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045A -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045A
KR20130089045A KR1020120010389A KR20120010389A KR20130089045A KR 20130089045 A KR20130089045 A KR 20130089045A KR 1020120010389 A KR1020120010389 A KR 1020120010389A KR 20120010389 A KR20120010389 A KR 20120010389A KR 20130089045 A KR20130089045 A KR 20130089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ne
propolis
extract
bee ven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366B1 (ko
Inventor
정도희
Original Assignee
정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희 filed Critical 정도희
Priority to KR1020120010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봉독 및 프로폴리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기타 유용한 성분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봉독, 프로폴리스 및 기타 유용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성분 또는 천연 추출물을 주로 포함하고 있어, 종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갖는 항생제 내성 균주 발생 문제와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드름, 특히 염증성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다른 성분들과 함께 시너지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bee venom and propoli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cne}
본 발명은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여드름은 피지 분비의 증가, 피지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예를 들어, 안드로젠)과 모피지선에서 번식하면서 피지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을 형성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염증 진전, 모낭 내 이상 각화, 유전적 소질 등의 주요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호기성 피부 상재균은 염증의 일차적 원인은 아니지만, 염증 발생 부위를 더욱 확장시켜 여드름이 악화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여드름의 치료 방법으로는 경구 항생제 및 레티노이드의 복용과 함께 외용 약제의 도포, 면포 적출술, 화학 박피 등의 방법들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세균 감염에 의한 생성되는 염증성 여드름의 경우 항생제 처리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의약분야에서는 항생제를 이용하여 여드름균을 억제하거나,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을 이용한 피지조절 치료를 수행하였으나 부작용이 심하다. 또, 화장품 분야에서는 비타민 A 유도체를 이용한 피부 각질 제거가 적용되고, 트리클로산 등을 여드름균 억제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지만 이러한 약제들은 미약한 효과만을 나타내고, 대부분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또는 광과민 반응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천연 항균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순수 천연물질이면서 강력한 항균, 항염증 효과를 갖는 봉독(bee venom)은 부작용과 잔류에 대한 위험성이 적어 봉침요법으로 오래전부터 관절염, 통풍 등의 질환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국내산 꿀벌(Apis mellifera)의 봉독은 전기충격법을 이용한 봉독 채집장치를 이용하여 꿀벌의 피해 없이 순수한 봉독만을 다량으로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결 건조하여 정제 봉독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봉독은 다양한 성분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분인 멜리틴 (melittin)은 항염증과 항균작용, 강력한 진통작용, 면역증강 등의 역할을 한다. 봉독은 그람 음성 및 양성균에 대해 모두 항균작용을 보이나, 그람 양성균에서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봉독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촉진한다.
한편, 벌집에서 얻어지는 지용성 복합체인 프로폴리스(propolis)는 꽃, 잎, 봉오리 등으로부터 수집하는 왁스(wax)와 수지(resin) 물질을 꿀벌들이 모아 벌 자신의 침샘 분비물과 혼합하여 만드는 수지성, 점착성, 고무상의 물질로서 최근에는 의약품 및 화장품에도 응용가능성이 높은 매우 유용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프로폴리스에는 다양한 화학성분 즉,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아글리콘(flavonoid aglycones), 페놀산(phenolic acid)과 에스터, 페놀성 알데하이드, 알콜 및 케톤),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퀴논(quinones), 코우마린(coumarins), 스테로이드(steroids), 아미노산 및 무기 화합물과 같은 160가지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생리 활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미 진행되어 항암, 항균,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진균성, 항산화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에도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프로폴리스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주된 이유는 신남산(cinnamic acid)과 카페인산(cafferic acids) 에스터를 비롯한 많은 종류의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드름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성분 또는 유용한 성분들의 조합을 밝혀내어, 여드름, 특히 염증성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성물을 여드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특히 염증성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봉독 및 프로폴리스, 특히 봉독, 프로폴리스 및 기타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혼합해서 사용할 경우 여드름의 치료 또는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봉독은 여왕벌이나 일벌의 독주머니에 저장되어 있으며 태어난 이후 점차 양이 증가해 15일령의 벌에서는 약 0.3mg이 되고 소문을 지키는 나이가 되는 약 17일 이후에는 추가로 생산되지 않는 봉독의 대부분은 단백질과 펩티드 성분이므로 종종 독낭의 총 단백질 함량으로 독 생산의 성숙도를 측정한다. 꿀벌에서 얻어진 독은 효소, 폴리펩티드, 작은 분자량을 가진 다양한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아주 복잡한 혼합체이며 주요 성분으로서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약 40여 종류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성분은 멜리틴(melitin), 포스포리파제(phospholipase), 히알루론다제(hyalurondase A₂), 히스타민(histamine), 아파민(apamin), 아돌라핀(adolapin), 엠시디 펩타이드(MCD peptide), 도파민(dopamine), 프로테아제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 세카핀(secapine), 델티아핀(tertiapin), 프로가민 A, B(procamine A, B), 알파-글루코시다제(α-glucosidase), 리소포스포리파제(lysophospholipase) 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성분들 중에서도 항염에 효과적인 성분은 아파민(apamin), 아돌라핀(adolapin), 엠시디 펩타이드(MCD peptide), 프로테아제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프로폴리스를 함유한다. 이러한 프로폴리스의 주요 구성성분은 수지 50%, 밀랍 30%, 정유 10%, 화분 5%, 미네랄 5% 등이다. 크로마토그래피 기기를 이용할 경우, 페놀 계로 카페인산, 계피산, 페루라산이, 알데하이드 계로는 바닐린, 유게놀이 분석된다. 또한 쿠마린 계로 에스크레틴, 크리신, 아피게닌이, 플라보노이드 계에는 케츠세틴, 켐페롤, 람노네틴이 검출되며, 비타민A, 비타민E 등의 비타민 계와 아밀라아제, 카텝신, 리파아제와 같은 효소 또한 분석된다. 프로폴리스의 작용은 첫째, 궤양성 염증, 화상,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다. 둘째, 인플루엔자와 헤르페스에 대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셋째, 지질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고,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봉독 및 프로폴리스가 함께 첨가될 경우에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각각의 성분이 가지고 있는 효과 이상의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상기 봉독 및 프로폴리스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0001 내지 1 중량% 첨가되는 것이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며, 0.0001 내지 0.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봉독 및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여드름 치료효과를 수득하기 어려우며, 1 중량% 초과의 양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효과면에서 볼 때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버드나무 추출물(가지, 가지껍질, 껍질 등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버드나무 추출물이 봉독 및 프로폴리스와 함께 함유되었을 때 여드름 개선 효과가 놀랍게도 매우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버드나무 추출물은 건조된 버드나무 가지껍질 등을 물리적으로 분쇄한 다음 통상적인 용매 추출방법으로 사용되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버드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작용을 하며 살리실산(BHA)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염증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버드나무 추출물은 천연 추출물이어서 살리실산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보다 무자극성이다. 놀랍게도 이러한 버드나무 추출물이 봉독 및 프로폴리스 성분과 함께 적용되었을 때 여드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버드나무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7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내지 5 중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의 함량비율은 봉독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로폴리스가 50-400 중량부, 버드나무 추출물이 5000-400000 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추가로 휴먼올리고펩타이드-1(EGF-1)을 포함하며, 이러한 휴먼올리고펩타이드 EGF-1이 함유되었을 때 여드름 개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EGF-1의 함량은 1 PPM 용액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휴먼올리고펩타이드-1은 피부재생성분(epidermal growth factor, EGF) 또는 상피세포인자라 불려지며, 체내에서 53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형성되는 단백질의 일종이다.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인자로서 피부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산을 촉진하며 상처부위의 흉터를 최소화, 진피 구성성분인 콜라겐합성, 재생촉진인자의 분비유도, 상피세포 및 진피세포의 증식촉진 등의 피부재생 기능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병풀 추출물이 함유되었을 때 여드름 개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병풀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1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병풀 추출물은 상처치료연고인 마데카솔(동국제약, 한국)에도 사용될 정도로 상처부위에 새살을 나게 하는데 효과적이며, 콜라겐을 합성하여 흉터를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병풀 추출물은 건조된 병풀을 물리적으로 분쇄한 다음 통상적인 용매 추출방법으로 사용되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상기 조성물은 티트리 오일을 추가로 포함한다. 티트리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내지 2 중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티트리는 탁월한 항균, 항염, 소독효과를 가진 것으로 오래전부터 입증되어 100년 전부터 호주에서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상기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어성초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02 내지 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0.02 내지 2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어성초 추출물은 건조된 어성초를 물리적으로 분쇄한 다음 통상적인 용매 추출방법으로 사용되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초임계 추출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약모밀의 전초에서 얻은 가루로 항세균, 항진균, 항바이러스, 항산화, 항염증의 효과가 있으며, 함유된 정유 성분으로 인해 때문에 특유의 향이 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상기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콜라겐, 모이스틴, 포도씨 오일, 감초 추출물, 알란토인, 콩 오일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성분들이 추가적으로 함유되었을 때 여드름 개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각각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00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녹차 추출물은 식물성 피부 컨디셔닝제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천연 산화방지제, 수렴제, 향료, 피부유연화제, 피부보습제, 피부컨디셔닝제, 피부보호제, 변색방지제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녹차 추출물은 앞서 언급한 어성초 추출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콜라겐으로는 마린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린 콜라겐은 피부탄력성분으로서 조직의 사슬이 동물성보다는 길고 식물성보다는 짧아 식물성 콜라겐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동물성 콜라겐의 효능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으며 분자 구조가 인간 피부와 서로 결합 가능한 3중 나선형 정렬 형태로 모든 면에서 인간 피부에서 발견되는 콜라겐과 동일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기타 모이스틴은 항산화, 항염증, 노화방지, 항균 등의 효과가 있으며, 감초추출물은 항염증, 항알러지, 해독, 상처치유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또, 포도씨 오일은 피부 보습, 항산화, 주름개선, 피지관리 목적에 사용되며, 콩 오일은 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E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수분증발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의 역할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코페롤은 식물에서 추출한 비타민 E 성분으로 알파-토코페롤과 델타-토코페롤의 라세믹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형상 등 어떠한 형상으로도 적용 가능하며, 크림, 스킨로션, 팩, 메이크업베이스뿐만 아니라, 비누, 훼이셜폼, 바디클렌져와 같은 세안, 세정료 및 샴푸, 린스와 같은 모발용 제품에도 응용 가능하고, 마스크 팩과 같은 패치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과 함께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레시틴, 잔탄검, 세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레시틴은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올레산의 천연에 존재하는 디글리세라이드 혼합물로 포스포린산의 콜린에스터에 결합되어 있으며 대부분 달걀이나 콩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피부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 계면활성제-유화제로 사용된다. 잔탄검은 콩 불마름병균으로 탄수화물을 순수배양 발효하여 얻은 고분자량의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검으로 주로 식물의 다당류에서 추출하며 점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피부에 탄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내어 유화안정제, 계면활성제-유화제, 점증제-수용성으로 사용한다. 세틸알코올은 코코넛에서 추출한 알코올로 윤활제 역할을 하고 화장품에 포함된 물과 기름 성분을 잘 섞어 주며, 유화안정제, 점도조절제의 역할을 하여 함유 시 점도가 높은 화장품을 만들 수 있고 화장품의 보습력을 상승시키고 피부를 매끄럽게 하며 유분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부틸렌글라이콜, 알란토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복합성 용제이며 활성성분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이 있어 피부를 매끄럽게 해주며, 향료, 피부보습제, 피부보호제, 점도감소제 등의 효과가 있다. 안정하고 보습효과가 뛰어나 화장품에 주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단백질과 다당류의 결합체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이라고도 불리며 진피의 연결조직 섬유질-콜라겐과 엘라스틴에 접착되어 그 사이를 메우고 있으며, 고분자 화합물이므로 분자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화장품으로 사용 시 진피에까지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수용성물질들의 중합체이기 때문에 표피에 수분을 강력하게 붙잡는 역할을 하는 천연 보습제로서, 인간의 피부나 지렁이 등에 많이 존재하며 피부컨디셔닝제, 점증제, 보습제의 역할을 한다. 부틸렌글라이콜은 입자가 큰 유기체 알코올로서 피부에 수분을 끌어당겨 간직하는 강력한 보습제로 사용된다. 알란토인은 질소비료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는 물질로 피부의 보습기능뿐만 아니라 상처를 치유하고 궤양을 관리하는 기능, 트고 거칠어진 피부를 개선하여 매끄럽게 만들어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방부제로서 천연보존료 MSE(Multi-Scutellaria Etracts)를 사용할 수 있다. MSE는 꿀풀과 식물인 황금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으로, 각종 피부의 염증이나 피부트러블에 항균효과가 있고, 항산화 작용과 미백효과,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반고형 제제인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액상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는 바세린, 스테아릴알콜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기제; 폴리소르베이트, 솔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보습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용제; 및 착향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균질하게 혼합하는 통상의 피부 외용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매일 약 0.0001 mg/피부면적cm2 내지 약 5 g/피부면적cm2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001 mg/피부면적cm2 내지 약 1 g/피부면적cm2의 1일 투여 용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투여 경로 및 제형,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독 및 프로폴리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독 및 프로폴리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여드름의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상기 언급된 양만큼, 즉 여드름의 개선에 유효한 양만큼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봉독 및 프로폴리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성분 또는 천연 추출물을 주로 포함하고 있어, 종래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갖는 항생제 내성 균주 발생 문제와 피부 발적, 피부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으므로 여드름, 특히 염증성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여 약학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6은 봉독, 프로폴리스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 및 제조된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도포 전의 턱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지 7일 후의 턱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도포 전의 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지 6일 후의 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클린엔클리어(clean & clear)사의 에센셜 클리어 스킨 140ml에 수용성 프로폴리스(구입처: (주)비앤케어) 0.5ml 및 정제수 300ml에 봉독(구입처: 아이비영농조합법인) 0.1g을 희석시킨 봉독 희석액 한방울을 첨가하여 교반시켜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클린엔클리어(clean & clear)사의 에센셜 클리어 스킨 140ml에 수용성 프로폴리스 0.5ml, 정제수 300ml에 봉독 0.1g을 희석시킨 봉독 희석액 한방울 및 버드나무 추출물 5ml를 첨가하여 교반시켜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봉독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클린엔클리어(clean & clear)사의 에센셜 클리어 스킨 140ml에 봉독 0.1g을 희석시킨 봉독 희석액 한방울을 첨가하여 교반시켜 봉독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클린엔클리어(clean & clear)사의 에센셜 클리어 스킨 140ml에 수용성 프로폴리스 0.5ml를 첨가하여 교반시켜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클린엔클리어(clean & clear)사의 에센셜 클리어 스킨 140ml에 버드나무 추출물 5ml를 첨가하여 교반시켜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정제수 60ml에 수용성 프로폴리스 0.5ml를 희석시킨 프로폴리스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의 세틸알코올, 레시틴, 포도씨오일, 잔탄검 및 콩오일을 혼합하여 65 내지 70℃에서 가열하면서 교반시킨 다음, 상기 프로폴리스 희석액을 가하여 교반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액의 온도가 40 내지 50℃가 되면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의 병풀 추출물, 부틸렌 글라이콜, 휴먼올리고펩타이드-1(EGF-1), 버드나무 추출물, 글리세린, 녹차추출물, 마린콜라겐, 모이스틴, 감초추출물, 알란토인, 어성초추출물, 천연보존료 MSE, 히알루론산, 티트리 에센셜오일 및 천연 토코페롤(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천연 토코페롤은 이안숍(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한 것으로 1 캅셀당 1000 IU(International Unit)를 갖는 것임)을 첨가하고, 정제수 300ml에 봉독 0.1g을 희석시킨 봉독 희석액 한방울을 첨가하여 교반시켜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및 기타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도 1 내지 6 참조).
구성성분 함량
프로폴리스 0.5ml
(정제수 60ml에 함유됨)
병풀추출물 10ml
부틸렌글라이콜 10ml
휴먼올리고펩타이드-1 (1ppm) 10ml
세틸알코올 7g
레시틴 5ml
버드나무추출물 5ml
글리세린 3ml
녹차추출물 3ml
마린 콜라겐 3ml
모이스틴 3ml
포도씨오일 3ml
감초추출물 2ml
알란토인 2g
어성초추출물 2ml
잔탄검 2g
천연보존료 MSE 2ml
히알루론산 2ml
콩오일 1ml
티트리 에센셜오일 1ml
천연 토코페롤 ½ 캅셀
봉독 정제수 300ml에 봉독 0.1g이 함유된 봉독 희석액 한방울
<실험예 1> 여드름 치료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조성물 각각을 냉장 보관하면서 여드름 피부를 가지고 있는 17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1군당 7명씩으로 하여 6군(총 42명)에게 7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저녁 때 세안 후 얼굴 전체에 적당량 도포하도록 하여 여드름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으로 여드름 치료효과가 현저한 경우, 즉, 여드름 피부 면적이 명백히 줄어들고 여드름 염증 정도도 명백히 줄어드는 경우 5점, 이러한 개선 정도가 중등인 경우 4점, 경등인 경우 3점, 불변인 경우 2점, 오히려 여드름이 악화된 경우 1점으로 하여 평가한 후 총점으로서 종합적인 판정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험자1 피험자2 피험자3 피험자4 피험자5 피험자6 피험자7 평가총점
실시예1 4 3 3 4 3 4 2 23
실시예2 5 4 5 4 4 5 4 31
실시예3 2 2 3 2 2 2 3 16
실시예4 3 2 1 3 3 2 2 16
실시예5 2 2 3 3 3 4 3 20
실시예6 5 5 5 5 4 5 4 33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과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2) 및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및 기타 유용한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 6)의 경우 실시예 3 내지 5에서 제조된 봉독만을 함유하는 조성물, 프로폴리스만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여드름 치료효과가 월등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5에서 제조된 봉독만을 함유하는 조성물, 프로폴리스만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버드나무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평가 값이 2 또는 3인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여드름 개선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여드름 개선 효과가 매우 향상되었다.
도 7 및 도 9는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및 기타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6)의 도포 전의 턱 및 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8 및 도 10은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및 기타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6)을 도포한지 각각 7일 및 6일 후의 턱 및 볼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도 7-10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봉독, 프로폴리스 및 기타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도포 후 여드름이 크게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봉독 및 프로폴리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기타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여드름 치료 효과가 탁월하므로,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또는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버드나무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봉독, 프로폴리스 및 버드나무 추출물의 함량비율은 봉독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프로폴리스가 50-400 중량부, 버드나무 추출물이 5000-400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피 성장 인자-1(EGF-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병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티트리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어성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봉독, 프로폴리스, 버드나무 추출물, 상피 성장 인자-1(EGF-1), 병풀 추출물, 티트리 오일, 어성초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 콜라겐, 모이스틴, 포도씨 오일, 감초 추출물, 알란토인, 콩 오일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드름이 염증성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KR1020120010389A 2012-02-01 2012-02-01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389A KR101418366B1 (ko) 2012-02-01 2012-02-01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389A KR101418366B1 (ko) 2012-02-01 2012-02-01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45A true KR20130089045A (ko) 2013-08-09
KR101418366B1 KR101418366B1 (ko) 2014-07-15

Family

ID=4921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389A KR101418366B1 (ko) 2012-02-01 2012-02-01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933A (ko) 2014-07-17 2016-01-27 협동조합비앤비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24B1 (ko) 2017-09-29 2019-07-17 서울프로폴리스 주식회사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위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를 위한 조성물
KR102041615B1 (ko) 2017-09-29 2019-11-06 서울프로폴리스 주식회사 원산지가 다른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는 프로폴리스의 사용방법 및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52B1 (ko) * 2009-07-28 2011-03-04 동성제약주식회사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933A (ko) 2014-07-17 2016-01-27 협동조합비앤비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366B1 (ko)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21B1 (ko)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8119825A (ja) 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皮膚外用剤又は浴用剤への応用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132629A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JP2006137690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JP2014076957A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6002B1 (ko) 아토피증상 완화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1642849A (zh) 包括芝麻素之組成物、其製造方法及用於皮膚抗老化及皮膚美白應用之用途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000882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JP2007045733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833025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159A (ko)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