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092A -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092A
KR19980027092A KR1019960045754A KR19960045754A KR19980027092A KR 19980027092 A KR19980027092 A KR 19980027092A KR 1019960045754 A KR1019960045754 A KR 1019960045754A KR 19960045754 A KR19960045754 A KR 19960045754A KR 19980027092 A KR19980027092 A KR 19980027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genus
plant extract
euphorb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이용규
이천구
강세훈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45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092A/ko
Publication of KR1998002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92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지금(斑地錦), 소비양초(小飛揚草), 낭독대극(狼毒大戟), 암대극(岩大戟), 택칠(澤漆), 유포비아 마큘라타(Euphorbia maculata) 및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Euphorbia adenochlora)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대극속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우수한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러한 멜라닌의 농도 및 분포는 주로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타이로신(Tyrosine)에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통해 생체내에서 제조된다. 이렇듯 타이로시네이즈가 피부흑색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종래에는 코지산, 글루타치온, 하이드로퀴논 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을 화장료에 배합하여 피부흑색화나 기미, 주근깨 등을 방지하거나 치료하는데 이용함으로써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에 부응하여 왔다. 그러나, 이 물질들은 또한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 및 경시안정성이 우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미백효과가 뛰어난 물질을 개발하고자 이미 그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는 천연물중에서 미백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집중적으로 탐색한 결과, 대극속 식물인 반지금(斑地錦), 소비양초(小飛揚草), 낭독대극(狼毒大戟), 암대극(岩大戟), 택칠(澤漆), 유포비아 마쿨라타(Euphorbia maculata) 또는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Euphorbia adenochlora)로부터의 추출물이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배양된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억제실험 및 사람에 대한 시험을 통해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극속(大戟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극과 식물은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로서 300여속(屬), 7500여종(種)이 존재하는데, 그중에는 약용식물로서 중요한 것들이 많이 존재하며 또한 탄닌(tannin)의 자원으로도 중요한 식물군이다. 이중에서도 대극속 식물은 아열대 지방을 중심으로 약 2000여종이 분포하며 초본을 자르면 유액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대극속 식물은 예로부터 하제(下劑), 이뇨제(利尿劑), 통경약(通經藥), 진통약(鎭痛藥), 해독약(解毒藥), 수렴약(收斂藥) 등의 목적에 이용되어 온 것이 많다. 대극속 식물에 속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선택되어 사용된 특정식물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택칠은 대극과(大戟科)의 1년생 또는 2년생 식물로서 학명은 유포비아 헬리오스코피아(Euphorbia helioscopia L.) 이다.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들, 길가 및 도랑가 등에서 자란다. 택칠은 축수소종(逐水消種), 산결(散結), 살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낭독대극은 대극과(大戟科)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유포비아 피케리아나 스텐드(Euphoriba ficheriana Stend)이다.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초원 또는 양지바른 산비탈에서 자란다. 낭독대극은 산결(散結), 살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소비양초는 대극과(大戟科)의 1년생 초본인 천근초(千根草)의 전초(全草)로서 학명은 유포비아 티미폴리아(Euphorbia thymifolia L.)이다. 집주위나 밭주변 또는 산비탈 초지의 습윤한 땅에서 자라며 세균성 이질, 장염복사(腸炎腹瀉) 및 치창출혈(痔瘡出血) 등의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반지금(班地錦)은 대극과(大戟科)의 1년생 식물로서 애기 땅빈대라고도 하며 학명은 유포비아 수피나 라핀(Euphorbia supina Rafin)이다.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여 산야, 길가 및 정원등에서 자란다. 반지금은 지혈, 청습열(淸濕熱), 통유(通乳)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이상 동의보감).
암대극은 대극과(大戟科)의 초본으로서 학명은 유포비아 졸키니 보이스(Euphorbia jolkini Boiss) 이다.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택칠, 낭독대극, 소비양초, 반지금 및 암대극은 물론이고 유포비아 마큘라타(Euphorbia maculata) 및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Euphorbia adenochlora)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 식물의 추출물을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데, 이때 식물 추출물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 (w/w) 범위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 (w/w) 범위로 사용한다.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0.001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사용하면 실질적인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도록 사용하면 제형상 및 제품안정성 면에서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극속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반지금, 소비양초, 낭독대극, 암대극, 택칠, 유포비아 마큘라타 및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대극속 식물을 물, 함수 또는 무수의 탄소수 1 내지 4 개인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매로 1 회 이상 추출하여 감압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중에서도 아세톤 또는 메탄올을 추출용매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피부 미백효과의 유효성분으로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제형으로는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 예를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엣센스, 팩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중 어느 제형이 선택되든, 유효성분인 대극속 식물 추출물은 각 제형의 제조시 통상 이용될 수 있는 성분들과 배합되며, 여기서 통상의 성분이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범용성 있는 것으로서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추출예,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예 1
신선한 반지금 전초(全草) 13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13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 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150g 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2
신선한 반지금 전초(全草) 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5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25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3
잘 건조된 낭독대극의 뿌리 3.9kg 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4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105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4
잘 건조된 낭독대극의 뿌리 2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2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21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5
잘 건조된 소비양초 전초(全草) 2.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2.5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125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6
잘 건조된 소비양초 전초(全草) 2.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2.5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25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7
신선한 암대극의 전초 53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5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440g의 추출물울 수득하였다.
추출예 8
신선한 암대극의 전초 10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1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52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9
신선한 택칠 전초(全草) 48.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50ℓ에 딤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84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10
신선한 택칠 전초(全草) 10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1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21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11
신선한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E. adenochlora)의 전초 62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6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52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12
신선한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의 전초 10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10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36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13
신선한 유포비아 마큘라타(Euphorbia maculata)의 전초 23kg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23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30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예 14
신선한 유포비아 마큘라타의 전초 5kg을 잘게 절단하여 80% 메탄올 수용액 5ℓ에 담그어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Whatman No.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시켜 약 38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
상기 추출예에 따라 수득된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효소 타이로시네이즈는 버섯류(Mushroom)로 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시그마(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타이로신을 1.5mM의 농도로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액(0.05mol 농도,pH 6.8)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0.3ml 용량의 분광 광도계 큐벧(cuvette)에 0.1ml씩 가하였다. 여기에 코팩터(Cofactor)인 도파를 0.6mM 농도로 만들어 0.01ml씩 첨가한 다음, 추출물을 각각 다른 농도로 첨가하고 첨가된 추출물의 부피가 0.1㎖가 되도록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소듐포스페이트 완충액을 사용하여 60 U/ml 농도로 제조된 타이로시네이즈를 0.1ml씩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때 대조군(Blank)으로는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액만을 0.1ml씩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고, 반응은 37℃에서 진행시키며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Beckman DU-7500)를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5분간 흡광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관찰결과로부터 얻어진 반응속도(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율, dA/dmin)의 차이로 부터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율을 구하였다.
추출물이 첨가된 것의 반응속도
저해율 = (1 - -------------------------------------- ) × 100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것의 반응속도
한편, 상기 저해율이 50%가 될 때의 각 추출물의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현하였으며 각 추출물에 대하여 구한 IC50수치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효과(IC50)
추출예 IC50(w/w %)
추출예 1추출예 3추출예 5추출예 7추출예 9추출예 11추출예 13 0.010.020.010.010.030.020.02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극속 식물 추출물들은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문헌(참조: Lotan R.,Lotan D. Cancer Res.40:3345-3350, 198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의 미백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를 배지에 가하고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하기 표 2 에 나타낸 농도로 상기 배지에 첨가하여 3 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를 트립신(Trypsin)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고 원심분리한 다음 멜라닌을 추출해내었다. 여기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ml를 가하고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4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생성된 멜라닌의 양은 단위 세포수 당(106cell) 흡광도로서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대극속 식물 추출물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멜라닌생성 억제효과
최종농도 멜라닌 양 저해율(%)
대조군 0.046±0.002 -
추출예 1추출예 3추출예 5추출예 7추출예 9추출예 11추출예 13 0.02%0.1%0.02%0.1%0.02%0.1%0.02%0.1%0.02%0.1%0.02%0.1%0.02%0.1% 0.036±0.0020.026±0.0030.037±0.0020.024±0.0030.038±0.0020.031±0.0030.037±0.0020.025±0.0030.035±0.0020.024±0.0030.037±0.0020.03 ±0.0030.036±0.0020.027±0.003 2243204917332046244920352241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대극속 식물 추출물은 강력하고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기미나 주근깨 개선 또는 피부미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한편, 이와같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탁월한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러 제형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중 몇가지 예를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피부외용연고
(단위:%, w/w)
추출예 1의 추출물5
디에틸세바케이트8
경납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EO 4)6
벤조산 나트륨적량
바셀린잔량
계 100
실시예 2: 유연화장수
(단위:%, w/w)
추출예 3의 추출물0.01
부틸렌 글리콜6.0
글리세린2.0
히알우론산1.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EO 20)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EO 40)0.1
에탄올 10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 100
실시예 3: 엣센스
(단위:%, w/w)
추출예 5의 추출물2
글리세린 10
프로필렌 글리콜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EO 40)1.0
히알우론산나트륨수용액(1%)5.0
에탄올5.0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 100
실시예 4: 영양화장수
(단위:%, w/w)
추출예 7의 추출물0.1
세탄올1.0
밀납0.5
바셀린2.0
스쿠알란6.0
디메틸 폴리 실록산2.0
에탄올3.0
농글리세린4.0
1,3-부틸렌 글리콜4.0
폴리솔베이트 601.0
솔비탄 세스퀴 올레이트0.3
카르복시 폴리머0.3
트리에탄올아민0.3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 100
실시예 5: 영양크림
(단위:%, w/w)
추출예 9의 추출물0.5
스테아릴알콜6.0
스테아린산2.0
농글리세린1.0
스쿠알란9.0
1,3-부틸렌 글리콜6.0
폴리솔베이트 601.5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4.0
경화 라놀린4.0
옥틸 도데칸올 1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0.8
트리에탄올아민0.5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색소적량
정제수잔량
계 100
실험예 3: 색소침착 저해효과
건강한 남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험자의 한쪽 팔 상박부에 2cm×2cm 면적의 부위 6곳을 선정한 다음, 이 부위만 남기고 나머지 부위는 알루미늄 호일로 덮었다.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부위를 잘 세척한 후 일광조사기(ORIEL Solar simulater 1000W)를 이용하여 30cm거리에서 120mJ/㎠ 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후 조사부위 세곳에는 대극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3 및 5의 조성물을, 다른 세곳에는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3 및 5 조성물과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는 각각의 기제를 1일 2회, 4주간 도포하였다. 4주후에 육안으로 색소침착의 정도를 대조군(기제도포)과 비교하여 판정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현저한 저해효과, 약간의 저해효과, 저해효과 없음의 3단계로 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조성물의 색소침착 저해효과(단위:명)
현저한 저해효과 약간의 저해효과 저해효과 없음
실시예 1실시예 3실시예 5 11 6 38 8 48 7 5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3 및 5 의 조성물은 모두 최소한 15명 이상이 현저한 색소침착 저해효과 또는 약간의 저해효과를 나타낸다고 평가하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조성물의 우수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연고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활성에 의거하여 탁월한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미백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대극속(大戟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7)

  1. 대극속(大戟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 (w/w)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 (w/w) 함유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대극속 식물 추출물이 반지금(斑地錦), 소비양초(小飛揚草), 낭독대극(狼毒大戟), 암대극(岩大戟), 택칠(澤漆), 유포비아 마큘라타(Euphorbia maculata) 및 유포비아 아데노클로라(Euphorbia adenochlora)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대극속 식물을 물, 함수 또는 무수의 탄소수 1 내지 4 개인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감압건조시켜 수득된 것인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용매가 아세톤 또는 메탄올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이 피부 외용연고인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 중에서 선택된 1 종인 조성물.
KR1019960045754A 1996-10-14 1996-10-14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9980027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54A KR19980027092A (ko) 1996-10-14 1996-10-14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54A KR19980027092A (ko) 1996-10-14 1996-10-14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92A true KR19980027092A (ko) 1998-07-15

Family

ID=6628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754A KR19980027092A (ko) 1996-10-14 1996-10-14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09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615A (ko) * 1999-04-19 2000-11-15 박창진 인체에 무해한 살충성 화장료 조성물
KR100614467B1 (ko) * 2005-05-18 2006-08-25 (주)마임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768084B1 (ko) * 2006-07-04 2007-10-1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암대극추출물
KR101106690B1 (ko) * 2009-06-15 2012-01-1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02456A1 (ko) * 2011-01-26 2012-08-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비단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1852B1 (ko) * 2015-11-12 2016-11-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545A (en) * 1987-06-09 1991-12-17 Lion Corporation Agent containing an ellagic acid series compound for external application and use thereof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JPH06239719A (ja) * 1993-02-17 1994-08-30 Tama Seikagaku Kk トウダイグサ科植物の種子の抽出油、当該抽出油の製造方法、及び当該抽出油を有効成分とする化粧料
JPH06279257A (ja) * 1993-03-31 1994-10-04 Kitasato Inst:The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545A (en) * 1987-06-09 1991-12-17 Lion Corporation Agent containing an ellagic acid series compound for external application and use thereof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JPH06239719A (ja) * 1993-02-17 1994-08-30 Tama Seikagaku Kk トウダイグサ科植物の種子の抽出油、当該抽出油の製造方法、及び当該抽出油を有効成分とする化粧料
JPH06279257A (ja) * 1993-03-31 1994-10-04 Kitasato Inst:The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안병태 등, 약학회지, 제40권 제2호, 170~176쪽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615A (ko) * 1999-04-19 2000-11-15 박창진 인체에 무해한 살충성 화장료 조성물
KR100614467B1 (ko) * 2005-05-18 2006-08-25 (주)마임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768084B1 (ko) * 2006-07-04 2007-10-1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암대극추출물
KR101106690B1 (ko) * 2009-06-15 2012-01-1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02456A1 (ko) * 2011-01-26 2012-08-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비단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1852B1 (ko) * 2015-11-12 2016-11-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951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장미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0122094B1 (ko) 정제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9980027092A (ko) 대극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496850B1 (ko)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미백화장료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108302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16400B1 (ko) 천화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외용제 조성물
KR100439868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20030090188A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81129A (ja)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8305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30077872A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19086B1 (ko)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9980034827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40059007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