11-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57130B1 (ko) * 2001-07-11 2007-09-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베라진 및 에피-베라진을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FR2921833A1 (fr) * 2007-10-03 2009-04-10 Seppic Sa Utilisation d'un extrait de potentille comme actif cosmetique et pharmaceutique eclaircissant de la peau.
KR101010579B1 (ko) * 2008-12-17 2011-01-24 (주)에이엔티이십일 다단 산기장치
WO2011053007A2 (ko) * 2009-10-30 2011-05-05 (주)아모레퍼시픽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131488B1 (ko) * 2009-06-11 2012-04-19 주식회사 오비엠랩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3808750A (zh) * 2013-01-30 2014-05-21 河南省科高植物天然产物开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鉴别藜芦药材的方法
KR20210073089A (ko) * 2019-12-10 2021-06-1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박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171A (ja) * 1999-03-12 2000-09-1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30B1 (ko) * 2001-07-11 2007-09-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베라진 및 에피-베라진을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54736B1 (ko) * 2002-01-11 2004-11-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FR2921833A1 (fr) * 2007-10-03 2009-04-10 Seppic Sa Utilisation d'un extrait de potentille comme actif cosmetique et pharmaceutique eclaircissant de la peau.
KR101010579B1 (ko) * 2008-12-17 2011-01-24 (주)에이엔티이십일 다단 산기장치
KR101131488B1 (ko) * 2009-06-11 2012-04-19 주식회사 오비엠랩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053007A2 (ko) * 2009-10-30 2011-05-05 (주)아모레퍼시픽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11053007A3 (ko) * 2009-10-30 2011-09-29 (주)아모레퍼시픽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CN103808750A (zh) * 2013-01-30 2014-05-21 河南省科高植物天然产物开发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鉴别藜芦药材的方法
KR20210073089A (ko) * 2019-12-10 2021-06-1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박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367B1 (ko) 200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554B1 (ko) 시토스테롤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604073B1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및 석곡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97367B1 (ko) 여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402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131767A (ko)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46735B1 (ko) 피부미백제 조성물
KR100797366B1 (ko) 로로통 추출물, 백미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54736B1 (ko)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64227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0530B1 (ko) 철현채 추출물, 유엽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8963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550773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1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40059007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9990048305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40059005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31271B1 (ko) 아레콜린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724168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50107372A (ko) 피부미백제 조성물
KR100789633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