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853Y1 -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853Y1
KR200380853Y1 KR20-2005-0001951U KR20050001951U KR200380853Y1 KR 200380853 Y1 KR200380853 Y1 KR 200380853Y1 KR 20050001951 U KR20050001951 U KR 20050001951U KR 200380853 Y1 KR200380853 Y1 KR 200380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rage container
storage
cros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구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구자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Priority to KR20-2005-0001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8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에 음식물이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깔끔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윗면에는 타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하부 수납용기(100),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200), 전체적으로 요철을 가진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뚜껑으로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위를 덮어주는 덮개(1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Airtight vessel with several acceptance space}
본 고안은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윗면에는 타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하부 수납용기(100),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200), 전체적으로 요철을 가진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뚜껑으로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위를 덮어주는 덮개(10)를 포함하며,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며,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에 음식물이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깔끔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담는 용기로 전통적으로 옹기나 항아리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요즈음에는 재료기술의 발달로 합성수지를 이용한 각종 용기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용기들은 한 용기 당 하나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다.
만약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함으로써 공간적, 비용적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예를 들면 밥과 반찬, 고기와 소스, 야채와 고기, 마른 음식과 젖은 음식 등을 하나의 용기에 담을 수 있다면 그 활용이 광범위하고 편리할 것이다.
그렇지만 2가지 이상의 용기를 담게되는 구조의 용기는 그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은 음식물이 묻어 있어서 사용시 깔끔하게 사용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설령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에 음식물이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깔끔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다면 좋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에 음식물이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깔끔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 수납용기(100), 상부 수납용기(200), 덮개(10)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윗면에는 타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하부 수납용기(100),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200), 전체적으로 요철을 가진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뚜껑으로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위를 덮어주는 덮개(1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의 단면도로, 아래 내용에서 설명되는 제1결합부, 제2결합부를 가지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도 1의 사시도로, 전체적으로 사각기둥과 유사한 형태일 경우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는 도 1의 사시도로, 전체적으로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일 경우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2,3,4,5도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의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덮개(10)의 단면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가 바닥면상에 놓일 때 상기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단면은 네 모서리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네 모서리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되는 정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상기 입체적인 기둥은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중간에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중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납용기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외부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그 단면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수납용기 후크부(124)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120)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덮개(10)와 결합되는 부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기 덮개(10)와 결합되는 부위의 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외부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의 단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가 하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한 부위인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의 상단부 부근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회전가능하게 형상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그 단면 형상이 외부로 연장될수록 외부를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의 중간 부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단면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상기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후크부(224)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210)로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210)는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개방된 윗면의 반대방향인 아래면 부근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가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속으로 삽입되어지는 부분의 부피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부피가 크게 형성될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의 사시도로, 제3결합부, 제4결합부를 가지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제6,7도와 같이,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의 반대방향인 아랫면 부근에 형성되되 제5항의 상기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후크부(224)로 형성되는 상기 제2결합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상기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하부 결합부(26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 형성되되 제4항의 상기 하부 수납용기 후크부(124)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10)의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상부 결합부(280)를 포함하는 제3결합부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10)의 결합수단은 상기 덮개(10)의 하단부 부근에 형성되되 제5항의 상기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후크부(224)로 형성되는 상기 제2결합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납용기 상부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부(15)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20), 상기 제2결합부(210), 상기 제3결합부, 상기 제4결합부(15)의 작용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의 밀폐효과는 더욱 증진된다.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밑면에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에 담긴 음식물이 묻게된다. 그렇지만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는 복수 개의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는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밑면이 직접 식탁면 또는 바닥면에 닿게 하지 않는 발 또는 다리와 같은 작용을 한다. 물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에는 음식물이 묻어 있지 않다.
따라서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에 음식물이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깔끔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중간 수납용기는 각각 그 내부 공간을 분할해 주어 한 용기 내에서도 내용물이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직 분할 칸막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중간 수납용기는 각각 그 내부 공간속으로 더 작은 소형 용기의 형태로 매입되어 한 용기 내에서도 내용물이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형 매입 용기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중간 수납용기, 상기 소형 매입 용기는 공히 서로 다른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직 분할 칸막이도 또한 서로 다른 음식을 분할해서 담을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는 사출성형된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10)는 사출성형된 연질의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으로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음식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고안으로 내부 구성부분의 밑면에 음식물이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깔끔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의 단면도로, 제1결합부, 제2결합부를 가지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로, 전체적으로 사각기둥과 유사한 형태일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시도로, 전체적으로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일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의 사시도로, 제3결합부, 제4결합부를 가지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덮개 15 : 제4결합부
100 : 하부 수납용기 120 : 제1결합부
124 : 하부 수납용기 후크부
200 : 상부 수납용기 210 : 제2결합부
212 :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 215 :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
222 :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 224 :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후크부
260 : 상부 수납용기 상부 결합부 280 : 상부 수납용기 하부 결합부

Claims (10)

  1.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윗면에는 타 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하부 수납용기(100);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그 단면의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입체적인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윗면은 개방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200);
    전체적으로 요철을 가진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뚜껑으로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위를 덮어주는 덮개(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덮개(10)의 단면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가 바닥면상에 놓일 때 상기 바닥면에 평행한 수평단면은 네 모서리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네 모서리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되는 정사각형, 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상기 입체적인 기둥은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중간에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중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간 수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외부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그 단면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수납용기 후크부(124)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 형성되되 상기 덮개(10)와 결합되는 부위를 침범하지 않도록 상기 덮개(10)와 결합되는 부위의 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외부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의 단부에서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전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가 하향으로 연장되기 시작한 부위인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의 상단부 부근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회전가능하게 형상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며 그 단면 형상이 외부로 연장될수록 외부를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의 중간 부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단면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상기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후크부(224);
    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의 반대방향인 아랫면 부근에 형성되되 제5항의 상기 상부 수납용기 수평돌출부(212),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향돌출부(215),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몸체(222), 상기 상부 수납용기 잠금부 후크부(224)로 형성되는 상기 제2결합부(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의 상기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하부 결합부(26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의 개방된 윗면 부근에 형성되되 제4항의 상기 하부 수납용기 후크부(124)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10)의 결합수단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수납용기 상부 결합부(280);
    를 포함하는 제3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 수납용기 하부 결합부(26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납용기 상부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부(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중간 수납용기는 각각 그 내부 공간을 분할해 주어 한 용기 내에서도 내용물이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수직 분할 칸막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중간 수납용기는 각각 그 내부 공간속으로 더 작은 소형 용기의 형태로 매입되어 한 용기 내에서도 내용물이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형 매입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10.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100), 상기 상부 수납용기(200), 상기 중간 수납용기는 사출성형된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10)는 사출성형된 연질의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KR20-2005-0001951U 2005-01-21 2005-01-21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KR200380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951U KR200380853Y1 (ko) 2005-01-21 2005-01-21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951U KR200380853Y1 (ko) 2005-01-21 2005-01-21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853Y1 true KR200380853Y1 (ko) 2005-04-08

Family

ID=4368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951U KR200380853Y1 (ko) 2005-01-21 2005-01-21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8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60B1 (ko) * 2012-08-20 2014-02-06 김덕용 교체 가능한 내부용기를 가지는 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60B1 (ko) * 2012-08-20 2014-02-06 김덕용 교체 가능한 내부용기를 가지는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910B2 (en) Leak-resistant polymeric foam containers
US20170245610A1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an integrated cup
US20100320212A1 (en) Super-thin injection multi-partition individually sealed food container
JP2009018866A (ja) 包装用容器および蓋体
JP5698275B2 (ja) 蓋体と該蓋体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200380853Y1 (ko)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KR200469862Y1 (ko) 적층형 보관용기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KR200398939Y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0468685Y1 (ko) 다기능 용기
KR20160115336A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RU139540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JP2013237464A (ja) 即席食品容器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KR20110098205A (ko) 포장용 용기
JP2006321539A (ja) 包装用容器とその蓋及び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用容器
AU2015261010A1 (en) A lid and a storage system
JP2004275233A (ja) 弁当箱
JP2555467Y2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0338981Y1 (ko) 물품 보관용 다용도 용기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JP3757262B2 (ja) 野菜包装用容器
KR101993264B1 (ko) 사각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