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91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91B1
KR101162291B1 KR1020100017693A KR20100017693A KR101162291B1 KR 101162291 B1 KR101162291 B1 KR 101162291B1 KR 1020100017693 A KR1020100017693 A KR 1020100017693A KR 20100017693 A KR20100017693 A KR 20100017693A KR 101162291 B1 KR101162291 B1 KR 10116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edge portion
edge
sides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205A (ko
Inventor
김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Priority to KR102010001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 B65D2543/00777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부피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식품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연결부재의 양쪽 모서리부 각각이 다수의 모서리를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품이 수납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기 위한 뚜껑부재; 및 네 개의 변을 갖는 판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네 개의 변 중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이 몸체연결부와 뚜껑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변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두 개의 모서리부를 갖도록 접혀져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모서리부 각각은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에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용기{PACKAGE CONTAINER}
본 발명은 작은 부피의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식품을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식품이 포장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될 경우, 내부 공기와 외부공기가 통하지 않게 됨으로써, 신선도가 떨어지고, 식품의 변질의 우려마저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식품의 상태를 포장된 상태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가 없게 되므로 소비자가 변질된 식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포장지를 개봉하지 않고도 포장된 식품의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을 소재로 한 포장용기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 및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합성수지재의 포장용기는 본체와 뚜껑의 일측면이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어서, 본체와 뚜껑이 이탈되지 않으며, 본체와 뚜껑을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완벽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와 뚜껑체를 연결하는 체결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 뚜껑 및 연결부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합성수지는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계값을 넘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본체와 뚜껑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본체와 뚜껑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에서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뚜껑이 체결부를 통해 본체에 완전히 체결되어 있지 않다면, 본체로부터 이탈되어 본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심한 경우에는 뚜껑이 완전히 젖혀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가 진열대에 놓여져 있는 포장용기에서 발생된다면, 소비자들의 구매 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더욱이, 부피가 큰 포장용기나, 보다 무거운 식품의 포장을 위해 보다 두꺼운 합성수지가 이용되는 포장용기의 경우에는, 연결부의 탄성력이 보다 강화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연결부재의 양쪽 모서리부 각각이 다수의 모서리를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품이 수납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기 위한 뚜껑부재; 및 네 개의 변을 갖는 판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네 개의 변 중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이 몸체연결부와 뚜껑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변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두 개의 모서리부를 갖도록 접혀져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모서리부 각각은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에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연결부재의 양쪽 모서리부 각각이 다수의 모서리를 갖도록 주름지게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뚜껑부재가 연결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재로부터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탄성에 의해 뚜껑이 본체부재의 개방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에 담겨져 있는 식품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체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개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이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우측면도로서, 도 1의 A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좌측면도로서, 도 1의 B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체결 사시도로서, 몸체부재와 뚜껑부재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개방 사시도로서, 뚜껑부재가 몸체부재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이 수납되는 몸체부재(10), 몸체부재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기 위한 뚜껑부재(20) 및 네 개의 변을 갖는 판형상으로서, 네 개의 변 중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은 몸체연결부와 뚜껑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변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두 개의 모서리를 갖도록 접혀져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모서리 각각은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형성되도록 접혀져 있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재(10)는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면으로부터 식품이 수납되도록 움푹 파여져 있는 몸체(11), 몸체 상단면과 수평하게 몸체의 외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몸체 테두리(12), 몸체 테두리 중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측과 마주보는 제2측에서 몸체 테두리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분의 안쪽 방향은 몸체 테두리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삽입부(13) 및 몸체 테두리 중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측과 삽입부 사이에서 몸체 테두리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움푹 파여진 형상으로서, 상단면은 개방되어 있다. 몸체 테두리의 제1측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있다.
몸체 테두리(12)는 몸체의 상단 모서리에서 몸체의 외곽방향으로 몸체의 상단면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삽입부(13)는 몸체 테두리 중 제1측과 마주보는 제2측에서, 몸체 테두리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삽입부는 뚜껑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3)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이를 위해 삽입부의 중심 부분은 함몰되어 있으며, 함몰된 중심부분(13a)의 내주면에는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와 체결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뚜껑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는 삽입부의 함몰된 중심부분으로 삽입되며, 이때, 체결부와 삽입부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와 삽입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돌기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와 홈이 없더라도, 체결부의 전체 형상이 삽입부의 함몰된 중심부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의 끝단은 둥근 돌기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삽입부의 함몰된 중심부분은 둥근 돌기 형상을 감쌀 수 있는 홈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삽입부는 원기둥과 같은 형상이 아니라, 사각 기둥 형상으로 몸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는 제2측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14)는 제1측과 삽입부 사이의 몸체 테두리의 상단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서, 몸체의 상단면이 도 4 및 도 5와 같이 사각형인 경우, 지지부는 몸체 테두리의 상단면 중 제3측 및 제3층과 마주보는 제4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는 뚜껑부재의 뚜껑 테두리를 지지함으로써, 몸체와 뚜껑부재가 일정한 간격(지지부의 높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지지부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포장용 용기의 크기가 크다면, 제3측과 제4측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2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 역시 제2측은 물론 제3측과 제4측에 다 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뚜껑부재(20)는 하단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단면으로부터 상단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뚜껑(21), 뚜껑 하단면과 수평하게 뚜껑부재의 외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뚜껑 테두리(22) 및 뚜껑 테두리 중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측과 마주보는 제2측에서 뚜껑 테두리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체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뚜껑(21)은 몸체의 개방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상단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몸체와 함께 식품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뚜껑 테두리의 제1측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있다.
뚜껑 테두리(12)는 뚜껑의 하단 모서리에서 뚜껑의 외곽방향으로 뚜껑의 하단면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체결부(23)는 뚜껑 테두리 중 제1측과 마주보는 제2측에서, 뚜껑 테두리의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체결부는 몸체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3)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체결부의 형상 자체가 돌기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체결부는 삽입부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삽입부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뚜껑이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체결부의 형상 및 숫자는 삽입부의 형상과 숫자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뚜껑 테두리에는 몸체 테두리에 형성된 지지부에 대응하는 구성은 없으나, 몸체 테두리에 지지부가 없는 경우에는 뚜껑 테두리에 지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30)는 몸체부재와 뚜껑부재를 연결시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 개의 변 중 제1변을 통해 몸체부재와 연결되는 몸체연결부(31), 네 개의 변 중 제1변과 마주보는 제2변을 통해 뚜껑부재와 연결되는 뚜껑연결부(35), 일측이 몸체연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예각(90°보다 작은 각)과 둔각(90°보다 큰 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제1변과 수평을 이룬 상태로 주름져 있는 제1모서리부(32), 일측이 뚜껑연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제2변과 수평을 이룬 상태로 주름져 있는 제2모서리부(34) 및 제1모서리부의 타측과 제2모서리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평면으로 구성된 중간연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서(제1변과 제2변을 제외한 제3변과 제4변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 직사각형의 네 개의 변 중 서로 마주보고 있는 제1변과 제2변은 각각 몸체부재와 뚜껑부재와 연결되어 있다. 제1모서리부의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은 몸체연결부(31)와 연결되어 있고, 제1모서리부 마지막면(32g)은 중간연결부(33)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모서리부의 제2모서리부 시작면(34a)은 뚜껑연결부(35)와 연결되어 있고, 제2모서리부 마지막면(34g)은 중간연결부(35)와 연결되어 있다.
몸체연결부(31)는 몸체부재의 제1측, 즉, 몸체 테두리의 제1측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연결부재의 네 개의 변 중 제1변의 끝단이 몸체연결부로서, 몸체 테두리의 제1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뚜껑연결부(35)는 뚜껑부재의 제1측, 즉, 뚜껑 테두리의 제1측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연결부재의 네 개의 변 중 제1변과 마주보는 제2변의 끝단이 뚜껑연결부로서 뚜껑 테두리의 제1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뚜껑부재, 몸체부재 및 연결부재는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또는 합성수지필름을 가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몸체부재, 뚜껑부재 및 연결부재는 일체형으로 연속되어 있다.
중간연결부(33)는 제1모서리부와 제2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평면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곡면이 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모서리부(32)는 몸체연결부와 중간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간연결부가, 포장용 용기의 내부 방향(D)으로 힘을 받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뚜껑부재가 몸체부재와 분리된 상태에서, 완전히 젖혀지거나 또는 몸체부재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은 제1모서리부가 포장 용기의 내부 방향(D)으로 중간연결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모서리부는, 중간연결부의 외부면(포장용 용기의 외부 방향(E)에 인접하는 면, 이하 동일)을 기준으로하여, 몸체연결부(31)와 140~170도 사이의 제1둔각(a)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 제1모서리부 시작면과 45~80도 사이의 제2예각(b)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제2중간면(32b), 제1모서리부 제2중간면과 225~320도 사이의 제3둔각(c)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제3중간면(32c), 제1모서리부 제3중간면과 제3둔각보다 작은 제4둔각(d)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제4중간면(32d), 제1모서리부 제4중간면과 130~170도 사이의 제5둔각(e)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제5중간면(32e), 제1모서리부 제5중간면과 240~290도 사이의 제6둔각(f)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제6중간면(32f) 및 제1모서리부 제6중간면과 240~290도 사이의 제7둔각(g)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고 중간연결부(33)와는 30~60도 사이의 제8예각(h)을 이룬 상태로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제7중간면(32g)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모서리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연결부와 중간연결부의 모서리에서, 포장용 용기의 외부 방향으로 다수의 예각 및 둔각을 갖는 상태로 접혀져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제2모서리부(34)는 중간연결부를 중심으로하여 제1모서리부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중간연결부와 뚜껑연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제2모서리부의 제2모서리부 시작면(34a), 제2모서리부 제2중간면(34b), 제2모서리부 제3중간면(34c), 제2모서리부 제4중간면(34d), 제2모서리부 제5중간면(34e), 제2모서리부 제6중간면(34f) 및 제2모서리부 제7중간면(34g)은, 제1모서리부의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 제1모서리부 제2중간면(32b), 제1모서리부 제3중간면(32c), 제1모서리부 제4중간면(32d), 제2모서리부 제5중간면(32e), 제1모서리부 제6중간면(32f) 및 제1모서리부 제7중간면(32g)에 각각 대응한다. 이때, 제2모서리부의 각각의 면들이 이루는 예각 또는 둔각이, 제1모서리부의 각각의 면들이 이루는 예각 또는 둔각과 반드시 일치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용기의 이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연결부재의 제1모서리부와 제2모서리부에 의해 뚜껑부재가 몸체부재 방향으로 힘을 받아, 몸체부재와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서리부 제7연결면(32g)은 포장용 용기의 외부 방향에서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과 몸체연결부(31)를 향하고 있고, 중간연결부(33)는 제1모서리부 제7중간면과 예각을 이루고 있으며,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이 몸체연결부(31)와 둔각(a)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중간연결부가 몸체테두리부와 90도 이상 벌어진 경우, 제1둔각(a)이 작아져 각 a보다 작은 각 a1을 이루게 됨으로,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은 탄성에 의해 원래의 제1둔각(a)을 이루는 방향(도 6에서 X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모서리부 제7중간면 역시 반시계 방향(도 6에서 Y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중간연결부 역시 반시계 방향(도 6에서 Z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중간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 뚜껑부재 역시 몸체부재와 맞닿는 방향(W)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1모서리부에 의해 뚜껑부재는 몸체부재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W)으로 회전하게 됨으로, 몸체부재와 90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뚜껑부재가 몸체부재와 벌어지면서, 뚜껑연결부(35)와 제2모서리부 시작면(34a)이 이루는 각도가 제1둔각의 각 a'보다 작은 각 a'1으로 변하게 되면, 제1모서리부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뚜껑연결부(35)와 제2모서리부 시작면(34a)이 다시 제1둔각(a')을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기 때문에, 뚜껑연결부 및 뚜껑연결부재가 도 6에서 시계반대방향(V)으로 힘을 받게 되어, 결국 뚜껑부재가 몸체부재와 맞닿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모서리부 제7중간면이 뚜껑연결부(35)의 힘에 의해 꺽이면서 중간연결부와 제2모서리부 제7중간면이 이루는 각 h'가 작아지게 되면, 제2모서리부 제7중간면은 탄성에 의해 원래의 h'를 이루는 방향, 즉, 도 6에서 시계반대방향(S)으로 힘을 받게 되어, 결국, 뚜껑부재가 V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증가하게 만든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부재가 몸체부재와 벌어지면서, 제1모서리부의 제1둔각(a) 또는 제2모서리부의 제1둔각(a')이 작아지게 되면, 제1모서리부 시작면(32a) 및 제2모서리부 시작면(34a)이 원래의 제1둔각(a, a')을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게 됨으로, 뚜껑부재가 몸체부재 방향, 즉, 도 6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시 몸체부재와 맞닿게 됨으로, 뚜껑부재가 몸체부재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 : 몸체부재 20 : 뚜껑부재
30 : 연결부재 31 : 몸체연결부
32 : 제1모서리부 33 : 중간연결부
34 : 제2모서리부 35 : 뚜껑연결부
32a : 제1모서리부 시작면 32b : 제1모서리부 제2중간면
32c : 제1모서리부 제3중간면 32d : 제1모서리부 제4중간면
32e : 제1모서리부 제5중간면 32f : 제1모서리부 제6중간면
32g : 제7중간면 32g : 제1모서리부 마지막면
34a : 제2모서리부 시작면 34b : 제2모서리부 제2중간면
34c : 제2모서리부 제2중간면 34d : 제2모서리부 제4중간면
34e : 제2모서리부 제5중간면 34f : 제2모서리부 제6중간면
34g : 제2모서리부 제7중간면 34g : 제2모서리부 마지막면
11 : 몸체 12 : 몸체 테두리
13 : 삽입부 14 : 지지부
21 : 뚜껑 22 : 뚜껑 테두리
23 : 체결부

Claims (7)

  1. 식품이 수납되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개방된 상단면을 커버하기 위한 뚜껑부재; 및
    네 개의 변을 갖는 판형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네 개의 변 중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이 몸체연결부와 뚜껑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변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두 개의 모서리부를 갖도록 접혀져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모서리부 각각은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변에 평행하게 접혀져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네 개의 변 중 제1변을 통해 상기 몸체부재와 연결되는 몸체연결부;
    상기 네 개의 변 중 상기 제1변과 마주보는 제2변을 통해 상기 뚜껑부재와 연결되는 뚜껑연결부;
    일측이 상기 몸체연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제1변과 수평을 이룬 상태로 주름져 있는 제1모서리부;
    일측이 상기 뚜껑연결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예각과 둔각을 이루는 다수개의 모서리들이 상기 제2변과 수평을 이룬 상태로 주름져 있는 제2모서리부; 및
    상기 제1모서리부의 타측과 상기 제2모서리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평면으로 구성된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서리부는,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뚜껑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 반대되는 외부 공간 방향으로 상기 몸체연결부와 둔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변과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시작면; 상기 외부 공간 방향으로 상기 중간연결부와 예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변과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마지막면; 및 상기 제1모서리부 시작면과 상기 제1모서리부 마지막면 사이에서 상기 제1변과 평행하게 적어도 1회 이상 접혀져 있는 제1모서리부 중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모서리부는,
    상기 외부 공간 방향으로 상기 뚜껑연결부와 둔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변과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제2모서리부 시작면; 상기 외부 공간 방향으로 상기 중간연결부와 예각을 이룬 상태로 상기 제1변과 평행하게 접혀져 있는 제2모서리부 마지막면; 및 상기 제2모서리부 시작면과 상기 제2모서리부 마지막면 사이에서 상기 제1변과 평행하게 적어도 1회 이상 접혀져 있는 제2모서리부 중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서리부 시작면과 상기 몸체연결부가 이루는 둔각 및 상기 제2모서리부 시작면과 상기 뚜껑연결부가 이루는 둔각은 140~17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개방되어 있는 상단면으로부터 식품이 수납되도록 움푹 파여져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곽방향으로 상기 상단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는 몸체 테두리; 및
    상기 몸체 테두리 중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측과 마주보는 제2측에서 상기 몸체 테두리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된 부분의 안쪽 방향은 몸체 테두리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의 함몰되어 있는 부분으로 삽입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몸체 테두리 중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1측과 상기 삽입부 사이에서 상기 몸체 테두리의 상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KR1020100017693A 2010-02-26 2010-02-26 포장용 용기 KR10116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93A KR101162291B1 (ko) 2010-02-26 2010-02-26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93A KR101162291B1 (ko) 2010-02-26 2010-02-26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05A KR20110098205A (ko) 2011-09-01
KR101162291B1 true KR101162291B1 (ko) 2012-07-04

Family

ID=4495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693A KR101162291B1 (ko) 2010-02-26 2010-02-26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458B1 (ko) 2020-10-06 2021-01-26 이재혁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KR102215632B1 (ko) 2020-12-11 2021-02-10 이재혁 보조용기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KR102327436B1 (ko) 2020-05-08 2021-11-17 김치곤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91Y1 (ko) * 2006-09-27 2006-12-22 김동호 식품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91Y1 (ko) * 2006-09-27 2006-12-22 김동호 식품 포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36B1 (ko) 2020-05-08 2021-11-17 김치곤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KR102208458B1 (ko) 2020-10-06 2021-01-26 이재혁 포장용기의 덮개 결합구조체
KR102215632B1 (ko) 2020-12-11 2021-02-10 이재혁 보조용기가 구비되는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05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9792A1 (en) Container apparatus
US11180275B2 (en) Compartmentalized containers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101162291B1 (ko) 포장용 용기
JP5698275B2 (ja)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JP2017137124A (ja) 包装用容器の内外嵌合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102103278B1 (ko) 분할형 포장박스
US20160176573A1 (en) Interlocking Stackable Produce Containers And High-Density Packing System Using Same
JP3151025U (ja) 果実包装用容器
US20170217626A1 (en) Food package
KR101179611B1 (ko) 절첩형 발포수지 포장상자
JP7149559B2 (ja) 食品包装用容器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KR200478210Y1 (ko) 포장 용기
JP2017149462A (ja) 食品包装用容器
JP5789447B2 (ja) 包装容器用蓋体
KR101068831B1 (ko) 계단형 샌드위치 포장용기
KR101552574B1 (ko) 적층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GB2509793A (en) Flexible plastic packaging box
KR101691003B1 (ko) 포장용 상자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JP7259276B2 (ja) 蓋付き容器
KR101839221B1 (ko) 반찬용 김 저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