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369B1 -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369B1
KR101209369B1 KR1020100085666A KR20100085666A KR101209369B1 KR 101209369 B1 KR101209369 B1 KR 101209369B1 KR 1020100085666 A KR1020100085666 A KR 1020100085666A KR 20100085666 A KR20100085666 A KR 20100085666A KR 101209369 B1 KR101209369 B1 KR 101209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xtract
methanol
butanol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257A (ko
Inventor
김명환
김희선
태기환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3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모시대를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Preparation method of fraction of Adenophora remoti flora extract and inner beauty food comprising the fraction}
본 발명은 (a) 모시대를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미용기능식품(inner beauty food)으로 다양한 종류의 추출물이 미용을 위한 기능성 식이소재로 연구 및 이용이 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동양권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서양 국가들의 식물자원에 대한 관심도 또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미용기능식품이 건강기능식품시장에서 성장가능성이 높은 품목으로 떠오르면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상품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용기능식품의 주요성분은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로 이 성분은 각종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의 생리조절 기능성을 가진 물질이다. 파이토케미컬은 25000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주요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유기황 화합물,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과제와 관련된 노화지연 및 억제 효과 이외에 심혈관 질환예방, 암 예방, 면역증진, 혈당조절, 항 미생물, 항바이러스 효과 등의 기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세계적인 미용기능식품의 기술개발추세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는데 첫째는 자연생태계로부터 미용기능식품 소재를 찾는 것이며 둘째는 유효성분의 추출, 분리 시 수율과 기능성 활성도 및 순도향상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고순도분리정제 기술개발의 예로서 해송추출물(pine bark extract)에서 항산화능력이 탁월한 올리고메릭 프로안토시아니딘(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을 분리 정제할 경우 85% 순도는 국제가격이 kg당 3500달러이지만 95% 순도는 11000달러 수준이다.
또한, 최근에는 단일물질이 아닌 파이토케미컬과 각종 비타민, 미네랄 등의 복합물질에 의한 상승작용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예로서, 비타민 C와 E의 복합물뿐만 아니라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비타민 C, 비타민 E, 셀레늄, 프로안토시아닌 등의 복합물은 자외선으로 유발된 피부 발적 정도를 더욱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미용기능식품 소재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것들은 히알루론산(hylulonic acid), 콜라겐(collagen), 세인트 존 워트(St. John's wort), 이소플라본(isoflavone), 은행잎 추출물(ginkgoglycosides), 세라마이드(ceramide), 아스타잔틴(asthaxanthin), CoQ10, 콘드로이틴 황산염(chondroithin sulfate), 라이코펜 (lycopene), 헤스페리딘(hesperidine), N-아세틸-D-글루코사민(N-Acetyl-D-glucosamine)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식물체 추출물로는 포도씨 추출물, 쇠뜨기 러쉬 허브 추출물(horsetail rush herb extract), 자운영 뿌리 추출물(astragalus root extract), 사르사 추출물(sarsaparilla extract), 씨벅스론 추출물(sea buckthorn extract), 민들레 뿌리 추출물(dandelion root extract), 애키네시아 추출물(echinacea extract), 우엉 추출물(burdock extract), 소나무 줄기 추출물(pine bark extract)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성분 또는 추출물들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돕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시켜 주름, 노화방지, 피부보습효과를 보이며 미백효과와 항산화효과, 광노화방지작용, 혈류개선, 피부탄력증진, 피부세포부활, 아토피성 피부염증완화작용, 여드름억제, 피부상처 치유, 노인성 색소반 개선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임상실험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원적외선처리로 식물 속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들을 저분자 화시켜 임상효과를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원적외선처리에 의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 중합체인 폴리페놀, 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들이 저분자로 유리되면서 항산화능이 증가된다는 연구 등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미용기능식품과의 연계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재료인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식물로서 잎은 연하고 맛이 특이해 식욕을 돋우며 최근 일부 농가에서 밭 재배에 성공하여 쌈 채소로 각광받고 있는 산채이다. 뿌리는 거담제, 해독제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모시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향기패턴분석, 떡에 첨가 시 품질특성, 혈당강하효과 등 지금까지 국내발표논문은 4편 정도에 불과하다.
모시대와 같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식물 원료나 천연성분을 사용한 제품개발과 아울러 식물체 또는 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능 향상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원적외선은 약 3-1,000 micron의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물질의 중심까지 고르게 열을 전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품의 숙성, 품질향상 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원적외선 처리에 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 중합체인 폴리페놀,토코페롤, 플라보노이드 들이 저분자로 유리되면서 항산화능이 증가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본 연구재료인 모시대에 대한 식물생리활성 영양소(phytochemical) 함량 증가방법과 항산화능 향상방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한국특허등록 제0489564호에는 모시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당강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2003-74978호에는 모시대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식물에 원적외선을 처리한 후, 이의 용매 분획물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모시대를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모시대를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으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단계 (a)는 모시대를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로서, 최종 분획물에서 항산화능 및 파이토케미컬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는 쌍떡잎 식물로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풀을 의미하며, 모싯대라고도 한다. 산지의 다소 그늘진 곳에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100cm이고 뿌리는 도라지 뿌리처럼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며 달걀모양의 심장형달걀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8?9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종처럼 생긴 꽃이 엉성한 원추꽃차례로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관은 길이 2?3c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들어 있다. 씨방하위이며 열매는 삭과다. 연한 부분과 뿌리를 식용으로 하고 뿌리를 해독 및 거담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북동부에 분포한다. 이와 비슷한 종으로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모시대(for.leucantha)라고 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모시대 식물은 3개월 이상 재배한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4 개월 재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원적외선"은 적외선 중 파장이 25㎛ 이상의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의미한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3~1,000 micron의 파장으로 70~100℃에서 30~5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에서 35분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이란 식물의 뿌리나 잎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화학물질을 통틀어 일컫는 개념을 의미한다. 파이토케미컬은 식물 자체에서는 자신과 경쟁하는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각종 미생물해충 등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 등을 한다. 또 이 화학물질이 사람의 몸에 들어가면 항산화물질이나 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작용을 해 건강을 유지시켜 주기도 하는데, 미국,캐나다,일본 등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알려진 파이토케미컬 중 하나로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아스피린, 말라리아 특효약 퀴닌, 발암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페놀과 타닌 등을 들 수 있다. 연구 결과 각종 과일과 채소에는 플라보노이드, 녹황색 채소에는 카로티노이드, 마늘과 양파에는 황화합물의 일종인 알리신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채소나 과일의 파이토케미컬은 화려하고 짙은 색소에 많이 들어 있는데, 색깔별로는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보라색, 녹색에 많이 들어 있다. 그 밖에 흰색을 띠는 마늘류버섯류, 검은색을 띠는 콩류,곡물류에도 파이토케미컬이 들어 있다. 비타민과 무기염류가 풍부하고 암예방, 항산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염증 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의약품이나 식품 원료 등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모시대 분획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파이토케미컬은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b)는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를 메탄올로 추출한 단계로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시대 추출물"은 모시대의 뿌리, 줄기, 박피 또는 잎 등을 용매 등으로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모시대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메탄올의 농도가 8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탄올 추출은 80~100%의 메탄올 농도에서 24~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g당 7~11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4.8%의 메탄올 농도에서 30시간 동안 모시대 식물 g당 8.8mL의 용매 비율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 (c)는 모시대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으로 분획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모시대 메탄올 추출물을 분획한 것을 의미한다. 모시대 추출물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모시대 추출물로부터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으로 분획하는 경우 각각의 용매별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분획하는 단계는 용매별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시대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에서 가장 많았고(표 1),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에서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표 1),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소거능은 물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항산화활성을 확인한 결과, 저장과정에서 저장온도, 추출물의 농도 및 pH와 관계없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표 3). 또한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DPPH의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산성분획(pH 3) 및 중성분획에서 저장 후 7일이 지나면 DPPH의 소거능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또한, SOD 유사활성은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에서 용매의 종류보다는 분획물의 pH조건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산성용액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수소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 있어서도,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분획물의 용매의 종류보다는 상기 분획물을 저장하는 온도에 의해 유의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모시대 분획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 후에,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되는 모시대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탄올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추출된 모시대를 40℃에서 wet basis로 50%까지 감압농축을 행한 후 분획물을 개발하였으며, 분획물을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dry basis로 6%까지 건조시킨 다음 4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미용기능식품의 중간소재로서 분말제품을 개발하였다. 여기에서 동결건조는 당업자에게는 상용화된 동결건조기를 구입하여, 그 사용 절차에 따라 통상의 식품 제조에서 널리 알려진바 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개시된 모시대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은 피부주름, 광노화, 자외선에 대한 광보호 효과가 특화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용기능식품 조성물에서 포함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에서 개시된 파이토케미칼의 함량이 증대된 모시대 분획물 외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갹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식품보조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물은 그 자체가 식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어 식품 재료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시대 분획물은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 등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되었으므로, 미용식품소재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탄올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탄올 분획물의 농도 및 pH에 따른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원적외선 처리
3개월간 재배한 모시대를 시료로,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조사온도 70℃~100℃에서 30~50분간 처리하였다.
실시예 2 : 메탄올 추출물 제조
추출은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행하였으며 이때는 메탄올 농도 20-100%, 추출시간 6-30시간 및 메탄올 비율 7-23%(v/w)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분획물 제조
분획은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액을 용매로 하여 분획하였으며, 분획온도 25℃, 분획시간 3시간으로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분획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2ml에 2% Na2CO3 용액 2ml을 가한 후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다음 50% Folin-ciocalteu 용액 0.4ml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페놀함량을 구하기 위한 표준물질로는 탄닌산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액 0.5ml에 10% Al(NO3)3 용액 1ml와 1M 초산칼륨(potassium acetate) 용액 0.1ml를 첨가하고, 증류수 4.3ml를 더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을 구하기 위한 표준물질로는 쿼세틴(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분획물 중 총 페놀함량에서는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물 분획물이 가장 낮았다. 분획물 중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에서는 클로로포름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물 분획물이 가장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u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ug/ml)
n-헥산 16.20 ±1.35 39.22 ±1.47
클로로포름 37.75 ±2.02 39.91 ±7.36
에틸 아세테이트 65.86 ±8.42 33.32 ±0.98
부탄올 107.00 ±2.11 35.40 ±4.91
5.60 ±0.51 27.42±3.44
실험예 2 :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따른 DPPH 소거능 변화
Methanol 추출물과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DPPH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모시대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리 라디칼인 DPPH를 이용한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Kw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각 조건에서의 시료 1ml를 시험관에 넣고 4.0ml의 95%(v/v)의 에틸 알콜을 가하여 실험용액을 제조하였다.이 용액에 0.2mM DPPH 용액 1.0ml을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UV-1601, Shimadzu, Tokyo, Japan)을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각 시료에 대한 자유 라디칼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A/B) X 100
A : Absorbance of sample,
B : Absorbance of blank
DPPH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았다. 분획물 중 DPPH 소거능에서는 물분획물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부탄올 분획물 순이었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가장 낮았다.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 중에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부탄올 분획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
n-헥산 2.77 ±1.64
클로로포름 0.49 ±0.30
에틸 아세테이트 0.63 ±0.10
부탄올 2.88 ±0.30
3.40 ±0.35
실험예 3 :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온도, 농도 및 pH 조건에 따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저장과정에서 저장온도, 추출물농도 및 pH와 관계없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 3에서, 대조군은 pH 조절하지 않은 부탄올 분획물을 의미한다. 부탄올 분획물의 pH 조절이 저장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것으로, 대조군의 pH는 5%와 15%의 농도에서 각각 3.7과 3.8을 나타내었다.
(ug/ml)
저장온도 농도 pH 저장기간
0 일 7 일
전체 폴리페놀 함량 전체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체 폴리페놀 함량 전체 플라보노이드 함량
4 5% 대조군 6.67±0.34 28.81±5.40 6.13±0.08 26.38±0.98
3 6.19±0.00 25.33±0.49 5.78±0.25 26.38±0.98
7 5.78±0.42 30.19±3.44 6.19±0.34 40.61±0.49
15% 대조군 6.31±0.17 26.72±3.44 5.78±0.08 29.85±3.93
3 5.84±0.67 26.38±0.00 6.19±0.17 25.68±1.96
7 6.19±0.34 37.13±0.49 6.25±0.25 39.22±1.47
25 5% 대조군 6.67±0.34 28.81±5.40 6.13±0.08 26.38±0.98
3 6.19±0.00 25.33±0.49 5.84±0.34 26.38±1.96
7 5.78±0.42 30.19±3.44 5.60±0.51 31.23±1.96
15% 대조군 6.31±0.17 26.72±3.44 5.78±0.08 29.85±3.93
3 5.84±0.67 26.38±0.00 7.32±0.08 25.68±0.98
7 6.19±0.34 37.13±0.49 7.03±.17 32.62±3.93
실험예 4 :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DPPH 소거능 함량 변화
부탄올 분회물의 저장온도, 농도 및 pH 조건에 따른 DPPH 소거능 변화는 하기 표 4와 같다. 저장과정에서의 DPPH 소거능은 산성분획용액(pH 3) 과 중성분획용액(pH 7)에서는 저장 7일 후에는 저장온도나 추출물농도에 관계없이 급속한 감소가 생겼다. 특히 중성분획용액에서는 저장온도나 농도에 관계없이 DPPH 소거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대조구에서는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온도 농도 pH 저장기간
0 일 7 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4 5% 대조군 49.77±0.12 57.55±1.42
3 42.33±0.13 8.09±0.61
7 3.27±0.85 -
15% 대조군 83.42±0.79 75.20±2.18
3 84.65±0.84 7.55±0.25
7 90.81±0.17 -
25 5% 대조군 49.77±0.12 57.55±1.42
3 42.33±0.13 7.62±0.05
7 3.27±0.85 -
15% 대조군 83.42±0.79 72.20±1.04
3 84.65±0.84 7.62±0.25
7 90.81±0.17 -
실험예 5 :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SOD 유사활성 변화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SOD 유사활성 변화는 하기 표 5와 같다. 저장과정에서 저장온도, 분획물 농도 및 pH와 관계없이 감소현상을 나타내었다. 4의 저장온도에서는 산성분획용액에서의 감소가 중성분획용액에서보다 심하게 나타났다.
저장온도 농도 pH 저장기간
0 일 7 일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SOD-유사활성)
(%)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SOD-유사활성)(%)
4 5% 대조군 6.15±3.06 4.98±1.41
3 8.26±0.43 1.30±1.47
7 4.59±0.49 3.01±1.63
15% 대조군 6.04±0.09 3.28±0.14
3 11.01±1.69 3.66±1.43
7 10.35±3.00 3.01±1.25
25 5% 대조군 6.15±3.06 4.98±1.41
3 8.26±0.43 8.92±0.98
7 4.59±0.49 4.13±0.99
15% 대조군 6.04±0.09 3.28±0.14
3 11.01±1.69 8.91±1.35
7 10.35±3.00 8.88±1.14
실험예 6 :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히드록시 라디칼 ( hydroxyl radical ) 소거활성 변화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에 따른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 변화의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저장과정에서 저장온도, 추출물농도 및 pH와 관계없이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은 저장 7일 후 증가하였다.
저장온도 농도 pH 저장기간
0 일 7 일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활성(%)
4 5% 대조군 9.40±2.55 61.36±1.07
3 - 61.36±3.21
7 - 67.42±1.07
15% 대조군 3.85±7.89 43.18±1.07
3 53.03±0.00
7 25.64±4.83 57.58±0.00
25 5% 대조군 9.40±2.55 61.36±1.07
3 - 52.27±1.07
7 - 36.36±0.00
15% 대조군 3.85±7.89 43.18±1.07
3 - 21.21±0.00
7 25.64±4.83 31.82±0.00
실험예 7 :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온도, 농도 및 pH 조건에 따른 색상 변화
부탄올 분획물의 저장온도, 농도 및 pH 조건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L 값은 대조구의 경우는 저장 7일 후 감소하였으나 산성과 중성 분획용액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저장과정에서 저장온도, 추출물농도 및 pH와 관계없이 b 값은 감소하였다. a 값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기 표에서 기재된 L[어둠(0)-밝음(100)], a[적색(60)-녹색(-60] 및 b[노랑(60)-파랑(-60)]값으로 나타내었다.
저장온도 농도 pH 저장기간
0 일 7 일
L a b L a b
4 5% 대조군 41.8±0.7 -1.0±0.2 10.1±0.5 32.1±0.1 0.5±0.4 0.6±0.0
3 42.9±0.2 -1.1±0.1 7.7±0.1 42.4±1.6 -0.4±0.1 0.4±0.1
7 41.7±0.1 -1.1±0.1 8.9±0.4 41.8±1.8 -0.3±0.3 0.6±0.1
15% 대조군 43.3±7.1 0.9±0.1 14.7±0.6 26.6±1.5 1.1±0.1 -0.1±0.1
3 39.2±0.1 0.1±0.2 13.2±0.1 43.1±0.6 -0.4±0.1 0.4±0.1
7 38.1±0.1 0.8±0.1 14.4±0.1 35.8±0.1 0.1±0.1 0.3±0.2
25 5% 대조군 41.8±0.7 -1.0±0.2 10.1±0.5 32.1±0.1 0.5±0.4 0.6±0.0
3 42.9±0.2 -1.1±0.1 7.7±0.1 43.8±.3 -0.4±0.1 0.3±0.0
7 41.7±0.1 -1.1±0.1 8.9±0.4 43.4±2.1 -0.4±0.1 0.2±0.1
15% 대조군 43.3±7.1 0.9±0.1 14.7±0.6 26.6±1.5 1.1±0.1 -0.1±0.1
3 39.2±0.1 0.1±0.2 13.2±0.1 39.5±0.4 -0.2±0.1 0.2±0.0
7 38.1±0.1 0.8±0.1 14.4±0.1 38.3±0.1 0.1±0.1 0.4±0.1
실험예 8 : 메탄올 추출물 및 각각의 분획물의 농도 및 pH 에 따른 외관
메탄올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의 외관사진은 하기의 도 1과 같다. 메탄올 추출용액은 갈색을 띠고 있으며 그 이외의 분획용액들은 거의 투명한 색상을 띄고 있었다.
부탄올 분획물의 농도 및 pH에 따른 외관사진은 도 2와 같다. 메탄올 추출용액과는 다르게 분획용액의 경우는 농도와 pH에 관계없이 투명한 용액상태로 나타났다.

Claims (7)

  1. (a) 모시대를 원적외선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원적외선 처리한 모시대를 메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모시대 추출물을 부탄올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시대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시대는 3개월 이상 재배한 모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70~100℃에서 30~50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의 농도는 8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모시대 메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기능식품용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특화된 것인 조성물.
KR1020100085666A 2010-09-01 2010-09-01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KR101209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66A KR101209369B1 (ko) 2010-09-01 2010-09-01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66A KR101209369B1 (ko) 2010-09-01 2010-09-01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57A KR20120022257A (ko) 2012-03-12
KR101209369B1 true KR101209369B1 (ko) 2012-12-06

Family

ID=4613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66A KR101209369B1 (ko) 2010-09-01 2010-09-01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14B1 (ko) * 2021-08-19 2022-09-14 주식회사 에이치엔비랩스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37B1 (ko) 2006-04-27 2008-01-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03589B1 (ko) 2009-09-03 2012-01-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37B1 (ko) 2006-04-27 2008-01-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케나프 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03589B1 (ko) 2009-09-03 2012-01-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토케미컬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능이 향상된 모시대 추출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형인 외 3명, 약학회지 (1999) 제43권 제1호 pp.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57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ández-Hernández et al. Rambutan (Nephelium lappaceum L.):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Petrova et al. Five edible flowers–valuable source of antioxidants in human nutrition
KR102016027B1 (ko)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Parihar et al. A brief overview on Vitis Vinifera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Shah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sea buckthorn: Biological activity and its potential uses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00436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209369B1 (ko)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Danga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study of physic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rapeutic activities of Choerospondias axillaris (lapsi)
KR102252763B1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403355B1 (ko)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00063673A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06245B1 (ko) 특정 발아 상태의 메밀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4543B1 (ko)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와 허브의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51742B1 (ko) 미숙 사과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00700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20110081435A (ko) 원적외선 건조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감국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akshmikanthan et 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Research
Saji et al. Psidium guajava. L Single Plant with Abundant Health Benefit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