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221B1 - 반찬용 김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반찬용 김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221B1
KR101839221B1 KR1020160104775A KR20160104775A KR101839221B1 KR 101839221 B1 KR101839221 B1 KR 101839221B1 KR 1020160104775 A KR1020160104775 A KR 1020160104775A KR 20160104775 A KR20160104775 A KR 20160104775A KR 101839221 B1 KR101839221 B1 KR 10183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quid source
opening
body por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461A (ko
Inventor
송세현
Original Assignee
송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세현 filed Critical 송세현
Priority to KR102016010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2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는, 다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반찬용 김을 저장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일 영역에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액체 소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액체 소스 저장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반찬용 김이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 및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김 수납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대응하는 길이 및 면적을 갖는 복수의 김이 상기 본체부에 수납될 경우, 상기 복수의 김은 상기 김 수납 보조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김의 하부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된다.

Description

반찬용 김 저장 용기{STORAGE CONTAINER OF LAVER FOR SIDE DISH}
본 발명은 반찬용 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찬용 김과 간장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반찬용 김은 조미 김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조미 김은 기름을 도포한 후 구운 것으로서 소금으로도 간이 되어 있어, 조미 김 하나만으로도 반찬으로 사용되고 있다. 조미 김은 사람 주먹만한 면적의 작은 단위로 절개된 후 소형 플라스틱 용기에 수용되어 포장지로 밀봉된 뒤 유통되고 있다.
마른 김의 경우, 주로 반찬용 보다는 김밥의 재료 등과 같은 형태로 널리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조미 김과 같은 형태로 포장되거나 유통되지는 않고, 조미 김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절개되어 여러 장을 한 묶음 단위로 해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마른 김의 경우도 간장과 함께 섭취할 경우 반찬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마른 김은 조미 김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공되기 때문에, 마른 김에 대한 반찬용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조미 김의 경우, 그 자체가 조리되어 유통된 것이기 때문에, 간장과 같은 별도의 액체 소스가 없이도 반찬으로 섭취되기 용이하다. 그러나, 마른 김의 경우 조미 김과 같은 조리 과정을 거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간장이 있어야만 소비자들이 맛있게 반찬으로 섭취할 수 있다. 다만, 마른 김의 경우 조미 김과 같이 특별한 플라스틱 용기와 포장지와 같은 형태로 포장되어 공급되고 있지 않으며, 기존의 조미 김 포장지라 하더라도 간장을 별도로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즉, 마른 김과 간장을 함께 저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저장 용기가 종래에 없어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찬용 김과 액체 소스(예를 들어, 간장)을 함께 수용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형태의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는, 다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반찬용 김을 저장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일 영역에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액체 소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액체 소스 저장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반찬용 김이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 및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김 수납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대응하는 길이 및 면적을 갖는 복수의 김이 상기 본체부에 수납될 경우, 상기 복수의 김은 상기 김 수납 보조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김의 하부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된다.
본 발명은 반찬용 김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에 간장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가 반찬용 김과 간장을 한번에 쉽고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마른 김에 대해서 소비자가 반찬으로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이 내측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수납된 반찬용 김이 그 절개 부분에 의해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배치됨으로써, 생산자가 쉽게 김 저장 용기에 김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가 쉽게 김을 저장 용기로부터 집어 먹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측부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의 측부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반찬용 김이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반찬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여러 장의 작은 크기의 김을 포장하여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조미 김과 마른 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100)는 본체부(110), 액체 소스 저장부(120), 김 수납 보조부(130), 액체커버필름(210), 김커버필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다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반찬용 김을 저장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나, 김 수납 보조부(130)에 의해 하부 모서리의 일 영역이 평면으로 대체됨에 따라 7면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액체 소스 저장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의 일 영역에 본체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액체 소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홈 형태로 구성된다. 특히, 액체 소스 저장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소스 저장부(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육면체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액체 소스 저장부(120)는 5개의 면으로 구성되며, 4개의 측면과 1개의 바닥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중 개구부와 인접한 측면(120a)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이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측면(120a)이 본체부(110)의 상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반찬용 김이 수납될 때 수납되는 방향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반찬용 김의 내부 수납공간을 더욱 넓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상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반찬용 김이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개구부는 액체 소스 저장부(120)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다. 개구부는 반드시 도1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반찬용 김이 수용될 수 있을만한 크기의 개구공간을 갖도록 본체부(110)의 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김 수납 보조부(130)는 액체 소스 저장부(120)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본체부(110)의 가장자리 영역 중 개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도 2와 같이 반찬용 김 저장 용기(100)의 측단면도 상에서 볼 때, 김 수납 보조부(130)는 직사각형의 일 모서리가 절개되어 제거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부(110)의 일 측면(110a)은 저장 용기(100)가 지면에 배치되었을 때,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띄워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김 수납 보조부(130)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예에 그치지 않으며, 직각으로 절개된 계단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반찬용 김 저장 용기(100)의 측단면도 상에서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절개된 직각 형태를 띄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1개의 계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2 개 이상의 계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하면의 전체 면적 중에서 김 수납 보조부(130)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전체 면적의 절반 미만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반찬용 김 저장 용기(100)를 지면이나 식탁 등에 놓았을 때,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가지며 세워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김 수납 보조부(130)는 본체부(110)의 모서리 영역의 작은 부분만 깍은 형태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본체부(110)를 하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김 수납 보조부(130)가 차지하는 면적이 절반 미만 (바람직하게 30%미만)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김 수납 보조부(130)의 형상에 의해, 도 2와 같이 본체부(110)의 하면과 대응하는 길이(바람직하게, 본체부(110)의 상면의 장변(長邊) 길이보다 작되 본체부(110)의 하면의 장변 길이보다 긴 길이) 및 면적을 갖는 복수의 김이 상기 본체부(110)에 수납될 경우, 복수의 김은 복수의 김의 하부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김이 개구부를 향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세워지게 된다. 즉,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김을 비스듬하게 넣을 수 있어 쉽게 수납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김을 저장 용기(100)에서 빼내고자 할 때 비스듬하게 세워진 부분을 통해 쉽게 김을 빼낼 수 있게 되므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김 수납 보조부(130)가 제거되고, 본체부(110)가 육면체 형태 그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액체커버필름(210)은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노출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본체부(110)의 상면 중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테두리 영역에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액체커버필름(210)은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테두리 영역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액체 소스의 방출을 방지하는 커버부(212) 및 커버부(212)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되 접착물질이 도포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제거 보조부(211)를 포함한다. 액체커버필름(210)은 씰(seal)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 제거 보조부(211)를 통해 소비자가 액체커버필름(210)을 쉽게 잡고 본체부(1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polyvinyl chloride)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매우 얇고 외부 충격에의해 쉽게 변형이 가능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경우, 액체커버필름(210)의 제거시 밀봉되어 있던 액체 소스가 쉽게 외부로 흩어지거나 쏟아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기존 조미 김의 플라스틱 소재보다는 견고한 두께 또는 견고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부(110)가 기존의 조미 김의 플라스틱 소재와 유사한 PET나 PVC로 구성되되, 액체 소스 저장부(120)만 그보다 더 견고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개구부의 상면을 밀폐하도록 본체부(110)의 상면 중 개구부의 테두리 영역에 접착되는 김커버필름(22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김커버필름(220) 역시 커버부(222)와 커버부 제거 보조부(221)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과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라, 김커버필름(220) 대신, 본체부(110)의 전체를 밀폐하는 포장지(2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포장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포장지일 수 있다. 기존의 조미김 포장지의 경우, 양 측면이 밖으로 돌출된 다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박스에 포장할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직육면체 형태로 포장한 후 박스에 담을 경우, 부피를 많이 차지 하지 않고, 조미김 포장 형태보다 많이 수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포장지의 개봉은 박스의 둘레를 감싸는 씰을 벗기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커버필름(210)과 김커버필름(220) 대신, 본체부 커버필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 커버필름(200)은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노출된 상면과 개구부를 동시에 밀폐하도록 본체부(110)의 상면 중 액체 소스 저장부(120)와 개구부의 테두리 영역(140)에 접착될 수 있다. 본체부 커버필름(200)은 김과 액체소스가 각각 본체부(110)와 액체 소스 저장부(120)에 수용된 이후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한번에 제거될 수 있는 접착력으로 본체부(110)의 테두리 영역(140)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소비자가 한번에 하나의 커버필름만 제거함으로써, 개구부와 액체 소스 저장부(120)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소스 저장부(120)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다르게 본체부(110)와 물리적으로 독립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실시예의 경우, 개구부는 본체부(110)의 상면 전체를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액체 소스 저장부(120)는 본체부(110)에 거치되었다가 분리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와 별도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액체 소스 저장부(120)는 액체 소스 수용부(121)와 테두리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액체 소스 수용부(121)는 제1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측면과 1개의 바닥면으로 구성되며 본체부(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을만한 크기로 형성된다. 테두리부(122)는 액체 소스 수용부(121)가 본체부(110)의 상면 테두리(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액체 소스 수용부(121)로부터 측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체부(110)의 상면의 테두리(140) 역시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테두리부(122)가 거치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의 테두리(140)의 폭을 제 1 폭이라하고,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테두리부(122)의 폭을 제 2 폭이라 할 때, 도 6과 같이 제 2 폭은 상기 제 1 폭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 커버필름(200)은 본체부(110)의 상면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제 1 폭 및 제 2폭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부(110)와 액체 소스 저장부(120)의 상면의 테두리(122, 1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4실시예도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비자가 한번에 본체부 커버필름(200)을 제거하는 동작만으로 액체 소스 저장부(120)와 본체부(110)를 함께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측면 중 개구부와 김 수납 보조부(130) 사이의 측면 영역은 개방된 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본체부(110)의 김 수납 보조부(130)의 상측으로 연결된 측면(110a)이 제거되어 도 7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110)에 담겨진 복수의 김은 도 3과 같이 포장지에 의해 한번에 밀봉되거나, 도 1의 김커버필름(220)이 더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밀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김이 수납되는 개구부 영역이 도 1보다는 좁게 형성될 경우, 본체부(110)의 일부 측면영역에만 김을 출입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담배 케이스와 같이 일부 측면 영역에만 개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의 일 측면 영역에 개구공간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미도시)가 구성될 경우, 김커버필름을 구성할 필요없이 단순 개폐 작업만으로 쉽게 김을 빼내어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개구 공간이 더 넓어지게 되므로, 김이 출입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비자는 저장 용기(100)에 담겨진 김을 섭취할 때 더욱 쉽게 김을 빼 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반찬용 김 저장 용기 110 : 본체부
120 : 액체 소스 저장부 130 : 김 수납 보조부
200 : 본체부 커버필름 210 : 액체커버필름
220 : 김커버필름

Claims (10)

  1. 반찬용 김 저장 용기에 있어서,
    다면체 형태로 구성되어 반찬용 김을 저장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일 영역에 상기 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액체 소스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액체 소스 저장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타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반찬용 김이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 및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 영역 중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김 수납 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대응하는 길이 및 면적을 갖는 복수의 김이 상기 본체부에 수납될 경우, 상기 복수의 김은 상기 김 수납 보조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김의 하부 영역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기울기를 갖되, 상기 기울기는 지면과 예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측면 중 상기 개구부와 상기 김 수납 보조부 사이의 측면 영역은 개방된 채로 형성되어, 상기 김이 출입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김 수납 보조부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평면 또는 직각으로 절개 된 계단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면의 전체 면적 중에서 상기 김 수납 보조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전체 면적의 절반 미만이고 상기 액체소스 저장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된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소정의 기울기는 지면과 예각의 기울기를 갖게 형성 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 영역에 상기 개구부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가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인, 반찬용 김 저장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의 노출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의 테두리 영역에 접착되는 액체커버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액체커버필름은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의 테두리 영역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액체 소스의 방출을 방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로부터 일 측으로 연장되되 접착물질이 도포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제거 보조부;를 포함하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면을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영역에 접착되는 김커버필름을 더 포함하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체를 밀폐하는 포장지를 더 포함하는, 반찬용 김 저장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의 노출된 상면과 상기 개구부를 동시에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상면 중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영역에 접착되는 본체부 커버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커버필름은 김과 액체소스가 각각 상기 본체부와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에 수용된 이후 부착되며, 한번에 제거될 수 있는 접착력으로 상기 본체부에 접착되는 것인, 반찬용 김 저장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전체를 개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는, 상기 본체부에 거치되었다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와 별도로 형성되되,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의 상면의 테두리가 상기 본체부의 상면 테두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인, 반찬용 김 저장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의 테두리는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 1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소스 저장부의 상면의 테두리는 제 2 폭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2 폭은 상기 제 1 폭과 같거나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반찬용 김 저장 용기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폭 및 제 2폭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부와 액체소스 저장부의 상면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본체부 커버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반찬용 김 저장 용기.
  10. 삭제
KR1020160104775A 2016-08-18 2016-08-18 반찬용 김 저장 용기 KR10183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75A KR101839221B1 (ko) 2016-08-18 2016-08-18 반찬용 김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75A KR101839221B1 (ko) 2016-08-18 2016-08-18 반찬용 김 저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61A KR20180020461A (ko) 2018-02-28
KR101839221B1 true KR101839221B1 (ko) 2018-03-15

Family

ID=6140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75A KR101839221B1 (ko) 2016-08-18 2016-08-18 반찬용 김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2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61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5510B2 (en) Ventilated container apparatus
TW201808741A (zh) 食物保鮮盒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US20080251526A1 (en) Modular storage bin
KR101839221B1 (ko) 반찬용 김 저장 용기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JP2008174278A (ja) 加工食品用容器
JP2001114317A (ja) 食品保存容器
KR101162291B1 (ko) 포장용 용기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KR200479539Y1 (ko) 계란 포장용기
KR101068831B1 (ko) 계단형 샌드위치 포장용기
JP2004275233A (ja) 弁当箱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JP7259276B2 (ja) 蓋付き容器
KR200478210Y1 (ko) 포장 용기
KR101477620B1 (ko) 과일포장용 용기
JP3116865U (ja) 筒状包装容器
JP2003191937A (ja) 食品用容器
ES2365559T3 (es) Paquete para tabaco.
KR20210026801A (ko) 음식물 포장용기
KR200345043Y1 (ko) 다기 세트 포장 및 진열용 상자
KR20090113065A (ko) 구획되는 저장 공간을 갖는 인스턴트 음식물 저장 용기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JP3757262B2 (ja) 野菜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