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95Y1 -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95Y1
KR200468395Y1 KR2020120002010U KR20120002010U KR200468395Y1 KR 200468395 Y1 KR200468395 Y1 KR 200468395Y1 KR 2020120002010 U KR2020120002010 U KR 2020120002010U KR 20120002010 U KR20120002010 U KR 20120002010U KR 200468395 Y1 KR200468395 Y1 KR 200468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torage
partition wall
body por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찬들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볼록형과 오목형으로 각각 실장후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반찬이 격벽을 넘어서 서로 섞이는 것을 차단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뚜껑부 및, 상기 몸체부와 뚜껑부의 일측면은 힌지기능을 하는 얇은 두께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는 외측에 테두리면을 형성하고, 내측에 돌출형 구획격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면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테두리면을 외측에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돌출형 구획격벽에 상응하여 결합하되 돌출형 구획격벽을 수납하는 홈을 갖는 수납격벽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은 몸체에 돌출 구획벽을 형성하고, 또한 뚜껑부에 수납홈이 형성된 양측 수납 격벽을 형성하여 돌출 구획벽을 안전하게 수납토록하여 공간면에 장착되는 내용물의 이동을 제한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수납홈은 수납 격벽의 형성에 따른 유(U)자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하여 간장 등 소스가 담기도록 함으로서 일회용 용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A Container for One Time Use Intensified Sealed Function}
본 고안은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찬들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볼록형과 오목형으로 각각 실장후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반찬이 격벽을 넘어서 서로 섞이는 것을 차단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포장용기는 사회적 활동이 갈수록 다변화 될수록 여가 생활을 즐기는 사람들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패스트푸드(fast-food)와 같은 테이크아웃점에서 음식들을 구입하여 야외에 가지고 나가서 먹거나 이동하면서 먹는 경우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테이크 아웃점에서 음식을 포장하는 포장용기는 패스트푸드와 같은 가공음식물 중 대표적인 자장면, 쌀국수, 스파게티, 감자튀김, 햄버거, 치킨요리, 돈가스, 도넛 등을 포장함에 있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덮어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보호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용기의 상단 플랜지와 뚜껑의 외측플랜지에 형성된 체결수단에 의해 용기와 뚜껑을 체결함으로써 음식물을 포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기와 뚜껑이 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쁜 시간대에서는 음식물을 포장하는 작업에 따른 시간적인 낭비가 매우 심하게 되어 별도의 포장인원을 따로 두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와 뚜껑이 따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공간활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고 용기와 뚜껑에 별도의 체결수단 예를들어 용기의 상단 플랜지에 요입홈을 균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이 요입홈에 체결되는 요입돌기를 상기 뚜껑의 외측 플랜지의 저면에 돌설함으로써, 용기와 뚜껑의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안출된 일회용 용기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395130호인 테이크아웃 일회용 용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음식물을 포장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수납부를 절곡선으로 구분되는 메인수납부와 보조수납부로 분할 형성한 것과, 상기 음식물수납부의 일측 선단에는 결속돌부가 구비된 덮개를 형성하여 메인수납부와 보조수납부를 동시에 덮어 주도록 한 것과, 상기 음식물수납부의 앙측면에는 측면덮개와 손잡이편이 내외측으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는 절곡선을 형성하고, 손잡이편에는 손잡이구멍을 형성한 것과, 보조수납부의 상단과 측면덮개의 사이에는 분할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출원 제1988-18323호인 일회용 용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내면에 은박지를 접착한 사각형 후지용기의 후측 중심에 일체로 연결된 경첩용 연결부의 양단부를 따라 용기와 뚜껑방향으로 절단선을 형성하는 한편, 이 외측 뚜껑에 또 다른 절단선을 길게 형성하여 양측부와 협지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출원 제2000-18697호인 일회용 용기에 의하면, 간이음식점이나 페스트푸드점 등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일회용용기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용기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시약부가 형성되며 그 상면으로 코팅층이 형성된 것과, 상기 일회용용기의 양측단부의 상단에는 사용종이가 통상의 절취부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일회용 용기가 안출되고 있으나, 종래 안출된 일회용 용기들은 포장재를 여러번 절곡하여 하나의 용기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용기형상으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뚜껑을 더 형성하거나 또는 용기와 뚜껑이 따로 분리되도록 한 것이 전부인 것으로, 이러한 종래 일회용 용기들은 다양한 반찬이 투입될 경우 서로 섞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395420호인, 즉석식품용 포장용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즉석식품을 포장하는 것과 함께, 상기 즉석식품의 즉석 조리용기로 사용되는 즉석식품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즉석식품을 수납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와 동일한 높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를 향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즉석식품의 조리시에 상기 수납부가 확장되게 하는 절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 및 절첩부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반찬들을 분리하여 수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 453733호에는 용기몸체의 구획벽에 상향 돌출되게 융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융기부의 상부면에 뚜껑의 밀착면이 밀착되어 상기 용기몸체의 수용공간부에 담겨진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토록 하는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가 안출되었는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몸체(10)가 구비되고, 이 용기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몸체(10)는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이 테두리부(11)의 내부에 구획벽(12)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수용공간부(13)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11)에는 절곡되게 형성되고, 외면을 따라 걸림편(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는 상기 뚜껑(20)의 밀착면(25)이 상기 융기부(17)의 상부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부(13)에 담겨진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10)의 구획벽(12) 상부에 상기 용기부(17)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뚜껑(20)의 중앙부분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포장용기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몸체(10)와 뚜껑(2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는 단순히 일개의 면을 융기면을 형성함으로서 밀착면과 밀착되어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막는 구조이기 때문에 압축력이 떨어지거나 불량인 경우 쉽게 내용물이 구획벽을 넘어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순히 일개면이 융기되어 뚜껑에 선접촉되는 것이기 때문에 1개면을 넘어서면 곧바로 다른 공간부와 맞닿게 되어 내용물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면이 접촉해야 하므로 내용물의 부피가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뚜껑면이 융기면과 접촉해야 하므로 뚜껑면을 낮게 형성해야 하며 그로 인하여 내용물의 부피를 줄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몸체에 돌출 구획벽을 형성하고, 또한 뚜껑부에 수납홈이 형성된 양측 수납 격벽을 형성하여 돌출 구획벽을 안전하게 수납토록하여 공간면에 장착되는 내용물의 이동을 제한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은 수납 격벽의 형성에 따른 유(U)자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하여 간장 등 소스가 담기도록 함으로서 일회용 용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몸체부(100)와, 뚜껑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와 뚜껑부(200)의 일측면은 힌지기능을 하는 얇은 두께의 연결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100)는 외측에 테두리면(110)을 형성하고, 내측에 돌출형 구획격벽(1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부(200)는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면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테두리면을 외측에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돌출형 구획격벽에 상응하여 결합하되 돌출형 구획격벽을 수납하는 홈을 갖는 수납격벽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은, 수직한 면체로서 수직축으로 형성된 제 1구획면(121)과,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제 2구획면(122)과,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한 제 3구획면(1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 및 제 3구획면(1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수납격벽은,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획격벽의 제 1구획면(121)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한 제 1수납면(221)이 형성되고, 제 2구획면(122)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한 제 2수납면(222)이 형성되며, 제 3 구획면(123)을 수납하기 위한 수평한 제 3수납면(2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수납면(221)과 제 2 수납면(222) 및 제 3 수납면(223)은 유(U)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120)의 제 1구획면(121) 및 제 2구획면(122)의 외측에 돌기(121a, 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납격벽(220)의 제 1수납면(221) 및 제 2 수납면(222)의 내측에 돌기(221a, 222a)를 형성하여,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121a, 221a, 122a, 222a)들이 맞물리도록 구성한다.
또한,상기 구획격벽의 제 3구획면(123) 및 상기 수납격벽의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곳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120)의 제 1구획면(121) 및 제 2구획면(122)의 외측에 돌기(121a, 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납격벽(220)의 제 1수납면(221) 및 제 2 수납면(222)의 내측에 돌기(221a, 222a)를 형성하며, 상기 구획격벽의 제 3구획면(123) 및 상기 수납격벽의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고,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121a, 221a, 122a, 222a)들이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동시에 구획격벽의 제 3구획면(123) 및 상기 수납격벽의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에 돌출 구획면을 형성하고, 또한 뚜껑부에 수납홈이 형성된 양측 수납 격벽을 형성하여 돌출 구획면을 안전하게 수납토록하여 공간면에 장착되는 내용물의 이동을 제한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납홈은 수납 격벽의 형성에 따른 유(U)자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하여 간장 등 소스가 담기도록 함으로서 일회용 용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회용 용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 결합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획격벽과 수납격벽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 결합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획격벽과 수납격벽 결합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게 몸체부(100)와 뚜껑부(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00)와 뚜껑부(200)의 일측면은 힌지기능을 하는 얇은 두께의 연결부(300)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300)가 힌지 기능을 하여 뚜껑부(200)의 테두리면(210)이 몸체부(100)의 테두리면(1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100)에 음식물을 넣을 다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측이 오픈된 육면체형 상자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돌출형 구획격벽(120)을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 구획격벽(120)은 수직한 면체로서 수직축으로 형성된 제 1구획면(121)과,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제 2구획면(122)과,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한 제 3구획면(1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 및 제 3구획면(1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획격벽(120)의 상부 끝단은 몸체부(100)의 테두리면(110)에 비해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와이(Y)자형 구획격벽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뚜껑부(200)는 일측이 오픈된 육면체형 상자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0)의 구획격벽(120)이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수납용 격벽(220)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용 격벽은 구획격벽의 제 1구획면(121)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한 제 1수납면(221)이 형성되고, 제 2구획면(122)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한 제 2수납면(222)이 형성되며, 제 3 구획면(123)을 수납하기 위한 수평한 제 3수납면(2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수납면(221)과 제 2 수납면(222) 및 제 3 수납면(223)은 유(U)자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이 홈이 형성된 형태이며, 따라서 상기 홈에 간장등과 같은 소스를 넣어서 섭취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00)와 뚜껑부(2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힌지 기능을 하는 연결부(300)를 중심으로 일측에 몸체부(100)와 뚜껑부(200)가 각각 위치되는바, 몸체부(100)의 음식물 임시 저장 공간부에 각각 음식물을 넣고 뚜껑부(200)를 닫으면 몸체부(100)의 테두리부(110)와 뚜껑부(200)의 테두리부(210)가 상호 결합되면서 일차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구획격벽(120)과 뚜껑부(200)의 수납격벽(220)이 상호 결합되는바, 구획격벽(120)의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이 뚜껑부(200)의 제 1수납면(221)과 제 2수납면(222) 사이로 삽입되고, 최종적으로 제 3구획면(123)이 제 3수납면(223)에 접면되면서 몸체부(100)의 구획격벽(120)과 뚜껑부(200)의 수납격벽(220)의 상호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의 상호 결합이 마무리되면 음식물 임시 저장 공간부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이 안전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인접한 음식물 임시 저장공간부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액상의 음식물이 구획격벽을 넘어가려할때 제 1수납면(221)과 제 1구획면(121)과 제 3수납면(223)과 제 3구획면(123)과 제 2구획면(122)과 제 2수납면(222)을 모두 통과해야 하므로 액상물이 구획격벽(120)을 넘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기존의 등록실용신안은 융기부와 뚜껑면이 맞닿는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압착강도가 약해지거나 융기부의 탄성력이 없을 경우에는 융기부를 타고 액상의 내용물이 쉽게 구획면을 넘어서지만, 본 고안은 구획격벽(120)이 수납격벽(220)으로 모두 삽입되므로 내용물이 다른 공간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을 모두 통과해야 하므로 원천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수납격벽(220)은 뚜껑부를 몸체부로부터 오픈시에 제 1수납면(221)과 제 2수납면(222) 및 제 3수납면(223)이 유(U)자형 홈을 구성하게 되므로, 상기 홈에 소스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일회용 용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구획면(121) 및 제 2구획면(122)의 외측에 돌기(121a, 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 1수납면(221) 및 제 2 수납면(222)의 내측에 돌기(221a, 222a)를 형성하여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121a, 221a, 122a, 222a)들이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성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구획면(123) 및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요철(123a, 223a)이 상호 맞물리도록하여 액상의 내용물이 제 3 구획면(123)과 제 3수납면(223)의 결합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차단토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구획면(121) 및 제 2구획면(122)의 외측에 돌기(121a, 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 1수납면(221) 및 제 2 수납면(222)의 내측에 돌기(221a, 222a)를 형성하고, 동시에 제 3구획면(123) 및 제 3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액상의 내용물이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의 결합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100: 몸체부
110: 몸체부 테두리면
120: 구획격벽
121: 제 1 구획면
121a: 제 1 구획면 돌기
122: 제 2 구획면
122a: 제 2 구획면 돌기
123: 제 3 구획면
123a: 제 3 구획면 요철
200: 뚜껑부
210: 뚜껑부 테두리면
220: 수납격벽
221: 제 1 수납면
221a: 제 1 수납면 돌기
222: 제 2 수납면
222a: 제 2 수납면 돌기
223: 제 3 수납면
223a: 제 3 수납면 요철
300: 연결부

Claims (6)

  1. 몸체부(100)와, 뚜껑부(200) 및, 상기 몸체부(100)와 뚜껑부(200)의 일측면은 힌지기능을 하는 얇은 두께의 연결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100)는 외측에 테두리면(110)을 형성하고, 내측에 돌출형 구획격벽(12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부(200)는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면에 상응하여 결합되는 테두리면을 외측에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돌출형 구획격벽에 상응하여 결합하되 돌출형 구획격벽을 수납하는 홈을 갖는 수납격벽(220)으로 이루지되,
    상기 구획격벽(120)은,
    수직한 면체로서 수직축으로 형성된 제 1구획면(121)과,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제 2구획면(122)과,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 사이에 형성되는 수평한 제 3구획면(1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구획면(121)과 제 2구획면(122) 및 제 3구획면(1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격벽(120)의 상부 끝단은 몸체부(100)의 테두리면(110)에 비해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납격벽(220)은,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획격벽의 제 1구획면(121)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한 제 1수납면(221)이 형성되고,
    제 2구획면(122)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한 제 2수납면(222)이 형성되며,
    제 3 구획면(123)을 수납하기 위한 수평한 제 3수납면(2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수납면(221)과 제 2 수납면(222) 및 제 3 수납면(223)은 유(U)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120)의 제 1구획면(121) 및 제 2구획면(122)의 외측에 돌기(121a, 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납격벽(220)의 제 1수납면(221) 및 제 2 수납면(222)의 내측에 돌기(221a, 222a)를 형성하여,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121a, 221a, 122a, 222a)들이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의 제 3구획면(123) 및 상기 수납격벽의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120)의 제 1구획면(121) 및 제 2구획면(122)의 외측에 돌기(121a, 12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납격벽(220)의 제 1수납면(221) 및 제 2 수납면(222)의 내측에 돌기(221a, 222a)를 형성하며,
    상기 구획격벽의 제 3구획면(123) 및 상기 수납격벽의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고,
    구획격벽(120)과 수납격벽(220)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121a, 221a, 122a, 222a)들이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동시에 구획격벽의 제 3구획면(123) 및 상기 수납격벽의 제 3 수납면(223)을 요철(123a, 223a)로 각각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20120002010U 2012-03-14 2012-03-14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68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10U KR200468395Y1 (ko) 2012-03-14 2012-03-14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010U KR200468395Y1 (ko) 2012-03-14 2012-03-14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95Y1 true KR200468395Y1 (ko) 2013-08-09

Family

ID=5139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010U KR200468395Y1 (ko) 2012-03-14 2012-03-14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38A (ja) * 2019-07-18 2020-06-18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303A (ko) * 2005-03-30 2006-10-09 박재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70000339U (ko) * 2007-02-28 2007-03-20 강대중 일회용 식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303A (ko) * 2005-03-30 2006-10-09 박재범 이중 덮개를 갖는 밀폐 용기
KR20070000339U (ko) * 2007-02-28 2007-03-20 강대중 일회용 식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838A (ja) * 2019-07-18 2020-06-18 シーピー化成株式会社 包装用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0431B1 (en) Sauce tray and lid system for food container
CA2829965A1 (en) Stackable low depth tray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53733Y1 (ko)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CN104169181A (zh) 一种包括容纳一组法兰容器的托盘的包装
KR101162291B1 (ko) 포장용 용기
KR20100008031U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RU106605U1 (ru)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емкости с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функцией элемента строитель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KR20130080195A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JP2012153390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0825206B1 (ko) 원터치 잠금기능을 갖는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29167Y1 (ko) 체결부가 형성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479489Y1 (ko) 종이로 만든 음식용기
KR20190011983A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JP2006321539A (ja) 包装用容器とその蓋及び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用容器
JP5950515B2 (ja) 弁当箱用小分け容器
RU194697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торта "полено"
JP3068535U (ja) 蓋付き容器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JP3223351U (ja) 包装用容器の中皿及び包装用容器
KR20110005645U (ko) 치킨 배달용 포장상자
CN209973050U (zh) 寿司盒
JP3757262B2 (ja) 野菜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