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701A -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701A
KR20150080701A KR1020140000106A KR20140000106A KR20150080701A KR 20150080701 A KR20150080701 A KR 20150080701A KR 1020140000106 A KR1020140000106 A KR 1020140000106A KR 20140000106 A KR20140000106 A KR 20140000106A KR 20150080701 A KR20150080701 A KR 2015008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fraction
frui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수양
Original Assignee
진수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수양 filed Critical 진수양
Priority to KR102014000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701A/ko
Publication of KR2015008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유의적인 경피 수분증발 억제 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은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수분증발 억제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Phellodendron amurense frui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상해를 직접 받는 부위인 동시에 또한 이들의 기능적, 구조적 손상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조직이다. 그러나, 우리의 피부는 예를들어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와 같은 손상으로 피부의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피부는 더욱 더 큰 손상을 입게 되고 빠르게 피부 탄력이 저하되며, 주름이 생성되게 된다. 피부가 노화되면 피부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Matrix) 안의 콜라겐(collagen),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라겐의 양이 증가한다. 이렇게 되면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는 거칠게 된다. 나아가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피지막(sebaceous membrane)은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고 피부 수화에 대한 보호력을 잃게 되어 결국 피부는 건조하게 되고 투명성(translucency)을 잃게 되어 피부 단백질의 탄력이 감소되고 주름이 생성된다. 한편, 피부의 보습 작용도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 피부 탄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노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피부의 수분균형은 표피(epidermis)에 의해 조절된다. 표피의 각질층은 죽은 세포들이 쌓여 있는 것이지만 피부의 수분유지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생체는 생명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정상 피부에서의 수분은 체내에 70%, 각질층에 20%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준다.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각질화(keratinization)로 생성된 각질층안의 수분의 양은 항상 10 ~ 20%를 유지한다. 현재 피부 내 수분 유지 방법은 폐색제(occlusive agent)를 사용하고 있으며, 폐색제는 수분 손실을 막는 장벽을 피부 위에 형성함으로써, 수분보유를 촉진하는 소수성 물질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폐색제에는, 바세린, 라놀린, 코코아 버터, 미네랄 오일 및 실리콘이 포함된다. 또한,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디메틸 술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 크로톤 오일(Croton Oil),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20 내지 50 여종의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이들 원료들이 제품에 적용됨으로써 피부에 염증, 가려움증, 알러지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가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에 노출되면 각질층이 손상을 받게 되고, 따라서 각질층 손상의 지표가 되는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1차적인 염증반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화장품은 피부에 유해한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때문에 피부 보습 효과, 보호 효과 등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황벽나무(황백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자생하며, 동속식물로 털황경피나무(Phellodendron amurense var. molle NAKAI W. LEE), 화태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var. sachalinense FR. SCHMIDT), 털황벽나무(P. molle NAKAI), 넓은잎황벽나무(P. sachalinense SAKGENT), 섬황벽나무(P. insulare NAKAI) 등이 있다. 중국 운남, 호북지역에는 황피수(黃皮樹, P.chinensis)가 있으며 중국 사천성 지역에서는 천황백(川黃栢, P. sacharinensis)을 생산하고 있고 대만에는 대만황벽(P.wilsoni) 등이 있다. 황벽나무 및 동속 근록식물(同屬 近綠植物)의 수피(樹皮)를 황백(黃柏, Phellodendri Cortex)이라 하며, 황백에는 황색 또는 황갈색 색소 물질과 수종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1.5 내지 4.5% 정도로 포함되어 있다. 알칼로이드의 주성분은 베르베린(berberine)이다. 이외 구아니딘(guanidine), 야트로리진 (jatrorrizine), 마그노후로린(magnoflorine), 펠로덴드린(phellodendrine), 칸디신(candicine), 팔마틴(palmatine), 메니스페린 (menisperine, n-methylisocorydinum) 등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며, 오바쿠논(obacunone), 오바쿠락톤(obaculactone), 딕탐놀리드(dictamnolide), 오바쿠노닌 산(obacunonic acid), 루미캐룰린산(lumicaerulei acid), 7-디히드로스티그마스테롤(7-dehydro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성분은 강한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아세틸콜린 증강작용 및 항염작용을 가지고 있어 본초강목이나 약학에서 골 질환 및 황달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장티푸스, 콜레라, 건위, 및 정장에도 효과적이며, 이들의 수피는 고미건위제, 정장제, 소염성 수렴 약으로서 위장염, 복통, 황달 등에도 사용되어 왔으나(정보섭, 신민교저, 향약대사전, 영림사, pp790-791 (1998)),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또한,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대한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154772호에는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기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20536호에는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한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선행문헌은 알려 진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식물을 스크리닝하던 중,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현저한 경피 수분증발 억제 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황벽나무 열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유의적인 경피 수분증발 억제 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은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수분증발 억제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벽나무 열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황벽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황벽나무 열매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황벽나무 열매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황벽나무 열매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3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유기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노르말-부탄올 및 물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헥산 분획물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황벽나무 열매로부터 황벽나물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제조한 다음,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황벽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및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경피 수분 증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황벽나무 헥산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황벽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및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각각 5배 및 2.75 배 이상의 현저한 경피 수분 증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황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28일 후, 적용 부위의 수분량이 각각 평균 54% 및 28.34% 증가율을 나타내므로,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의 현저한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표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유의적인 경피 수분증발 억제 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은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수분증발 억제효과 및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0.005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벽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 열매 추출물의 제조
<1-1> 황벽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제조
황벽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경기도 포천 일동에서 10월 경 채취한 황벽나무 열매 1 kg를 세척하고 으깬 다음, 추출병에 넣은 후, 증류수 10 L를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증류수를 첨가한 시료를 11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1-2> 황벽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황벽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황벽나무 열매 1 kg를 세척하고 으깬 다음, 황벽나무 열매에 메탄올 20 ℓ를 가한 후 상온에서 순환시키면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농축하여 황벽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 1.2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황벽나무 열매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황벽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 1,068 mg 에 물을 첨가하여 현탁시키고, 동량의 100% 헥산을 가하여 진탕 방치하기를 3회 실시하여 헥산 분획물 363.5 mg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헥산 분획물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에 클로로포름을 동량 가하여 진탕 방치하기를 3회 반복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 195.9 mg을 수득하였으며, 다시 남은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동량 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97.8 mg을 수득하였으며, 또 다시 남은 물층에 부탄올을 동량 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부탄올 분획물 199.9 mg을 수득하였으며, 남은 물층을 농축하여 물 분획물 130.3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황벽나무 수피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황벽나무 수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황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수분 증발 억제 효과 확인
<1-1> 황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수분 증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중량%)
성분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험군 5 비교군 1 비교군 2
실시예 <1-1>의 황벽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상층액 4.0 0.0 0.0 0.0 0.0 0.0 0.0
실시예 <1-2>의 황벽나무 열매 메탄올 추출물 0.0 4.0 0.0 0.0 0.0 0.0 0.0
<실시예 2>의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 0.0 0.0 4.0 0.0 0.0 0.0 0.0
<실시예 2>의 황벽나무 열매 클로로포름 분획물 0.0 0.0 0.0 4.0 0.0 0.0 0.0
<실시예 2>의 황벽나무 열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0 0.0 0.0 0.0 4.0 0.0 0.0
<실시예 3>의 황벽나무 수피 메탄올 분획물 0.0 0.0 0.0 0.0 0.0 4.0 0.0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 5.0 5.0 5.0 5.0 5.0 5.0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5.0 5.0 5.0 5.0 5.0 5.0 5.0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2.0 2.0 2.0 2.0 2.0 2.0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7 1.7 1.7 1.7 1.7 1.7 1.7
솔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 1.3 1.3 1.3 1.3 1.3 1.3 1.3
향료,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2> 경피 수분증발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경피 수분증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 내지 6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량이 65이하인 건성피부를 가진 사람 20명의 여성을 선별한 후, 피부의 수분량을 각각 3회에 걸쳐 측정한 후, 상기 실험예 <1-1>에서 제조한 실험군 1 내지 5, 및 비교군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4주간 도포(2회/일)하고, 경피 수분증발량 측정장치인 투와미터(Tewa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피검자 실험군 1
(△TEWL)
실험군 2
(△TEWL)
실험군 3
(△TEWL)
실험군 4
(△TEWL)
실험군 5
(△TEWL)
비교군 1
(△TEWL)
비교군 2
(△TEWL)
1 4 5 8 5 6 3 2
2 4 5 8 6 6 4 1
3 5 4 7 5 5 4 2
4 4 4 8 6 6 2 2
5 4 5 7 5 5 3 1
6 5 5 8 6 6 3 1
7 3 4 8 7 5 2 2
8 3 5 9 5 7 4 2
9 4 5 8 6 5 3 1
10 4 5 9 6 5 2 1
11 5 4 8 6 6 3 1
12 4 5 8 7 6 2 2
13 4 6 8 6 6 3 2
14 4 5 8 7 6 3 1
15 5 4 7 8 5 2 3
16 4 5 8 7 7 3 2
17 4 6 9 6 7 3 1
18 5 5 8 7 6 4 2
19 4 5 7 6 6 2 2
20 4 5 9 7 7 3 1
평균 4.15 4.85 8 5.8 5.9 2.9 1.6
△TEWL: (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적용전)-(본원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적용 후).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황벽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및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현저한 경피 수분 증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황벽나무 헥산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황벽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및 황벽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각각 5배 및 2.75 배 이상의 현저한 경피 수분 증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실험예 2> 황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보습력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 내지 6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량이 65이하인 건성피부를 가진 사람 20명의 여성을 선별한 후, 피부의 수분량을 각각 3회에 걸쳐 측정한 후, 상기 실험예 <1-1>에서 제조한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 및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군 2)을 4주간 도포(2회/일)하고, 코네오미터(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각질층 바로 아래의 표피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피검자 1일 수분함량(D0) 28일 후 수분함량(D28) 증가량
(D28-D0)
D0 D28 D28-D0
1 52 81 29 51 71 20
2 49 67 18 50 61 11
3 55 73 18 55 65 10
4 53 80 27 52 69 17
5 46 69 23 45 59 14
6 49 79 30 48 71 23
7 54 83 29 53 69 16
8 61 89 28 62 69 7
9 56 87 31 58 71 13
10 47 73 26 47 64 17
11 52 75 23 51 61 10
12 53 77 24 54 69 15
13 61 89 28 59 71 12
14 46 82 36 48 68 20
15 44 79 35 43 63 20
16 51 72 21 49 59 10
17 60 86 26 58 67 9
18 44 86 42 46 59 13
19 42 75 33 42 65 23
20 51 79 28 52 62 10
평균
(증가율%)
51.3 79.05 27.75
(54.09%)
51.15 65.65 14.5
(28.34%)
증가율(%)=(D28-D0/DO)*100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황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28일 후, 적용 부위의 수분량이 각각 평균 54% 및 28.34% 증가율을 나타내므로, 황벽나무 열매 헥산 분획물의 현저한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표 3).
<제조예 1> 황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는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2> 영양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크림은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본 발명의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7)

  1.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C1 ~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서 0.005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황벽나무 열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을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n-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00106A 2014-01-02 2014-01-02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0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06A KR20150080701A (ko) 2014-01-02 2014-01-02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06A KR20150080701A (ko) 2014-01-02 2014-01-02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01A true KR20150080701A (ko) 2015-07-10

Family

ID=5379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106A KR20150080701A (ko) 2014-01-02 2014-01-02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7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599B1 (ko) 2019-10-30 2020-11-09 주식회사 래디안 무궁화나무껍질, 자작나무껍질 및 황벽나무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599B1 (ko) 2019-10-30 2020-11-09 주식회사 래디안 무궁화나무껍질, 자작나무껍질 및 황벽나무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2854B1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06712B1 (ko)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09766B1 (ko)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6922A (ko) 천연발효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의 완화 및 피부보습용 조성물
KR20140000882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129888A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080701A (ko) 황벽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1154501B1 (ko) 천산설연을 포함하는 각질 박리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802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2896A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