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468Y1 -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468Y1
KR200422468Y1 KR2020060012665U KR20060012665U KR200422468Y1 KR 200422468 Y1 KR200422468 Y1 KR 200422468Y1 KR 2020060012665 U KR2020060012665 U KR 2020060012665U KR 20060012665 U KR20060012665 U KR 20060012665U KR 200422468 Y1 KR200422468 Y1 KR 200422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iner body
wall
pack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찬정
Original Assignee
조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찬정 filed Critical 조찬정
Priority to KR2020060012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4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을 닫았을 때 용기본체의 내벽과 완벽한 밀폐구조를 이룰 수 있는 패킹재의 구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기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개방부위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으로 구성된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저면에는 용기본체(10)의 상단 내측벽(11)과 대향되는 끼움턱(21)이 일체형으로 하향 돌출 구성됨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끼움턱(21)의 외주면을 따라 요홈(22)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요홈(22)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재(23)가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용기본체(10)의 내측벽 상단에는 걸림돌부(12)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자기, 옹기, 도자기, 용기, 뚜껑, 밀폐, 보관

Description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AIRTIGHT CONTAINER FOR CERAMICWARE}
도 1은 본 고안 보관용기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보관용기의 뚜껑 분리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 보관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본체 11 : 내측벽
12 : 걸림돌부 20 : 뚜껑
21 : 끼움턱 22 : 요홈
23 : 패킹재 24 : 손잡이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체인 자기재로 이루어진 용기의 밀폐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음식물의 보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의 보관용기는 보관되는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외기와의 공기유동을 완전히 차단시켜줄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밀폐용기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식품 보관용기는 합성수지재 외에도 합성수지에 비해 용융점이 높아 쉽게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전 부터 식품보관용으로 점토 등을 성형하여 제작한 자기재 용기 및 옹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재 용기의 경우 자기재의 특성상 뚜껑 개폐부에서의 밀폐를 위한 패킹구조를 구성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밀폐성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밀폐상태 저하로 인해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가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기재 용기의 뚜껑부에 용기본체와의 사이에 밀폐용 패킹재를 용이하게 구성시킬 수 있는 밀폐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관되는 식품의 변질방지를 위한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자기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상기 개방부위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구성된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용기본체의 상단 내측벽과 대향되는 끼움턱이 일체형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며 하향으로 돌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끼움턱의 외주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요홈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재가 끼워져 외부로 돌출 구비되며, 용기본체(10)의 내측벽 상단에는 걸림돌부(12)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실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보관용기의 분리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보관용기의 뚜껑 분리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뚜껑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보관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자기재 보관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내부에 소정 크기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상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상부 개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20)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뚜껑(20)의 저면에는 용기본체(10)에 안착을 위한 끼움턱(21)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져 있다.
특히, 끼움턱(21) 외주면을 따라 탄력성의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원판형상의 패킹재(23)를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22)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패킹재(23)의 돌출길이(L)는 끼움턱(21)과 용기본체(10)의 내측벽(11) 사이 간격(D)보다 크도록 구비하였다.(L > D)
한편, 용기본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뚜껑(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부(12)를 돌출형태로 형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뚜껑(20)의 일측에서 돌출 형상을 이루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보관용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보관용기는 뚜껑(20)측에 형성된 요홈(22) 구조로 인해 뚜껑(20)을 닫았을 때 용기본체(10)와의 밀폐를 위한 패킹재(23)의 구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용기본체(10) 및 뚜껑(20)은 공히 점토를 이용한 자기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패킹재(23)의 구성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나, 요홈(22)을 끼움턱(21) 외주면을 따라 형성시킴으로서 패킹재(23)를 고리형 원판형태로 둘레를 따라 구성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패킹재(23)는 그 돌출길이(L)가 용기본체(10)의 내측벽(11)과의 간격(D)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뚜껑(20)을 닫았을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돌출단부가 내측벽(11)에 밀려 올라가면서 내측벽(11)과 면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패킹재(23)와 용기본체(10)의 내측벽(11)간에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한층 향상된 밀폐력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뚜껑(20)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패킹재(23)에 의한 증가된 결합력으로 인해 뚜껑(20)을 들어 올리더라도 용기본체(10)가 함께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뚜껑(20)을 열어서 용기본체(10)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손으로 용기본체(10)를 잡아준 상태에서 뚜껑(20)의 손잡이(24)를 들어올려야 개방 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용기본체(10) 내주면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부(12) 구성으로 인해 패킹재(23)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한 뚜껑(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뚜껑(20)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향으로 접혀진 패킹재(23)의 자체 복원력으로 인해 약간의 상승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패킹재(23)가 걸림돌부(12)에 의해 걸려지게 됨으로 용기본체(1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기 밀폐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뚜껑에 구비되는 패킹재가 한 개만 결합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패킹재의 갯 수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로 구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자기재 보관용기의 뚜껑 측에 요홈을 형성시킴으로서 기밀성 향상을 위한 패킹재의 구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패킹재를 원판형상으로 하여 돌출시킴으로서 뚜껑을 닫았을 때 용기본체의 내벽과 완벽한 밀폐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식품의 보관이 한층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돌부 구조로 인하여 용기본체로 부터 패킹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자기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와, 상기 개방부위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20)으로 구성된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저면에는 용기본체(10)의 상단 내측벽(11)과 대향되는 끼움턱(21)이 일체형으로 하향 돌출 구성됨으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끼움턱(21)의 외주면을 따라 요홈(22)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요홈(22)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재(23)가 끼워져 외측으로 돌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23)의 돌출길이(L)는 끼움턱(21)과 용기본체(10)의 내측벽(11) 사이 간격(D)보다 크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킹재(23)는 하나의 고리형 원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일측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4)이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벽 상단에는 걸림돌부(1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KR2020060012665U 2006-05-11 2006-05-11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KR200422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65U KR200422468Y1 (ko) 2006-05-11 2006-05-11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665U KR200422468Y1 (ko) 2006-05-11 2006-05-11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468Y1 true KR200422468Y1 (ko) 2006-07-26

Family

ID=4177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665U KR200422468Y1 (ko) 2006-05-11 2006-05-11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4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26B1 (ko) * 2006-07-31 2007-08-17 (주)서도양행 밀폐용기
CN114772063A (zh) * 2022-03-02 2022-07-22 韩国耐奥富琳股份有限公司 密封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826B1 (ko) * 2006-07-31 2007-08-17 (주)서도양행 밀폐용기
CN114772063A (zh) * 2022-03-02 2022-07-22 韩国耐奥富琳股份有限公司 密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US20070095849A1 (en) Sealed container lid of vacuum valve operation type
US20140091103A1 (en) Lid
KR20060015011A (ko) 재밀폐 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MX2012010756A (es) Tapa de cubo sin empaque.
JP2005193980A (ja) 食品保存用容器
US20170001763A1 (en) Bottle Cap
US20140158687A1 (en) Moisture Retention Seal
KR200422468Y1 (ko)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US20080190933A1 (en) Sealing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100715312B1 (ko) 밀폐용기의 뚜껑
US20130313219A1 (en) Sealing unit for sealing opening with smooth inner periphery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0408386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40002817U (ko) 용기
JP5074979B2 (ja) 混合容器
KR20230046933A (ko) 패킹을 포함하는 용기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JP717879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41597Y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