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264B1 - 사각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사각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264B1
KR101993264B1 KR1020180059513A KR20180059513A KR101993264B1 KR 101993264 B1 KR101993264 B1 KR 101993264B1 KR 1020180059513 A KR1020180059513 A KR 1020180059513A KR 20180059513 A KR20180059513 A KR 20180059513A KR 101993264 B1 KR101993264 B1 KR 10199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diaphragm
border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락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피 filed Critical (주)케이엠피
Priority to KR102018005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0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용기의 상단 개방부에 구성된 테두리의 규격과, 뚜껑에 구성된 결합홈의 규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용기와 뚜껑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각용기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뚜껑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뚜껑의 본체 저면 테두리, 즉 곡면부에 구성된 요입부 중앙에 격판을 구성하여 외측판과 격판 사이에 결합홈을 구성하되, 각 모서리에 구성된 요입부에는, 격판을 삭제하여 확장부가 구성되게 함으로서, 용기의 테두리규격이 다소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각용기 뚜껑{SQUARE VESSEL COVER}
본 발명은 사각용기 뚜껑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각용기의 상단 개방부에 구성된 테두리의 규격과, 뚜껑에 구성된 결합홈의 규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용기와 뚜껑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뚜껑은,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담겨진 용기 상부의 테두리에 결합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차단되게 하고, 또한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등의 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동일적재공간에 보다 많은 량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각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주로 사용하고 있는 사각용기와 뚜껑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용기(120) 상단테두리(121)에 사각형상의 뚜껑(100)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뚜껑(100)의 구성은 본체(110) 테두리에 내측판(112)과 외측판(111)을 형성시켜 그 사이에 요입부(113)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113) 중앙에 이를 구획하는 격판(114)을 돌출구성하여, 외측판(111)과 격판(114) 사이에 결합홈(115)을 구성하고, 외측판(111) 내측면에는 경사돌부(116)를 구성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뚜껑(100)의 본체(111) 테두리에 요입부(113)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113) 중앙에 격판(114)을 돌출구성시켜 격판(114)과 외측판(111) 사이에 대체로 좁게 구성된 결합홈(115)이 구성되게 한 것이다.
사각형상의 용기(120) 및 뚜껑(100)의 제조는 여러 업체에서 규격화된 상태로 사출성형되고 있으나, 각 회사의 성형조건이나 소재의 종류 등 여러 외부요인에 의해 성형된 용기(120) 및 뚜껑(100)의 신축조건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사각용기(120) 및 뚜껑(100)의 경우 사용자가 동일회사의 제품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회사의 제품을 구매,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유통과정에서는 여러 회사의 제품들이 함께 사용된다.
따라서 성형된 제품의 경우 제작사의 용기와 뚜껑의 경우에는 대부분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서로 다른 회사의 용기와 뚜껑의 경우 뚜껑(100)에 형성된 결합홈(115)과 용기(120) 상단테두리(121)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뚜껑(100) 저면에 구성된 결합홈(115)의 경우 외측판(111)과 격판(114) 사이에 좁게 구성되어 있어, 뚜껑(100)을 용기 테두리(121)에 결합하고자 할 때 규격이 조금만 틀리더라도 테두리(121)의 직선구간에는 결합이 가능하나, 모서리에 원호형으로 구성된 용기(120)의 테두리(121)와, 뚜껑(100)의 모서리에 구성된 원호형의 결합홈(115)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결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용기 뚜껑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212614호 "용기 뚜껑"(특허문헌 1)과, 실용신안등록 제20-0278624호 "식품용기뚜껑"(특허문헌 2)과, 특허 제10-1829130호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뚜껑의 과제수단들은 주로 밀폐를 우선적으로 하면서, 특허문헌 2의 경우 뚜껑의 분실방지와 개방된 뚜껑에 취향에 따라 음식물을 놓을 수 있게 하며, 특허문헌 3의 경우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용 패킹이 필요없으며, 뚜껑의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뚜껑을 제공토록 한다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12614호 "용기 뚜껑" 실용신안등록 제20-0278624호 "식품용기뚜껑" 특허 제10-1829130호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본 발명은 사각용기의 상단 개방부에 구성된 테두리의 규격과, 뚜껑에 구성된 결합홈의 규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용기와 뚜껑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각용기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뚜껑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뚜껑의 본체 저면 테두리에 구성된 요입부 중앙에 격판을 구성하여 외측판과 격판 사이에 결합홈을 구성하되, 각 모서리, 즉 곡면부에 구성된 요입부에는, 격판을 삭제하여 확장부가 구성되게 함으로서, 용기의 테두리규격이 다소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용기의 상단 테두리에 결합되는 뚜껑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뚜껑의 본체 저면 테두리에 구성된 요입부 중앙에 격판을 구성하여 외측판과 격판 사이에 결합홈을 구성하되, 각 모서리, 즉 곡면부에 구성된 요입부에는, 격판을 삭제하여 확장부가 구성되게 함으로서, 용기의 테두리규격이 다소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용기와 뚜껑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뚜껑이 적용되는 사각용기의 사시도
도 2 :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뚜껑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 뚜껑의 저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뚜껑의 결합부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뚜껑의 확장부 단면구성도
도 7 : 종래 사각용기와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8 : 종래 뚜껑의 사시도
도 9 : 종래 뚜껑의 저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발명이 적용된 사각용기(60) 및 뚜껑(10)의 상세구성도로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다.
사각용기(60)는 상단부에 테두리(61)가 구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곡면부(62)가 형성된다.
사각용기(60)의 상단테두리(61)에 결합되는 뚜껑(1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뚜껑(10)의 본체(20) 저면테두리에 내측판(21)과 외측판(22)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요입부(23)를 구성하고, 각 모서리에는 곡면부(24)를 구성한다.
뚜껑(10)의 본체(20) 테두리에 구성된 요입부(23) 중앙에는 내측판(21)과 외측판(22)을 구획하는 격판(25)을 구성하되, 상기 격판(25)은 각 모서리에 구성된 곡면부(24)를 제외한 직선부(26)에만 구성되게 함으로서, 직선부(26)에 구성된 격판(24)과 외측판(22) 사이에는 결합홈(27)이 구성되게 하고, 격판(24)이 구성되지 않은 모서리, 즉 곡면부(24)에는 결합홈(27)보다 넓은 확장부(28)를 구성한다.
또한 뚜껑(10)의 본체(20) 테두리에 구성된 외측판(22) 내측면에 경사돌부(29)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돌부(29)도, 격판(24)과 같이 곡면부(24)를 제외한 직선부(26)에만 구성되게 함으로서, 확장부(28)의 공간을 좀더 넓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뚜껑(10) 역시 사각용기(60) 상단 테두리(61)에 결합하여 사각용기(60)에 담겨진 내용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차단되게 하고, 또한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보관토록 한다는 것은 종래와 다를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뚜껑(10)의 경우, 뚜껑(10)이 결합되는 사각용기(60) 상단에 구성된 테두리(61)의 규격이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별어려움없이 결합된다.
즉 발명이 적용되는 사각용기(60)의 경우, 대체로 크기 때문에(높이 40~50㎝, 테두리폭 20~30㎝) 사출성형할때,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성형조건이나, 수지의 종류 등 외부요인에 의해 테두리의 규격에서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으나, 동일회사에서 제조한 사각용기(60)와 뚜껑(10)의 경우 원만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유통과정에서 여러회사 제품들이 혼용되면서 사각용기와 뚜껑의 제조사가 달라질 경우에는, 사각용기(60)에 구성된 테두리(61)의 규격과, 뚜껑(10)의 요입부(23)에 구성된 결합홈(27)의 규격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원만한 결합이 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주로 사각용기(60)와 뚜껑(10)의 모서리에 구성된 곡면부(62)(24)에서 발생하게 된다.
발명의 뚜껑(10)이, 규격이 조금씩 다른 사각용기(60)의 테두리(61)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은 뚜껑(10)의 테두리, 즉 곡면부(24)에 구성된 확장부(28) 때문이다.
다시 설명하면,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뚜껑(10)의 경우, 격판(25)과 외측판(22) 사이에 구성되는 결합홈(27)이 직선부(26)에만 구성되어 있고, 곡면부(24)에는 격판(25) 및 경사돌부(29)를 제거하여 결합홈(27)보다 넓은 확장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10)을 사각용기(60)의 테두리(61)에 결합할때, 각 곡면부(24)(62)의 곡면 규격이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확장부(28)에 의해 어려움없이 쉽게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때 뚜껑(10)의 직선부(26)에 구성된 결합홈(27)에는, 사각용기(60)의 테두리(61)에 구성된 직선부(66)가 끼워져 결합이 되므로, 뚜껑(1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10)--뚜껑 (20)--본체
(21)--내측판 (22)--외측판
(23)--요입부 (24)--곡면부
(25)--격판 (26)--직선부
(27)--결합홈 (28)--확장부
(29)--경사돌부 (60)--사각용기
(61)--테두리 (62)--곡면부
(66)--직선부

Claims (2)

  1. 뚜껑(10)의 본체(20) 테두리에 내측판(21)과, 경사돌부(29)가 형성된 외측판(22)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요입부(23)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23)에 격판(25)을 돌출구성하여 격판(25)과 외측판(22) 사이에 결합홈(27)이 구성되게 한 사각용기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요입부(23)에 구성된 격판(25)은 직선부(26)에만 구성되게 하고, 각 모서리에 구성된 곡면부(24)에는 삭제하여 결합홈(27)보다 넓은 확장부(28)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외측판(22)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돌부(29)는 직선부(26)에만 구성되게 하고, 각 모서리에 구성된 곡면부(24)에는 삭제하여, 확장부(28)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용기 뚜껑.
KR1020180059513A 2018-05-25 2018-05-25 사각용기 뚜껑 KR10199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13A KR101993264B1 (ko) 2018-05-25 2018-05-25 사각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13A KR101993264B1 (ko) 2018-05-25 2018-05-25 사각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264B1 true KR101993264B1 (ko) 2019-06-26

Family

ID=6710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13A KR101993264B1 (ko) 2018-05-25 2018-05-25 사각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26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527A (en) * 1974-10-30 1976-03-23 Pylant Andrew A Paint brush wiping device
US5310075A (en) * 1992-11-27 1994-05-10 Distribution Control Systems, Inc. Waterproof, gasketless enclosure
JP3022583U (ja) * 1995-09-11 1996-03-26 西宗株式会社 密閉容器
KR200212614Y1 (ko) 2000-08-25 2001-02-15 이홍제 용기뚜껑
KR200278624Y1 (ko) 2002-03-11 2002-06-20 주식회사 엔터라인 식품용기 뚜껑
JP2007284090A (ja) * 2006-04-14 2007-11-01 Dic Plastics Inc 蓋体の係止構造および容器
KR20140002817U (ko) * 2014-04-04 2014-05-13 유난숙 용기
KR101404822B1 (ko) * 2013-10-29 2014-06-09 정상래 무패킹 밀폐용기
KR101829130B1 (ko) 2016-06-09 2018-03-29 황석환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5527A (en) * 1974-10-30 1976-03-23 Pylant Andrew A Paint brush wiping device
US5310075A (en) * 1992-11-27 1994-05-10 Distribution Control Systems, Inc. Waterproof, gasketless enclosure
JP3022583U (ja) * 1995-09-11 1996-03-26 西宗株式会社 密閉容器
KR200212614Y1 (ko) 2000-08-25 2001-02-15 이홍제 용기뚜껑
KR200278624Y1 (ko) 2002-03-11 2002-06-20 주식회사 엔터라인 식품용기 뚜껑
JP2007284090A (ja) * 2006-04-14 2007-11-01 Dic Plastics Inc 蓋体の係止構造および容器
KR101404822B1 (ko) * 2013-10-29 2014-06-09 정상래 무패킹 밀폐용기
KR20140002817U (ko) * 2014-04-04 2014-05-13 유난숙 용기
KR101829130B1 (ko) 2016-06-09 2018-03-29 황석환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9061A1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TW201544408A (zh) 具有頸環及蓋的可再密封式容器
US20120248120A1 (en) Food container
US3252492A (en) Container and pivoted closure
JP5879340B2 (ja) 予め湾曲した蓋を有する容器
US8813991B1 (en) Container cover
US3446391A (en) Plastic container tape seal structure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KR101993264B1 (ko) 사각용기 뚜껑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JP2019182477A (ja) 食品包装用容器
JP2012081965A (ja) 包装容器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KR10182913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밀착구조
KR20140002817U (ko) 용기
CA2701024C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JP3216689U (ja) 包装容器
JPH0430116Y2 (ko)
JPH0644851Y2 (ja) 添物付き食品用容器
JPH0417498Y2 (ko)
JP4195602B2 (ja) 密閉式仕切り容器
JP4803325B2 (ja) 気密性カード状振り出し容器
JPH1095419A (ja) 収納容器
KR200380853Y1 (ko) 복수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