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072A -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072A
KR20130139072A KR1020120062785A KR20120062785A KR20130139072A KR 20130139072 A KR20130139072 A KR 20130139072A KR 1020120062785 A KR1020120062785 A KR 1020120062785A KR 20120062785 A KR20120062785 A KR 20120062785A KR 20130139072 A KR20130139072 A KR 2013013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arfish
skin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5454B1 (ko
Inventor
김규식
추귀석
Original Assignee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비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비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조성물로서 제조 및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ell Growth, Skin Wrinkle, Collagen Synthesis and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The Extract of starfish and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본 발명은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 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즉,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및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및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되어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프리라디칼 뿐만 아니라 MMP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따라서 노화방지 및 주름제거를 가진 물질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기존의 화학물질들은 독성, 저활성, 용도의 한계성 및 과량복용에 따른 부작용 등의 여러 가지 문제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어 부작용 가능성이 적은 소재를 개발하려는 일환으로 천연 식물에서의 유효 성분 추출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천연물 경우에도 안전성, 안정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로 느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제(한국등록특허 제10-0247567호), 항종양, 항염증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0065297호), 미백화장료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0348822호),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0163118호) 및 식용 음료 등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유근피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및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연구한 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39939호).
불가사리 중에서 아므르 불가사리(Asterina amurensis) 또는 별 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등의 추출물은 미백 및 자외선 차단효과(한국공개특허 제2011-0044485호) 및 항산화, 주름개선효과, 항여드름 및 항염증효과(한국공개특허 제2009-0025422호) 등 기능성 식품소재 및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물질들보다 뛰어난 주름개선 및 피부탄력 향상 등의 효능을 가지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때,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콜라겐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및 보습효과가 뛰어난 불가사리 및 유근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화장용 조성물로서 제조 및 응용될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가사리 추추물은 (a) 불가사리를 건조시켜 수득된 고형분을 제분기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분쇄된 고형분에 불가사리의 건조 무게당 85배~95배 부피의 물 및 1배~10배 부피의 젖산(Lactic Acid)을 첨가하여 80℃에서 1~3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수득한 성분에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을 첨가하여 pH 6.0으로 적정하여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근피 추출물은 (a) 유근피를 물을 용매로 하여 80~90℃에서 10분~2시간 찌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1~9회 반복한 다음, 완전 건조시켜 수득된 고형분을 제분기로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분쇄된 고형분에 유근피의 건조 무게당 10배~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에서 1~3시간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단계; 및 (d) 50~60℃에서 6~24시간 가열한 다음,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조된 불가사리를 80~90℃에서 30분 정도 물을 용매로 하여 찐 후, 50℃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이를 반복하였다. 건조된 고형분을 제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한 후 불가사리의 건조 무게당 10배~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에서 2시간 가열한 다음 50~60℃로 12시간 가열한 뒤 냉각하였다. 냉각 후 부유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액을 1㎛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불가사리 추출물은 얻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건조된 유근피를 80~90℃에서 30분 정도 물을 용매로 하여 찐 후, 50℃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이를 반복하였다. 건조된 고형분을 제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한 후 유근피의 건조 무게당 10배~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에서 2시간 가열한 다음 50~60℃로 12시간 가열한 뒤 냉각하였다. 냉각 후 부유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액을 1㎛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유근피 추출물은 얻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함량은 각각 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함유 비율이 3 : 7 내지 7 : 3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함유 비율을 바람직하게는 1 : 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들의 피부 세포 증식 효과 및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 세포의 증식정도를 측정한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0.001 중량%~10 중량%로 처리하였을 때, 피부세포의 증식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 모두 0.0001 중량%~10 중량%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피부주름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불가사리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을 이용하여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 시험을 실시한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이 레티놀과 비슷한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율을 보였으며,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은 각각의 추출물보다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 이들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한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 콜라겐 합성효과가 우수한 아스코르빈산(vitamin-C) 및 각각의 추출물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여 이들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불가사리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을 이용하여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으며(표 4), 불가사리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을 함유한 제형의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제형은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 및 각각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5).
상기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크림 제형의 보습효과를 측정한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이 함유된 제형은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 및 각각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보습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6).
본 발명의 주름개선 및 보습효과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을 함유한 제형의 피부자극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피부자극 실험을 진행한 결과, 대부분 자극이 없거나 경미한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8).
또한,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을 이용하여 제조된 크림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로션이 분리되는 과정인 크리밍 및 응집과 같은 현상을 관찰되지 않았으며, 로션 성분의 산화에 의한 특이취도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9).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은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불가사리 추출물은 미백,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등의 효능은 이미 보고가 되어있으나,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콜라겐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효과가 상승하는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다. 구제척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불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불가사리를 제분기로 분쇄한 다음 고형분에 불가사리의 건조 무게당 85~95배 부피의 물과 1~10배 부피의 젖산(C3H6O3, Lactic Acid)를 첨가하여 80에서 1~3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여기에 젖산나트륨(C3H5NaO3, Sodium Lactate)을 첨가하여 pH 6.0으로 적정한 다음 냉각 후 부유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수분해액을 1㎛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실시예 2 : 유근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유근피를 80~90℃에서 30분 정도 물을 용매로 하여 찐 후, 50℃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이를 1회~9회 반복하였다. 건조된 고형분을 제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한 다음, 유근피의 건조 무게당 10배~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에서 2시간 가열한 후 50~60℃로 12시간 가열한 뒤 냉각하였다. 냉각 후 부유하는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액을 1㎛ 마이크로필터를 통해 여과시켰다.
실험예 1 : 피부세포 증식효과 시험
상기 추출물들의 주름개선 효과 및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세포의 증식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람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를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1x105개씩 넣고 2.5% 소 태아 혈청(bovine fetal serum)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농도별로 각 웰에 첨가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0.2%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MTT)를 50㎕/웰 씩 넣은 후 2시간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을 100㎕/웰 씩 넣어준 후 5분간 진탕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0.001 중량%~10 중량%로 처리하였을 때, 피부세포의 증식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 모두 0.0001 중량%~10 중량%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학식 1]
피부세포 성장 정도(%) = 100+((대조군의 흡광도-시료의 세포배양액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피부세포 증식효과 시험
시료 첨가 농도(%) 0 0.0001 0.001 0.01 0.1 1 10
불가사리 추출물 100.00 100.00 108.45 123.57 131.58 140.42 138.23
유근피 추출물 100.00 100.00 111.59 122.84 137.21 148.59 123.74
실험예 2 :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시험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3:7, 1:1 및 7:3)의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시험(elastase inhibition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테이즈 기질인 N-석시닐-(Ala)3 p-니트로아닐린(N-succinyl-(Ala)3 p-nitroaniline, Sigma)을 이용하여 p-니트로아닐린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405㎚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엘라스테이즈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으며, 시료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불가사리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과 기존 주름개선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레티놀(retinol, >99%, Sigma, 미국)을 양성대조군으로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이 레티놀과 비슷한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율을 보였으며,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은 각각의 추출물보다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 이들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수학식 2]
엘라스테이즈활성저해율(%)=100-((시료의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
시료명 0.01%(W/V)농도에서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
레티놀 50.14
불가사리 추출물 45.27
유근피 추출물 47.75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3:7) 54.31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1:1) 51.47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7:3) 50.87
실험예 3 : 콜라겐 합성 효과 시험
본 발명의 불가사리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1x105 세포/웰)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시료들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콜라겐 합성량은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배지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세척 버퍼(PBS-T; 0.05% Tween 20 in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고 블로킹 용액(5% skin milk, Fluka)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 용액을 버리고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일차항체(rabbit anti-collagen type I, Sigma)를 PBS-T에 희석하여 100㎕씩 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 항체(anti-rabbit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Sigma)를 PBS-T에 희석하여 100㎕씩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 후, 기질용액(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solution, Sigma)을 100㎕씩 넣고 항온 25℃ 에서 발색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표 6).
상기 콜라겐 합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이며, 콜라겐 합성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아스코르빈산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 평균값을 구하였다. 하기 수학식 3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효과를 수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과 유근피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 콜라겐 합성효과가 우수한 아스코르빈산(vitamin-C)보다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식3]
콜라겐 합성효과(%) = ((대조군의 흡광도-시료의 세포배양액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추출물의 종류
추출물의 농도에 다른 콜라겐 합성능(%) 양성대조군
(아스코르빈산 0.01%)
0.001% 0.01% 0.1%
불가사리 추출물 23.14 43.55 57.37
유근피 추출물 18.67 40.55 54.67 42.17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3:7) 21.45 41.23 55.47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1:1) 24.15 44.78 61.42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7:3) 24.87 46.34 66.41
실시예 3 :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제형 제조
상기 실시예 시료에 따른 불가사리 및 유근피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 제형을 비교예 1 및 시험예 1~5와 같이 제조하였다 (표 4).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성분
원료명 비교예 1 시험예 1 시험예 2 시험예 3 시험예 4 시험예 5
스테아린 산 0.1 0.1 0.1 0.1 0.1 0.1
스테알리 알콜 0.4 0.4 0.4 0.4 0.4 0.4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1.2 1.2 1.2
밀납 0.5 0.5 0.5 0.5 0.5 0.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린산에스테르 2.5 2.5 2.5 2.5 2.5 2.5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0.05 0.05 0.05
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5 5 5
사이클로메티콘 2 2 2 2 2 2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농글리세린 3 3 3 3 3 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0.15 0.15 0.15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0.12 0.12 0.12
색소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11 0.11 0.11 0.11 0.11 0.11
유근피 추추물 - 0.01 - - - -
불가사리 추추물 - - 0.01 - - -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3:7) - - - 0.01 - -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1:1) - - - - 0.01 -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혼합물 (7:3) - - - - - 0.01
실험예 4 : 제형 적용 주름개선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비교예 1 및 시험예 1~5의 주름개선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노화가 진행중인 30대 이상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비교예 1 및 시험예 1~3의 영양크림을 12주간 양쪽 눈가주름(crow feets)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4주, 8주, 12주 간격으로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스킨 비소미터(Skin visiometer, SV-600, C+K, 독일)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이 혼합된 시험예 3~5의 영양크림은 첨가되지 않은 제형 비교예1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제형의 주름개선효과 측정
평균값
비교예 1 시험예 1 시험예 2 시험예 3 시험예 4 시험예 5
도포 전 326 ±12 321 ±15 340 ±15 334 ±14 337 ±10 342 ±11
도포 12주후 320 ±22 291±15 309 ±12 264 ±12 271 ±11 278 ±14
주름깊이 감소율(%) 1.8 9.3 9.1 20.9 19.6 18.7
실험예 5 : 제형 적용 보습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비교예 1 및 시험예 1~5의 보습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0 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상박에 각각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정 사각형의 제품 적용 부위를 만든 후 2주간 도포해주면서 피부 보습량 변화를 스킨 코네오메타(skin corneometer; C+K courage,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10%이상 개선된 피검자의 숫자를 측정하여 피부 보습 개선율을 계산하였다 (표 6).
그 결과, 불가사리 및 유근피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시험예 3~5의 영양크림은 첨가되지 않은 제형 비교예1 및 각각의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 시험예 1~2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보습효과를 확인하였다.
제형의 보습효과 측정

피부 보습 개선 효과
유효율(%)
보습 10%이상 개선된 피검자 수 효과 없음
비교예 1 10 20 33.3
시험예 1 18 12 60.0
시험예 2 14 16 48.8
시험예 3 19 11 63.3
시험예 4 21 9 70.0
시험예 5 21 9 70.0
실험예 6 : 제형 적용 피부자극 실험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비교예 1 및 시험예 3~5의 피부자극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쳄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15㎎/15㎕를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2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한 결과, 대부분 자극이 없거나 경미한 정도였으며, 화학성분의 방부제가 포함된 크림보다 평균 자극지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8).
피부결과에 따른 판정기준
구분 점수 판정기준
자극없음 0 무반응
경미한 자극 0.5 희미하거나 가벼운홍반
1 명확한 홍반이나 약한 홍반
강한 자극 2 구진 및 부종을 동반한 뚜렷한 홍반
3 심한 홍반이며 수포가 형성
제형의 피부자극 실험
구분 자극발생인원 평균자극지수
자극없음 경미한 자극 강한자극
비교예 1 20 0 0 0
시험예 3 19 1 0 0.025
시험예 4 19 1 0 0.025
시험예 5 20 0 0 0
실험예 7 : 제형의 안정성 실험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비교예 1 및 시험예 3~5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및 시험예 3을 12주 동안 온도(0, 25, 37, 45, 일광)를 다르게 하여 저장한 후 크림의 육안관찰 및 냄새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시험예 3을 함유한 크림 모두 12주 동안 로션의 분리가 되는 과정인 크리밍 및 응집과 같은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로션 성분의 산화에 의한 특이취도 나타나지 않았다 (표 9).
온도 조건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 실험
구 분 온도 조건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
0℃ 25℃ 37℃ 45℃ 일광
비교예 1 0 0 0 0 0
시험예 3 0 0 0 0 0
시험예 4 0 0 0 0 0
시험예 5 0 0 0 0 0
0: 변화없음, 2: 조금 변화, 4: 심하게 변화(변취,변색,분리)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불가사리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 불가사리를 건조시켜 수득된 고형분을 제분기로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분쇄된 고형분에 불가사리의 건조 무게당 85배~95배 부피의 물 및 1배~10배 부피의 젖산(Lactic Acid)을 첨가하여 80℃에서 1~3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수득한 성분에 젖산나트륨(Sodium Lactate)을 첨가하여 pH 6.0으로 적정하여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3. 제1항에 있어서, 유근피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 유근피를 물을 용매로 하여 80~90℃에서 10분~2시간 찌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1~9회 반복한 다음, 완전 건조시켜 수득된 고형분을 제분기로 분쇄하는 단계;
    (c) 상기 분쇄된 고형분에 유근피의 건조 무게당 10배~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150~200℃에서 1~3시간 가열한 다음 냉각시키는 단계; 및
    (d) 50~60℃에서 6~24시간 가열한 다음,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4. 제1항에 있어서,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함량은 각각 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의 함유 비율이 3 : 7 내지 7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62785A 2012-06-12 2012-06-12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85A KR101475454B1 (ko) 2012-06-12 2012-06-12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85A KR101475454B1 (ko) 2012-06-12 2012-06-12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072A true KR20130139072A (ko) 2013-12-20
KR101475454B1 KR101475454B1 (ko) 2014-12-22

Family

ID=4998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85A KR101475454B1 (ko) 2012-06-12 2012-06-12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692A1 (ko) * 2017-02-01 2018-08-09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약학 조성물
KR20190078194A (ko) * 2017-12-26 2019-07-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스팅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기피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28048A1 (en) 2020-12-14 2022-06-23 Symrise Ag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thologic conditions of human skin
KR102453269B1 (ko) * 2022-07-18 2022-10-11 주식회사 뷰티앤코스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64B1 (ko) * 2015-08-07 2016-04-22 (주)엔오티에스 해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해마추출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39B1 (ko) * 2001-10-04 2004-07-12 네비온 주식회사 유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KR100893166B1 (ko) * 2002-03-18 2009-04-17 (주)케어젠 느릅나무 추출에서 추출한 당단백 농축획분의 화장품조성료로서의 응용
KR100620151B1 (ko) * 2004-06-18 2006-09-01 경상남도 단백질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아므르 불가사리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용 조성물
KR20090025422A (ko) * 2007-09-06 2009-03-11 조월순 별불가사리를 이용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ㆍ항염증및 미백의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692A1 (ko) * 2017-02-01 2018-08-09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근피 또는 유백피 파우더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 치료 및 피부 재생용 약학 조성물
KR20190078194A (ko) * 2017-12-26 2019-07-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스팅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기피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28048A1 (en) 2020-12-14 2022-06-23 Symrise Ag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athologic conditions of human skin
KR102453269B1 (ko) * 2022-07-18 2022-10-11 주식회사 뷰티앤코스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454B1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JP5948374B2 (ja) 高麗人参果実アギタケ発酵液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5454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6687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노란색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241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10081B1 (ko) 복합 효소를 이용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7870A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갈파래과 해조류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7757A (ko)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94832A (ko) 여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위한 여주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702042B1 (ko)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40052127A (ko) 효소분해 사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40019964A (ko)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7227A (ko) 감귤류 꽃을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KR102472370B1 (ko) 항산화 및 미백효능이 우수한 화장료용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