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389A -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389A
KR20030039389A KR1020010070277A KR20010070277A KR20030039389A KR 20030039389 A KR20030039389 A KR 20030039389A KR 1020010070277 A KR1020010070277 A KR 1020010070277A KR 20010070277 A KR20010070277 A KR 20010070277A KR 20030039389 A KR20030039389 A KR 20030039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mixture
skin
ho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594B1 (ko
Inventor
정춘자
Original Assignee
정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춘자 filed Critical 정춘자
Priority to KR10-2001-007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59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 등의 원료를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혼합한 양을 끓여서 추출액을 얻는 공정와, 상기 추출액에 국화와 배를 배합시킨 다음 끓여서 얻어낸 추출액을 1: 1의 비율로 혼합하고, 다시 이들 혼합액을 100~120℃의 온도로 2시간 이상 열을 가해 50중량%의 고(膏)추출물을 얻어내는 공정와,상기 고추출물에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 20중량%와 제얄제리 및 꿀 혼합물 20중량%를 섞어 다시 끓여서 감압하에 추출하고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공정와,상기 냉각된 추출물에 10중량%의 송진과 배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약효가 널리 알려진 한방약재와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미용팩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아무런 자극이나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피부에 다양한 영양소를 공급함으로써 피부의 활성화는 물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의 탄력유지 및 노화예방에 매우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erb medicine extract for cosmetic pack and it's process for manufacturing}
본 발명은 한방재료 및 기타 천연물로부터 미용팩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세포라는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고,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상기 세포막이 손상될 경우 세포막의 기능을 원만히 수행할 수 없어 세포는 구조적, 기능적 손상을 입게 되어 피부의 손상 및 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진다.
따라서 아름답고 탄력있는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미용팩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미용팩은 크게 워쉬오프(wash-off)형과 필오프(peel-off)형의 두가지가 있으며, 워쉬오프형은 보습력과 유연효과 등이 탁월하고 피지제거 등의 피부오염제거 효과가 적고, 사용후 씻어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으며, 필오프형의 팩류는 사용시 유효성분에 의한 효과는 적으나, 워쉬오프형의 팩류에 비해 피부의 오염제거 능력이 우수하고 한 번에 떼어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상기와 같은 미용팩에 사용되는 화장료의 성분은 대개 인공으로 합성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연약한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건강하고 윤택한 피부로 재생시키는 효과는 뒤떨어지는 실정이다. 또한 인공합성 미용팩 조성물은 심한 경우 피부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공합성 미용팩용 화장료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국의 순수 한방과 생약 성분, 천연물질에 대해 장기간 연구와 임상 실험 끝에 한국여성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성분을 채취하여 미용팩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아무런 자극이나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독성 및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피부에 다양한 영양소를 공급함으로써 피부의 재생력은 물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의 탄력유지 및 노화예방에 매우 효과적인 미용팩용 화장료를 제공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를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배합하여 끓여서 추출액을 얻어내고, 상기 추출액에 다시 국화와 배를 배합하여 끓여서 얻은 추출액을 서로 1: 1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이들 혼합액을 2시간 이상 열을 가해 고(膏)를 얻고, 상기 고에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과 제얄제리 및 꿀 혼합물을 섞어 다시 끓인 다음 여과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송진을 배합시켜 제조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 등의 원료를 세척한 후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다음 상기 원료들을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혼합한 양을 끓여서 추출액을 얻는다. 상기 추출액에 국화와 배를 배합시킨 다음 끓여서 얻어낸 추출액을 혼합한 다음 이들 혼합액을 다시 100~120℃의 온도로 2시간 이상 열을 가해 50중량%의 고(膏)를 얻어낸다.
상기 고에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 20중량%와 제얄제리 및 꿀 혼합물 20중량%를 섞어 다시 끓여서 감압하에 추출하고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10중량%의 송진과 배합시킨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기 위해 배합하는 각 원료물질의 성분 및 효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백은 높이 8m에 이르는 키나무로써 여름철에 껍질을 벗겨 2~3일 햇볕에 말린 것으로, UV-B(280~320nm)와 UV-A(320~400nm) 영역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 작용과 SC 50=0.6%의 자동산화 억제 작용 등으로 미백장용과 노화방지 작용을 하게 된다.
황백 추출물의 항균 작용에서의 유효 성분은 berberin이며, In Vitro의 실험에서 피부화농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 티푸스균, 콜레라균 및 gram(+), gram(-)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습진, 선병, 만성피부사상균증 등의 항균 작용과 항염 작용이 있다. 또한 황백 추출물의 berberin 살균 작용으로 비부병, 입안점막염, 화상 등의 살균 작용을 한다. 따라서 황백 추출물은 활성산소 제거, 산소 공급, 자외선 방어, 항염 작용 및 피부저항력을 증진시켜 탄력있고 건강한 피부를 만들어 주는데 큰 역할을 한다.
구기자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낙엽 관목으로, 가을에 열매와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는데, 열매를 말린 것을 구기자라 하고 뿌리껍질을 말린 것을 지골피(地骨皮)라 한다. 지골피는 강장·해열제로 폐결핵·당뇨병에 쓰고, 구기자로는 술을 담가 강장제로 쓴다. 잎도 나물로 먹거나 달여 먹으면 같은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요통에 지골피를 달여 먹는다. 한국(진도군·충청남도), 일본, 타이완,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의 유효 성분을 화장품 또는 피부학적인 면과 접목시켜 그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 tyrosinase를 이용한 미백 작용, 안정한 라디칼인 DPPH를 이용한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 hemoglobin을 이용한 수렵 작용, UV-VISSPECTROSCOPY를 이용한 흡수 작용을 확인하였다.
녹두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로서, 프로비타민 A(0.22mg%), B1(0.53mg%), B2(0.12mg%,) PP(1.8mg%) 등과 녹말(66%), 펜토산, 갈란탄, 포도당, 라피노오스, 사탕, 덱스트린 등의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풍부하다. 따라서 녹두는 혈액 순환을 돕고 청량감을 주는 세안제, 모공 청결, 피지분비 원활, 미백 박용 및 지성 여드름 피부에 효과가 높다. 녹두를 곱게 갈아서 물에 이겨 마사지 하면 피부에 지질이 제거되어 여드름과 주근께에도 효과가 있으며 소아 피부염에도 좋은 작용을 한다. 녹두는 해독 작용과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준다.
상백피는 뽕나무뿌리를 말하는 것으로, 뽕나무 뿌리 껍질의 코르크 층을 제거한 비늘 같은 껍질이다. 상백피는 자외선 흡수 작용, 항티로시나제 작용, 자동산화 억제 작용 등의 미백 작용과 항균·항염 작용, 보습·진정 작용, 노화방지작용, 항알러지 작용 및 항바이러스 작용에 뛰어나다.
약쑥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지혈 작용을 하고,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며, 진해·거담 작용을 하고, 여성의 생리통·생리불순·대하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습진과 피부가려움증에 약물을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면 좋다. 또한 염증을 진정시키고 피부 재생을 촉진하며 비타민 C의 함유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재생 촉진, 모세 혈관 강화를 해줌으로 매용제, 입욕제 및 방향제 등으로 사용된다.
율무는 의주자·인미·의미(薏米)라고도 하며,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종자를 의이인(薏苡仁)이라고 하는데,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진통·진경·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신경통·류머티즘·방광결석 등에 약재로 쓴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를 황달과 신경통에 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쓴다. 율무 가루를 사용하여 적당한 자극을 주면 피부 표면의 묵은 각질이나 모공에 쌓인 때를 벗겨 낼 수 있으며, 피부의 신진 대사를 높여 주고 짧은 시간 내에 피부재생효과가 뛰어나 기미, 주근깨, 거친 피부,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에 큰 효과가 있다.
백봉령(白茯笭)은 송수를 벌채한후 5~9년을 경과한 토중잔근에 기생하는 균체이며, 옛부터 기미 등 색소 침착을 없애는 민간요법으로 많이 이용됐다. 다당류, 유기산, 단백질, 비타민D, 레시틴, 아데닌, 콜린, 과당, 무기질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를 맑고 윤기 있게 한다.
당귀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진통 ·배농(排膿) ·지혈 ·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복통 ·종기 ·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같은 목적의 한약재로 재배한다.
백강장은 누에가 회색이 되어 죽은 것이 백강잠인데 단백질과 무기질, 기름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옛부터 기미 등 색소가 검게 변한 것을 희게 하는 데 사용되고 미백효과에 탁월한 것이다.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 살이풀로, 감초에 있는 글리시리친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며, 풍부한 플라노보이드는 혈관을 튼튼하게 한다. 소염 작용이 뛰어나고, 진정 작용과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도 있어 민감성 피부와 여드름 치료에 탁월하다.
고삼은 너삼·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하며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살균효과를 갖는다.
은행잎은 종자(열매)는 식용하는데, 한방에서는 종자를 백과(白果)라 하여 해수 ·천식 ·유정(遺精) ·소변백탁(小便白濁) ·자양(滋養) 등에 처방하여 복용한다. 수피(樹皮)를 백과수피라 하고 뿌리를 백과근이라 하여 관상동맥경화 ·흉통 ·심장통 ·심계(心悸) ·고혈압 ·천식 ·해수 등에 처방한다. 최근에는 은행 잎에서 심장병 치료약의 성분을 추출하여 이용하고 있다.
금은화는 인동이라고도 하며,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식물이다. 해독작용이 있고 이뇨와 미용효과가 좋다.
백급은 주란·대암풀이라고도 하며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수렴제·지혈제·배농제(排膿劑)로서 상처와 위궤양 등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가슴앓이·기침과 호홉곤란 치료에 사용하며, 점액질이어서 주로 미용팩에 점성(粘性)을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진다.
송진은 송지(松脂)라고도 하며, 소나무과의 나무가 손상을 입었을 때 분비되는 진액을 말한다. 성분은 수지분(로진)이 70∼75%, 정유(精油:테레빈유)는 18∼22%, 물 기타 불순물 5∼7%인데, 그 중 송진산은 전체의 60∼65%로 레보피마르산·네오아비에틴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레빈유는 주로 연고제·도료 용제·보혁제(保革劑)·구두약, 고무나 방수제의 용매에 쓰이며, 로진은 주로 비누·도료 건조제·살충제·인쇄잉크·제지용 첨가약품·반창고 등의 의약품에 이용된다. 소나무의 진액을 말한다. 깨끗한 것은 무색 투명한 액체이나 시간이 지나면 희뿌옇고 끈질긴 성질이 생기며,주로 연고제·도료 용제·보혁제·구두약, 고무나 방수제의 용매에 쓰이며, 로진은 주로 비누·도료 건조제·살충제·인쇄잉크·제지용 첨가약품·반창고 등의 의약품에 이용되어진다.
영지버섯은 불로초라고도 하며, 담자균류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이다. 갓과 자루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1년생 버섯이다. 한방에서는 강장 ·진해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 ·심장병 ·고혈압 ·각종 암종에 사용한다.
로얄제리는 태어난지 12일 이전의 어린 일벌의 인두선에서 생성된 물질로써, 색깔은 유백색으로 젖과 같으며 끈끈한 크림모양으로 되어있다.
꿀은 벌꿀(자연꿀)과 당밀(인공꿀)이 있으며, 예로부터 약용이나 과실의 보존 등에 사용하여 왔다.
나팔꽃씨는 나팔꽃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써, 나팔꽃씨는 나팔꽃의 씨앗을 일컷는다. 상기 나팔꽃씨는 대소변을 통하게 하고, 부종·적취·요통에 효과가 있다.
율피는 밤의 속껍질을 말려서 쓰는 것으로, 옛부터 노화 피부나 기미 피부에 효과가 커 민간요법으로 많이 이용돼 왔으며, 무엇보다 탄닌 성분이 풍부해 모공이 크고 지성인 피부에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황금(黃芩)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바이칼린(C21H18O11),바이칼레인(C15H10O5),위고닌(C16H12O5),워고노시드(C22H20O11·4H2O),7-메톡시-바이칼레인(C22H20O11),네오바이칼레인(C19H18O8), 7-메톡시노르웨고닌(C16H12O5), 오록실린A(C16H12O5), 스쿨캅플라본I(C17H14O6)과 스쿨캅플라본II (C19H18O8)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고, 이밖에 피로카텔킨계의 탄닌질, 베타(β)-스토스테롤 수지 정유가 있다. 또, 워고노시드(워고드-7-글루쿠로니드), 카르타미딘, 이소카르타미딘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플라보노드는 물에 넣고 온도를 높여서 끓인 다음에 열탕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는 항염, 항균작용 및 항산화작용이 뛰어나고 바이칼레인은 모세혈관투과성을 억제하고 바이칼린은 히스타민 피부반응을 억제하지 못하고 아나필락시아를 억제하지만 바이칼레인은 두가지 히스타민 피부반응과 아나필락시타 모두 억제한다.
상기 바이칼린은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고, 항 히스타민 활성과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백렴은 덩굴뻗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다량의 점액질이 들어 있으며, 염창을 치료하는 의미에서 백렴이란 이름이 붙여졌으며, 뛰어난 항염작용 및 피부재생력을 가지며, 뛰어난 진통진경작용도 갖고 있으며, 보습력도 뛰어나다.
우방자는 국화과의 2년생 초본식물로써, 우엉씨라고도 한다. 가을에 채집하여 햇볕에 말려 그대로 쓰거나 약간 볶은 후 찧어서 사용하는데 Arctiin 및 지방유 20-30%를 함유하고 있다. 우방자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현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여러가지 피부 진균에 대해서도 억제작용이 있다.
국화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한방에서는 두통이나 풍열을 없애고 청열을 해독하고, 노안이나 백내장 예방에 효과가 있다.
배는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배나무속의 식물을 의미하며, 가래와 기침을 멎게하고, 해열작용을 하며, 숙취 및 배변, 곪은 상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를 배합하고 끓여서 얻은 추출액과 국화와 배를 배합하고 이를 끓여서 얻은 추출액을 1:1로 혼합하여서 얻은 50중량%의 추출액과,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 20중량%와, 제얄제리 및 꿀 혼합물 20중량%와, 송진 10중량%를 배합시켜 얻은 추출물로 미용팩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추출물로 제조된 미용팩은 매우 뛰어난 보습력과 피부재생력이 우수하였으며, 피부손상방지 및 노화방지에 탁월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약효가 널리 알려진 한방약재와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미용팩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아무런 자극이나 손상을 가하지 않고,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피부에 다양한 영양소를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활성화시킴은 물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의 탄력유지 및 노화예방에 매우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를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배합하고 끓여서 얻은 추출액과 국화와 배를 배합하고 이를 끓여서 얻은 추출액을 1:1로 혼합하여서 얻은 50중량%의 추출액과,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 20중량%와, 제얄제리 및 꿀 혼합물 20중량%와, 송진 10중량%를 함유하는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2. 황백, 구기자, 녹두, 금은화, 백봉령, 약쑥, 당귀, 백감장, 율무, 감초, 고삼, 상백피, 황금, 은행잎, 백금, 하수오, 백렴, 송진, 영지 버섯, 로얄제리, 꿀, 율피(栗皮), 나팔꽃 씨, 우방자 등의 원료를 각각 동일한 무게비율로 혼합한 양을 끓여서 추출액을 얻는 공정와,
    상기 추출액에 국화와 배를 배합시킨 다음 끓여서 얻어낸 추출액을 1: 1의 비율로 혼합하고, 다시 이들 혼합액을 100~120℃의 온도로 2시간 이상 열을 가해 50중량%의 고(膏)추출물을 얻어내는 공정와,
    상기 고추출물에 콜라겐산, 히아룬산, 알긴산 혼합액 20중량%와 제얄제리 및 꿀 혼합물 20중량%를 섞어 다시 끓여서 감압하에 추출하고 상기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공정와,
    상기 냉각된 추출물에 10중량%의 송진과 배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1-0070277A 2001-11-12 2001-11-12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047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77A KR100475594B1 (ko) 2001-11-12 2001-11-12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277A KR100475594B1 (ko) 2001-11-12 2001-11-12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389A true KR20030039389A (ko) 2003-05-22
KR100475594B1 KR100475594B1 (ko) 2005-03-10

Family

ID=2956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277A KR100475594B1 (ko) 2001-11-12 2001-11-12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594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59A (ko) * 2002-03-15 2003-09-22 김휘철 게르마늄과 생약잎을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KR20040016647A (ko) * 2002-08-19 2004-02-25 배오성 한방크림
WO2005000262A1 (en) * 2003-06-27 2005-01-06 Joon Shik Shin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herb medicine
KR100698849B1 (ko) * 2006-12-22 2007-03-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WO2007074956A1 (en) 2005-12-27 2007-07-05 Jong Hyun Nam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ack contain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753863B1 (ko) * 2006-12-28 2007-08-31 김지활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EP1846106A1 (en) * 2005-01-31 2007-10-24 Dong Wha Pharm. Ind.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nephropathy and healthy food comprising herb extracts
KR100820237B1 (ko) * 2007-05-01 2008-04-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6835B1 (ko) * 2008-02-19 2010-06-29 장문식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74268B1 (ko) * 2009-09-22 2010-08-05 (주)퓨엔텍 동결건조한 한방 분말을 함유하는 미용팩용 화장품 조성물
KR101046438B1 (ko) * 2007-12-18 2011-07-04 문영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6262B1 (ko) * 2010-01-28 2012-05-1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나팔꽃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5992B1 (ko) * 2012-02-17 2014-06-11 송시아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성용 외음부팩
KR20160095852A (ko) 2015-02-04 2016-08-12 진원 꿀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6074333A (zh) * 2016-07-05 2016-11-09 孙继勇 一种破壁灵芝孢子粉蜂毒蜂蜜蜂胶面霜及其生产方法
KR101884746B1 (ko) * 2017-02-01 2018-08-02 양재헌 면역기능 증강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황금 그라비올라 공비추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200029290A (ko) * 2018-09-10 2020-03-18 윤성준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499B1 (ko) 2006-06-15 2006-09-07 김인자 미용팩 조성물
KR101035009B1 (ko) 2009-05-19 2011-05-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당귀의 알지네이트 나노 입자화를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KR101027447B1 (ko) * 2009-11-17 2011-04-11 (주)전복미가 전복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38712B1 (ko) * 2015-02-27 2015-07-24 주식회사 아이앤디 미용팩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932A (ko) * 1989-03-22 1990-10-22 박효철 한방생약성분의 화장료용 분말 및 액기스 제조방법
KR910002463A (ko) * 1989-07-26 1991-02-25 차재춘 식물의 추출물과 분말로 부터 팩(Pack)을 제조하는 방법
JPH0570334A (ja) * 1991-09-12 1993-03-23 Kose Corp 皮膚外用剤
KR960028903A (ko) * 1995-01-03 1996-08-17 김진수 미용팩의 제조방법
JP3238846B2 (ja) * 1995-04-24 2001-12-17 花王株式会社 マッサージ化粧料
KR20000049466A (ko) * 2000-03-24 2000-08-05 서숙자 기미·주근깨 제거용 한방 팩 재료
KR20010096821A (ko) * 2000-04-14 2001-11-08 이갑선 키토산, 솔잎, 쌀, 당귀, 추출물을 대표하는 맛사지용 팩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59A (ko) * 2002-03-15 2003-09-22 김휘철 게르마늄과 생약잎을 이용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KR20040016647A (ko) * 2002-08-19 2004-02-25 배오성 한방크림
WO2005000262A1 (en) * 2003-06-27 2005-01-06 Joon Shik Shin Cosmetic composition using a herb medicine
EP1846106A1 (en) * 2005-01-31 2007-10-24 Dong Wha Pharm. Ind.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nephropathy and healthy food comprising herb extracts
EP1846106A4 (en) * 2005-01-31 2009-11-18 Dong Wha Pharm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KIDNEY DRESS AND HEALTHY FOOD WITH HERB EXTRACTS
WO2007074956A1 (en) 2005-12-27 2007-07-05 Jong Hyun Nam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ack contain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7947314B2 (en) 2005-12-27 2011-05-24 Jong Hyun Nam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pack contain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698849B1 (ko) * 2006-12-22 2007-03-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3863B1 (ko) * 2006-12-28 2007-08-31 김지활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20237B1 (ko) * 2007-05-01 2008-04-0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6438B1 (ko) * 2007-12-18 2011-07-04 문영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835B1 (ko) * 2008-02-19 2010-06-29 장문식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와 미백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감초, 승마, 하수오, 흑임자, 상황버섯, 당귀, 상백피, 백작약, 고삼, 황금으로 구성되어진 식물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74268B1 (ko) * 2009-09-22 2010-08-05 (주)퓨엔텍 동결건조한 한방 분말을 함유하는 미용팩용 화장품 조성물
KR101146262B1 (ko) * 2010-01-28 2012-05-1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나팔꽃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5992B1 (ko) * 2012-02-17 2014-06-11 송시아 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여성용 외음부팩
KR20160095852A (ko) 2015-02-04 2016-08-12 진원 꿀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6074333A (zh) * 2016-07-05 2016-11-09 孙继勇 一种破壁灵芝孢子粉蜂毒蜂蜜蜂胶面霜及其生产方法
KR101884746B1 (ko) * 2017-02-01 2018-08-02 양재헌 면역기능 증강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황금 그라비올라 공비추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200029290A (ko) * 2018-09-10 2020-03-18 윤성준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594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594B1 (ko)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97636B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CN103932970A (zh) 一种中草药祛斑组合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1559034B (zh) 促进头发再生、防脱的洗发粉剂
KR20120041514A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951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CN105288246A (zh) 一种美白抗皱中药组合物及其混合提取物和应用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CN109908070A (zh) 草本植物美颜面膜泥配方
KR101206009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헤어토닉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37635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163069B1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06273A (zh) 一种含梣叶提取物的天然养护爽肤水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KR20090077619A (ko)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