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875Y1 - 식품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875Y1
KR200402875Y1 KR20-2005-0019507U KR20050019507U KR200402875Y1 KR 200402875 Y1 KR200402875 Y1 KR 200402875Y1 KR 20050019507 U KR20050019507 U KR 20050019507U KR 200402875 Y1 KR200402875 Y1 KR 200402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flange
food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오
Original Assignee
태방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방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방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9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체가 수직방향의 외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된 식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지부의 상부에 식품설명서나 광고용지 등이 손쉽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와 뚜껑체(2)에는 각각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의 일측이 연결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렌지(10)의 타측 및 좌,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11)의 좌, 우측에는 본체통풍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플렌지(20)에는 상기 결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통풍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뚜껑통풍구(2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1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부(14)는 본체(1)의 일측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포장용기{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체가 수직방향의 외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된 식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지부의 상부에 식품설명서나 광고용지 등이 손쉽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 엽채류, 과실류 등 원예식품의 대부분은 용기에 담아 운반, 판매되고 있다.
상기한 원예식품을 담는 용기로는 여러 종류가 있는 바, 예를 들면 골판지를 소재로 하여 제작된 골판지상자, 두꺼운 종이로 제작된 종이상자, PP, PE, PS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소재로하여 제작된 합성수지제 용기, 비닐로 만들어진 비닐 봉투 등이 있다.
상기한 종류의 용기 중에서 키위, 딸기, 방울토마토, 마늘, 고추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크기의 과채류를 포장하는 용기로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으로 제작된 합성수지제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제 포장용기는 용기본체와 뚜껑체가 착탈이 가능하게 일체로 성형되며, 또한 용기본체에 뚜껑체를 결착시킨 상태에서도 용기본체에 수납, 포장된 식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용기본체에 뚜껑체를 결착시켰을 때에는 포장상자 자체가 거의 밀폐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물기가 있는 식품을 수납 포장하였을 경우 그 물기있는 식품에서 배출되는 물이 용기본체에 그대로 고여있게 되어 포장식품이 고여있는 물로 인하여 빨리 변질되거나 신선도 유지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품용기의 상면 또는 측면에 통풍구가 마련된 식품용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통풍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강도가 약하여 용기를 다수개 쌓을 경우나 용기를 상, 하로 잡을 경우 뚜껑체가 압력으로 인해 내측으로 쉽게 찌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투명재질의 용기이므로 식품설명서를 외부에 부착할 경우 그 인건비가 상승되고, 내부에 끼워넣을 경우 식품에 의해 설명서가 훼손되거나 고정되지 못해 식품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식품포장용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를 형성하되 그 일측이 연장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체가 수직방향의 외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것은 물론, 지지부의 상부에 식품설명서나 광고용지 등이 위치되도록 한 후 뚜껑체를 결착시켜 소비자에게 식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품포장용기는,
본체(1)와 뚜껑체(2)에는 각각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의 일측이 연결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렌지(10)의 타측 및 좌,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11)의 좌, 우측에는 본체통풍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플렌지(20)에는 상기 결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통풍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뚜껑통풍구(2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1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부(14)는 본체(1)의 일측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플렌지(10)는 가장자리가 하향절곡되고 상기 뚜껑플렌지(20)는 가장자리가 상향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내부는 다수개의 식품수용부(13)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형성된 지지부(14)는 본체(1)의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 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기는 본체(1)와 뚜껑체(2)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는 내부에 식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재질은 투명재질로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본체플렌지(10)가 형성되어 뚜껑체(2)의 뚜껑플렌지(20)와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본체(1)와 뚜껑체(2)가 개폐되도록 하며, 상기 뚜껑체(2) 역시 그 재질이 투명재질로 되어 내부에 식품설명서를 끼워넣은 경우 외부에서 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는 그 일측이 연결되어 개폐 시 본체(1)와 뚜껑체(2)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그 내측에 식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식품수용부(13)는 본체(1)에 수용되는 식품의 종류, 개수 등에 따라 그 모양 및 개수가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식품수용부(13)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는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수직방향의 외압이 있더라도 뚜껑체(2)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용되는 식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즉 지지부(14)에 의해 식품포장용기를 수직으로 여러 개 쌓더라도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4)는 그 일측이,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즉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가 연결된 측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식품설명서나 광고지를 플렌지(10)(20)의 연결부로 끼워 넣을 경우 설명서가 지지부(14)에 의해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4)의 연장형성부의 높이가 중앙부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식품설명서나 광고지를 플렌지(10)(20)의 연결부에 끼워 넣을 경우 식품설명서나 광고지가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된다면 그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지지부(14)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종단면이 직각사다리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중앙부는 동일한 높이를 갖되 일측으로 연장될 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나, 그 종단면이 삼각형이 될 수도 있으며 낮은 높이의 직각사각형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라면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본체플렌지(10) 타측 및 좌, 우측, 뚜껑플렌지(20)와 연결되지 않은 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11)의 좌, 우측에는 본체통풍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플렌지(20)에는 상기 결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통풍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뚜껑통풍구(22)가 형성됨으로써, 결착홈(11)과 결착돌기(21)에 의해 본체(1)와 뚜껑체(2)가 용이하게 결착,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며,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풍구(12)(22)에 의해 뚜껑체(2)를 본체(1)에 결착시킨 상태에서도 공기가 유통되게 함으로써 수납된 식품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통기간 또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착홈(11)과 결착돌기(21)는 플렌지(10)(20)가 상호 연결되지 않은 측과 그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고, 그 모서리부에 하나씩 형성될 수 도 있는 것으로, 결착홈(11)과 결착돌기(21)에 의해 본체(1)와 뚜껑체(2)가 결합될 수 있다면 그 형성 위치나 개수를 제한하지 않으며, 결착홈(11)과 결착돌기(21)의 좌, 우측에 형성되는 통풍구(12)(22) 역시 그 개수와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본체플렌지(10)는 가장자리가 하향절곡되고 상기 뚜껑플렌지(20)는 가장자리가 상향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와 뚜껑체(2)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기의 사용상태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장용기의 본체(1) 지지부(14)상에 식품설명서(1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뚜껑체(2)를 결착홈(11)과 결착돌기(21)에 의해 결착시키면, 외부에서도 상품의 설명이 식별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용기가 상,하나 좌,우로 충격을 받을 시에도 내부의 식품설명서(100)는 지지부(14)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됨으로써, 어떠한 상태에서도 소비자에게 상품의 정보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4)에 의해 용기를 다수개 쌓더라도 용기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됨으로써, 식품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기에 의하면, 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를 형성하되 그 일측이 연장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체가 수직방향의 외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것은 물론, 지지부의 상부에 식품설명서나 광고용지 등이 위치되도록 한 후 뚜껑체를 결착시켜 소비자에게 식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손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식품설명서나 광고용지를 손쉽게 용기 내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되어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 본체의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식품포장용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본체 2: 뚜껑체
10: 본체플렌지 20: 뚜껑플렌지
11: 결착홈 21: 결착돌기
12: 본체통풍구 22: 뚜껑통풍구
13: 식품수용부
14: 지지부

Claims (3)

  1. 본체(1)와 뚜껑체(2)에는 각각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플렌지(10)와 뚜껑플렌지(20)의 일측이 연결되어 개폐되도록 구성된 식품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렌지(10)의 타측 및 좌, 우측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11)의 좌, 우측에는 본체통풍구(12)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플렌지(20)에는 상기 결착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통풍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뚜껑통풍구(2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내측 중앙부에 지지부(1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부(14)는 본체(1)의 일측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렌지(10)는 가장자리가 하향절곡되고 상기 뚜껑플렌지(20)는 가장자리가 상향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기.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는 다수개의 식품수용부(13)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형성된 지지부(14)는 본체(1)의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기.
KR20-2005-0019507U 2005-07-05 2005-07-05 식품포장용기 KR200402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07U KR200402875Y1 (ko) 2005-07-05 2005-07-05 식품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07U KR200402875Y1 (ko) 2005-07-05 2005-07-05 식품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875Y1 true KR200402875Y1 (ko) 2005-12-08

Family

ID=4370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07U KR200402875Y1 (ko) 2005-07-05 2005-07-05 식품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8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391B1 (ko) * 2019-05-10 2020-05-29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딸기 포장 상자
KR20210060946A (ko) * 2019-11-19 2021-05-27 대명피앤티(주) 과일 포장 용기
KR20220093677A (ko) 2020-12-28 2022-07-05 은 식 신 식품포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391B1 (ko) * 2019-05-10 2020-05-29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딸기 포장 상자
KR20210060946A (ko) * 2019-11-19 2021-05-27 대명피앤티(주) 과일 포장 용기
KR102310180B1 (ko) * 2019-11-19 2021-10-08 대명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과일 포장 용기
KR20220093677A (ko) 2020-12-28 2022-07-05 은 식 신 식품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5510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US20210114763A1 (en) Cardboard container with integrated lid
US11820576B2 (en) Ventilated container for produce
AU2018263992B2 (en) Ventilated container for produce
KR200402875Y1 (ko) 식품포장용기
US11801967B2 (en) Packaging box for fruit, berries and vegetables
JP5536392B2 (ja) 食品包装容器
JP5461922B2 (ja) フレア部を有する包装用容器
WO2019203658A1 (en) Packaging box for fruit, berries and vegetables
IES20140070A2 (en) Sales container
US20230415952A1 (en) Packaging box for fruit, berries and vegetables
KR101576662B1 (ko) 용적변화가 이루어져 발효가스에 의한 터짐을 방지하는 발효식품 포장용기
EP3494067B1 (en) Ventilated container for produce
AU2003200664B2 (en) Ventilated container
WO2010000024A2 (en) A container
RU2575085C2 (ru) Ящик
KR200270742Y1 (ko) 식품포장용기
AU2005211555A9 (en) Strengthened container
IES86515Y1 (en) Sales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