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400A -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400A
KR19990038400A KR1019970058094A KR19970058094A KR19990038400A KR 19990038400 A KR19990038400 A KR 19990038400A KR 1019970058094 A KR1019970058094 A KR 1019970058094A KR 19970058094 A KR19970058094 A KR 19970058094A KR 19990038400 A KR19990038400 A KR 1999003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oscopinin
cosmetic composition
tannin
skin aging
prevent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강세훈
김진준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5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400A/ko
Publication of KR1999003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00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닌계 물질인 헬리오스코피닌 에이(Helioscopinin A), 헬리오스코피닌 비이(Helioscopinin B), 졸키닌(Jolkinin), 유게니인(Eugeniin)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탄닌계 물질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건조중량 당 0.001 내지 20 중량 %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주름 및 피부노화의 방지 또는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갖게 한다.

Description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eing)
본 발명은, 자유 라디칼 소거제 또는 항산화제로서 탄닌계 물질인 헬리오스코피닌 에이(Helioscopinin A), 헬리오스코피닌 비이(Helioscopinin B), 졸키닌(Jolkinin), 유게니인(Eugeniin)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주름 및 피부노화의 방지 또는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의 발생이나 피부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상기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나 피부내 세포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된다. 이와같이 피부의 노화와 관련이 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 히드록시 라디칼,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상기 활성산소종들은 자외선 조사시 또는 호흡과정에서 발생되어 다단계의 연쇄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 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 에폭시드 등의 다양한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산소종들의 독성은 암, 조직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블랙 에이치에스(Black HS), 포토컴 포토바이올(Photochem photobiol), 46(2), 213, 1987). 이와같이 세포를 구성하는 막 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lysosome) 효소의 누출, 막 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가교결합(covalent crosslinking) 생성, 단백질 사슬의 절단, DNA 손상 및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들 반응 중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의 변형이 피부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름 발생과 피부노화의 방지를 위한 연구들이 지질의 과산화를 막기 위한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산화제의 생성과 지질의 산화를 막기 위한 보호기구를 갖고 있는 호기성 생물체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상기 보호기구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효소와 α-토코페롤(α-tocopherol, vitamin E), β-카로틴(β-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티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자유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이 피부노화와 관련이 깊었기에 종래의 화장료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배합하여 피부노화 방지의 효과를 얻어려는 시도를 많이 해왔으나 상기 물질을 화장료에 배합할 때 안정성 및 안정성 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헬리오스코피닌 A, 헬리오스코피닌 B, 졸키닌 및 유게니인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물질을 화장료에 첨가하여 주름 및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개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탄닌계 물질을 화장료 조성물 총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닌계 물질인 헬리오스코피닌 A, 헬리오스코피닌 B, 졸키닌 및 유게니인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피부외용연고나 화장료, 즉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엣센스, 팩 등에 첨가하여 주름 및 피부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탄닌계 물질은, 화장료 조성물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함유된다. 0.001 이하의 농도에서는 피부노화방지의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20 이상의 농도에서는 제형상 및 제품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탄닌계 물질의 분리
신선한 택칠의 전초 48.5㎏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50ℓ에 담궈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와트만 No. 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하여 약 84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H2O-메탄올로 용출한 다음 H2O-아세톤으로 용출하여 5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물 중 분획 2 (70g)를 MCl-겔 CHP 20P를 이용하여 물로 용출한 다음 메탄올로 용출하여 3개의 분획으로 나누었다. 그 중 3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 (용리액 에탄올)을 이용하여 8.4g의 헬리오스코피닌 A를 분리하였다. 또한 세파덱스 LH-20의 분획 3(335g)을 MCl-겔 CHP 20P (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로 4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그 중 2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 MCl-겔 CHP 20P(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 및 세파덱스 LH-20(용리액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170㎎의 헬리오스코피닌 B를 분리하였다.
잘 건조된 소비양초의 전초 2.5㎏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2.5ℓ에 담궈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와트만 No. 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하여 약 125g의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용리액은 H2O-메탄올에서 H2O-아세톤)하여 4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 중 분획 3(20g)을 후지-겔 ODS G3(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 및 셀룰로오스 칼럼(용리액은 2% 아세톤 알코올)을 이용하여 3개의 분획으로 나누고, 그 중 3번째 분획을 MCl-겔 CHP 20P(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를 이용하여 15㎎의 유게니인을 분리하였다.
신선한 암대극의 전초 53㎏을 잘게 절단하여 80% 아세톤 수용액 50ℓ에 담궈 상온에서 10일간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거름종이(와트만 No. 1)로 걸러 침전을 제거하고 감압건조하여 약 44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용리액은 H2O-메탄올에서 H2O-아세톤)하여 3개의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 중 분획 2(280g)를 MCl-겔 CHP 20P(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를 이용하여 3개의 분획으로 나누고, 그 중 2번째 분획을 세파덱스 LH-20(용리액은 60% 메탄올) 및 MCl-겔 CHP 20P(용리액은 H2O에서 메탄올)를 이용하여 1.4g의 졸키닌을 분리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탄닌계 물질, 즉 헬리오스코피닌 A, 헬리오스코피닌 B, 졸키닌 및 유게니인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블로이스, 엠. 에스. 내춰(Blois, M. S. Nature) 181, 1190, 1958에 기재된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DPPH)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에는 517㎚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사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0.15mM의 농도로 메틸알코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탄닌계 물질을 각 농도별(1㎍/㎖ - 100㎍/㎖)로 제조하여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100㎕씩 넣었다. 여기에 DPPH용액을 100㎕씩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이더(Micro plate reader, 바이오텍 EL-340)를 이용하여 517㎚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탄닌계 물질 대신 정제수 100㎕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것의 흡광도가 대조군의 흡광도의 절반이 될 때의 탄닌계 물질의 농도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으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탄닌계 물질의 자유라디칼 소거능
탄 닌 계 물 질 IC50(㎍/㎖)
헬리오스코피닌 A 4.9
헬리오스코피닌 B 2.8
유 게 니 인 6.1
졸 키 닌 6.3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탄닌계 물질인 헬리오스코피닌 A, 헬리오스코피닌 B, 유게니인, 졸키닌은, IC50이 8㎍/㎖인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할 때 매우 강력한 자유라디칼 소거제임이 명백하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얻은 탄닌계 물질을, 다음과 같이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자외선에 의하여 발생된 자유라디칼에 의한 세포내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을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은 V79-4라고 하는 헴스터 유래 섬유아세포종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배지는 DMEM에 10%의 소혈청을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37℃, 5% CO2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60㎜의 세포배양 페트리디쉬에 2 × 105세포/디쉬의 농도로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시 상기 탄닌계 물질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3일 후 배지를 따라 버리고, PBS 용액으로 2번 씻은 다음 1㎖의 PBS 용액을 배양용기에 첨가해준 후 일정한 광량(15J/㎠)의 자외선 A를 조사해 주었다. 조사직후 PBS 용액을 탄닌계 물질을 포함하는 정상적인 배지로 바꾸고 24시간동안 더 배양하였다.
또한, 세포에 생성된 지질 과산화물의 정량은, 티오바르비투르산(TBA)의 반응성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카리 피이 등, 저널 오브 인베스트. 덜머톨.(J. Invest. Dermatol.), 96, 255-259, 1991). 먼저 세포를 셀 스크랩퍼를 이용하여 페트리디쉬에서 떼어내었다. 떼어난 세포를 1㎖의 균질화된 완충액에 현탁시킨 후 유리 호모게니저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이 셀 분쇄액 0.5㎖에 30% 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 용액 0.5㎖와 50㎕의 2%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에탄올 용액을 가하였다. 여기에 0.5㎖의 TBA 수용액(375㎎/㎖)을 가한 후 끓는 물에서 중탕으로 15분간 끓였다. 이것을 냉각한 후 535㎚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자외선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를 기준으로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탄닌계 물질의 세포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A535(대조군의 %) 저 해 율 (%)
대조군(nonirradiated control) 100
탄닌계 물질 미첨가 154±4.2 0
헬리오스코피닌 A (200㎍/㎖) 126±3.8 52
헬리오스코피닌 B (200㎍/㎖) 112±2.5 78
유게니인 (500㎍/㎖) 118±3.8 67
졸키닌 (500㎍/㎖) 120±5.1 6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탄닌계 물질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즉, 탄닌계 물질은 자외선에 의한 자유라디칼 생성 및 지질 과산화를 억제함으로써 노화방지 및 주름방지 등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은 헬리오스코피닌 A를 포함하는 하기 표 3의 비율로 이루어진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피 부 외 용 연 고 중 량 부
헬리오스코피닌 A 5.0
디에틸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EO 4) 6.0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바세린 잔량
100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은 유게니인을 포함하는 하기 표 4의 비율로 이루어진 유연화장수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유 연 화 장 수 중 량 부
유 게 니 인 0.05
부틸렌 글리콜 6.0
글리세린 2.0
히알루론산 1.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EO20)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EO40) 0.1
에틸렌 1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은 헬리오스코피닌 B를 포함하는 하기 표 5의 비율로 이루어진 엣센스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엣 센 스 중 량 부
헬리오스코피닌 B 2
진한 글리세린 10
프로필렌 글리콜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EO40) 1.0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에탄올 5.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은 졸키닌을 포함하는 하기 표 6의 비율로 이루어진 영양화장수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영 양 화 장 수 중 량 부
졸키닌 0.1
세탄올 1.0
밀납 0.5
바세린 2.0
스쿠알란 6.0
디메틸폴리실록산 2.0
에탄올 3.0
진한 글리세린 4.0
1,3-부틸렌 글리콜 4.0
폴리솔베이트 60 1.0
솔비탄 세스퀴 올레이트 0.3
카르복시산 중합체 0.3
트리에탄올 아민 0.3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얻은 졸키닌을 포함하는 하기 표 7의 비율로 이루어진 영양크림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영 양 크 림 중 량 부
졸 키 닌 0.5
스테아릴알코올 6.0
스테아린산 2.0
진한 글리세린 1.0
스쿠알란 9.0
1,3-부틸렌 글리콜 6.0
폴리솔베이트 60 1.5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4.0
경화 라놀린 4.0
옥틸 도데카놀 1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8
트리에탄올 아민 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2 내지 6에서 얻은 화장품에 대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약 10 주된 무모 생쥐(hairless mouse) 60마리를 10 마리씩 6개군으로 나눈 다음, 자외선 등(웨스팅하우스 FS-40 선램프)을 이용하여 30 mJ/㎠의 광량으로 일주일에 3번씩 12주간 자외선 B를 조사하였다. 한편 조사 2시간 전 3개의 실험군에 실시예2, 4, 6을, 다른 3개의 군에는 각각의 기제를 도포하였다. 주름 발생의 정도는 마지막 자외선 조사가 끝나고 1주일 후 판정하였다. 판정기준은 각각의 기제 도포 대조군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 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자외선에 의한 주름 발생 억제 효과 (마리수)
개 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 시 예 2 1 2 2 5
실 시 예 4 1 2 3 4
실 시 예 6 2 4 3 1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무모 생쥐에서 자외선에 의한 주름 생성을 효과적으로 막아주었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피부에 도포 외용제로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경감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닌계 물질, 즉 헬리오스코피닌 A, 헬리오스코피닌 B, 졸키닌, 및 유게니인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0.001 내지 20 중량 %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및 피부노화의 방지 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탄닌계 물질을 화장료 조성물 총건조중량 당 0.001 내지 20 중량 %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닌계 물질을 화장료 조성물 총건조중량 당 0.01 내지 10 중량 %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닌계 물질은 헬리오스코피닌 A, 헬리오스코피닌 B, 졸키닌, 및 유게니인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58094A 1997-11-05 1997-11-05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38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094A KR19990038400A (ko) 1997-11-05 1997-11-05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094A KR19990038400A (ko) 1997-11-05 1997-11-05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00A true KR19990038400A (ko) 1999-06-05

Family

ID=6608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094A KR19990038400A (ko) 1997-11-05 1997-11-05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97A (ko) * 2000-07-25 2000-11-06 황성빈 플라스마 헤어 영양성 피부 화장수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414A (ja) * 1985-12-23 1987-07-02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03193713A (ja) * 1989-12-25 1991-08-23 Maremitsu Izumitani タンニン含有組成物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JPH06279257A (ja) * 1993-03-31 1994-10-04 Kitasato Inst:The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KR19980034827A (ko) * 1996-11-08 1998-08-05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205499B1 (ko) * 1996-12-26 1999-07-01 서경배 피부자극이 완화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기초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414A (ja) * 1985-12-23 1987-07-02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03193713A (ja) * 1989-12-25 1991-08-23 Maremitsu Izumitani タンニン含有組成物
JPH05345720A (ja) * 1992-02-03 1993-12-27 Nippon Shinyaku Co Ltd 美白化粧料組成物
JPH06279257A (ja) * 1993-03-31 1994-10-04 Kitasato Inst:The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KR19980034827A (ko) * 1996-11-08 1998-08-05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205499B1 (ko) * 1996-12-26 1999-07-01 서경배 피부자극이 완화된,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기초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97A (ko) * 2000-07-25 2000-11-06 황성빈 플라스마 헤어 영양성 피부 화장수
KR100439590B1 (ko) * 2001-04-06 2004-07-12 (주)큐티라이프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198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20190051350A (ko)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JPH06504282A (ja) 化粧用又は薬用製剤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96701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KR101937162B1 (ko)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295875B1 (ko) 초두구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
CN109464372A (zh) 一种具有三维美白功效的外用护肤组合及制备方法
EP1029531A2 (en) Vegetal extract as cosmetic agent for skin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58319B1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38400A (ko)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38402A (ko)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5A (ko)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0104B1 (ko) 루이보스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513430B1 (ko) 인삼추출 다당체 진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0604068B1 (ko) 자유라디칼 소거제 혹은 항산화제로서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타민 씨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10018668A (ko) 육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90038401A (ko)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6121A (ko) 유리코마 롱기폴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04620A (ko) 항산화 및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갖는 비수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