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216A -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216A
KR20070010216A KR1020050064610A KR20050064610A KR20070010216A KR 20070010216 A KR20070010216 A KR 20070010216A KR 1020050064610 A KR1020050064610 A KR 1020050064610A KR 20050064610 A KR20050064610 A KR 20050064610A KR 20070010216 A KR20070010216 A KR 2007001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rhubarb
sandal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903B1 (ko
Inventor
조호성
이상화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6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구성성분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콜라겐 감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외용제, 대황, 백렴, 백단향, 콜라게네이즈, 피부탄력, 주름개선

Description

피부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황 추출물의 주름개선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백렴 추출물의 주름개선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백단향 추출물의 주름개선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대조군인 1,3-부틸렌글리콜의 주름개선정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구성성분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콜라겐 감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피를 이루는 세포들은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보호되고 있으며, 이들 세포 외 기질은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등과 같은 단백질과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콜라겐은 결합조직의 탄력을 나타내며 진피 구성 단백질의 70 %를 차지한다.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등, Ann NY Acad Sci,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의 증가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감소하는 바, 이는 피부 내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젤라티나아제 등의 활성에 의한 것이며 이들 효소의 활성이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즉, 자외선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는 이들 주름 관련 효소들인 메탈로프로테이즈(Matrix Metalloproteise; MMPs)는 그 기질 특이성에 따라 MMP-1, 2, 3, 8, 9, 13 등이 있으며, 이들은 여러 타입의 콜라겐과 젤라틴을 분해하여 주름형성을 유도하는 것이다.
종래 피부 주름방지와 관련된 특허들을 살펴보면, 보습제, 항염증제, 엘라스틴, 콜라겐, 또는 영양제 등을 화장료에 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콜라게나아제의 억제를 통해, 피부 구성성분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콜라겐의 감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주름개선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구성성분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콜라겐 감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과 제품 안정성이 있고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찾고자 천연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이 콜라게나아제 효소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대황(Rheum coreanum Nakai)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생약제로, 주성분으로 크리소파닉산(chrysophanic acid), 에모딘(emodin) 배당체,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하제, 완화약 등으로 쓰이고 있으며, 왕대황, 금문대황, 종대황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백렴(Ampelopsis japonica Mak.)은 덩굴뻗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다량의 점액질이 들어있으며, 뛰어난 항염작용, 피부재생력, 진통진경작용 등을 가지며 보습력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백단향(Santalum album L.)의 심재에는 3∼5 %의 정유가 들어있으며, α-산타놀과 β-산타놀이 90 % 이상 들어 있다. 또한 특수한 아미노산인 시스(cis) 및 트랜스(trans) 4-하이드록시프롤린, 호모스퍼미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대황, 백렴, 또는 백단향은 뿌리, 심재, 열매 등의 부분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및 함량 등도 목적에 따라 임의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황, 백렴, 또는 백단향 추출물은 정제한 대황, 백렴, 또는 백단향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약 10 배량의 추출용매로 5 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1 종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여기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분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황, 백렴, 또는 백단향 추출물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2 종 이상의 혼합시 혼합비율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 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대황, 백렴, 또는 백단향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지만, 특히 2 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시너지 효과에 의한 상기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콜라게나아제에 대한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불안정한 물성으로 인해 제품에의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인체에 무해하며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또는 액제 등으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폼, 팩,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젤, 로션,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분사형 액제,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구성성분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콜라겐 감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대황의 뿌리, 백렴의 건조된 뿌리, 및 백단향의 심재 1 ㎏을 각각 세절한 뒤, 각각 메탄올 10 L에 넣고 환류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80 ℃로 3 시간 동안 가온추출한 뒤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와트만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5)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50 ℃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각각 300, 40, 10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 시험)
상기 수득한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의 콜라게네아제 억제 효과 시험은 Robert D. Gray 등(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4, 4277-4281, 1989)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상기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 각각 1 ㎎/mL씩을 DMSO에 용해한 후, 콜라게나아제 타입 1(Sigma-Aldrich) 125 ㎍/mL과 효소의 합성기질인 Dabcyl-g-Abu-Pro-Gln-Gly-Leu-Glu(EDANS)-Ala-Lys-NH(Bachem) 500 μM 를 함께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위의 합성기질은 콜라겐을 구성하고 있는 알파 2 타입의 아미노산과 유사하며, 효소에 의해 Gly-Leu 결합이 끊어지게 된다. 합성기질은 분해되기 전의 경우, 320nm 파장에 의해 EDANS가 들뜬상태가 되나 곧 바로 N 말단의 Dabcyl기에 의해 흡수, 바닥상태에 이르게 된다. 한편 효소에 의해 Gly-Leu 결합이 끊어진 경우에는 Dabcyl기에 의한 자체 흡수가 되지 않아 외부 방출된 빛의 양을 Flou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빛의 세기는 끊어진 기질의 농도와 비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obert D. Gray 등 ; JBC 264, 4277-4281, 1989). 한편,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들의 시험농도는 각각 6.25 ㎍/mL, 12.5 ㎍/mL, 25 ㎍/mL, 50 ㎍/mL가 되도록 첨가하여 in vitro에서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1시간 후, EDTA 0.05 M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Flourometer(Perkin Elmer)를 이용하여 340nm (들뜬상태에서)/520㎚ (기저상태로) 방출되는 빛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억제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기질만 첨가했을 때의 흡광도를 100 % 억제값으로 하였으며, 기질과 효소 처리군을 0 % 억제기준으로 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38587943-PAT00001
첨가시료 적용농도 (㎍/mL) 콜라게나아제 억제율 (%)
기질군 - 100
기질+효소군 - 0
대황 추출물 6.25 1.2
12.5 32.1
25 48.5
50 79.6
백렴 추출물 6.25 6.3
12.5 10.6
25 41.7
50 62.5
백단향 추출물 6.25 1.2
12.5 7.6
25 33.7
50 50.4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은 콜라게나아제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 주름개선 효과 시험)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광에 의해 유발된 피부 주름에 대하여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이때, 시료는 상기 수득한 각각의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 5 ㎎/mL을 1,3-부틸렌글리콜에 녹여 사용하였다.
헤어리스 마우스 40 마리를 각각 10 마리씩 4 개군으로 나눈 후, 태양광 조사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 MED로 1 주일에 3 일, 10 주간 조사하여 피부주름을 형성시키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1,3-부틸렌글리콜을 처리한 대조군과 5 ㎎/mL의 시료 용액을 1 일 2 회, 0.5 mL/㎠씩 6 주간 처리한 군을 대상으로 개선 정도를 정성 판단하였다.
주름개선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 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시료 처리군 및 대조군을 시료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 단계로 판정하여 도 1 내지 4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대조군 9 1 0
대황 추출물 0 4 6
백렴 추출물 2 5 3
백단향 추출물 1 5 4
상기 표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은 1,3-부틸렌글리콜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염효과 시험)
상기 수득한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의 항염효과는 헤어리스 마우스의 이어 스웰링(ear swelling)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 12 마리를 각각 3 마리씩 4 개 군으로 나누어 각각 개체의 왼쪽 귀를 대조부위로 하고, 오른쪽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하기 전 양쪽 귀 두께를 3 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상기 수득된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을 각각 에탄올에 1 중량%로 녹인 후, 상기 각각의 용액을 마우스의 오른쪽 귀에 20 ㎕/ear씩 발라주고, 왼쪽 귀에는 대조군으로 에탄올 20 ㎕/ear를 도포하였다. 도포 후 1 시간이 경과한 다음, 양쪽 귀에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2 ㎎/ear를 도포하였다. 또 다시 1 시간이 경과한 후,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를 이용하여 3 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이때, 항염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일반적인 항염제로 알려진 인도메타신(indomethacine)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항염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대조부위에 대한 시험부위의 귀 두께 측정치로써 하기 수학식 2과 같이 계산하여 저해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112005038587943-PAT00002
시료 적용농도 (중량%) 저해율 (%)
대황 추출물 1 55
백렴 추출물 1 50
백단향 추출물 1 46
인도메타신 1 5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은 종래 일반적인 항염제로 알려진 인도메타신과 비교하여 유사한 정도의 항염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상기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의 항염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 화장료 엣센스 제조
하기 표 4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화장료 엣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대황 추출물 1 - - -
백렴 추출물 - 1 - -
백단향 추출물 - - 1 -
프로필렌글리콜 10.0 10.0 10.0 10.0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히아루론산 나트륨 수용액 (1%) 5.0 5.0 5.0 5.0
에탄올 5.0 5.0 5.0 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상메틸 0.1 0.1 0.1 0.1
0.05 0.05 0.05 0.05
정제수 100 중량%까지
(패널테스트를 통한 화장료 엣센스의 주름개선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엣센스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35∼50 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60 명을 대상으로 각각 15 명씩 4 개의 군으로 나누고, 1군은 실시예 2의 엣센스를, 2군은 실시예 3의 엣센스를, 3군은 실시예 4의 엣센스를, 4군은 비교예 1의 엣센스를 안면부에 1 일 1 회로 하여 3 개월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3 개월 후 피부주름의 개선정도를 피험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때,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 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 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2 - 7 8
실시예 3 1 7 7
실시예 4 - 8 7
비교예 1 9 5 1
상기 표 5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된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 내지 4의 엣센스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4의 엣센스에 의한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은 전혀 발견되지 않아 피부에도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7 및 비교예 2. 피부외용연고 제조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2
대황 추출물 2 - - -
백렴 추출물 - 2 - -
백단향 추출물 - - 2 -
디에틸 세바케이트 8 8 8 8
경납 5 5 5 5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6 6 6 6
벤조산 나트륨 0.1 0.1 0.1 0.1
와세린 100 중량%까지
실시예 8∼10 및 비교예 3. 화장료 크림 제조
하기 표 7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화장료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3
대황 추출물 0.5 - - -
백렴 추출물 - 0.5 - -
백단향 추출물 - - 0.5 -
스테아린산 15.0 15.0 15.0 15.0
세탄올 1.0 1.0 1.0 1.0
수산화칼륨 0.7 0.7 0.7 0.7
글리세린 5.0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방부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정제수 100 중량%까지
실시예 11∼13 및 비교예 4. 유연화장수 제조
하기 표 8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4
대황 추출물 0.2 - - -
백렴 추출물 - 0.2 - -
백단향 추출물 - - 0.2 -
에탄올 10.0 10.0 10.0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0.2 0.2
글리세린 5.0 5.0 5.0 5.0
1,3-부틸렌글리콜 6.0 6.0 6.0 6.0
0.05 0.05 0.05 0.05
색소 0.05 0.05 0.05 0.05
정제수 100 중량%까지
실시예 14∼16 및 비교예 5. 영양화장수 제조
하기 표 9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비교예 5
대황 추출물 0.1 - - -
백렴 추출물 - 0.1 - -
백단향 추출물 - - 0.1 -
와세린 2.0 2.0 2.0 2.0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0.8 0.8 0.8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1.2 1.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0.1 0.1 0.1
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5.0
에탄올 3.2 3.2 3.2 3.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18.0 18.0 18.0
수산화칼륨 0.1 0.1 0.1 0.1
색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정제수 100 중량%까지
실시예 17∼19 및 비교예 6. 화장료 팩 제조
하기 표 10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화장료 팩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비교예 6
대황 추출물 0.2 - - -
백렴 추출물 - 0.2 - -
백단향 추출물 - - 0.2 -
글리세린 5.0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폴리비닐알코올 15.0 15.0 15.0 15.0
에탄올 8.0 8.0 8.0 8.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1.0 1.0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0.2 0.2
색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정제수 100 중량%까지
실시예 20∼22 및 비교예 7. 남성용 스킨 제조
하기 표 1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남성용 스킨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비교예 7
대황 추출물 0.1 - - -
백렴 추출물 - 0.1 - -
백단향 추출물 - - 0.1 -
에탄올 55.0 55.0 55.0 55.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5 0.5 0.5 0.5
1,3-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Glycerth-26 1.0 1.0 1.0 1.0
방부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정제수 100 중량%까지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대황, 백렴, 및 백단향 추출물은 피부내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며,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는 주름개선효과와 항염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고,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활성에 대한 강력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피부 구성성분 및 탄력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콜라겐 감소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주 름개선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백렴, 및 백단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이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분말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및 액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폼, 팩,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젤, 로션, 비누, 액체세정료,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분사형 액제, 연고,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050064610A 2005-07-18 2005-07-18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22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610A KR101220903B1 (ko) 2005-07-18 2005-07-18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610A KR101220903B1 (ko) 2005-07-18 2005-07-18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216A true KR20070010216A (ko) 2007-01-24
KR101220903B1 KR101220903B1 (ko) 2013-01-11

Family

ID=3801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610A KR101220903B1 (ko) 2005-07-18 2005-07-18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715A (ja) * 2011-07-07 2013-01-31 Kao Corp Mfap−4産生促進剤
KR101435679B1 (ko) * 2007-09-10 2014-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6024753A1 (ko) * 2014-08-11 2016-02-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9A (ko) * 2018-06-01 2019-12-11 애경산업(주)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20071630A1 (ko) * 2018-10-02 2020-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5666728A (zh) * 2020-05-19 2023-01-31 Isp投资有限公司 获得檀香木提取物的方法、包含其的组合物以及其化妆品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6238A1 (en) * 2021-12-31 2023-07-06 Unilever Ip Holdings B.V. Personal car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254B2 (ja) * 1991-10-11 2000-11-06 三省製薬株式会社 色白化粧料
JP3205596B2 (ja) * 1992-06-05 2001-09-04 有限会社野々川商事 コラーゲン架橋阻害剤
JP4577868B2 (ja) * 2001-10-23 2010-11-10 株式会社資生堂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79B1 (ko) * 2007-09-10 2014-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3018715A (ja) * 2011-07-07 2013-01-31 Kao Corp Mfap−4産生促進剤
WO2016024753A1 (ko) * 2014-08-11 2016-02-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14779A (zh) * 2014-08-11 2017-05-24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
KR20190137329A (ko) * 2018-06-01 2019-12-11 애경산업(주)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20071630A1 (ko) * 2018-10-02 2020-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5666728A (zh) * 2020-05-19 2023-01-31 Isp投资有限公司 获得檀香木提取物的方法、包含其的组合物以及其化妆品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903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071B1 (ko) 피부톤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90104156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WO2007081190A1 (en) Novel use of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KR100515418B1 (ko)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55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045A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847128B1 (ko)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063225A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7692A (ko) 홍설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60099225A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20140102970A (ko) 오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2180325A (ja) Dna修復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008954B1 (ko) 앗싸이 베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약학조성물 및 앗싸이 베리의 발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