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247B1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247B1
KR100732247B1 KR1020060035479A KR20060035479A KR100732247B1 KR 100732247 B1 KR100732247 B1 KR 100732247B1 KR 1020060035479 A KR1020060035479 A KR 1020060035479A KR 20060035479 A KR20060035479 A KR 20060035479A KR 100732247 B1 KR100732247 B1 KR 10073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ealing
container
clos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프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프라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프라콘
Priority to KR102006003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식품 등을 저장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2)와 뚜껑(3)이 나사(5)(5a) 체결된 용기(1)가 넘어지거나 운반 중 내용물이 출렁거리더라도 상기 뚜껑(3)에 형성된 내측 밀폐부재(9)의 경사진 밀폐 면(9b)과 몸체(2)의 상부에 내측에 형성된 경사진 밀폐 면(9a)에 의해 1차 밀폐되고, 상기 몸체(2)의 플랜지(6)에 형성된 밀폐부재(7)와 뚜껑(3)에 형성된 밀폐부재(7a)를 구성하는 각각의 밀폐 돌기(10)(10a)와 밀폐 홈(11)(11a)에 의해 2차 밀폐되며, 상기 뚜껑(3)에 형성된 외측 밀폐부재(8)의 경사진 밀폐 면(8b)과 몸체(2)의 플랜지(6) 외측에 형성된 경사진 밀폐 면(8a)에 의해 3차 밀폐되게 하여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각종 식료품 등을 담는 몸체와 뚜껑 사이에 패드(Pad) 또는 패킹(Packing)을 끼우지 않고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처럼 밀폐를 위해 별도 제작된 PㆍE 발포 패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용기, 몸체, 뚜껑, 밀폐부재, 밀폐 돌기, 밀폐 홈, 나사, 패드

Description

밀폐 용기{WATER TIGHT STRUCTURE FOR DOMESTIC CONTAINERS}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 일부를 자른 상태 사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용기를 구성하는 몸체와 뚜껑을 분리한 상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 4b,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용기 일부를 자른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 2 : 몸체
3 : 뚜껑 6 : 플랜지
7. 7a : 밀폐부재 8 : 외측 밀폐부재
9 : 내측 밀폐부재 8a. 8b. 9a. 9b : 밀폐 면
10. 10a : 밀폐 돌기 11. 11a : 밀폐 홈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 등을 담는 몸체와 뚜껑 사이에 밀폐용 패드(Pad) 또는 패킹(Packing)을 끼우지 않고도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식품이나 음용수 등을 담는 일반적인 용기{통과 병 등을 총칭한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500a)가 내측면에 형성된 뚜껑(300)에 발포 패드{Pad}(600) 또는 패킹{Packing}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뚜껑(300)을 내용물이 담긴 몸체(200)의 목{Neck}(400)에 형성된 나사(500)와 체결함으로써 내용물(김치의 국물 등)이 새지 않도록 밀폐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용기(100)는 밀폐력을 갖는 발포 패드(600) 또는 패킹을 별도 제작하여 뚜껑(300)에 끼우거나 부착하는 관계로 비용 부담이 늘어나고, 최근 일본 등에서는 환경 문제로 PㆍE 발포 패드(600)의 사용을 금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패드(600) 또는 패킹을 사용하지 않는 밀폐 용기의 개발과 보급이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종 식료품 등을 담는 몸체와 뚜껑 사이에 패드(Pad) 또는 패킹(Packing)을 끼우지 않고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고, PㆍE 발포 패드 사용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밀폐 용기 구성을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밀폐 용기는 나사로 체결되는 몸체와 뚜껑 사이에 패드(Pad) 또는 패킹(Packing)을 끼우거나 부착하지 않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상기 몸체와 뚜껑만으로 밀폐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밀폐 용기(1)를 구성하는 몸체(2)와 뚜껑(3)의 일부를 자른 상태 사시도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의 밀폐용기(1)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로써 몸체(2)와 뚜껑(3)에 각각 형성된 밀폐부재(7)(7a)와 외측 밀폐부재(8) 및 내측 밀폐부재(9)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밀폐 용기(1)는 합성수지로 각각 성형된 몸체(2)와 뚜껑(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는 저장할 내용물의 종류와 형태 및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실시 가능하며, 상기 몸체(2)의 상부에 형성되는 목{Neck}(4)의 외측면에는 뚜껑(3)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5a)와 체결되는 나사(5)가 일체 형성된다.
상기 몸체(2)의 상부에 형성된 목(Neck)(4)의 상단부에는 밀폐부재(7)가 형성되는 플랜지(6)가 수평으로 연장되게 일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6)의 윗면에는 밀폐 돌기(10)와 밀폐 홈(11)이 여러 개 형성되고,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각각 경사진 밀폐 면(8a)(9a)이 형성되어 밀폐부재(7)를 구성한다.
상기 뚜껑(3)은 내측면에 몸체(2)의 나사(5)와 체결되는 나사(5a)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 뚜껑(3)의 저면에는 각각의 경사진 밀폐 면(8b)(9b)이 형성된 외측 밀폐부재(8)와 내측 밀폐부재(9)가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밀폐 돌기(10a)와 밀폐 홈(11a)이 여러 개 형성된 밀폐부재(7a)가 일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밀폐 용기(1) 사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를 구성하는 몸체(2) 내에 각종 식품(김치 등)을 담은 다음 뚜껑(3)을 목{Neck}(4)의 상부에 덮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몸체(2)와 뚜껑(3)에 형성된 나사(5)(5a)가 체결되면서 잠기게 된다.
이때, 밀폐 용기(1)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2)의 플랜지(6)에 형성된 밀폐부재(7)의 밀폐 돌기(10)와 밀폐 홈(11)은 뚜껑(3)에 형성된 밀폐부재(7a)의 밀폐 홈(11a)과 밀폐 돌기(10a)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맞물려 밀폐되고, 상기 몸체(2)의 목(4) 상부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6)의 외측 경사진 밀폐 면(8a)에는 뚜껑(3)의 저면에 형성된 외측 밀폐부재(8)의 밀폐 면(8b)이 삽입되어 밀폐되며, 상기 몸체(2)의 목(4) 상부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밀폐 면(9a)에는 뚜껑(3)의 저면에 형성된 내측 밀폐부재(9)의 밀폐 면(9b)이 삽입되어 밀폐된다.
물론 상기 몸체(2)와 뚜껑(3)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이므로 상기 뚜껑(3)을 세게 돌려 닫으면 탄성에 의해 그만큼 밀폐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몸체(2)와 뚜껑(3)이 나사(5)(5a) 체결된 용기(1)가 넘어지거나 운반 중 내용물이 출렁거리더라도 상기 뚜껑(3)에 형성된 내측 밀폐부재(9)의 경사진 밀폐 면(9b)과 몸체(2)의 상부에 내측에 형성된 경사진 밀폐 면(9a)에 의해 1차 밀폐되고, 상기 몸체(2)의 플랜지(6)에 형성된 밀폐부재(7)와 뚜껑(3)에 형성된 밀폐부재(7a)를 구성하는 각각의 밀폐 돌기(10)(10a)와 밀폐 홈(11)(11a)에 의해 2차 밀폐되며, 상기 뚜껑(3)에 형성된 외측 밀폐부재(8)의 경사진 밀폐 면(8b)과 몸체(2)의 플랜지(6) 외측에 형성된 경사진 밀폐 면(8a)에 의해 3차 밀폐되므로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용기(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와 뚜껑(3)에 각각 형성되는 밀폐부재(7)(7a)의 밀폐 돌기(10)(10a)와 밀폐 홈(11)(11a)을 반원 형태로 구성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돌기(10)(10a)와 밀폐 홈(11)(11a)을 사각 형태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7)(7a)를 구성하는 밀폐 돌기(10)(10a)와 밀폐 홈(11)(11a)의 높낮이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용기(1)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와 밀폐 정도의 차이에 따라 몸체(2)에 체결되는 뚜껑(3)의 외측 밀폐부재(8)와 내측 밀폐부재(9)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시키거나 모두 배제시켜 밀폐부재(7)(7a)로만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을 구성하는 외측 밀폐부재(8) 및 내측 밀폐부재(9)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밀폐부재(9)를 구성하는 밀폐 면(9b)에 홈에 의한 탄성을 갖는 돌기(12)를 한 개 이상 형성하여 몸체(2)의 밀폐 면(9a)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외측 밀폐부재(8)를 구성하는 밀폐 면(8b)에 홈에 의한 탄성을 갖는 돌기(12a)를 한 개 이상 형성하여 몸체(2)의 밀폐 면(8a)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 용기는 각종 식료품 등을 담는 몸체와 뚜껑 사이에 패드(Pad) 또는 패킹(Packing)을 끼우지 않고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처럼 밀폐를 위해 별도 제작된 PㆍE 발포 패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측면에 나사(5)가 형성된 몸체(2)의 상단에 밀폐돌기(10)와 밀폐홈(11)을 형성하고, 내측면에 나사(5a)가 형성된 뚜껑(3)의 저면에 상기 몸체(2)의 상단에 형성된 밀폐돌기(10)와 밀폐홈(11)에 각각 대응하는 밀폐돌기(10a)와 밀폐홈(11a)을 형성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용기(1)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상단에 형성되는 밀폐돌기(10)와 밀폐홈(11)은 상기 몸체(2)의 상단 바깥쪽으로 일체 형성한 플랜지(6) 상단에 여러 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35479A 2006-04-19 2006-04-19 밀폐 용기 KR10073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479A KR100732247B1 (ko) 2006-04-19 2006-04-19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479A KR100732247B1 (ko) 2006-04-19 2006-04-19 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247B1 true KR100732247B1 (ko) 2007-06-25

Family

ID=3837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479A KR100732247B1 (ko) 2006-04-19 2006-04-19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2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974A (zh) * 2016-10-21 2018-05-01 丹阳市景顺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防震型密封塑料盖
KR101870192B1 (ko) * 2018-01-22 2018-06-22 주식회사서연피앤씨 립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101870154B1 (ko) * 2017-11-27 2018-07-19 이효근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101922676B1 (ko) * 2017-08-08 2018-11-28 주식회사 셀피알 3단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6351U (ko) * 1974-10-26 1976-05-01
JPS5688653U (ko) * 1979-12-11 1981-07-15
JPS62177651U (ko) * 1986-04-28 1987-11-11
JPH07156955A (ja) * 1993-12-08 1995-06-20 Shinko Kagaku Kk 容器のキャップ装置
JP2000313426A (ja) * 1999-04-28 2000-11-14 Toyo Seikan Kaisha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製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6351U (ko) * 1974-10-26 1976-05-01
JPS5688653U (ko) * 1979-12-11 1981-07-15
JPS62177651U (ko) * 1986-04-28 1987-11-11
JPH07156955A (ja) * 1993-12-08 1995-06-20 Shinko Kagaku Kk 容器のキャップ装置
JP2000313426A (ja) * 1999-04-28 2000-11-14 Toyo Seikan Kaisha Ltd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製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2974A (zh) * 2016-10-21 2018-05-01 丹阳市景顺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防震型密封塑料盖
KR101922676B1 (ko) * 2017-08-08 2018-11-28 주식회사 셀피알 3단 결합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KR101870154B1 (ko) * 2017-11-27 2018-07-19 이효근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KR101870192B1 (ko) * 2018-01-22 2018-06-22 주식회사서연피앤씨 립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CN109561755A (zh) 用于包装产品,特别是化妆品成分的包装
KR200477513Y1 (ko) 발효 식품 밀폐 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BR112021013809A2 (pt) Recipientes e uma tampa para um recipiente, recipiente para uso com uma tampa, tampa para uso com um recipiente, uso de um recipiente e tampa e métodos para encher um recipiente com uma bebida e para formar uma tampa
KR101162291B1 (ko) 포장용 용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613908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0345491B1 (ko) 냉장고용 식품용기의 기밀유지재
KR200402818Y1 (ko)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액체 저장 용기
KR20080043932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380853Y1 (ko)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CN220363768U (zh) 储物盖及包装容器
KR200412357Y1 (ko) 밀폐용기
US20170101228A1 (en) Food Storage Unit
KR200366851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다단식 적층장치
KR200402819Y1 (ko) 시일 없는 포장용기
KR100475629B1 (ko) 밀폐용기
JP2017176317A (ja) 弁当箱
KR100808541B1 (ko) 용기의 절첩뚜껑
KR200316251Y1 (ko) 음식물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