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001B1 -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 Google Patents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001B1
KR101007001B1 KR1020100031412A KR20100031412A KR101007001B1 KR 101007001 B1 KR101007001 B1 KR 101007001B1 KR 1020100031412 A KR1020100031412 A KR 1020100031412A KR 20100031412 A KR20100031412 A KR 20100031412A KR 101007001 B1 KR101007001 B1 KR 10100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fractions
hawtho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729A (ko
Inventor
김명조
한상노
이지원
정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생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생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0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항생제 및 항당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자나무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항생제 및 항당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산화 또는 노화방지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생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항당뇨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당뇨용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The extracts and fractions of Hippophae rhamnoides L.}
본 발명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항생제 및 항당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 증대로 인하여 개인의 영양상태가 크게 호전되었고 의료 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선진국 수준으로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의 치료보다는 질병 예방에 힘써야 한다는 생각에 여러 형태의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생체 방어시스템으로 천연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천연물의 기능성과 천연물에 함유하고 있는 2차 대사산물의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천연식물로 노화와 성인병 질환의 원인인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을 소거할 수 있으며 식품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들이 과산화물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노화성질환의 억제제 및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다고 기대되는 바이다.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비타민나무)는 보리수과에 속하는 관목으로서 100 여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A, B, C, E, F, K)등 유효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겨울철 추위 및 여름철 고온에서도 잘 자라며, 척박한 지대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적응성을 지녔다. 이미 산자나무의 항산화 활성 측정 및 산자나무의 지방산 함량 및 암 예방, 면역 체계 분야 등 다양한 연구 분야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자나무 열매에 베타 카로틴 성분이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산자나무 잎의 기기분석을 통해 유효성분을 측정하고 있으며, 산자나무로 다양한 식품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 항균 및 항진균 활성, 3가철 활성(Ferric-thiocyanate activity),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을 측정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항산화제, 항생제 및 항당뇨용 조성물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 순으로 추출하여 각 단계에서 얻은 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활성산소가 과량으로 축적되어 발병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방부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자나무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자나무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 및 실온에서 7일간 건조한다. 건조한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를 분쇄한 후, 추출 용기에 넣고, 추출용매로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을 수득한 후,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현탁액을 원심분리시키고, 상층액을 감압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산자나무 건조 중량의 2 내지 10 배로, 바람직하게는 4배로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침지 추출,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침지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20℃ 내지 3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인 실온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시간은 5 내지 10일이며, 바람직하게는 7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 순으로 추출하여 각 단계에서 얻은 분획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획득하기 위한 분획용매는 유기용매이고, 바람직하게는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 군에서 선택되며, 통상적으로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 순으로 계통 분획한 후, 이를 3회 반복하고 각 용매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를 제공한다.
전자공여능은 항산화작용의 지표이며, 환원력이 큰 것일수록 전자공여능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Kang YH et al ., Korean J Food Sci Technol 27:978-984, 1995). 이에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기존의 항산화제인 BHA, BHT, α-토코페롤과 비교한 결과, 상기 대조군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뿌리 및 줄기의 EtOAc(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각각 RC50이 1.5 ± 0.5 ㎍/㎖ 및 1.0 ± 0.5 ㎍/㎖로 이는 대조군 α-토코페롤 RC50 12 ± 0.5 ㎍/㎖과 비교해 볼 때 더 강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냈다(표 1 참조).
또한, 체내에서 활성산소 라디칼을 산화시켜주는 효소로 산소 상해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 활성(like activity) 작용은 산자나무에서 메탄올 추출물을 비롯한 모든 분획물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표 2 참조).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각각 저농도에서는 활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산자나무 헥산 분획물 고농도(1,000 ppm)에서는 각각 65.7% 또는 73.4% 억제율을 나타났다(표 2 참조). 상기 결과는 Hong HD 등(Korean J Food Sci Technol 30:1484-1487, 1998)의 과실, 과채류의 착즙의 SOD 유사 활성에서 사과 착즙액의 경우 14.6%, 케일농축액의 경우 26.7%, 키위 착즙액의 경우 27.6%, 무착즙액의 경우 24.1%의 활성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높은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결과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을수록 SOD의 유사 활성이 증가한다는 보고(Kwon TD et al ., Kor J Phys Edu 3:891-899, 2001)와 기존의 연구결과(Azuma K et al ., L J Agric Food Chem 47:3963-3966, 1999; Lee YS et al ., Korean J Food Preserv 12:75-79, 2005)에 근거하여 산자나무의 뿌리와 줄기에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생리활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를 기능성 제품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불포화 지방산의 장기보관에 따른 지질 과산화 억제율을 측정하는 항산화 측정방법인 3가철 활성 측정법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산자나물 추출물 및 BuOH 분획물은 BHT 및 BHA와 비슷하게 높은 항 지질과산화 능력을 보였고, α-토코페롤에 비해 6배 정도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강한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 및 α-토코페롤에 비해 6배 정도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생체 내에서 유해한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항산화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기타 액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제형, 예를 들면 정체, 트로치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또는 우성현탁액, 조제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하드 또는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elixirs)로 제제화된다.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롤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푸마르산 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왁스와 같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캡슐제형의 경우는 상기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kg당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0.1 ~ 0.2 g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0.1 ~ 10 ㎎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활성산소가 과량으로 축적되어 발병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을 보임으로 효과적인 활성산소가 과량으로 축적되어 발병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노화방지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산소가 과량으로 축적되어 발병되는 질환은 간장 질환, 뇌졸중, 심근경색, 당뇨병성 혈관장애, 고지혈증, 급성염증, 류마티스,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가 과량으로 축적되어 발병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뿐만 아니라 노화방지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으로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이 있으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또는 10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용 외형제에는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를 제공한다.
상기 항생제는 병원성 박테리아 및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원성 박테리아는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것이다. 상기 진균은 피키아 자디니(Pichia jadinii)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중의 어느 하나일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Gram(+)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Gram(-)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클레브시엘라 네우모니아(Klebsiella pneumonia), 및 진균인 피키아 자디니(Pichia jadinii)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사용하여,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균 및 항진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는 고초균으로 식품의 부패에 영향을 주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식중독 원인균이고, 대장균은 식품오염의 지표균이며, 살모넬라 티피무리움은 식중독 미생물이고, 클레브시엘라 네우모니아는 세균성 폐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키아 자디니는 김치에서 분리된 효모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의 생식기나 입주위에 캔디다증(candidasis)을 일으키는 캔디다 알비칸스는 진균류(즉, 곰팡이류)에 속하는 균으로 정상적인 피부·점막·분변·객담·요 등에 존재할 수 있는 균이다. 그 결과, 클레브시엘라 네우모니아를 제외한 균들에서 전체적으로 활성을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표 3 참조). 특히 산자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대부분의 균에서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냈고, 대장균에서는 모든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500 ㎍/㎖에서 활성을 나타냈다(표 3 참조). 그러나 대조군인 (+)-카테킨은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에 비해 항균 활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방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방부제는 다양한 미생물, 특히 세균 및 진균에 대해 광범위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3 참조). 본 발명의 천연방부제는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도 이의 방부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추가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범위한 방부 스펙트럼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방부제는 의약품, 화장품, 식품, 섬유, 생활용품 등에서 방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품에 사용되어 제품의 품질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한 제품에 본 발명의 천연방부제를 포함시키는 경우, 이의 사용량은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천연방부제를 포함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바에 따라 적합한 제형 및 첨가제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당뇨용 조성물은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는 식이 후 섭취된 탄수화물을 소화 흡수되기 위한 상태인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갖는 장내 소화 효소로서, 상기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글루코오스 흡수를 늦춤으로써 식후 혈당 상승을 조절하는 방법이 당뇨병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항당뇨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BuOH 분획물에서 대조군인 당뇨치료제인 보글리보스 70.4%에 비해 각각 79.5%, 80.6%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냈으나, 또 다른 대조군인 당뇨치료제인 아카보스 89%에 비해 낮은 억제율을 나타냈다(도 2 참조).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항당뇨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위생)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 또는 이의 유도체는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산화 또는 노화방지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생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항당뇨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당뇨용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3가철 활성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a: 뿌리; 및,
b: 줄기.
도 2는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a: 뿌리; 및,
b: 줄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시료, 기기 및 시약
<1-1> 산자나무 시료의 준비
(주)삼성생약으로부터 제공받은 산자나무(Hippophae rhamnoides L.; 비타민나무) 뿌리 및 줄기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 및 실온에서 7일간 건조하여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1-2> 기기 및 시약
시약은 일급 및 특급을 사용하였고, 흡광도 측정에 사용한 UV/VIS Spectra는 Jasco사(일본) V530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는 EYELA사(일본)의 NE-2001과 AC-1112A를 사용하였다.
생리활성에 사용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파이로갈롤(Pyrogallol), Tween 20, 리놀렌산(linoleic acid), 티오시안산 암모늄(ammonium thiocyanate)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BHA(tert-butyl hydroxyanisole), BHT(tert-butyl hydroxytoluene), α-토코페롤(α-tocopherol),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카테킨(catechin), 케토코나졸(Ketoconazol), 마이코스탄틴(Mycostantin), 테트라시클린(tetracycline)은 Sigma사(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
<2-1> 메탄올 추출물 제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준비한 산자나무 뿌리(408 g) 및 줄기(115 g) 가루를 100% 메탄올 10배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7일간 3번 반복 추출하고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건조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산자나무 뿌리(408 g) 및 줄기(115 g) 가루에서 추출물 뿌리 68 g 및 줄기 60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2-2> 물 추출물 제조
추출용매로 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추출하여 추출물 7.3 및 1.8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2-3> 에탄올 추출물 제조
추출용매로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의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추출하여 추출물 9.2 및 2.5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2-4> 분획물 제조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n-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순으로 계통 분획하였다. 3회 반복한 후, 각 용매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그 결과, 각각 n-헥산[뿌리(3.9 g), 줄기(5.1 g)], 에틸 아세테이트[뿌리(2 g), 줄기(4.4 g)], 부탄올[뿌리(14 g), 줄기(11.1 g)]의 용매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을 이용한 결과 산자나무 뿌리(408 g) 및 줄기(115 g) 가루에서 추출물 뿌리 68 g 및 줄기 60 g을 제조할 수 있었다.
< 실험예 1> 전자공여능 조사
Xiong Q 등(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1580-1585, 1996)에 의해 제시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4 ㎖의 메탄올이 담긴 시험관에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득한 실험군으로서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양성 대조군(BHA, BHT, α-토코페롤) 및 음성 대조군(무첨가군)을 농도별로 각각 첨가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시료에 DPPH(0.15 mM) 용액 1 ㎖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반응시키고 517 ㎚에서 UV/VIS 분광광도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가 DPPH 자유 라디칼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RC50; ㎍/㎖)는 음성 대조군의 DPPH 자유 라디칼 값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로 나타내었다.
실험군의 항산화 활성을 기존의 항산화제인 BHA, BHT, α-토코페롤과 비교한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뿌리 및 줄기의 EtOAc(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각각 RC50이 1.5 ± 0.5 ㎍/㎖ 및 1.0 ± 0.5 ㎍/㎖로 이는 대조군 α-토코페롤 RC50 12 ± 0.5 ㎍/㎖과 비교해 볼 때 더 강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RC50 1 ) (㎍/㎖)
뿌리 줄기
MeOH 추출물 5 ± 0.5 2.7 ± 0.5
물 추출물 10.9 ± 0.43 4.1 ± 0.24
EtOH 추출물 4.3 ± 0.56 2.6 ± 0.32
Hexane 분획물 3 ± 1.0 3.2 ± 0.23
EtOAc 분획물 1.5 ± 0.29 1 ± 0.35
BuOH 분획물 2.5 ± 0.58 1.4 ± 0.2
수용성 분획물 9.5 ± 0.2 3.3 ± 0.2
BHT 34 ± 0.58
BHA 14 ± 0.5
α-토코페롤 12 ± 1.15
1)RC50 : 30분 후 DPPH의 50% 감소에 필요한 양, 각 수치들은 세 번 반복된 검사에 의해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났다.
< 실험예 2> 활성산소제거효소( Superoxide dismutase ; SOD ) 유사 활성 조사
Marklund 등(Marklund S & Marklund G, Eur J Biochem 47:468-474, 1975)의 방법에 따라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득한 실험군으로써 농도별(100, 1,000, 5,000 및 10,000 ppm)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및 대조군(무첨가군) 각각 0.2 ㎖에 Tris-HCl의 완충용액(50 mM Tris + 10 mM EDTA, pH 8.5) 2.6 ㎖이 혼합된 시료에 7.2 mM 파이로갈롤 0.2 ㎖을 가하였다. 25℃에서 10분간 방치함으로써 반응시킨 후, 1.0 N HCl 0.1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고 반응액 중 산화된 파이로갈롤의 양을 420 ㎚에서 측정하였다. SOD 유사 활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Figure 112010021894212-pat00001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자나무에서 메탄올 추출물을 비롯한 모든 분획물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산소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각각 저농도(100 ppm)에서는 활성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산자나무 뿌리 또는 줄기 헥산 분획물 1,000 ppm에서는 각각 65.7% 또는 73.4% 억제율을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
농도
(ppm)
SOD 유사 활성1 )
MeOH 추출물 물 추출물 EtOH 추출물 Hexane 분획물 EtOAc 분획물 BuOH 분획물 수용성 분획물 아스코르브산
뿌리 100 3.4± 0.1 1.5± 0.2 4.4± 0.4 7.3± 0.2 2.9± 0.3 1.1± 0.3 0.5± 0.3 32.5± 0.5
1,000 12.8± 1 10.8± 1.2 21.4± 1.8 65.7± 0.12 25.7± 1.4 11.7± 0.4 11.3± 2.0 68.5± 0.5
5,000 44.3± 2.0 20.1± 1.0 66.1± 2.2 92.4± 0.3 67.9± 2.0 41.1± 2.0 24.1± 1.5 <99.0
10,000 66.6± 0.1 30.1± 0.5 75.2± 0.2 95.1± 0.1 80.4± 2.0 58.7± 2.0 33.7± 2.0 <99.0줄기
줄기 100 2.1± 0.4 1.6± 0.3 2.3± 0.5 9.1± 1.4 2.2± 0.5 8.0± 0.5 2.6± 0.4 32.5± 0.5
1,000 25.4± 1.5 20.1± 1.4 28.3± 0.5 73.4± 1.0 31.4± 1.5 21.3± 2.0 21.8± 0.4 68.5± 0.5
5,000 69.8± 1.4 35.7± 0.5 53.5± 0.7 92.9± 0.2. 54.0± 0.3 58.5± 0.5 39.7± 1.7 <99.0
10,000 72.6± 1.4 45.3± 1.2 58.6± 1.0 94.6± 0.3 58.0± 2.0 61.2± 0.5 48.5± 1.2 <99.0
1) 모든 수치들은 세 번 반복된 검사에 의해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조사
Inatani R 등(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47:521-528, 1983)에 의한 3가철 활성 측정법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3가철 활성 측정법은 불포화 지방산의 장기보관에 따른 지질 과산화 억제율을 측정하는 항산화 측정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2.51%), 에탄올(2.0 ㎖), 0.05 M 인산염 완충용액(pH 7.0, 4.0 ㎖), H2O(1.9 ㎖) 및 10% 트윈 20(0.1 ㎖)이 담긴 20 ㎖ 시험관에, 전량이 10 ㎖이 되고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양성 대조군(BHA, BHT, α-토코페롤) 및 대조군(무첨가군)을 각각 최종농도가 0.005%가 되도록 넣은 후, 40℃의 암소 배치하였다. 상기 혼합액 시료 0.1 ㎖에 75% 에탄올(9.7 ㎖) 및 30% 티오시아산 암모늄(0.1 ㎖)을 가하였고, 2 × 10-2 M 염화제일철의 3.5% 염산용액(0.1 ㎖)을 가한 후, 정확히 3분 후에 500 ㎚에서 UV/VIS 분광광도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48시간마다 총 35일간 측정하였다.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능(%)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0021894212-pat00002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α-토코페롤은 17일 이후 급격한 산화가 이뤄져 BHT 및 BHA 비해 항 지질과산화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산자나무 뿌리(도 1a)에서는 BuOH 분획물 및 MeOH 추출물이 양성 대조군인 BHT 및 BHA와 유사한 높은 항 지질과산화 능력을 나타냈고, 줄기(도 1b) 또한 BuOH 분획물 및 MeOH 추출물에서 양성 대조군인 BHT 및 BHA와 비슷하게 높은 항 지질과산화 능력을 보였다. 또한, BuOH 분획물과 MeOH 추출물이 줄기 및 뿌리에서 α-토코페롤에 비해 6배 정도 높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 실험예 4> 항균활성 조사
Kobayasi A 등(Zeitschrift fur Naturforsch 51:527-533, 1996)의 연속 2배 희석법(serial 2-fold dilution)에 따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4-1> 피검체
Gram(+)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Gram(-)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클레브시엘라 네우모니아(Klebsiella pneumonia), 및 진균인 피키아 자디니(Pichia jadinii) 및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사용하였다.
<4-2> 배양 및 활성 측정
포도상구균(micrococcus)은 영양(nutrient) YM 배지에 배양하여 상기 균체 현탁액을 직경 25 ㎜ 시험관에 10 ㎖씩 접종하여 각각 37℃와 30℃에서 12시간 동안 진탕 배양(100 rpm)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각각의 배지에 100배 희석하여 항균시험에 사용하였다. 시료를 96 웰 마이크로 분석 플레이트의 제 1번 구에 넣고 조제된 균체 현탁액을 분주하여 2배씩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의 시료를 37℃와 30℃에서 24시간 암 조건에서 배양하여 세균의 증식을 육안으로 탁도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은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최저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이하, MIC)를 측정하였다(Kim MJ & Hyun JO, Kor J Vreed 29:115-123, 1997).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레브시엘라 네우모니아를 제외한 균들에서 전체적으로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대부분의 균에서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그중 대장균에서는 모든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500 ㎍/㎖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대조군인 (+)-카테킨은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에 비해 항균 활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활성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MIC1 ) (㎍/㎖)
세균 진균
Gram (+) Gram (-)
B.s. 1) S.a. 1) E.c. 1) S.t. 1) K.p. 1) P.j. 1) C.a. 1)
뿌리 MeOH 추출물 1000 500 500 1000 1000 125 125
물 추출물 500 1000 500 500 1000 125 125
EtOH 추출물 500 250 250 500 1000 125 125
Hexane 분획물 1000 1000 500 1000 1000 125 125
EtOAc 분획물 500 250 250 500 1000 125 125
BuOH 분획물 500 125 500 500 1000 125 125
수용성 분획물 500 1000 500 500 1000 125 125
줄기 MeOH 추출물 500 250 500 1000 1000 125 62
물 추출물 500 500 500 500 500 125 125
EtOH 추출물 500 250 250 500 1000 125 62
Hexane 분획물 1000 250 500 500 1000 62 62
EtOAc 분획물 1000 125 250 500 1000 62 62
BuOH 분획물 125 500 500 500 500 125 125
수용성 분획물 500 500 500 500 500 125 125
(+)-카테킨 1000< 1000< 1000< 1000< 1000< 500 500
Ketoconazol - - - - - 250 250
Mycostantin - - - - - 500 500
테트라시클린 8 8 8 8 8 - -
1) B.s.: Bacillus subtilis , S.a.: Staphylococus aureus , E.c.: Escherichia coli, S.t.: Salmonella typhimurium, K.p.: Klebsiella pneumonia, P.j.: Pichia jadinii 및 C.a.: Candida albicans.
< 실험예 5> 항당뇨 활성 조사
α-글루코시다아제는 식이 후 섭취된 탄수화물을 소화 흡수되기 위한 상태인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역할을 갖는 장내 소화 효소로서 글루코오스 흡수를 늦춤으로써 식후 혈당 상승을 조절하는 방법이 당뇨병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항당뇨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득한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을 1 ㎎/㎖의 농도가 되도록 0.3 M KPB 완충용액(pH 7.0)으로 희석한 후, α-글루코시다아제 효소액(Sigma Chemical, USA) 100 ㎕를 넣고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을 100℃에서 5분간 두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상기 반응액 40 ㎕에 글루코오스 키트(Lot.R658, 아산제약(주)) 200 ㎕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발색 시킨 후 496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산자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흡광도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 당뇨치료제인 아카보스(Acarbose) 및 보글리보스(Voglibose)를 사용하였다. 상기 아카보스는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로 시판되고 있는 의약품으로서 주로 소장 세포의 점막에 존재하는 말타아제(mal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Carrascosa JM et al ., Diabetes Obes Metab 3: 240-248, 2001). α-글루코시다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억제율)을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0021894212-pat00003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자나무 뿌리 및 줄기 BuOH 분획물에서 대조군 보글리보스 70.4%에 비해 각각 79.5%, 80.6%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냈으나, 아카보스 89%에 비해 낮은 억제율을 나타냈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제예 2> 화장료의 제조
<2-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의 제제예는 다음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2-2> 영양 크림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제제예는 다음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3>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20~95 중량부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3.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4>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산자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산자나무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그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제.
  2.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물,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제.
  3. 제 1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 분획물은 산자나무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n-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분획한 n-헥산 분획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진균은 피키아 또는 칸디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제.
KR1020100031412A 2010-04-06 2010-04-06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00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12A KR101007001B1 (ko) 2010-04-06 2010-04-06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412A KR101007001B1 (ko) 2010-04-06 2010-04-06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775A Division KR101004361B1 (ko) 2008-02-05 2008-02-05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729A KR20100041729A (ko) 2010-04-22
KR101007001B1 true KR101007001B1 (ko) 2011-01-12

Family

ID=4221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412A KR101007001B1 (ko) 2010-04-06 2010-04-06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74B1 (ko) 2011-01-12 2013-06-18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타민나무 잎 분말에 의한 조미김 산패의 억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154B2 (en) * 2003-03-25 2005-09-2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prepar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fraction from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154B2 (en) * 2003-03-25 2005-09-2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prepar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fraction from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74B1 (ko) 2011-01-12 2013-06-18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타민나무 잎 분말에 의한 조미김 산패의 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729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0436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200083710A (ko) 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523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47007B1 (ko) 디프테로카퍼스 옵터시포리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KR10100700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0758266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91408B1 (ko)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61423B1 (ko)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00083712A (ko) 복분자, 대두 및 산초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29461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425560B1 (ko) 엘리오카퍼스 페티오라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04955B1 (ko) 세토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