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028B1 -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028B1
KR101083028B1 KR1020090010434A KR20090010434A KR101083028B1 KR 101083028 B1 KR101083028 B1 KR 101083028B1 KR 1020090010434 A KR1020090010434 A KR 1020090010434A KR 20090010434 A KR20090010434 A KR 20090010434A KR 101083028 B1 KR101083028 B1 KR 10108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strobe pine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302A (ko
Inventor
박세연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09001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0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큰 다닥냉이 추출물 또는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하여 α-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에 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촉진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효과가 있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큰 다닥냉이, 스트로브 잣나무피, 멜라닌, 미백, 화장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큰 다닥냉이 추출물 또는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하여 α-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에 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촉진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항산화효과가 있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 세포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형성 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단위체는 타이로신(Tyrosine)이다. 이 타이로신은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효소에 의해 도파로 전환되고 산화 되어 다시 도파 퀴논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합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게 되고 케라티노사이트에서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각화에 의해 멜라닌이 완전히 없어 지지 않으면 색소 침 착(Pigmentation)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피부가 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멜라닌 생성 과정 중의 일부 반응을 저해함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 주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며 일반적이다.
색소 침착을 방지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 경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이의 각 단계별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원료가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 멜라닌 색소의 합성과 관련된 타이로시나아제 효소를 억제하는 원료로는 알부틴과 닥나무 추출물이 있으며, 생성된 멜라닌의 환원을 촉진하는 비타민 C 유도체가 있다. 또한 각질의 박리를 촉진하여 표피내 멜라닌의 배설을 촉진시키는 락틱산과 살리실산이 있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 등이 있으며, 멜라노사이트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하이드로퀴논 등이 있다. 최근의 미백 관련 연구에서는 멜라닌 합성에 영향을 주는 사이토카인 등의 신호전달 물질을 차단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원료들은 세포 침투 능력에 문제가 있으며,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억제 효과가 미미하고, 일부 원료는 피부가 탈색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장료에 배합시 안전성 등의 문제로 사용량이 제한 되고 있어 신규한 미백 원료의 개발이 계속하여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0063340호는 레티노이드, 비타민 C, 닥나무 추출물, 감초산 유도체 및 보조효소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미백물질들 외에 천연물 특히 식물 중에서 미백활성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도 계속 이루어져왔고, 그 중 상백피(일본공개특허 소 55-44375호, 소 64-26507호, 소 64-83009호, 평 1-25687호, 평 5-139950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09호, 제97-021273호), 감초(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1호, 소 60-214728호, 소 63-23809호, 소 64-63506호, 평 1-149706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09호, 제97-025601호), 작약(일본공개특허 소 61-24610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11호), 계피(일본공개특허 소 63-30403호, 평 5-139954호), 고삼(일본공개특허 소 64-2650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2-002110호), 갈근(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7호, 소 64-16709호), 당귀(일본공개특허 소 56-92211호, 평 4-26610호), 목단피(일본공개특허 소 60-214721호, 소 61-50915호, 소 61-246109호), 반하(일본공개특허 평 2-2070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6-033442호), 알로에(일본공개특허 소52-44375호, 평 2-207030호, 평 5-139950호)등 다수의 식물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이들 역시 안전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아직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백 화장료 보다 미백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추출물인 큰다닥냉이 추출물을 함유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피부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큰다닥냉이 추출물에 스트로브잣나무피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여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고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시너지효과가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다닥냉이 추출물와 스트로브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에 있어서, 큰 다닥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에 있어서,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큰다닥냉이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큰다닥냉이추출물과 상기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1: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추출물인 큰다닥냉이 추출물을 함유하여 a-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을 억제시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큰다닥냉이 추출물에 스트로브잣나무피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여
a-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을 억제시켜 멜라닌 생성을 저해 시킴과 동시에 스트로브 잣나무피가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 하여 표피 조직의 멜라노사이트 외에서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 및 피부의 색소 침착을 예방해 줌으로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큰다닥냉이 추출물와 스트로브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추출물인 큰다닥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a-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을 억제시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큰다닥냉이 (Lepidium sativum, Garden cress Sprouts)는 유럽이 원산지로 산과 들에 자라며 한국의 북부 지방에 분포 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80cm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잿빛이 띤 푸른 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줄기 밑 부분에 달린 것은 바소꼴 이며 깃꼴로 갈라지고 줄기 윗부분에 달린 것은 줄 모양이다. 열매는 각과이고 긴타원형의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5~6mm이고 끝이 약간 오목하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다닥냉이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열매가 커서 큰다닥냉이라 한다. 큰다닥냉이의 어린순은 식용으로 사용 되며, 한방에서는 종자를 말려 정력자라는 약재로 쓰는데 기침과 천식, 폐결핵, 몸이 붓고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증세, 심장 쇠약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큰다닥냉이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큰다닥냉이추출물이 0.001 중량 %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가 미미하며 10.0 중량 %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제품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큰다닥냉이 추출물에 스트로브잣나무피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여 a-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을 억제시켜 멜라닌 생성을 저해 시킴과 동시에 스트로브 잣나무피가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 하여 표피 조직의 멜라노사이트 외에서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 및 피부의 색소 침착을 예방해 줌으로서 시너지효과가 있는 우수한 미백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스트로브잣나무피는(Pinus Strobus)는 북 아메리카가 원산이며 국내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표고 500m이하의 중부 이남에 식재가 가능하다. 스트로브 잣나무는 상록침엽교목으로 높이 30m, 직년 1m까지 자란다. 잎은 5개씩 속생하고 선형이며, 길이는 6~14cm로서 끝이 뾰족하여 송곳처럼 생겼고, 잔톱니가 있으며, 회록색이고 횡단면의 수지구는 2개이며 외위이다. 그리고, 뒷면에는 백색기공조선이 있다. 4월 하순에 황녹색의 꽃이 피며 자용일가화로 암꽃은 장타원형, 수꽃은 원관형으로 핀다. 열매는 이듬해 10월 상순에 익는다. 구과는 긴 원통형이며 길이 8~2 cm, 지름 2.5cm 로서 밑으로 처지고 흔히 구부러지며 실편은 분두로서 사방으로 퍼지고 끝이 젖혀진다. 종자는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5~7 cm, 폭 3~5cm 로서 자갈색이지만 흑색 점이 있고 날개는 길이 13 ~ 18cm 이다. 줄기는 높이 30cm, 지름 1m 까지 자라고 줄기가 통직하며 수피는 녹갈색으로 밋밋하지만 늙으면 세로로 깊이 갈라지고 소지는 녹갈색으로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목부에 포함된 성분으로는 피니톨, 피노실빈, 피노실빈-메틸에스테르, 플라보노이드인 크리신, 피노세릅린, 피노반크신, 크립토스트로빈 등이 있다. 문헌에는 잣나무의 가는 가지는 류머티즘, 통풍, 허리아픔에 효능이 있어 진통 욕탕료로 쓰고, 어린 가지와 잎의 달임약은 괴혈병 치료약으로 쓰며, 수지로는 상처에 쓰는 무른교약을 만들고 껍질의 우리미약은 결핵 치료약으로, 링크는 결핵균이나 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성 상처의 치료에 쓴다고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스트로브잣나무피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로브잣나무피추출물이 0.001 중량 %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가 미미하며 10.0 중량 %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제품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적합하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큰다닥냉이추출물과 상기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1:1의 중량비로 함유하여 피부미백에 더욱 시너지효과가 있도록 하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큰다닥냉이추출물과 스트로브잣나무피추출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각각 제조할 수 있다.
큰 다닥냉이와 스트로브 잣나무피를 각각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다. 건조한 각각의 식물을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추출물은 여과되고, 진공회전증발기 등을 이용하여 농축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2 ~ 10 배로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중탕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탕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침적 온도는 30 ~ 7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6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침적 시간은 5 ~ 20 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시간이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 시키고, 상층액을 감압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70 ℃에서 감압농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큰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데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미백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백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미백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 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뤼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마이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데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1,3-부틸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족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테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큰 다닥냉이 추출물의 제조
큰 다닥냉이 50 g을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큰다닥냉이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의 제조
스트로브 잣나무피를 50 g 취하여 100% 에탄올 200ml에 침지시켜 50℃ 수욕조에서 10시간 동안 온탕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농축한 다음, 이를 10% 에탄올에 녹여 스트로브잣나무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측정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이 멜라닌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이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에 영향을 끼치는지 측정하였다.
96웰 플래이트에 0.1M phosphate buffer(pH6.8)를 20ul 첨가하고 동일 Buffer 에 200㎍/㎖의 농도로 희석한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또는 증류수 50ul를 첨가한 후 10ul의 버섯유래 타이로시나아제를 첨가한다. 기질로서 5mM의 L-DOPA 20ul를 첨가한후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타이로시나아제 활성도는 하기 수학식 1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미백제로서 널리 사용되었던 코지산과 상기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 효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 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미처리구 코지산 큰 다닥냉이 추출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100 2.9 41.7 27.1
상기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지산을 처리하였을 때 전체 활성의 2.6% 만이 활성을 가진 반면, 큰 다닥냉이 추출물은 41.7%,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만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27.1%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큰 다닥냉이 추출물은 타이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지만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코지산에 비해 저해 효과가 적으나 미처리구에 비해 72.9% 이상 저해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의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를 시료로 사용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노지네시스 (melanogenesis) 저해 효과는 메다 및 마에다의 방법 (Meada and Fukuda, J. Soc. Cosmetic Chem., 42, 361, 199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 (ATCC CRL6323)를 10% 소혈청과 1%의 항생제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x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α-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0.34mg/ml, Sigma)이 처리된 DMEM 배지 또는 α-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을 포함 하지 않는 DMEM 배지로 갈아준 후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웰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모든 농도에 따른 웰 수는 3배수로 준비 하였다. 3일 후 멜라닌 양을 측정할 세트는 1.5ml 튜브에 배지를 수거하고 세포들은 트립신을 처리하여 떼어낸 후 배지를 수거한 튜브로 옮겼다. 3,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 분리 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1N NaOH 250㎕를 처리하여 끓는 물에서 10분 처리 후 가볍게 원심 분리 하였다. 다시 10분간 초음파 분해 (Sonication) 하여 완전히 멜라닌을 용해 한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만 멜라닌 합성을 50%를 감소시키는 값을 IC50으로 나타내었다.
시 료 명
구 분
IC50 (㎍/㎖)
큰 다닥냉이 추출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α-MSH 처리 조건 45 270
α-MSH 미처리 조건 521 132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α-MSH를 처리한 조건과 a-MSH를 미처리한 조건을 비교해 볼 때, α-MSH를 미처리한 조건에서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가 큰 다닥냉이 추출물에 비해 우수하였고, a-MSH를 처리한 조건에서는 큰 다닥냉이 추출물이 뛰어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큰 다닥냉이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과정에서 직접적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가 아닌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a-MSH)을 억제하는 경로로 멜라닌 합성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의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추정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작용 시험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인 DPPH 용액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0mg/ml 와 항산화 측정 용액인 DPPH 용액을 100㎕씩 혼합 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수학식 2에 의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 (1-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시료명 항산화 활성(%)
큰 다닥냉이 추출물 32.7%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79.2%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큰 다닥냉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32.7%이고,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79.2%로 피부 미백 효과뿐 만 아니라 항산화 활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3]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4]의 조성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제조예1 및 2에서 제조한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다음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1 (중량%) 실시예2 (중량%)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큰 다닥냉이 추출물 2.0 4.0 -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 - 4.0
글리세린 5.0 5.0 5.0 5.0
유동파라핀 10.0 10.0 10.0 10.0
폴리솔베이트60 2.0 2.0 2.0 2.0
솔비탄세스퀴롤올레이트 1.0 1.0 1.0 1.0
스쿠알란 5.0 5.0 5.0 5.0
밀납 10.0 10.0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프로필렌 글리콜 1.0 1.0 1.0 1.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실험예 4: 미백 효과
본 발명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건강한 20 ~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1개월간 30-40대의 건강한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2와 비교예 1, 2를 10명씩 4조로 나누어 매일 2회씩 한달간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하여 피부의 흑백정도를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a*,b*표색계를 쓰며 본실험에서는 주로 L*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검정색(L*=0)으로부터 흰색(L*=100) 까지를 나타내며 한달 후의 ΔL*를 구하여 다음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ΔL*
실시예 1 8.91
실시예 2 5.12
비교예 1 5.62
비교예 2 0.4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 실시예1에서 가장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실시예2도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안전성 시험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피부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4] 에서의 화장료에 대해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씩 핀챔버 (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고, [수학식 3]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기 호 점수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평균피부반응도(%)=(점수*반응수*100*1/2)/[3(최대점수)*총피검자수(n)]
시험물질 1 시간 후 24 시간 후 반응도 (%)
(n=20)
± + ++ ± + ++
실시예 1 - - - - - - 0.00
실시예 2 - - - - - - 0.00
비교예 1 - - - - - - 0.00
비교예 2 - - - - - - 0.00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피부 첩포 실험에서 상기 큰 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피부 자극이 없는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예로서 큰다닥냉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및 마사지 크림 등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큰 다닥냉이 추출물 2.0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큰 다닥냉이 추출물 2.0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큰 다닥냉이 추출물 2.0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큰 다닥냉이 추출물 2.0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큰 다닥냉이 추출물 2.0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2.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6)

  1. 큰 다닥냉이 추출물 및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큰 다닥냉이 추출물: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1:1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큰다닥냉이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로 함유하여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 10.0중량%로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화장료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090010434A 2009-02-10 2009-02-10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08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434A KR101083028B1 (ko) 2009-02-10 2009-02-10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434A KR101083028B1 (ko) 2009-02-10 2009-02-10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302A KR20100091302A (ko) 2010-08-19
KR101083028B1 true KR101083028B1 (ko) 2011-11-16

Family

ID=4275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434A KR101083028B1 (ko) 2009-02-10 2009-02-10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9258B (zh) * 2016-10-25 2019-10-25 广州嘉联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淡化老人斑功效的护肤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890691A4 (en) * 2018-12-03 2022-11-0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WHITE PINE BARK EXTRACT TO DECREASE ENDOTHELIN-1 SECRETION, STEM CELL FACTOR SYNTHESIS AND PROTEIN CARBONYLATION
KR102345335B1 (ko) * 2020-10-06 2021-12-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닥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655A (ja) * 2004-02-27 2005-09-08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655A (ja) * 2004-02-27 2005-09-08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7(4), pp. 331-335.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302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08302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4968B1 (ko) 소루쟁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6536A (ko) 멜로우 추출물 또는 멜로우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05556B1 (ko)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90119340A (ko)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06341B1 (ko) 명당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195576B1 (ko) 파피루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93863B1 (ko) 조직 배양한 노니 배양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 배양한 노니 배양세포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