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620B1 - 과일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과일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620B1
KR101477620B1 KR1020140002385A KR20140002385A KR101477620B1 KR 101477620 B1 KR101477620 B1 KR 101477620B1 KR 1020140002385 A KR1020140002385 A KR 1020140002385A KR 20140002385 A KR20140002385 A KR 20140002385A KR 101477620 B1 KR101477620 B1 KR 10147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handle
container
presen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주산업
Priority to KR102014000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좌부가 형성되고 상기 난좌부의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역시 난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과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부는 힌지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몸체와 덮개의 난좌부에는 손잡이부와 힌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45°각도로 기울어진 평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과일포장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과일의 신선도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과일의 상품성 손실을 방지하고,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더라도 선물용으로 사용시 포장비용의 추가비용부담을 줄이며, 포장용기에 형성된 평면부에 의해 적층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일 포장용 용기가 평면부에 의해 서로 적층가능하되 적층상태에서는 손잡이 방향이 평면부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용기의 적층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일보관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과일포장용 용기{Fruit packing case}
본 발명은 과일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 포장용 용기가 평면부에 의해 용이한 적층과 안정적인 적층을 가능하도록 하고, 또 적층상태에서는 손잡이 방향이 평면부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져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용기의 적층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일보관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과일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 사과 등의 과일을 수확하여 판매할 때는 포장박스에 다수의 과일을 포장하여 판매를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족이 소규모화되고 물류시스템의 발달로 과일을 구매가 용이하여 소비자들이 과일을 대량으로 구입하지 않는 추세이다.
따라서 마트 등에서는 과일을 소량으로 구입하면 비닐봉지에 담아주기도 하나, 이는 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또 선물용으로는 성의가 없어보여 비닐 포장을 꺼리는 단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소량의 과일을 투명한 비닐용기, 즉 과일포장용 용기에 담아 진열하고 이를 판매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과일포장용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개 과일을 넣기 위한 난좌부가 형성되고 상기 난좌부의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역시 난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와, 몸체에 덮개를 덮었을 때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과일포장용 용기는 난좌부가 대개 동그란 과일의 형상에 맞추어 반구형(半球形)을 이루는 구조여서 몸체와 덮개의 난좌부 상하단을 편평하게 형성하더라도 이들을 적층하기란 쉽지 않는 구조이다.
더구나 이들을 적층하였다 하더라도 손잡이가 측면으로 수평상태로 돌출되는 구조여서 손잡이가 돌출된 면적만큼은 다른 과일포장용 용기를 적층할 수 없게 되어 과일 보관 면적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50929호,
2.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61205호
3.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8795호
따라서 본 발명은 과일포장용 용기를 이루는 몸체와 덮개의 난좌부에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도록 평면부를 형성하되 상기 평면부가 손잡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결국 평면부에 의해 과일포장용 용기가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손잡이의 방향이 평면부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과일포장용 용기가 서로 적층되었을 경우 손잡이는 과일포장용 용기와 용기 사이의 공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국 용기적층면적 보다 손잡이가 측면으로 더 돌출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과일보관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난좌부가 형성되고 상기 난좌부의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역시 난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과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부는 힌지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몸체와 덮개의 난좌부에는 손잡이부와 힌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45°각도로 기울어진 평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일 포장용 용기가 서로 적층가능토록 하되, 하부에 위치한 용기의 평면부 위에 상부에 위치한 용기의 평면부가 얹혀져 적층되도록 하고, 손잡이 방향은 평면부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과일포장용 용기는 과일의 신선도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과일의 상품성 손실을 방지하고,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더라도 선물용으로 사용시 포장비용의 추가비용부담을 줄이며, 포장용기에 형성된 평면부에 의해 적층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과일 포장용 용기가 평면부에 의해 서로 적층가능하되 적층상태에서는 손잡이 방향이 평면부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용기의 적층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일보관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과일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다른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용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포장용 용기의 다른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과일 포장용 용기(100)는 난좌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난좌부(21)의 일측에 손잡이부(22)를 구비하는 몸체(20)와, 역시 난좌부(11)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부(12)를 구비하는 덮개(10)와, 상기 몸체(20)와 덮개(10)를 연결하는 힌지부(15)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20)와 덮개(10)의 손잡이부(12)는 힌지부(15)와 동일한 선상(線上)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몸체(20)와 덮개(10)의 난좌부에는 손잡이부(12)와 힌지부(15)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45°각도로 기울어진 평면부(16,26)가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15)는 몸체(20)와 덮개(10)의 연결수단으로도 사용되며, 상기 힌지부(15)에 의해 몸체(20)와 덮개(10)를 절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평면부(16,26)는 본 발명 과일 포장용 용기(100)들을 위로 적층할 때 적층을 용이하게 하고, 안정적인 적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따라서 결국 본 발명은 하부에 있는 과일 포장용 용기(100)의 평면부(16), 즉 덮개(10)의 평면부(16) 위에 상부에 위치하는 과일 포장용 용기(100)의 평면부(26), 즉 몸체(20)의 평면부(16)가 얹혀져 적층되는 구조로, 이처럼 하부에 위치한 과일 포장용 용기(100)의 평면부(16) 위에 상부에 위치한 과일 포장용 용기(100)의 평면부(26)가 얹혀져 적층되면 손잡이부(12)의 방향은 상기 평면부(16,26)에 대해 위를 향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 과일 포장용 용기(100)들은 손잡이부(12) 방향이 평면부(16,26)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손잡이부(12)가 적층된 과일 포장용 용기(100)이 차지하는 적층면적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되지 않게 되고, 이는 곧 적층되는 과일 포장용 용기(100)끼리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어서 과일 포장용 용기(100)의 보관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부(12)에도 결합돌기(13)와 결합홈(23)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결속수단(17,27)을 형성하여 몸체(20)와 덮개(1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함은 당연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 과일포장용 용기
10 : 덮개 15 : 힌지(hinge)부
20 : 몸체 25 : 보강리브
11, 21 : 난좌부 12, 22 : 손잡이부
13 : 결합돌기 23 : 결합홈
16, 26 : 평면부 17, 27 : 결속수단

Claims (2)

  1. 난좌부가 형성되고 상기 난좌부의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역시 난좌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과일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의 손잡이부는 힌지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몸체와 덮개의 난좌부에는 손잡이부와 힌지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45°각도로 기울어진 평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포장용 용기는 서로 적층가능토록 하되, 하부에 위치한 용기의 평면부 위에 상부에 위치한 용기의 평면부가 얹혀져 적층되도록 하고, 손잡이 방향은 평면부에 대해 45°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포장용 용기.
KR1020140002385A 2014-01-08 2014-01-08 과일포장용 용기 KR10147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85A KR101477620B1 (ko) 2014-01-08 2014-01-08 과일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85A KR101477620B1 (ko) 2014-01-08 2014-01-08 과일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620B1 true KR101477620B1 (ko) 2014-12-30

Family

ID=5268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385A KR101477620B1 (ko) 2014-01-08 2014-01-08 과일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100248B4 (en) * 2015-12-25 2016-08-04 Fu-Yu Hsieh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9Y1 (ko) * 2001-08-03 2001-11-22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과일 포장용기
KR200311971Y1 (ko) * 2003-02-14 2003-05-01 (주) 코리아임팩트 적재시 유동방지를 위한 과일 포장용기
KR200361205Y1 (ko) * 2004-06-25 2004-09-07 문완기 과일 포장용기
KR200444080Y1 (ko) * 2007-09-19 2009-04-10 주식회사 명진산업 과일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29Y1 (ko) * 2001-08-03 2001-11-22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과일 포장용기
KR200311971Y1 (ko) * 2003-02-14 2003-05-01 (주) 코리아임팩트 적재시 유동방지를 위한 과일 포장용기
KR200361205Y1 (ko) * 2004-06-25 2004-09-07 문완기 과일 포장용기
KR200444080Y1 (ko) * 2007-09-19 2009-04-10 주식회사 명진산업 과일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100248B4 (en) * 2015-12-25 2016-08-04 Fu-Yu Hsieh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KR101621919B1 (ko) 밑면공간형 조립식상자
KR101477620B1 (ko) 과일포장용 용기
KR200452126Y1 (ko) 쿠키 포장상자
AU2016100248A4 (en) Container
KR200444080Y1 (ko) 과일 포장용기
KR200453822Y1 (ko) 포장용기
KR20180000716U (ko) 하나의 박스함체에 양쪽으로 덮개가 형성된 포장박스
US8875984B2 (en) Knock-down packaging apparatus
AU2013206121A1 (en) Improved Container and Blanks Therefor
KR101439743B1 (ko) 아이스 버킷으로 이용 가능한 주류 용기 포장용 케이스
KR20180107380A (ko) 가변형 식품포장용기
KR20140069759A (ko) 밀폐형 농산물 보관 상자
JP3212220U (ja) 食品用容器
KR101997678B1 (ko) 음식물 포장상자
JP3214341U (ja) 食品用容器
KR20110098205A (ko) 포장용 용기
KR101380304B1 (ko) 다목적 컵
KR20170011880A (ko) 포장용 박스
JP3167921U (ja) 折り畳み式密閉容器
KR20140019180A (ko) 포장용 상자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KR20080114121A (ko) 상부개방 포장상자
KR20190015676A (ko) 농수산물 운반용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