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49B1 -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49B1
KR101479649B1 KR1020140068506A KR20140068506A KR101479649B1 KR 101479649 B1 KR101479649 B1 KR 101479649B1 KR 1020140068506 A KR1020140068506 A KR 1020140068506A KR 20140068506 A KR20140068506 A KR 20140068506A KR 101479649 B1 KR101479649 B1 KR 10147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ap
groove
lock
protru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강환
Original Assignee
(주)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펀트 filed Critical (주)펀트
Priority to KR102014006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37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 B65D43/025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실링 포장하여 진공 상태에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포장한 이후에 락 상태를 해제한 이후에 캡의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PS 재질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을 따라 바닥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형성한 실링 돌출부의 하측 외경으로 몸체 돌출부를 형성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실링 돌출부와 결합하는 실링 홈이 형성되고 이 실링 홈의 내경에 내부 실링 돌출부를 형성하며 외경의 하측으로 캡 마감링을 형성하는 캡과, 상기 용기 몸체의 실링 돌출부 외경으로 실링 돌출턱을 형성하며 상기 실링 돌출턱이 결합되는 캡의 실링 홈에서 진공포장되는 실링 돌출홈을 형성하는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 마감링의 한 부분에 형성한 부재 설치홈에 캡의 외경으로 설치하는 락 해제 부재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로 사용되고, 하측 선단에는 안쪽 방향으로 분리턱이 형성되어 몸체 돌출부와 연결된 후 진공상태로 실링 기능을 제공하며, 하측으로 몸체 돌출부와 고정되는 락 돌출부를 형성한 후, 안쪽에서 락 연결선으로 연결하되, 일정한 간격에서 3곳의 락 연결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Food-ceiling packaging lock bowl}
본 발명은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실링 포장하여 진공 상태에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포장한 이후에 락 상태를 해제한 이후에 캡의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PS 재질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을 포장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이나 폴리에틸렌(PE)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에 의해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게 되며, 최근에 와서는 내부에 포장된 식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ET 재질로 투명하게 사출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PET는 투명하게 성형되는 장점이 있으나, 쉽게 깨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져 원가가 상승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PET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한 PS재질 이용하여 성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PS 재질은 PET에 비하여 더 잘 깨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깨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PET 재질에 비하여 더 얇게 성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최근의 식품용기는 액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밀봉이 이루어져 냄새 또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포장하고 있으나, 건과류와 건조된 농산물과 같은 식품의 경우에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쉽게 뚜껑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변색이나 변질의 염려가 있는 등 다양한 결점이 발생하게 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용기의 내부에 종이 팩을 넣어 식품을 포장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종이 팩을 더 사용하게 되는 단점과 함께 포장의 시간과 원가가 소비되는 결점 등 다양한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얇게 성형되는 투명재질의 용기는 제품의 특성상 용기 몸체의 적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용기의 절반 정도만 적층되어 적층 높이가 많아져 포장하는 높이에 의한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이동이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62120호(2002. 01. 14. 등록)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07-0119617호(2007. 12. 20. 공개)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54719호(2011. 07. 15.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183027호(2012. 09. 10.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용기 몸체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실링 돌출부 통하여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링 돌출부의 외측에서 실링 돌출턱을 형성하여 캡의 실링홈에서 진공결합이 가능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내용물을 충진하여 용기 몸체에 캡을 결합한 후에는 진공결합이 유지되며 절대로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락 해제 부재를 분리하는 경우에만 캡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PS 재질을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얇게 투명한 상태의 용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을 따라 바닥돌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형성한 실링 돌출부의 하측 외경으로 몸체 돌출부를 형성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실링 돌출부와 결합하는 실링 홈이 형성되고 이 실링 홈의 내경에 내부 실링 돌출부를 형성하며 외경의 하측으로 캡 마감링을 형성하는 캡과, 상기 용기 몸체의 실링 돌출부 외경으로 실링 돌출턱을 형성하며 상기 실링 돌출턱이 결합되는 캡의 실링 홈에서 진공포장되는 실링 돌출홈을 형성하는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 마감링의 한 부분에 형성한 부재 설치홈에 캡의 외경으로 설치하는 락 해제 부재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로 사용되고, 하측 선단에는 안쪽 방향으로 분리턱이 형성되어 몸체 돌출부와 연결된 후 진공상태로 실링 기능을 제공하며, 하측으로 몸체 돌출부와 고정되는 락 돌출부를 형성한 후, 안쪽에서 락 연결선으로 연결하되, 일정한 간격에서 3곳의 락 연결선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용기 몸체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실링 돌출부의 구조를 통하여 0.3∼0.5mm의 간격을 두어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링 돌출부의 외측에서 실링 돌출턱을 형성하여 캡의 실링홈에서 진공결합이 가능한 실링을 통하여 내용물의 배출과 냄새를 방지하여 안정된 결합성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충진하여 용기 몸체에 캡을 결합한 후에는 진공결합이 유지되며 락 해제 부재의 결합을 통해 절대로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락 해제 부재를 캡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만 캡을 용기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안정된 결합형태를 제공하여 제품을 안정되게 보관하면서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S 재질에 인장강도를 늘리도록 제공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더 얇게 투명한 상태의 용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과 내용물의 성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락 해제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락 해제 부분에 대한 락 해제상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용기 몸체에 대한 적층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몸체(30)의 상측으로 실링 돌출부(3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 돌출부(31)에는 캡(1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한 부분에는 부재 설치홈(17)의 양쪽으로 분리턱(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재 설치홈(17)에는 캡(10)이 용기 몸체(30)에 진공기능을 갖도록 실링되는 락 해제 부재(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락 해제 부재(20)가 분리되는 경우에만 용기 몸체(30)에서 캡(10)이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용기 몸체(30)는 바닥에 전체면을 따라 바닥돌기(34)가 돌출되어 있으며, 바닥돌기(34)의 안쪽에서 호상 형태로 살빼기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10)과 용기 몸체(30)는 일반적으로 PS 재질을 사용하여 투명하게 사출 성형하는 것이며, 특정한 부위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캡(10)은 생산한 후 적층이 가능하도록 성형하며, 내부에는 보강 요철(15)이 형성되어 견고하게 성형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락 해제 부분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락 해제 부분에 대한 락 해제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 몸체(30)의 상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몸체 돌출부(3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몸체 돌출부(33)의 안쪽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실링 돌출부(31)는 상측의 선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후 돌출된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실링 돌출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몸체(30)와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캡(10)은 실링 돌출부(31)의 안쪽으로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내부 실링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실링 돌출부(11)의 외측에는 실링 돌출부(31)가 결합하는 실링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 홈(12)은 외측 방향에 실링 돌출턱(32)이 결합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실링 기능을 제공하고 내경 안쪽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선단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링 돌출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 돌출홈(13)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후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캡 마감링(14)이 형성되어 몸체 돌출부(33)를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캡(10)의 한 부분에는 부재 설치홈(17)을 형성하고, 이 부재 설치홈(17)의 양쪽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리턱(16)이 형성되어 캡(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부재 설치홈(17)에는 락 해제 부재(20)가 설치되며, 락 해제 부재(20)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로 사용되고, 하측 선단에는 안쪽방향으로 분리턱(16)이 형성되어 몸체 돌출부(33)에 고정되어 진공상태로 실링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락 해제 부재(20)는 안쪽의 상측에서 락 연결선(22)으로 연결하되, 일정한 간격에서 1∼3곳의 락 연결선(22)이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용기 몸체에 대한 적층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용기 몸체(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실링 돌출부(31)는 안쪽에서 적층하는 경우 0.3∼0.5mm의 간격(T)을 형성하여 생산시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PET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인장강도를 늘린 PS 재질을 사용하여 쉽게 깨지지 않도록 사출 성형으로 용기 몸체(30)와 캡(10)을 투명하게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용기 몸체(30)는 실링 돌출부(31)의 상측으로 몸체 돌출부(33)가 적층되면서 실링 돌출부(31)의 높이 이하에 해당하는 높이를 내부에 공간으로 갖도록 적층되는 것이며, 이때 간격(T)이 0.3∼0.5mm가 되어 제품의 생산시에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보관과 이송에 매우 편리한 것이다.
상기 간격(T)이 0.3mm 이하인 경우에는 적층에 의한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져 잘 분리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0.5mm 이상인 경우에는 너무 헐거워 쉽게 분리되고 자동생산시 공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0.4mm로 하는 것이다.
용기 몸체(30)의 내부에는 고추장과 된장과 같은 묽은 액체 상태로 충진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용기 몸체(30)의 실링 돌출부(31) 상측에 캡(10)을 결합하여 진공포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캡(10)의 실링 홈(12)에 용기 몸체(30)의 실링 돌출부(31)가 결합되면 캡(10)의 내부에서는 내부 실링 돌출부(11)가 외측에서 실링 돌출부(31)의 안쪽과 면상으로 만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고, 실링 돌출부(31)는 상측의 선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 후 돌출된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실링 돌출턱(32)이 형성되며, 상기 실링 돌출턱(32)이 결합하는 실링 홈(12)은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실링 돌출홈(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 돌출홈(13)의 하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후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캡 마감링(14)이 형성되어 몸체 돌출부(33)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10)의 부재 설치홈(17)에 형성하는 락 해제 부재(20)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로 편리하게 사용되도록 하고, 하측 선단에는 안쪽방향으로 분리턱(16)이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 돌출부(33)의 하측에 고정되어 캡(10)과 용기 몸체(30)가 진공상태로 실링 기능을 제공하도록 결합되어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도 누수되지 않도록 하며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락 해제 부재(20)는 안쪽의 상측에서 손잡이로 사용되어 상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1∼3곳에서 연결되어 있는 외측락 연결선(22)이 분리되면서 락 해제 부재(2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분리턱(16)이 몸체 돌출부(33)와의 결합한 상태를 해제하고 락 돌출부(21)가 몸체 돌출부(33)와 결합상태가 해제되며 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부재 설치홈(17)에서 락 해제 부재(20)가 분리된 상태이므로 분리 턱(16)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캡 마감링(14)이 상측으로 이동하며 실링 돌출턱(32)이 있는 실링 돌출부(31)와 실링 돌출홈(13)이 있는 실링 홈(12)에서 분리되며 캡(10)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용기 몸체(30)에 내용물을 충진 또는 공급하여 포장을 종료하면 진공상태로 포장이 이루어져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보존할 수 있으며, 캡(10)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락 해제 부재(20)를 캡(1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만 진공상태가 해제되므로 캡(10)을 개봉할 수 있게 되어 내부에 별도의 밀봉을 위한 비닐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안정되게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PS 재질을 사용하여 투명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성상과 상품명 및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비교적 저렴한 PS 재질을 이용하여 기존 보다 더 얇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식품의 포장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몸체의 실링 돌출턱과 캡의 실링 돌출홈 결합을 통하여 진공상태로 실링 포장이 가능하며, 내용물을 포장한 후에는 락 해제 부재를 분리하는 경우에만 캡을 개봉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안정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캡 11 : 내부 실링돌출부
12 : 실링 홈 13 : 실링 돌출홈
14 : 캡 마감링 15 : 보강 요철
16 : 분리 턱 17 : 부재 설치홈
20 : 락 해제 부재 21 : 락 돌출부
22 : 락 연결선 30 : 용기 몸체
31 : 실링 돌출부 32 : 실링 돌출턱
33 : 몸체 돌출부 34 : 바닥돌기
35 : 살빼기 홈

Claims (6)

  1. 바닥을 따라 바닥돌기(34)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형성한 실링 돌출부(31)의 하측 외경으로 몸체 돌출부(33)를 형성하는 용기 몸체(30)와, 상기 실링 돌출부(31)와 결합하는 실링 홈(12)이 형성되고 이 실링 홈(12)의 내경에 내부 실링 돌출부(11)를 형성하며 외경의 하측으로 캡 마감링(14)을 형성하는 캡(10)과, 상기 용기 몸체(30)의 실링 돌출부(31) 외경으로 실링 돌출턱(32)을 형성하며 상기 실링 돌출턱(32)이 결합되는 캡(10)의 실링 홈(12)에서 진공포장되는 실링 돌출홈(13)을 형성하는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 마감링(14)의 한 부분에 형성한 부재 설치홈(17)에 캡(10)의 외경으로 설치하는 락 해제 부재(20)는 상측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로 사용되고, 하측 선단에는 안쪽 방향으로 분리턱(16)이 형성되어 몸체 돌출부(33)와 연결된 후 진공상태로 실링 기능을 제공하며, 하측으로 몸체 돌출부(33)와 고정되는 락 돌출부(21)를 형성한 후, 안쪽에서 락 연결선(22)으로 연결하되, 일정한 간격에서 3곳의 락 연결선(22)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68506A 2014-06-05 2014-06-05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KR10147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06A KR101479649B1 (ko) 2014-06-05 2014-06-05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06A KR101479649B1 (ko) 2014-06-05 2014-06-05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649B1 true KR101479649B1 (ko) 2015-01-07

Family

ID=5258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506A KR101479649B1 (ko) 2014-06-05 2014-06-05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59A (ko) 2015-06-29 2017-01-06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주아가 식품 포장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026A (en) * 1993-03-22 1994-10-18 Plastics, Inc. Double seal container
KR20090116985A (ko) * 2008-05-08 2009-11-12 알렉산더 유 밀폐용 유리뚜껑을 구비한 식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026A (en) * 1993-03-22 1994-10-18 Plastics, Inc. Double seal container
KR20090116985A (ko) * 2008-05-08 2009-11-12 알렉산더 유 밀폐용 유리뚜껑을 구비한 식품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59A (ko) 2015-06-29 2017-01-06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주아가 식품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629B2 (en) Food packaging with a lid and closure system for packaging
US20150298883A1 (en) Container with scoop tray
US20190389636A1 (en) Closure for a container and utensil therefor
US20160000269A1 (en) Thermoformed container with lid
WO2005068307A3 (en) Separable portion containers
CA2578918A1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CN108137195B (zh) 具有两部分铰链的包装
US20140151387A1 (en) Container with seal structure
EP2527265A1 (en) Container with additional compartment
KR102044036B1 (ko) 긴밀한 밀폐력을 갖으면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용기의 분리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용기뚜껑
AU2015268984A1 (en) Lid structure for container
MX2016001251A (es) Contenedores de plastico de dos compartimientos y paquete de productos alimenticios que comprende dichos contenedores.
KR200473480Y1 (ko) 도시락 용기
KR101417382B1 (ko) 용기
KR101479649B1 (ko)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JP2010526742A (ja) 一体型締め回し式子供開封防止性栓および容器システム
GB2363776A (en) Invertable lid for containing an ingredient
US20120018429A1 (en) Durable Container
CN205738729U (zh) 容器
US3237800A (en) Closure for coin feeding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KR101608825B1 (ko) 보관 용기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KR20140002817U (ko)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