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120A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120A
KR20010088120A KR1020000012146A KR20000012146A KR20010088120A KR 20010088120 A KR20010088120 A KR 20010088120A KR 1020000012146 A KR1020000012146 A KR 1020000012146A KR 20000012146 A KR20000012146 A KR 20000012146A KR 20010088120 A KR20010088120 A KR 20010088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rk
weight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이주동
김인영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 경 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 경 식
Priority to KR102000001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8120A/ko
Publication of KR2001008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1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목단피, 회화의 식물성 혼합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황금, 목단피, 회화의 추출물을 배합시킨 혼합물을 건조중량으로서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은 추출물 각각을 단독 사용하였을 때보다 항산화 작용, 프리 라디칼 소거 작용 및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의 피부 미백 기능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Whitening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s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성 혼합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kalensisGeorge),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Andrews), 회화(Styphnolobium japonicumSchott)의 추출물을 배합시키는 혼합액이 추출물 각각을 단독 사용하였을 때보다 피부의 미백 기능을 극대화시킨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 모발, 눈 등에서 발현하는 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특히 피부에 있어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멜라닌으로, 멜라닌의 양과 성질 그리고 분포의 정도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된다. 인간에 있어 피부나 모발의 색소는 햇빛(특히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색소가 부족한 사람은 햇빛에 매우 민감하여 화상을 입기 쉬우며 어린 나이에도 피부암 발생 확률이 높다. 단파장의 자외선(290~320 nm) 및 발암 물질은 피부에서 유해 라디칼을 형성하는데, 이 산소 라디칼이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이러한 유해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들로서는 햇빛(자외선)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프로스타글라딘 등과 같은 호르몬이 있다.
멜라닌은 햇빛(자외선)에 의해 멜라노사이트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도파와 도파크롬으로 변환된 뒤 복잡한 산화와 축합 반응을 거쳐 생성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 작용을 보인다.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특징은 티로시나제라는 단 한개의 효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막아줌으로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미백 화장품에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멜라닌 생성의 주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써,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에 광 산란제 또는 광 차단제를 함유시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방법은 글루코사민과 같이 티로시나제가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효소산(코직산)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방해하는 방법도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하이드로퀴논과 같이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특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어 세포 분열을방해하는 방법이다. 비타민 C와 같이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을 거쳐 복잡한 산화와 축합반응을 거치는 동안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여 미백효과를 기대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알려진 사실들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화합물, 추출물 등을 대상으로 실시 중인 미백 효과 테스트 방법을 동원하여 실험한 결과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의 미백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 미백 기능을 발휘하는 여러 가지 성분 중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 중 알부틴과 같은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비타민 C와 같은 강한 항산화 작용을 안전하게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 어느 하나의 효과보다 복합적인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아스코르빈산(일본 특개평 4∼9320)의 사용으로 미백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빈산 자체가 처방계 중에서 상 안정성이 나빠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유효 성분의 활성도가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캡슐 및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안정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다른 미백 화장료 특허 하이드로퀴논(일본 특개평 6~192062)은 그 효과가 우수하나 발암성 물질이므로 화장품으로서의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다른 특허 코지산(일본 특개평 56~7710)은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으로 변해 가는 중간에 관여하는 유일한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저해능력이 탁월하여 미백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처방계 중에서 갈색으로 변화하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 재고되고 있다.
또다른 특허 알부틴(일본 특개평 4~9315)은 천연 식물 물질인 고산지대의 월귤 나무에서 추출하거나 합성을 통하여 얻을 수 있으며 코지산과 마찬가지로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 능력이 검증되고 있으나 알부틴 자체가 하이드로퀴논에 당이 붙어있는 상태로 화장료로 적용시 피부 효소에 의해 당이 분리된 후 하이드로퀴논에 의한 피부자극이 우려되기도 한다.
또한 미백 활성물질로서 티로시나제의 억제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임상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나는 물질도 다수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가들에 의해 새로운 미백 활성물질을 찾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방법은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며 어느 한가지(티로시나제 저해) 요소만 관여하는 물질이 아닌 실제 생체 임상실험에서 복합적으로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신규 미백제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티로시나제 저해작용, 항산화 작용, 프리 라디칼 소거작용 등 미백작용에 필요한 여러 가지 효능을 갖는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을 얻은 후 미백 기능을 조사하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25~5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미백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황금, 목단피, 회화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미백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중 영양크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영양크림의 미백효과를 임상실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우선 황금, 목단피, 회화를 완전 건조한 후 각각 황금은 30~60중량, 목단피는 3~25중량, 회화는 5~30중량의 건조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10~20배 부피량 가하였다. 추출 방법은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50~95℃에서 4~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황금, 목단피,회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한 원료는 바이오랜드사에서 허발 화이트닝 이펙터라는 상품명으로 구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와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3 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1,3 부틸렌글리콜 15 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여 39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황금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원료 1 kg을 단독 사용하여 실시하여 37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목단피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목단피 원료 1 kg을 단독 사용하여 35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회화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회화 원료 1 kg을 단독 사용하여 37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정제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정제수 15 kg에 넣고 실시하여 38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함수 프로필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15 kg에 넣고 실시하여 36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헥산을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헥산 15 kg에 넣고 실시하여 30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프로판올을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프로판올 15 kg에 넣고 실시하여 32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9: 아세톤을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아세톤 15 kg에 넣고 실시하여 32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완전 건조시킨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원료 1 kg을 에틸아세테이트 15 kg에 넣고 실시하여 33 g(건조중량)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조사
본 실험예에서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과 알부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 측정은 펜톤반응(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계(lipid peroxidation system)를 이용한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TBA)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에틸리놀레이트 10 ㎕, 0.02 도데실황산염, 염화제이철 10 μmol, 과산화수소 2 μmol을 함유하는 25 mM 트리스 완충용액/ 0.75 mM 칼륨 완충용액 5 mL에 혼합 추출물의 도데실메칠황산염 용액을 가한 후 55℃에서 16시간 반응 후, 4 부틸히드록시 톨루엔 50 ㎕을 가한 후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용액 0.3 mL을 시험관에 넣고 0.05 mol 염산 3.0 mL, 0.67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 용액을 가하고 30분간 끓였다. 이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85 부탄올 4.0 mL을 가하고 원심 분리 후 부탄올 등의 흡광도를 535 nm에서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구하였다. 이때 대조시험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항산화 효과
구 분 추출물제조예 1 추출물제조예 2 추출물제조예 3 추출물제조예 4 대조예
황금,목단피회화 황금 목단피 회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농도(㎍/mL)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항산화력() 95 67 54 64 12 97
항산화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산화력이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이 같은 농도에서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월등히 우세하고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으며 또다른 대조군인 알부틴은 거의 항산화력을 갖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멜라닌 생성의 중간 단계인 자동 산화ㆍ축합 반응에서도 본 발명의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이 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티로시나제 저해력 효과 조사
본 실험예에서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과 알부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대조군으로 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L-티로신(L-Tyrosine, 0.3㎎/mL) 1.0 mL에 칼륨 인산염 완충 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6.8, 0.1M) 1.0 mL과 여러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 0.9 mL을 상온조건에서 넣고 37℃에서 10~20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티로시나제(Tyrosinase, 1250 units/mL) 0.1 mL를 넣고 10분간 유지하였다. 10분±5초 이내로 꺼내서 얼음물로 구성된 냉동조건에서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 때 대조군은 각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 대신 30부틸렌글리콜을 넣었다. 마지막으로 475 ㎚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였다. 각 농도의 혼합 식물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는 다음의 공식으로 구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 = [1 - (각 농도 혼합 식물 추출물의 효소 활성도/대조군의 효소 활성도)] X 100
티로시나제 저해율
구 분 추출물제조예 1 추출물제조예 2 추출물제조예 3 추출물제조예 4 대조예
황금, 목단피회화 황금 목단피 회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농도(㎍/mL)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티로시나제저해력() 92 63 75 54 91 95
티로시나제 저해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해력이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이 같은 농도에서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월등히 우세하며 대조군인 알부틴 및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인 티로시나제 저해력 활성능에서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프리 라디칼 소거력 조사
본 실험예에서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과 알부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대조군으로 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실험하였다.
60 μM의 디펜닐피크릴히드라질(DPPH)용액 2 mL에 황금, 목단피, 회화 혼합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구하였다. 이 때 대조시험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프리 라디칼 소거력
구 분 추출물제조예 1 추출물제조예 2 추출물제조예 3 추출물제조예 4 대조예
황금, 목단피,회화 황금 목단피 회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농도(㎍/mL) 100 100 100 100 100 100
프리라디칼소거력() 97 43 50 68 11 93
프리 라디칼 소거작용 실험 결과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이 같은 농도에서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월등히 우세하고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았으며 또다른 대조군인 알부틴은 거의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갖지 않았다.
실험예 4: 멜라닌 생성 억제 미백 효과 조사
본 실험예에서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과 알부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대조군으로 하여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으로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은 멜라노사이트 배양을 통하여 세포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 소의 멜라노마 세포를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여 1.0 X 108세포 / T25 플라스크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그 다음 농도별로 혼합 식물 추출물을 넣고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들을 수거하여 세포의 흑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멜라닌이 생성되어 배출된 T25 플라스크의 상층액을 취해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고, 세포수는 수거된 세포 : 트립판 블루(tryphan blue) = 1 : 9 의 비율로 혼합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세어 단위 세포당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정량하여 백분율()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
구 분 추출물제조예 1 추출물제조예 2 추출물제조예 3 추출물제조예 4 대조예
황금,목단피회화 황금 목단피 회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농도(㎍/mL) 100 100 100 100 100 100
멜라닌 생성저해율() 80 43 53 35 56 75
멜라닌 생성 저해율 실험 결과,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이 같은 농도에서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월등히 우세하였으며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미세하게 우세하고 또다른 대조군인 알부틴에 비해서도 우세하였다.
실시예 11 ~ 16: 황금, 목단피, 회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 제조
본 실시예에서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혼합 식물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것이고 대조군은 알부틴과 아스코르빈산이다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에 따라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각각 75℃ 까지 가열시킨 다음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혼합 유화한 후 중화제를 넣고 40℃까지 냉각시킨 후 향 및 첨가제를 넣어 크림상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조성
원료명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유상 세탄올 1.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2.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유동 파라핀 10.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스테아린산 2.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트윈 60 1.5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수상 정제수 to 10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글리세린 6.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카보머 0.22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EDTA∼2Na 0.05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2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향료 향료 0.10 좌동 좌동 좌동 좌동 좌동
미백제 실시예1 추출물(20) 25.0 - - - - -
실시예2 추출물(20) - 25.0 - - - -
실시예3 추출물(20) - - 25.0 - - -
실시예4 추출물(20) - - - 25.0 - -
아스코르빈산(20) - - - - 25.0 -
실험예 5: 영양크림의 미백효과 임상실험
본 실험예에서 실시예 11 ~ 실시예 16의 영양크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미백효과에 대한 혼합 식물 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세 ~ 55세의 여성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 하박부 안쪽의 동일한 위치에 솔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UV-A, B를 인공적으로 3일동안 3 MED씩 조사하여 피부를 탠닝(tanning)시킨 후 실시예 11~16을 매일 1회씩 바른 후 피부색 측정 기기인 Mexameter를 이용하여 한달간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경과일에 따른 암도(Blackness) 변화
구 분 경 과 일
0 4 8 12 16 20 24 28
암도 실시예 11 543 540 537 532 528 523 515 494
실시예 12 546 547 539 527 529 530 530 521
실시예 13 542 543 541 539 537 537 534 515
실시예 14 541 539 537 537 533 528 522 518
실시예 15 542 538 534 529 530 535 526 523
실시예 16 545 544 542 544 543 540 538 531
각 실험 원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여 약 한달간(28일간) 인체 미백 실험을 한 결과 실시예 11이 실시예 12~16보다 미백 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5는 미백제가 아무 것도 함유되지 않는 실시예 16보다 거의 미세 우위임을 보였으며 특히 색깔이 갈변하고 이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 황금, 목단피,회화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영양크림이 상기 추출물을 단독 사용하여 제조한 영양크림보다 큰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황금, 목단피, 회화의 추출물을 배합시킨 혼합물을 건조중량으로서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은 추출물 각각을 단독 사용하였을 때보다 항산화 작용, 프리 라디칼 소거 작용, 멜라닌 생성 저해 작용의 피부 미백 기능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황금, 목단피, 회화를 완전 건조하여 혼합한 후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 또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10~20배 부피량 가하여 50~95℃에서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감압·농축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통상의 화장료에 대하여, 황금 30~60중량, 목단피 3~25중량또는 회화 5~30중량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을 건조중량 0.01~10중량첨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또는 영양 에센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12146A 2000-03-10 2000-03-10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10088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146A KR20010088120A (ko) 2000-03-10 2000-03-10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146A KR20010088120A (ko) 2000-03-10 2000-03-10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120A true KR20010088120A (ko) 2001-09-26

Family

ID=1965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146A KR20010088120A (ko) 2000-03-10 2000-03-10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81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88B1 (ko) * 2002-01-25 2004-08-0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220850B1 (ko) * 2009-04-14 2013-01-16 주식회사 한방명가 항산화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생약복합재 화장료 조성물
KR101310102B1 (ko) * 2011-09-19 2013-09-2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CN115068394A (zh) * 2022-06-28 2022-09-20 中北大学 一组复方天然植物提取物的美白爽肤水、乳液和面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4721A (ja) * 1984-04-06 1985-10-28 Inahata Koryo Kk シミ防止化粧料組成物
JPS6150909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植物生薬の水溶性抽出エキス含有美白化粧料
JPS61122209A (ja) * 1984-11-16 1986-06-10 Osaka Chem Lab シミ防止化粧料組成物
KR19980068393A (ko) * 1997-02-19 1998-10-15 성재갑 미백비누 조성물
KR100272463B1 (ko) * 1998-11-16 2000-11-15 박동기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20000067187A (ko) * 1999-04-24 2000-11-15 김상회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4721A (ja) * 1984-04-06 1985-10-28 Inahata Koryo Kk シミ防止化粧料組成物
JPS6150909A (ja) * 1984-08-20 1986-03-13 Ichimaru Fuarukosu Kk 植物生薬の水溶性抽出エキス含有美白化粧料
JPS61122209A (ja) * 1984-11-16 1986-06-10 Osaka Chem Lab シミ防止化粧料組成物
KR19980068393A (ko) * 1997-02-19 1998-10-15 성재갑 미백비누 조성물
KR100272463B1 (ko) * 1998-11-16 2000-11-15 박동기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20000067187A (ko) * 1999-04-24 2000-11-15 김상회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88B1 (ko) * 2002-01-25 2004-08-09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220850B1 (ko) * 2009-04-14 2013-01-16 주식회사 한방명가 항산화효과 및 항균효과를 갖는 생약복합재 화장료 조성물
KR101310102B1 (ko) * 2011-09-19 2013-09-23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 산수유, 산약, 택사, 복령 및 목단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미백용 조성물
CN115068394A (zh) * 2022-06-28 2022-09-20 中北大学 一组复方天然植物提取物的美白爽肤水、乳液和面霜
CN115068394B (zh) * 2022-06-28 2023-09-19 中北大学 一组复方天然植物提取物的美白爽肤水、乳液和面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0316A (ko)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70021585A (ko)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8812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CN111184665B (zh) 一种具有防晒、美白及抗衰效果的组合物及其应用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453217B1 (ko) 피부미백재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0090A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01909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반하수용성분획추출물및이를함유하는기미,주근깨개선및피부미백용조성물
JPH11171722A (ja) 皮膚外用剤
KR20090105492A (ko)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KR20100016815A (ko) 돌나물 추출물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