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17U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17U
KR20140002817U KR2020140002756U KR20140002756U KR20140002817U KR 20140002817 U KR20140002817 U KR 20140002817U KR 2020140002756 U KR2020140002756 U KR 2020140002756U KR 20140002756 U KR20140002756 U KR 20140002756U KR 20140002817 U KR20140002817 U KR 201400028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member
container body
l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난숙
Original Assignee
유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난숙 filed Critical 유난숙
Priority to KR2020140002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17U/ko
Publication of KR20140002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8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된 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입구의 둘레에 안착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부재는,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는 용기본체와 탄성재질의 밀폐부재가 일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에 의해 용기본체와 탄성재질의 밀폐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밀폐가 용이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밀폐를 위해 탄성재질의 패킹재를 사용하는 용기 또는 이들의 뚜껑에는 패킹재가 안착되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된다. 이들 용기의 패킹홈에는 이물질이 끼게 되어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국내공개실용신안 20-2012-0003102호 (명칭; 패킹부재가 부착된 밀폐용기와 밀폐뚜껑)는 홈이 있는 패킹부재가 밀폐용기의 상위에 부착되어 있고, 밀폐뚜껑에는 홈으로 이루어져 있어, 패킹부재가 밀폐용기와 결합되면 밀폐용기 속의 내용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와 뚜껑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밀폐용기와 뚜껑은 패킹부재가 밀폐용기의 상위 즉 밀폐용기 뚜껑과 접촉되는 테두리 선에 고정부착 되고, 뚜껑은 홈으로 이루어져 패킹부재가 부착된 용기가 뚜껑의 홈 속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밀폐용기의 기능을 동일하게 이루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밀폐용기를 사용할 경우 용기를 밀폐시키려면 반드시 밀폐용기와 짝이 맞는 뚜껑을 결합시켜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밀폐용기를 사용하다 보면 패킹홈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세척할 때 패킹을 따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패킹부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에 의해 용기본체에 탄성재질의 밀폐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세척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에 부착된 밀폐부재(패킹부재)가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가 뚜껑과 결합될 때 밀폐부재 상단이 뚜껑에 맞게 변형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와 밀폐부재의 재질이 상이함에 따라 용기본체와 밀폐부재의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기본체와 밀폐부재의 접합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없이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각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밀폐가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된 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입구의 둘레에 안착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부재는,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에 부착된 밀폐부재가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가 뚜껑과 결합될 때 밀폐부재 상단이 뚜껑에 맞게 변형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에 의해 용기본체와 탄성재질의 밀폐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사용상 세척이 용이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본체와 밀폐부재의 재질이 상이함에 따라 용기본체와 밀폐부재의 접합강도가 약해질 경우를 대비하여 용기본체와 밀폐부재 사이의 접합면에 요철을 형성함로써 용기본체와 밀폐부재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없이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각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밀폐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밀폐부재가 접하는 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다수 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뚜껑과 용기가 다른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용기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10)에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된 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본체(11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어떠한 형상의 용기라도 무방하다.
또한 용기본체(110)의 소재는 내열유리, 강화유리, 내열도자기,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10)에는 하부 모서리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성형된 끼움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하부는 외측둘레에서 내측방향으로 삭각되어 하부둘레를 따라 함몰된 끼움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12)은 후술할 밀폐부재(120)에 형성된 안착턱(121)과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끼움홈(112)의 역할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밀폐부재(12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정 높이를 가지며 용기본체(110)의 입구 둘레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는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으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중사출 성형방법은 2종의 다른 수지를 사용하여 2개의 사출장치와 가동판에 회전기구를 설치한 구조의 사출기 또는 코어(Core)나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이중사출 가능하게 설계된 금형으로 최초에 성형한 1차 성형품에 2차 수지를 충진하여 사출하는 성형법이다.
따라서 1차적으로 용기본체(110)를 성형하고, 그 위에 탄성소재를 충진하여 밀폐부재(120)를 성형할 수 있다.
2개의 부품으로 성형하여 용착 또는 도장고정의 2차가공을 행하여 제품화 하던 것을 한 번의 성형으로 이를 해결함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120)가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후술할 뚜껑(130)과 결합될 때 밀폐부재(120)의 상단이 뚜껑(130)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밀폐부재(120)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가 접하는 면에는 요철(111)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가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으로 성형될 때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의 재질이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접합면의 접합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용기본체(110)를 성형할 때 요철(111)을 형성한 후 밀폐부재(120)를 이중사출함으로써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의 접합면에 결합력이 증진되어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밀폐부재가 접하는 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와 밀폐부재(120)가 접하는 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요철(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요철(111)은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프리즈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상부 양측면에 요철(111)이 형성될 수 있고,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상부 양측면에 요철(111)이 형성되고, 관통홀(113)이 형성되어 이중사출 과정에서 밀폐부재(120)의 일부가 관통홀(113)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부재(120)의 상단 모서리의 형상은,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형성될 수 있으며,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폭보다 일측 또는 양측으로 크게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재(120)가 용기본체(110) 폭보다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폐부재(120)의 연장폭의 길이는 한정되지 않으며, 밀폐부재(120)와 용기본체(110)의 폭은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밀폐부재(120)에는 상단 내측벽에 둘레방향을 따라 단차를 두고 함몰된 안착턱(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가 다수 개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턱(121)은 본 고안에 따른 타 용기(100)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끼움홈(112)과 끼워져, 하나 이상의 용기(100)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한 번에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를 다수 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기(100) 별로 뚜껑을 덮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최상부에 적층된 용기(100)에만 뚜껑(130)을 덮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0)가 적층됨으로써 용기(100)의 뚜껑 역할을 타용기(100)가 대신하여 주고, 특히 이때 용기(100)의 밀폐부재(120)가 탄성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100)와 용기(100)사이에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는 뚜껑(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130)은 밀폐부재(120)의 상단에 안착되어 용기(100)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30)은 용기(100)의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하단에 둘레를 따라 안착턱(121)과 끼워지는 수용가이드(1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뚜껑(130)과 밀폐부재(120)가 끼워질 때 그 결합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0)과 밀폐부재(120)에는 안착턱(121)과 수용가이드(131)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뚜껑(130)과 밀폐부재(120)가 억지끼움 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용기(100)를 복수 개 적층시킬 경우, 각각의 용기(1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타이부재(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데, 타이부재는 적층된 다수의 용기(100)의 높이방향으로 둘러짐으로써 다수 개의 용기(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타이부재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고무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뚜껑과 밀폐부재가 다른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에는 외측둘레로부터 외향돌출되는 플랜지(12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뚜껑(130)에는 일단이 뚜껑(130)의 외주에 결합되되, 플랜지(120')를 향해 회동되어 플랜지(1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날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120')와 날개부(130')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밀폐부재(120)와 뚜껑(130)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밀폐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 110: 용기본체
120: 밀폐부재 130: 뚜껑

Claims (8)

  1. 내부에 내용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된 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입구의 둘레에 안착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부재는,
    이중사출 또는 이종접합 성형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하부 모서리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성형된 끼움홈이 형성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열유리, 내열도자기,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부재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에는,
    상단 내측벽에 둘레방향을 따라 단차를 두고 함몰된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은, 상기 끼움홈과 끼워져 하나 이상의 상기 용기를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밀폐부재가 접하는 면에는,
    요철 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밀폐부재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상기 밀폐부재의 상단과 끼워지는 수용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상부 외측둘레로부터 외향돌출되는 플랜지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날개부는 상호결합되는, 용기.
KR2020140002756U 2014-04-04 2014-04-04 용기 KR201400028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56U KR20140002817U (ko) 2014-04-04 2014-04-04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756U KR20140002817U (ko) 2014-04-04 2014-04-04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102 Division 2012-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17U true KR20140002817U (ko) 2014-05-13

Family

ID=5244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756U KR20140002817U (ko) 2014-04-04 2014-04-04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264B1 (ko) * 2018-05-25 2019-06-26 (주)케이엠피 사각용기 뚜껑
WO2019235698A1 (ko) * 2018-06-07 2019-12-12 Yu Kwang Hee 방짜유기가 결합된 보관용기 및 그 보관용기의 제조방법
KR102565053B1 (ko) * 2022-12-15 2023-08-10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커버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264B1 (ko) * 2018-05-25 2019-06-26 (주)케이엠피 사각용기 뚜껑
WO2019235698A1 (ko) * 2018-06-07 2019-12-12 Yu Kwang Hee 방짜유기가 결합된 보관용기 및 그 보관용기의 제조방법
KR102565053B1 (ko) * 2022-12-15 2023-08-10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폐소생술장치의 피스톤 커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US8678230B2 (en) Vessels with air-tight lid systems
US10766670B2 (en) Snap cap in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CN109941586B (zh) 器皿的盖
US8998014B2 (en) Lid and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KR101950896B1 (ko) 클로저 및 이를 포함하는 젖병
US20180002075A1 (en) Sealed container
US20120234833A1 (en) Performance oriented pail
KR20210108371A (ko) 누출 방지 밀봉부를 갖는 용기를 뒤집어 제조하는 방법
US8985383B2 (en) Plastic container and lid
EP3152123B1 (en) Lid structure for container
US20170166360A1 (en) Closure capsule for closing bottles
KR20120092656A (ko) 탄성 링이 구비된 재잠금가능한 뚜껑을 갖는 용기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KR20140002817U (ko) 용기
KR20110004651U (ko) 용기의 뚜껑 실링 구조
US20120298669A1 (en) Plastic container structure
KR200480820Y1 (ko) 밀봉작업의 불량률을 최소화한 액체저장용기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59770Y1 (ko) 용기뚜껑
KR200469248Y1 (ko) 도시락 용기
KR200422468Y1 (ko)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CN107567419B (zh) 包含两个密封部的容器
KR101479649B1 (ko)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KR200466506Y1 (ko) 2중 테두리를 가지는 약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