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398Y1 - 개별 소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개별 소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398Y1
KR200492398Y1 KR2020200000376U KR20200000376U KR200492398Y1 KR 200492398 Y1 KR200492398 Y1 KR 200492398Y1 KR 2020200000376 U KR2020200000376 U KR 2020200000376U KR 20200000376 U KR20200000376 U KR 20200000376U KR 200492398 Y1 KR200492398 Y1 KR 200492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container unit
unit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석
Original Assignee
이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석 filed Critical 이유석
Priority to KR2020200000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98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유닛; 및 컨테이너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필름으로 실링되는 루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개별 소포장 용기{Receptacle of individual packaging}
본 고안은 소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천연향신료, 장류 등과 같은 음식물을 개별 소포장하여 실링 후 냉동이나 냉장을 통한 장기보관이 가능하게 하며, 소량 소포장 되어 적당한 양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급증하는 1인 가구로 인해 유통업이 여러 형태로 변화되어지고 있는데, 상품, 서비스, 핵심 사업에 이르기까지 1인 가구를 타깃으로 한 유통 트랜드가 뒤 바뀌는 추세이다.
한편 국내 1인가구 비율은 2000년 15.5%에서 2015년 27.1%까지 증가했다. 지난 2015년 인구통계에 따르면 1인 가구는 500만을 돌파하는 등 전통적인 '4인가구' 비율을 앞질렀다. 2020년 1인 가구 비율은 29.6%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락이나 소량단위 식품들이 대량 단위의 대형마트나 할인점에 비해 늘어나고 있으며, 편의점 등은 1인 가구의 니즈를 충족하고 있다.
1인 가구의 경우, 요리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재료준비, 손질에서 비롯되며, 요리를 하고 남게 되는 음식물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된다.
최근 1인 가구를 위한 손질된 재료와 양념을 판매하는 간편요리키트도 등장하여 1인 가구의 부담을 줄여주었으며, 이는 매출로도 이어져 간편요리키트 시장은 2019년 400억 매출을 보였다.
이러한 1인 가구를 위한 음식물 및 재료와 양념을 판매하기 위하여 1인용의 작은 용기가 필요하며 개별 포장을 위한 용기에 대한 선행기술은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등록번호 제20-0469040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실용신안)
특허문헌1의 경우,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고, 용기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용기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과,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과, 측벽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테두리부의 네 모서리에는, 테두리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가 형성되고,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는, 평탄부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측벽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양념 보관 용기(등록번호 제10-1664026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특허문헌2의 경우, 양념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진 마늘과 같은 양념의 단위 부피 별 냉동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념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의 경우, 양념 보관 용기는 덮개 면, 덮개 면의 둘레를 따라 덮개 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 여유 테두리 및 제1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여유 테두리에 비하여 낮은 높이로 형성된 결합 테두리로 이루어진 밀폐 뚜껑; 및 다수 개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부피로 형성된 블록 단위체, 블록 단위체의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부 테두리 및 외부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밀폐 테두리로 이루어진 수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 테두리는 여유 테두리와 결합 테두리의 경계 면에 밀착된다.
마찬가지로 “생육용 포장용기 (등록번호 제10-0819544 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 존재한다.
특허문헌3의 경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오리고기 등과 같은 생육을 포장하여 냉장진열하였을 때 생육에서 흘러나오는 육즙이 생육과 혼재되어 불결해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포장용기가 투명하여 소비자가 생육의 측면 및 저면까지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장용기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포장용기의 상면을 밀봉하는 실링지가 안개처럼 흐릿해지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함으로서 전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생육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문헌3의 경우, 그 구성은 상면으로부터 생육이 수납된 후 실링지에 의해 밀봉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작된 생육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포장용기는 내층이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층이고, 외층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층인 다층구조로 되고, 포장용기의 저면 연부 및 측면부로부터 바닥부를 따라 내향되게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생육지지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육, 포장용기, 생육지지돌부, 실링지, 다층구조의
아울러, “식품 포장용기 (등록번호 제20-0434591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도 선행 특허 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 존재한다.
특허문헌4의 경우, 딸기나 토마토 또는 콩나물, 고추 등의 과채류 및 엽채류 식품들을 유통하기 위한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용기본체의 상부면과 뚜껑체의 하부 대향면에 각각 대응의 돌출부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용기본체 측의 돌출부 선단과 뚜껑체 측의 돌출부 하단에는 각각 상호 대응의 결착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 및 통기공에 의해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용물의 신선도가 유지되게 함은 물론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대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착 돌출부에 의해 뛰어난 상호 결착력은 물론 그 대향면 전체가 고르게 결착되게 하는 것이며, 별도의 결착구를 형성하지 않고 대응 돌출부에 의해 상호 결착이 이루어지므로 용기본체 및 뚜껑체의 공간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내용물을 보다 많이 포장할 수 있거나 포장용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식품 포장용기이다.
이들 선행 특허문헌의 경우, 일회용 또는 포장용기에 대한 특허로 1인용 포장을 하기 위하여 크기와 너비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9040호 등록번호 제10-1664026호 등록번호 제10-0819544 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4591호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개별 소포장을 통하여 음식물의 낭비를 줄이고자 한다.
둘째, 용기 내부 음식물의 잔류를 최소한으로 하고자 한다.
셋째, 용기를 실링하여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유닛; 및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필름으로 실링되는 루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각각의 측면에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외향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그루브(groove)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 개의 그루브부는, 사용자가 상기 컨네이너 유닛에 그립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손과 상기 컨네이너 유닛의 마찰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내부의 각각의 측면에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수직 장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인헤일(inhale)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헤일부는, 너비와 깊이가 하향 확대되어 상기 음식물과 상기 컨테이너 유닛 사이의 통기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음식물의 잔류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폭이 넓어지는 슬로프(slope)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로프부는, 상부로 향할수록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음식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표시하며,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평면적을 불연속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음식물의 오버플로우를 지연시키는 인디게이터부(indic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루프 유닛은,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으로 실링되는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필름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유닛을 실링하며, 상기 음식물의 플로우(flow)를 방지하며, 임의 설정된 외부 힘으로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실링부는, 상기 루프 유닛과 상기 필름이 상호 결착된 부분으로부터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필름은 사용자가 외부 힘을 설정하는 방향까지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내부의 저면에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음식물의 하중을 견디며,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음식물이 용이하게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필름과 3중 융착을 통해 상기 음식물을 보호하며,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천연향신료, 장류 등의 개별 소포장을 통하여 음식물의 낭비를 줄이고, 필요량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용기 내부의 인헤일부를 구비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의 탈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용기 내부의 음식물 잔류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용기를 필름으로 실링하여 실링된 상태에서 음식물의 냉장, 냉동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며, 임의의 외력이 없이는 용기 내부를 열람할 수 없게 하여 음식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제2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필름이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3중 융착된 필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제2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필름이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3중 융착된 필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향신료 및 장류, 잼, 치즈, 버터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1인 가족이나 소가족을 대비하여 약 20g정도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다.
천연향신료의 경우, 다진마늘, 다진고추, 다진생강, 슬라이스 고추 등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간장, 고추장, 된장과 같은 장류도 소포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1인 가구는 버려지는 음식물 없이 적절한 양의 향신료를 소비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원하는 양의 양념 등을 소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는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유닛(container unit, 100), 컨테이너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필름(10)으로 실링되는 루프 유닛(roof unit, 2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먼저, 컨테이너 유닛(1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컨테이너 유닛(100)은 그 모양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음식물을 담기 적절한 깊이와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유닛(100)의 경우, 합성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음식물을 보관하고 음식물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바, 천연합성 소재, 친환경 소재, 생분해성 소재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컨테이너 유닛(100)의 경우, 외부의 음식물에 대한 보관 및 유지가 필수적이므로 외압에 대하여 적당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충분히 견뎌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컨테이너 유닛(100)이 유리 또는 강도가 약한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외압에 의하여 쉽게 깨져 내부의 음식물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외압에 대한 강도를 가지는 합성소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쉽게 파손될 경우, 수송이나 운반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의 충격이나 자극에 파손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부의 음식물이 새어 나오거나 장기 보관이 어려운 재료를 사용하게 되는 것 또한 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 유닛(100)은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는 구조로도 이루질 수 있으며, 내부의 내용물을 관찰하게 되면, 신선함을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될 수 있다.
루프 유닛(200)의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에 담긴 음식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실링되며, 소정의 열 또는 식품 포장용 접착제 등으로 실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유닛(200)은 컨테이너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필름이 실링되는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루프 유닛(200)에 접촉하는 필름(10)의 경우 음식물과의 접촉이 가능하므로 음식물로 인하여 부식되거나 분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10)의 경우, 일회용으로 사용자가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게 되므로 유통과정에서 부식이나 강도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한 생분해성 필름이나 친환경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름(10)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열이나 수분에 대한 강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필름(10)은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지 않는 내수성을 띄며, 공기에 대한 불통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방습, 방수 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컨테이너 유닛(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측면에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외향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그루브(groove)부(1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다수 개의 그루브부(110)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외향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형성되며, 외향 돌출되는 각 측면의 그루브부(1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그루브부(110)는 그 모양과 간격이 일정하게 배치되며, 일정하게 배치된 그루브부(110)는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그루브부(110)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그루브부(110)로 인하여 컨테이너 유닛(100)의 각 측면은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루브부(110)의 경우, 사용자가 컨네이너 유닛(100)에 그립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손과 컨네이너 유닛(100)의 마찰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루브부(110)는 외향 돌출되어 사용자가 컨테이너 유닛(100)을 손으로 잡을 시 외향 돌출된 그루브부(110)로 인하여 마찰력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향신료나 장류는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데, 음식을 조리하는 중 손에는 물이나 기름이 접촉될 수 있으며, 물 또는 기름으로 인하여 용기를 잡게 되면 마찰력으로 인하여 용기를 놓치거나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루브부(110)는 컨테이너 유닛(100)과 손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사용자가 조리 시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컨테이너 유닛(100)은 내부의 각각의 측면에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수직 장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인헤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헤일부(120)의 경우, 내부 측면에 내면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부의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인헤일부(120)는 내부의 음식물의 수용공간을 작지만 미세하게 증가시키며, 인헤일부(120)로 수용된 음식물의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과 음식물의 표면적이 넓어지며 컨테이너 유닛(100)과 닿는 음식물의 경우, 외부와의 간접적 접촉이 가능 할 수 있다.
예컨대, 음식물의 장기 보관을 위하여 냉장보관이 이루어질 경우, 외부와의 간접적 접촉을 통할 수 있는데, 컨테이너 유닛(100)에 수용된 음식물의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의 내부 표면과 접촉된 음식물은 외부와 온도가 동일하지만, 컨테이너 유닛(100)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경우, 외부와의 온도차이가 날 수 있다.
인헤일부(120)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내부 표면과 음식물의 접촉면적을 넓혀주어 음식물의 냉장보관이 이루어질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의 내부와 접촉하는 음식물이 간접적으로 외부와 접촉하는 공간을 증가시켜 컨테이너 유닛(100)내부의 음식물의 온도를 외부의 냉장 온도와 거의 동일하게 맞춰 줄 수 있다.
또한, 인헤일부(120)는 너비와 깊이가 하향 확대되어 음식물과 컨테이너 유닛(100) 사이의 통기 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잔류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인헤일부(12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향할수록 확대되며, 컨테이너 유닛(100)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될 경우, 음식물과 컨테이너 유닛(100) 사이에 공기가 원활히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인헤일부(120)는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탈락될 경우 내부에 통기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내부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젤화를 이루는 음식물의 경우,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음식물을 밀어내어 컨테이너 유닛(100)에는 잔류되는 음식물 없이 깨끗하게 외부로 탈락되어질 수 있다.
또한, 인헤일부(120)는 통기 공간을 통하여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탈락될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에 남아 있는 음식물의 잔류를 최소화하며, 음식물의 잔류 최소화는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컨테이너 유닛(100)에 남아 버려지는 음식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컨테이너 유닛(100)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폭이 넓어지는 슬로프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슬로프부(130)의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의 면적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점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부(13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넓이를 점차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딱딱한 음식물의 경우, 하부로 향할수록 그 폭이 넓어지면, 내용물을 밖으로 꺼낼 경우 매우 힘들 수 있으며 이는 음식물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상부에서 내부의 내용물을 적절하게 꺼낼 수 있는 것이 마땅한데, 상부가 하부에 비해 좁게 되면 내부의 내용물을 꺼내기 힘들 뿐 아니라, 내용물 확인도 힘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슬로프부(130)는, 상부로 향할수록 컨테이너 유닛(100)의 면적을 증가시키며, 음식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지연시키는 것이다.
슬로프부(130)는 하부에 비해 상부가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부로 향할수록 컨테이너 유닛(100)의 면적을 증가시켜 음식물이 컨테이너 유닛(100)에 담기는 경우, 상부가 더 많은 양이 담길 수 있게 하여 음식물이 밖으로 흐르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슬로프부(130)는 많은 폭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여 폭을 넓히지 않는데, 이는 하부의 면적이 어느정도 지면과 닿아야 필름(10)이 제거된 컨테이너 유닛(100)이 음식물을 안전하게 담고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슬로프부(130)가 넓어지는 폭은 컨테이너 유닛(100)의 밑면의 면적에서 적당한 소정의 넓이로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컨테이너 유닛(100)은, 컨테이너 유닛(10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표시하며, 컨테이너 유닛(100)의 평면적을 불연속적으로 증가시켜 음식물의 오버플로우를 지연시키는 인디게이터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게이터부(140)는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유닛(10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인디게이터부(140)는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유닛(100) 내부에 단차를 형성하게 되며, 단차로 인하여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디게이터부(140)의 단차를 소정 외부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면적을 불연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디게이터부(140)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면적을 증가시켜 음식물이 하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 즉, 인디게이터부(140)에 도달하게 되면, 그 면적이 불연속적으로 증가되기에 오버플로우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은 하나의 인디게이터부(140)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컨테이너 유닛(100) 복수 개의 인디게이터부(140)를 형성하게 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인디게이터부(140)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의 면적은 단계별로 증가하게 되며, 증가되는 면적으로 인하여 오버플로우를 더 많은 시간 지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루프 유닛(200)은, 컨테이너 유닛(10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필름(10)으로 실링되는 실링부(2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실링부(210)의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의 상단에서 필름(10)에 실링되는 루프 유닛(200)에 배치되며, 컨테이너 유닛(100)의 상단에 소정 돌출되게 된다.
소정 돌출되는 실링부(210)는 필름(10)과 접촉할 수 있는 너비를 가지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실링부(210)는 필름(10)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실링부(210)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각 상단 측면에서 소정 돌출되어 필름(10)과 접촉되는 동시에 사용자가 그립을 형성할 시 그립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음식물이 컨테이너 유닛(100)에서 배출될 경우, 실링부(210)로 인해 그립 경계를 형성하지 않으면 음식물이 컨테이너 유닛(100) 외측 측면으로 흘러나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실링부(210)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컨테이너 유닛(100)의 그립 경계를 형성하여 컨테이너 유닛(100) 내부의 음식물이 배출될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이 접촉되어 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실링부(210)는, 필름(10)을 통해 컨테이너 유닛(100)을 실링하며, 음식물의 플로우(flow)를 방지하며, 임의 설정된 외부 힘으로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실링부(210)는 필름(10)으로 실링되어 외부로 음식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로 음식물이 탈락되기 위하여 임의 설정된 외부 힘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210)와 필름(10)사이의 실링은 단단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압으로 인하여 필름(10)이 열리거나 찢기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실링부(210)는 사용자의 임의의 힘으로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필름(10)에 열림을 위한 폭이 증가된 열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210)는 외부의 다른 힘으로 열림이 가능하지 않도록 적당한 너비를 가지고 필름(10)과 융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10)과 실링부(210)사이에 수분이나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당하게 실링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름(10)과 실링부(210)는 실링으로 인하여 외부의 공기와 수분으로부터 차단되어야 하며, 외부의 압력에 대한 저항력도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쉽게 음식물이 필요할 경우,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실링부(210)는, 루프 유닛(200)과 필름(10)이 상호 결착된 부분으로부터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필름(10)은 사용자가 외부 힘을 설정하는 방향까지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음식물이 필요할 경우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링부(210)는 필름(10)과의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열림을 설정하는 힘의 방향까지만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향신료 중 가루로 된 음식물의 경우, 사용자가 컨테이너 유닛(100)의 바닥면을 확인하지 못하고 측면이 지면을 향하게 되면, 컨테이너 유닛(100)의 가루가 모두 흘러나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열림을 설정하는 방향까지만 필름(10)의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면, 필름(10)이 결착된 부분은 컨테이너 유닛(100)으로부터 흐름을 방지하거나 내용물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컨테이너 유닛(100)은, 내부의 저면에 돌출부(150)를 포함하여 음식물의 하중을 견디며, 내부로부터 음식물이 용이하게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유닛(100)은 내부에 돌출부(150)를 포함하는데, 내부의 돌출부(150)는 컨테이너 유닛(1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어지는 구성이다.
컨테이너 유닛(1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된 돌출부(150)의 경우, 음식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의 저면을 보강하여 음식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저면에 생성된 돌출부(150)는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로 탈락되는 경우, 외부의 약간의 자극에 의하여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저면에 생성된 돌출부(150)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 개로 형성될 경우, 내부 음식물을 외부로 탈락시키는데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별 소포장 용기의 실링부(210)는 필름(10)과 3중 융착을 통해 음식물을 보호하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실링부(210)와 필름(10)은 적절한 힘으로 결착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3중 융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210)와 필름(10)은 3번의 융착으로 인하여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외부의 수분이나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실링부(210)는 3중 융착을 위한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210)와 필름(10)은 3번의 융착을 통하여 외부의 자극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반이나 포장 중 내용물의 변형이나 음식물 내부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중 융착의 경우, 사람의 임의의 힘으로 인하여 적절하게 열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임의의 힘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경우, 컨테이너 유닛(100)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실링부(210)에 필름(10)을 실링하는 경우, 너무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며, 너무 많은 공정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도록 적절하게 필름(10)을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필름
100: 컨테이너 유닛
110: 그루브부
120: 인헤일부
130: 슬로프부
140: 인디게이터부
150: 돌출부
200: 루프 유닛
210: 실링부

Claims (10)

  1. 음식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음식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유닛(container unit); 및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필름으로 실링되는 루프 유닛(roof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각각의 측면에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외향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그루브(groove)부;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의 수용정도를 표시하며,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평면적을 불연속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음식물의 오버플로우를 지연시키는 인디게이터부(indicator); 및
    내부의 각각의 측면에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수직 장방향 이격되어 배치되는 인헤일(inhale)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헤일부는,
    너비와 깊이가 하향 확대되어 상기 음식물과 상기 컨테이너 유닛 사이의 통기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음식물의 잔류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상기 인디게이터부는,
    상기 컨테이너 유닛 내부에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를 통해 음식물 수용정도를 확인하며,
    상기 다수 개의 그루브부는,
    사용자가 상기 컨네이너 유닛에 그립을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손과 상기 컨네이너 유닛의 마찰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그 폭이 넓어지는 슬로프(slope)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로프부는,
    상부로 향할수록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면적을 증가시키며, 상기 음식물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유닛은,
    상기 컨테이너 유닛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름으로 실링되는 실링(seal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필름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유닛을 실링하며, 상기 음식물의 플로우(flow)를 방지하며, 임의 설정된 외부 힘으로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루프 유닛과 상기 필름이 상호 결착된 부분으로부터 결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필름은 사용자가 외부 힘을 설정하는 방향까지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유닛은,
    내부의 저면에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음식물의 하중을 견디며, 상기 내부로부터 상기 음식물이 용이하게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필름과 3중 융착을 통해 상기 음식물을 보호하며, 상기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소포장 용기.

KR2020200000376U 2020-01-29 2020-01-29 개별 소포장 용기 Active KR200492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76U KR200492398Y1 (ko) 2020-01-29 2020-01-29 개별 소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376U KR200492398Y1 (ko) 2020-01-29 2020-01-29 개별 소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398Y1 true KR200492398Y1 (ko) 2020-10-05

Family

ID=7280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376U Active KR200492398Y1 (ko) 2020-01-29 2020-01-29 개별 소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98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91Y1 (ko) 2006-09-27 2006-12-22 김동호 식품 포장용기
KR100819544B1 (ko) 2006-10-23 2008-04-07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생육용 포장용기
KR200469040Y1 (ko) 2013-05-21 2013-09-12 (주)경인팩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150090324A (ko) * 2014-01-27 2015-08-06 손진현 포장용기 내부에 포크보관부를 구성한 플라스틱시트 성형 포장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5174689A (ja) * 2014-03-18 2015-10-0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容器入り食品
KR101664026B1 (ko) 2014-05-16 2016-10-10 정영환 양념 보관 용기
JP2017137065A (ja) * 2016-02-01 2017-08-10 中央化学株式会社 包装用容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91Y1 (ko) 2006-09-27 2006-12-22 김동호 식품 포장용기
KR100819544B1 (ko) 2006-10-23 2008-04-07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생육용 포장용기
KR200469040Y1 (ko) 2013-05-21 2013-09-12 (주)경인팩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150090324A (ko) * 2014-01-27 2015-08-06 손진현 포장용기 내부에 포크보관부를 구성한 플라스틱시트 성형 포장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5174689A (ja) * 2014-03-18 2015-10-0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容器入り食品
KR101664026B1 (ko) 2014-05-16 2016-10-10 정영환 양념 보관 용기
JP2017137065A (ja) * 2016-02-01 2017-08-10 中央化学株式会社 包装用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798A (en) Compartmentalized food package
US6607764B1 (en) Ventable, microwave-safe food package
US20180297742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commercializing individual frozen food por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90186132A1 (en) Food package having compartmentalized tray configured to stand-up
US20060013929A1 (en) Visually-appealing microwaveable frozen meal
US20190322432A1 (en) Flexible food packaging and associated methods
JP5279179B2 (ja) 即席麺包装体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US7762400B2 (en) Packaging tray
KR200492398Y1 (ko) 개별 소포장 용기
US20020176914A1 (en) Sandwich moisture transmission pocke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987264B1 (ko) 김치 포장용기
GB2154553A (en) Containers for freezing perishable products
US20190283943A1 (en) Food storage cup and lid with enhanced food storage
KR101917670B1 (ko) 즉석 조리용 아귀찜 포장 세트
KR102035342B1 (ko) 조각과일 포장체
US20140272044A1 (en) Efficient food packaging
KR20100004813U (ko) 음식물 포장봉지
JP2005328731A (ja) 包装食品と食品の包装調理方法
KR200305202Y1 (ko) 다종 음식물 포장 용기
KR200488215Y1 (ko) 일회용 포장용기
JP3195250U (ja) トレー型容器
GB2292928A (en) Packing for edible ice
RU142540U1 (ru) Пищевой двухкамерный контейн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0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330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9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