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591Y1 - 식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591Y1
KR200434591Y1 KR2020060026113U KR20060026113U KR200434591Y1 KR 200434591 Y1 KR200434591 Y1 KR 200434591Y1 KR 2020060026113 U KR2020060026113 U KR 2020060026113U KR 20060026113 U KR20060026113 U KR 20060026113U KR 200434591 Y1 KR200434591 Y1 KR 200434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container
binding
container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2020060026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딸기나 토마토 또는 콩나물, 고추 등의 과채류 및 엽채류 식품들을 유통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용기본체의 상부면과 뚜껑체의 하부 대향면에 각각 대응의 돌출부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용기본체 측의 돌출부 선단과 뚜껑체 측의 돌출부 하단에는 각각 상호 대응의 결착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 및 통기공에 의해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용물의 신선도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대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착 돌출부에 의해 뛰어난 상호 결착력은 물론 그 대향면 전체가 고르게 결착되게 하는 것이며, 별도의 결착구를 형성하지 않고 대응 돌출부에 의해 상호 결착이 이루어지므로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공간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내용물을 보다 많이 포장할 수 있거나 포장용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식품 포장용기이다.
식품, 포장, 용기, 본체, 뚜껑체, 돌출부, 결착돌기, 통기공

Description

식품 포장용기 {Food container}
도 1은 일반적인 식품 포장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결착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결착부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결착부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본체 11 : 플랜지부
12,12' : 수돌출부 13,13' : 결착돌기
20 : 뚜껑체 21 : 플랜지부
22,22' : 암돌출부 23,23' : 지지돌조
24,24' : 통기공 25 : 요홈조
본 고안은 딸기나 토마토 또는 콩나물, 고추 등의 과채류 및 엽채류 식품들을 유통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용기본체와 뚜껑체의 대향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함은 물론 상기 돌출부에 결착돌기를 대향 형성하여 이를 통해 그 용기본체와 뚜껑체의 편리한 결착성을 갖게 한 식품 포장용기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 및 엽채류, 과실류 등의 원예식품 대부분은 용기에 담아 운반 및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원예식품을 담는 용기로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예를 들면, 골판지 소재로 하여 제작된 골판지 상자와 두꺼운 종이로 제작된 종이상자 및 PP,PE,PS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소재로 하여 제작된 합성수지재 용기, 비닐로 만들어진 비닐봉투 등이 있다.
상기에서 열거한 여러 종류의 용기 중에서 딸기, 방울 토마토 또는 마늘, 고추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과채류를 포장하는 용기로는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작된 합성수지재 포장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재 포장용기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내용물을 담을 수 있을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00)와 그 용기본체(10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게 한 뚜껑체(10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100) 및 뚜껑체(101)의 일측단은 서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어 상기 뚜껑체(101)는 그 연결부를 통해 용기본체(100)로부터 일측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포장용기는 그 용기본체(100) 및 뚜껑체(101)의 대향부에 서로 대향 위치에 해당하는 돌출부(102)(102')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뚜껑체(101)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상측을 덮을 경우 그 돌출부(102)(102')가 서로 맞닿으면서 이들 돌출부(102)(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그 포장용기의 내,외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게 하여 내용물이 보다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뚜껑체(101)에는 많은 수의 통기공(103)(103')을 형성하여 그 통기공(103)(103')을 통해서도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구성하여 저온 냉장실이나 보관실 내에서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용기본체(100)와 뚜껑체(101)는 서로 대향의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된 결착구(104)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들 결착구(104)의 강제 압입을 통해 용기본체(100)의 상측을 상기 뚜껑체(101)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식품 포장용기는, 상부 뚜껑체에 형성된 통기공이 원형이면서도 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큰 내경을 갖도록 다수 형성하는 바, 소비자가 상기 통기공을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어 내용물의 상태를 확 인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제품이 쉽게 변질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결착구는 용기본체와 뚜껑체에 각각 대향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결착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기본체와 뚜껑체에 각각 공간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포장할 수 있는 내용물이 적어지면서도 그 포장용기의 부피는 증가하게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결착구는 통상적으로 개폐방향의 양측에 각각 이격 형성되는 것이므로 충분한 결착 면적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어 용기본체와 뚜껑체의 중간부가 들떠 외관상 고급스럽지 못하며, 그 들뜬 공간을 통해 작은 내용물이 빠져나오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본체의 상부면과 뚜껑체의 하부 대향면에 각각 대응의 돌출부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용기본체 측의 돌출부 선단과 뚜껑체 측의 돌출부 하단에는 각각 상호 대응의 결착돌기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뚜껑체에 형성되는 통기공은 경사상의 장공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 및 통기공에 의해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용물의 신선도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대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착 돌출부에 의해 뛰어난 상호 결착력은 물론 그 대향면 전체가 고르게 결착되게 하는 것이며, 별도의 결착구를 형성하지 않고 대응 돌출부에 의해 상호 결착이 이루어지 므로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공간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내용물을 보다 많이 포장할 수 있거나 포장용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식품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의 결착부 확대 사시도이다.
용기본체와 뚜껑체로 구분되고, 그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일측단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개폐되게 하며, 상기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대향 플랜지부에는 대응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공지의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10)의 플랜지부(11)에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된 수돌출부(12)(12')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뚜껑체(20)의 플랜지부(21)에는 요홈조(25)를 갖는 암돌출부(22)(22')를 일정 간격으로 대향 형성하며,
상기 수돌출부(12)(12')의 양측 선단에는 횡상의 결착돌조(13)(13')를 형성하고, 상기 암돌출부(22)(22')의 요홈조(25) 내측에는 횡상의 지지돌조(23)(2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돌출부(12)(12')의 선단이 그 암돌출부(22)(22')의 요홈조(25)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결착돌조(13)(13')가 지지돌조(23)(23')를 지나 상호 계지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뚜껑체(20)에는 경사상의 장방형 통기공(24)(2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식품 포장용기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식품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포장할 수 있는 용기본체(10)와 그 용기본체(1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는 뚜껑체(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한 용기본체(10) 및 뚜껑체(20)의 일측단은 일체로 성형된 연결부를 갖고 있어 이에 의해 상기 뚜껑체(20)는 그 용기본체(10)로부터 일측을 향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용기본체(10) 및 뚜껑체(20)에는 각각 대향의 플랜지부(11)(21)가 형성되어 그 식품 포장용기의 손쉬운 파지 및 이동을 가능케 하면서도 필요한 강도를 얻게 되는 것인데, 상기한 플랜지부(11)(21)의 대향면에는 공기의 소통과 용기본체(10) 및 뚜껑체(20)의 결착을 가능케 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용기본체(10)의 플랜지부(11)에는 상협하광 형상으로 된 수돌출부(12)(12')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뚜껑체(20)의 플랜지부(21)에는 상기 수돌출부(12)(12')와 대응위치에 해당하는 암돌출부(22)(22')를 각각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암돌출부(22)(22')에는 횡상의 요홈조(25)를 형성하여 그 뚜껑 체(20)로 용기본체(10)의 상측을 덮을 경우 그 수돌출부(12)(12')의 선단이 상기 요홈조(25) 내측으로 일정부분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수돌출부(12)(12')의 양측 선단에는 횡상의 결착돌조(13)(13')가 형성되어 있고, 암돌출부(22)(22')의 요홈조(25) 내측에는 지지돌조(23)(2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뚜껑체(20)를 덮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암돌출부(22)(22')와 수돌출부(12)(12')을 대응시켜 이를 손가락 등으로 강하게 압압하면 그 결착돌조(13)(13')와 지지돌조(23)(23')가 서로 어긋나면서 이들을 계지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뚜껑체(20)의 분리에 의해 그 용기본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체(20)를 이용하여 용기본체(10)의 상부를 덮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도시와 같이 암돌출부(22)(22')의 요홈조(25) 내측으로 수돌출부(12)(12')의 선단이 삽입되면서 1차 유도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들 수돌출부(12)(12')와 암돌출부(22)(22')를 손가락 등에 의해 압압하게 되면 상기 수돌출부(12)(12')의 결착돌조(13)(13')가 요홈조(25) 내측의 지지돌조(23)(23')를 어긋나 지나쳐 그 요홈조(25)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결착돌조(13)(13')와 지지돌조(23)(23')가 서로 어긋나 계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국 용기본체(10)와 뚜껑체(20)는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수돌출부(12)(12')와 암돌출부(22)(22')는 그 용기본체(10)의 플랜지부(11)와 뚜껑체(20)의 플랜지부(21) 전체면에 걸쳐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다수의 돌출부가 서로 결착되므로 틈새나 벌어짐 없이 안정적인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플랜지부(11)(21)의 사이 사이 공간부는 포장용기의 내,외측으로 공기가 소통되게 하는 환기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 종래의 결착구 즉 용기본체(10)와 뚜껑체(20)를 서로 결착시키기 위한 인위적 성형물이 전혀 필요없게 되므로 상기 종래의 결착구가 차지하던 면적만큼의 공간이 더 형성되므로 보다 많은 량의 내용물을 넣을 수 있거나 종래의 내용물을 다 넣고도 보다 축소된 형태의 포장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특히, 상기한 뚜껑체(20)에 형성된 통기공(24)(24')을 종래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상으로 배치된 장방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손가락이나 기타 간섭물 등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공기의 소통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그 내용물을 신선도를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식품 포장용기는, 돌출부 및 통기공에 의해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용물의 신선도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대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착 돌출부에 의해 뛰어난 상호 결착력은 물론 그 대향면 전체가 고르게 결착되게 하는 것이며, 별도의 결착구를 형성하지 않고 대응 돌출부에 의해 상호 결착이 이루어지므로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공간손실이 발생하 지 않아 내용물을 보다 많이 포장할 수 있거나 포장용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용기본체와 뚜껑체로 구분되고, 그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일측단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개폐되게 하며, 상기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대향 플랜지부에는 대응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공지의 식품 포장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10)의 플랜지부(11)에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된 수돌출부(12)(12')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뚜껑체(20)의 플랜지부(21)에는 요홈조(25)를 갖는 암돌출부(22)(22')를 일정 간격으로 대향 형성하며,
    상기 수돌출부(12)(12')의 양측 선단에는 횡상의 결착돌조(13)(13')를 형성하고, 상기 암돌출부(22)(22')의 요홈조(25) 내측에는 횡상의 지지돌조(23)(2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수돌출부(12)(12')의 선단이 그 암돌출부(22)(22')의 요홈조(25)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결착돌조(13)(13')가 지지돌조(23)(23')를 지나 이들의 계지력에 의해 용기본체(10)와 뚜껑체(20)가 서로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뚜껑체(20)에는 경사상의 장방형 통기공(24)(2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KR2020060026113U 2006-09-27 2006-09-27 식품 포장용기 KR200434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13U KR200434591Y1 (ko) 2006-09-27 2006-09-27 식품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13U KR200434591Y1 (ko) 2006-09-27 2006-09-27 식품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591Y1 true KR200434591Y1 (ko) 2006-12-22

Family

ID=4178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13U KR200434591Y1 (ko) 2006-09-27 2006-09-27 식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59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31B1 (ko) 2009-09-17 2011-09-29 (주)동양팩 계단형 샌드위치 포장용기
KR101162291B1 (ko) * 2010-02-26 2012-07-04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포장용 용기
KR200474479Y1 (ko) * 2013-05-24 2014-09-26 (주)동국프라텍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
KR20200001945U (ko) 2019-02-26 2020-09-03 (주)제이엠 식품 포장 용기
KR20200104077A (ko) 2019-02-26 2020-09-03 (주)제이엠 식품 포장 용기
KR200492398Y1 (ko) 2020-01-29 2020-10-05 이유석 개별 소포장 용기
EP4335773A1 (de) * 2022-09-07 2024-03-13 Demir, Faruk Transportbehälter für zubereitete lebensmitte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31B1 (ko) 2009-09-17 2011-09-29 (주)동양팩 계단형 샌드위치 포장용기
KR101162291B1 (ko) * 2010-02-26 2012-07-04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포장용 용기
KR200474479Y1 (ko) * 2013-05-24 2014-09-26 (주)동국프라텍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
KR20200001945U (ko) 2019-02-26 2020-09-03 (주)제이엠 식품 포장 용기
KR20200104077A (ko) 2019-02-26 2020-09-03 (주)제이엠 식품 포장 용기
KR200492398Y1 (ko) 2020-01-29 2020-10-05 이유석 개별 소포장 용기
EP4335773A1 (de) * 2022-09-07 2024-03-13 Demir, Faruk Transportbehälter für zubereitete lebensmitt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4591Y1 (ko) 식품 포장용기
US10611517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US10494143B2 (en) Stackable and nestable food containment system
US7900793B2 (en) Multi-piece compartmented container with venting
JPH08230874A (ja) 把手付きの蓋を有する容器
CN105899092A (zh) 用于无烟烟草产品的容器
WO2006130173A2 (en) Produce packaging container with dual hinged resealable tops
ZA200510005B (en) Container
US11457773B2 (en) Storage unit for storing products that can be affected by humidity
KR200442003Y1 (ko) 다단적층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US20160176573A1 (en) Interlocking Stackable Produce Containers And High-Density Packing System Using Same
JP2008174278A (ja) 加工食品用容器
KR200453692Y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200420169Y1 (ko) 포장 용기 구조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130001780U (ko) 김치 포장용기
KR200402875Y1 (ko) 식품포장용기
US9902531B2 (en) End-hinged produce containers and produce packing system using same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JP3201756U (ja) 物品収納容器
ITMI990207A1 (it) Sistema di contenitori modulari uguali ed impilabili fra loro inparticolare per alimenti.
KR200361205Y1 (ko) 과일 포장용기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EP3257775A1 (en) Container for food stuffs
KR200270742Y1 (ko) 식품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